KR200206767Y1 - 전투차량용 천막 - Google Patents

전투차량용 천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767Y1
KR200206767Y1 KR2020000017330U KR20000017330U KR200206767Y1 KR 200206767 Y1 KR200206767 Y1 KR 200206767Y1 KR 2020000017330 U KR2020000017330 U KR 2020000017330U KR 20000017330 U KR20000017330 U KR 20000017330U KR 200206767 Y1 KR200206767 Y1 KR 200206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tch
assembly
coupled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선
정무송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7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767Y1/ko

Links

Abstract

전투차량용 천막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지지대가 결합되어 상부골조를 이루며, 이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가지는 지지대 조립체와, 지지대 조립체와 결합되어 하부골조를 이루고, 다수개의 지주대와, 이와 결합되는 지지바와, 지지바에 대하여 지주대의 높이를 조절가능한 래치부를 가지는 지주대 조립체와, 지지대 조립체상에 덮혀지는 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투차량용 천막{Versatile tent for combat vehicle}
본 고안은 천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대 조립체와, 지지대조립체와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투차량용 천막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야외에서 군사훈련을 수행할시 포병들의 지휘소로 운영되는 사격지휘차량은 일정한 장소에 정차된 상태에서 장시간 주둔하면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상황실이나 거주구로 활용된다. 지휘차량은 승무원실내에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훈련 및 작전 수행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불편한 점이 많기 때문에 보다 넓은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천막을 차량의 인근한 위치에 설치하여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천막은 설치되는 장소의 지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에 지주대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골조를 이루는 지지대간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상에 감싸지는 천막용 천이 무게중심을 잃게 되어 한쪽으로 쳐질수 있거나 우천시에 처진 부분으로 빗물이 고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지주대 조립체와, 상기 지주대 조립체상에 설치되는 지지대 조립체간의 결합이나, 지지대 조립체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혹한기나 강풍등의 외력에 의하여 천막이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임무수행에 애로사항이 많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높낮이나 균일성의 확보가 용이하고 결합이 견고한 천막을 지휘차량의 후방부에 배치하여 전천후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활동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는 것이 작전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높낮이가 용이하게 된 지주대 조립체와, 지주대 조립체상에 결합되는 지지대 조립체간의 결합과 분리를 간편하게 된 전투차량용 천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천막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주대 조립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지지대 조립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지지대 조립체의 지지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천막 11...지주대 조립체
12...지지대 조립체 13...지주대
14...지지바 15...래치부
16...제1 지지대 17...제2 지지대
18...제3 지지대 19...고정부
21...톱니부 22...래치 고정대
23...래치 24...헤더핀
26...토션 스프링 31...손잡이부
32...축 42...끼움부
45...삽입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전투차량용 천막은,
다수개의 지지대가 결합되어 상부골조를 이루고, 상기 지지대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가지는 지지대 조립체;
상기 지지대 조립체와 결합되어 하부골조를 이루고, 다수개의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와 결합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대하여 지주대의 높이를 조절가능한 래치부를 가지는 지주대 조립체; 및
상기 지지대 조립체상에 덮혀지는 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지지대중 하나의 지지대에는 그 단부의 외주면에 홈부가 형성된 끼움부가 설치되고, 이와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지지대에는 그 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끼움부와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내주면에 상기 홈부로 삽입가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삽입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래치부는 상기 지주대의 단부에 설치되는 래치 고정대와, 상기 래치 고정대에 고정되어 지지바의 외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잠기는 래치와, 상기 래치 고정대에 대하여 래치를 탄성적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과, 상기 래치와 래치 고정대를 고정시키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투차량용 천막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전투차량용 천막(10)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천막(10)은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다수개의 지주대 조립체(11)와, 상기 지주대 조립체(11)상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지지대 조립체(12)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대 조립체(11)는 상기 지지대 조립체(12)에 끼움되는 지주대(13)와, 상기 지주대(13) 내부의 중공을 통하여 결합되는 지지바(14)를 구비한다. 상기 지주대 조립체(11)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바(14)로부터 지지대(13)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천막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래치부(15)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 조립체(12)는 양 단부에 끼움부가 형성된 제1 지지대(16)와, 상기 제1 지지대(16)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단부에 끼움부가 형성된 제2 지지대(17)와, 상기 제2 지지대(17)의 끼움부와 결합되는 삽입부가 그 단부에 형성된 제3 지지대(18)와, 상기 제1 지지대(16)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17)(18)가 결합되는 부위에서 이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19)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지주대 조립체(11)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주대 조립체(11)는 상기 지지대 조립체(12)에 결합된 고정부(19)에 끼움되는 지주대(13)가 다수개 마련된다. 상기 지주대(13)는 그 내부를 통하여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긴 막대 형태이다.
상기 중공이 형성된 지주대(13) 내부로는 지지바(14)가 끼움된다. 상기 지지바(14)는 지면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지주대(13)의 통공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바(14)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톱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주대(13)의 하단부에는 상기 톱니부(21)에 선택적으로 잠김 작용을 하여 상기 지주대(13)가 지지바(14)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가능하도록 래치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치부(15)에는 상기 지주대(13)의 외면에 설치된 래치 고정대(22)가 마련된다. 상기 래치 고정대(22)에는 래치(23)가 결합된다. 상기 래치 고정대(22)에 래치(23)를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래치 고정대(22)와, 래치(23)에는 상응한 크기를 가지는 통공(22a)(2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공(22a)(23a)으로는 헤드핀(24)이 관통하여 상기 래치 고정대(22)에 대하여 래치(23)를 결합하고 있다. 상기 헤드핀(24)의 단부에는 상기 핀(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핀(25)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래치 조립체(15)에는 상기 래치(23)가 톱니부(21)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잠김 작용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이 설치된다. 예컨대, 토션 스프링(26)가 상기 래치 고정대(22)와, 래치(23)에 결합되어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래치(2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부(27)가 톱니부(21)의 홈부(21a)에 체결되거나 해제시키도록 설치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지지대 조립체(12)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 조립체(12)에는 천막의 일방향으로 상부 골조를 이루는 다수개의 제1 지지대(16)가 고정부(19)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지지대(16)는 상호 대응되게 일방향으로 놓여지고, 일단부는 고정부(19)의 양 측으로 끼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대(16)의 타단부도 고정부(19)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9)에는 상술한 지주대(13)의 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대(16)와 수직방향, 즉, 천막의 타방향으로는 다수개의 제2 지지대(17)와, 제3 지지대(18)가 고정부(19) 내에서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17)(18)는 고정부(19)에 형성된 통공(19a)을 통하여 삽입되어 그 내부에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9)에는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17)(18)가 결합시 이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된다. 즉, 고정수단에는 손잡이부(31)가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부(31)에는 축(32)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축(32)의 외주면에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인 스프링(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1)를 외부로 당기면 스프링(33)의 탄성력으로 상기 축(32)은 압축된 상태에있다가,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17)(18)가 결합된 다음 상기 손잡이(31)를 놓으면 상기 축(32)은 압축력이 해제되어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17)(18)가 결합된 외주면의 한 부분에 접촉되어 이를 지지한다.
도 4는 도 3의 제2 및 제3 지지대(17)(18)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지지대(17)는 축 형태로 된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의 양 단부측에 형성된 끼움부(42)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부(41)는 상기 몸체부(41)로부터 일체로 인출되며 그 직경이 몸체부(41)보다 작은 연장부(43)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42)는 원형의 형상을 이루고, 외주면에 소정폭의 홈부(42a)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지지대(18)는 축 형태로 된 몸체부(44)와, 상기 몸체부(44)의 양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45)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44)의 단부는 상기 삽입부(45)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45)는 상기 제2 지지대(17)의 끼움부(42)와 상응한 크기이며, 환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삽입부(45)의 내주면에는 상기 끼움부(42)의 홈부(42a)가 끼움가능하도록 돌출부(45a)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42)는 상기 삽입부(45)로 삽입시 홈부(42a)가 돌출부(45a)로 끼움되어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43)가 제3 지지대(18)의 몸체부(44)에 지지가능하도록 홈부(42a)가 삽입된 다음에 90도로 회전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전투차량용 천막을 조립 및 해체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천막을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지지대 조립체(12)를 먼저 조립하고, 상기 지지대 조립체(12)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주대 조립체(11)를 조립한다.
먼저, 상기 제1 지지대(16)를 동일한 간격으로 벌려 놓는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대(16)는 고정부(19)에 의하여 천막의 일방향으로부터 그 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17)(18)를 상기 제1 지지대(16) 양 단부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지지대(16)와 수직 방향인 천막의 타방향으로 각각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및 제3 지지대(17)(18)를 상호 결합시킨다. 즉, 상기 고정부(19)에 형성된 통공(19a)내로 상기 제2 지지대(17)를 삽입시켜서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지지대(18)를 통공(19a)내로 삽입시켜 상기 제2 지지대(17)에 끼우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지지대(17)의 몸체부(41)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부(42)에는 상기 제3 지지대(18)의 몸체부(44)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45)가 삽입된다. 상기 끼움부(42)의 홈부(42a)로 삽입부(45)의 돌출부(45a)가 삽입되고 나면, 상기 제2 지지대(17)에 대하여 상기 제3 지지대(18)를 90도로 돌려서 상기 홈부(42a)로부터 돌출부(45a)가 이탈이 되지 않게 조립이 가능하다.
상기 제3 지지대(18)의 타단부를 상기 고정부(19)에 조립시에는 고정부(19)에 설치된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즉, 고정 수단의 손잡이부(31)를 당기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31)에 스프링(33)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축(32)이 압축이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3 지지대(18)가 상기 고정부(19)의 통공(19a)에 끼워지게 되고, 다시 손잡이부(31)를 놓게 되면, 상기 축(32)은 원상으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제3 지지대(18)의 외주면 일부에 접촉하게 되면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제2 지지대(17)를 중심으로 하여 타측에 위치한 제3 지지대(18)도 상술한 방법과 같이 제2 지지대(17)에 조립하게 된다. 이때도, 상기 제2 지지대(17)에 대하여 상기 제3 지지대(18)를 90도 돌려서 서로 이탈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 조립체(12)를 지주대 조립체(11)에 결합하기 이전에 천막용 천을 조립이 완성된 상부 골조인 제1,2,3 지지대(16)(17)(18) 상에 올려놓는다. 천이 올려놓여진 상태에서, 조립된 상기 제1,2,3 지지대(16)(17)(18)를 들어 올리면서 상기 지주대 조립체(11)를 지지대 조립체(12)에 끼워서 조립하게 된다.
조립시 천막의 높이를 조절하는 래치부(15)가 내측으로 오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지형의 형세에 따라서 상기 래치부(15)를 풀어서 상기 지지바(14)에 대하여 지주대(13)를 위아래로 조절하여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래치(23)가 상기 토션 스프링(26)의 작용으로 뒤로 밀리게 되면, 상기 지주대(13)는 지지바(14)에 대하여 자유롭게 되고, 상기 지지대(13)는 천막이 소망하는 높이가 되도록 위아래로 조절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래치(23)를 잠그게 되면, 상기 래치(23)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27)가 지지바(14)에 형성된 톱니부(21)의 홈부(21a)에 걸리게 되어 상기 지지바(14)에 대하여 지주대(13)가 고정이 된다.
이어서, 천막을 상기 지주대 조립체(11)와 지지대 조립체(12)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면 천막의 설치가 완성된다. 이때, 전투차량용 천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천막용 골조가 차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천막을 해체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지주대 조립체(11)와 지지대 조립체(12)에 고정되어 있는 천막의 천을 해제하고, 지지대 조립체(12)에 대하여 지주대 조립체(11)를 분리한다.
이어서, 상기 지지대 조립체(12)를 각각 단위 지지대로 분리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지지대(17)와, 상기 제3 지지대(18)를 상호 분리한다. 이때, 상기 제2 지지대(17)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부(42)에 대하여 상기 제3 지지대(18)의 삽입부(45)를 90도로 돌려서 상기 삽입부(45)에 형성된 돌출부(45a)가 상기 끼움부(42)에 형성된 홈부(42a)를 통하여 일치되어 풀림 상태를 확인한 후에 상기 제2 지지대(17)로부터 제3 지지대(18)를 분리하게 된다.
상기 제3 지지대(18)의 타단부를 상기 고정부(19)로부터 해제시에는 고정 수단의 손잡이부(31)를 당기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31)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축(32)이 뒤로 밀리게 되고 상기 제3 지지대(18)는 고정부(19)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대(17)를 중심으로 타측에 위치한 제3 지지대(18)도 상술한 방법과 같이 90도로 돌려서 풀림 상태를 확인한 후에 상기 제2 지지대(17)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 지지대(17)를 상기 고정부(19)에 형성된 통공(19a)으로부터 탈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주대(13)에 대하여 지지바(14)는 상기 래치부(15)를 해제하게 되어 상호 높이를 맞추게 된다. 즉, 상기 래치(23)를 토션 스프링(26)의 탄성력으로 뒤로 당겨서 상기 지주대(13)를 상기 지지바(14)의 아랫측으로 내려서 그 높이를 서로 동일하게 하여 부피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처럼, 본원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전투차량용 천막은 지주대 조립체에 래치부를 설치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고, 지지대 조립체는 삽입형 연결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전투차량용 천막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지주대 조립체에 래치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래치부에 의하여 지지바에 대하여 지주대를 이동하여 지면으로부터 천막의 높낮이가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둘째, 지지대 조립체를 이루는 지지대의 단부에는 단부에 끼움부와 이와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후 소정 각도 돌려서 고정시킴으로써 고정이 견고하고, 해체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셋째, 전투용 차량의 후방에 지주대 조립체를 설치하고 골조를 이루는 지지대 조립체 상에 천막을 설치하게 되면 지휘차량의 활동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작전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다수개의 지지대가 결합되어 상부골조를 이루고, 상기 지지대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가지는 지지대 조립체;
    상기 지지대 조립체와 결합되어 하부골조를 이루고, 다수개의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와 결합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대하여 지주대의 높이를 조절가능한 래치부를 가지는 지주대 조립체; 및
    상기 지지대 조립체상에 덮혀지는 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천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중 하나의 지지대에는 그 단부의 외주면에 홈부가 형성된 끼움부가 설치되고, 이와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지지대에는 그 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끼움부와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내주면에 상기 홈부로 삽입가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삽입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천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지주대의 단부에 설치되는 래치 고정대와, 상기 래치 고정대에 고정되어 지지바의 외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잠기는 래치와, 상기 래치 고정대에 대하여 래치를 탄성적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바이어스수단과, 상기 래치와 래치 고정대를 고정시키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용 천막.
KR2020000017330U 2000-06-19 2000-06-19 전투차량용 천막 KR200206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330U KR200206767Y1 (ko) 2000-06-19 2000-06-19 전투차량용 천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330U KR200206767Y1 (ko) 2000-06-19 2000-06-19 전투차량용 천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767Y1 true KR200206767Y1 (ko) 2000-12-15

Family

ID=7307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330U KR200206767Y1 (ko) 2000-06-19 2000-06-19 전투차량용 천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7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291B1 (ko) 2010-12-21 2013-05-06 김경석 이동식 엄폐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291B1 (ko) 2010-12-21 2013-05-06 김경석 이동식 엄폐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8044A2 (en) Portable protective structure
JP3752542B2 (ja) 自動傘式キャノピーテント
CA2743173C (en) Canopy tent
US6591571B2 (en) Hub assembly for collapsible display panel
JPH0842163A (ja) サポート
KR200206767Y1 (ko) 전투차량용 천막
KR20200024007A (ko) 루프탑 텐트의 고정 장치
JP5894744B2 (ja) 組み立て式テント
KR100582995B1 (ko)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KR102273897B1 (ko) 조립식 차선분리대
US20180340347A1 (en) Automatic instant tent frame
US20060090785A1 (en) Leg support for an instant set-up foldable tent
KR200344232Y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CN108951599B (zh) 山地荒漠草原退化草场表土恢复用网框上的定位卡扣系统
KR20060133162A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361483Y1 (ko)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구조
CN220179378U (zh) 一种便于机械手臂与安装座快速拆装装置
KR200437181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JP3032984U (ja) 物置きスタンド
KR200281363Y1 (ko) 천막골조의 조절핀 설치구조
CN220365390U (zh) 一种用于户外保护文物的保护篷
KR200490283Y1 (ko) 안전장치가 마련된 접이식 텐트
CN218509184U (zh) 一种便于组装的遮阳蓬
CN219411230U (zh) 一种便于拆卸的钢结构连接架
KR200294997Y1 (ko)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폴대 유동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