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181Y1 -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181Y1
KR200437181Y1 KR2020070002047U KR20070002047U KR200437181Y1 KR 200437181 Y1 KR200437181 Y1 KR 200437181Y1 KR 2020070002047 U KR2020070002047 U KR 2020070002047U KR 20070002047 U KR20070002047 U KR 20070002047U KR 200437181 Y1 KR200437181 Y1 KR 200437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n
guide
support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태
Original Assignee
조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태 filed Critical 조민태
Priority to KR2020070002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1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1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6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telescoping and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하우징(34)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하우징(4)에 설치되는 지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34) 또는 하부 하우징(4)에 고정 부착되고, 일 측면이 개방되고, 내측면에 오목한 한 쌍의 가이드 슬릿(116)이 대향 형성되며, 내부 저면에는 상부 하우징(34) 또는 하부 하우징(4)의 내부에 연통되는 핀 삽입공(112)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110); 고정 브라켓(110)에 수직하게 삽입되고, 선단부가 핀 삽입공(112)을 관통하는 고정핀(120); 고정핀(120)의 측면 중심부를 관통하고, 고정핀(120)의 외부로 돌출된 양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 슬릿(116)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드 핀(126); 고정핀(120)의 후방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30); 개방된 일 측면을 통해 고정 브라켓(110)에 삽입되고, 선단부에는 가이드 핀(126)의 돌출된 양측 단부를 받치는 한 쌍의 가이드 핀 지지부(142)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버튼(140); 고정 브라켓(110)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고, 스프링(130)의 후방을 지지하는 고정 캡(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prop of folding tent}
도 1은 일반적인 절첩식 천막의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절첩식 천막의 지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 지주 12; 핀홀
34; 상부 하우징 4; 하부 하우징
110; 고정 브라켓 112; 핀 삽입공
114; 버튼 안내부 116; 가이드 슬릿
118; 이탈 방지턱 120; 고정핀
122; 핀 접촉부 124; 관통공
126; 가이드 핀 128; 스프링 홀
130; 스프링 140; 버튼
142; 가이드 핀 지지부 144; 걸림턱
150; 고정 캡 152; 안착홈
154; 안착돌기
본 고안은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대해 절첩식 천막을 지지하는 각 지주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또한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일반적인 절첩식 천막의 골격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에서 햇빛과 비를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첩식 천막은, 크게 바닥면에 대해 천막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주(30)와, 각 지주(30) 사이에서 "X"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상호 교차되는 절첩 프레임(40), 그리고 천막 지붕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탑지주(5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첩식 천막은, 상기 탑지주(50)를 중심으로 각 지주(30)를 모으면 휴대 및 보관 가능할 정도로 천막의 부피가 축소되고, 반대로 각 지주(30)를 방사상으로 펼치면 천막의 골격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도 2에는 일반적인 절첩식 천막의 지주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대해 천막을 지지하는 지주(30)는, 직경이 서로 다른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로 이루어지는데, 직경이 작은 하부 지주(20)가 직경이 큰 상부 지주(10)의 내부에 안테나 방식으로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주(10)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절첩 프레임(40)에 연결되는 탑 하우징(32)이 고정 부착되고, 상부 지주(10)의 하단부에는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하우징(4)이 고정 부착되며, 상기 탑 하우징(32)과 하부 하우징(4) 사이에는 다수의 절첩 프레임(40)에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34)이 상부 지주(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그리고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하우징(4)에 지주 고정장치(1)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4)의 하부에도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주 고정장치(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3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도시되지 않음)와 하부 하우징(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1)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지주(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 지주(10)의 일측면 하단부에는 통공의 핀홀(12)이 형성되고, 하부 지주(20)의 일측면에도 통공의 핀홀(22)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지주(10)를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의 핀홀(12, 22)이 소정 간격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 고정장치(1)는, 하부 하우징(4)에 연통되도록 고정 부착되는 고정 브라켓(8)과, 고정 브라켓(8)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핀홀(12, 22)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6)과, 상기 고정핀(6)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7), 그리고 상기 고정핀(6)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5)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지주 고정장치(1)에 의하면, 손잡이(5)를 잡아당겨서 고정핀(6)을 핀홀(12, 22)에서 이탈시킨 후 상부 지주(10)를 원하는 만큼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손잡이(5)를 놓으면 고정핀(6)이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의 핀홀(12, 22)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주 고정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우선, 지주(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항상 손잡이(5)를 잡아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상부 지주(10)를 움직여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고정핀(6)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잠금 장치가 없기 때문에, 고정핀(6)에 상당한 하중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지속적인 진동이 가해질 경우에는 고정핀(6)이 조금씩 관체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천막의 골격이 무너질 염려가 있다.
또한 고정핀(6)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만 가능하므로, 고정핀(6)에 상당한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무리하게 손잡이(5)를 잡아당기는 경우, 고정핀(6) 또는 지주(30)에 손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핀홀에 대한 고정핀의 삽입과 이탈을 용이하게 하여 지주의 높이 조절을 쉽게 하고, 또한 핀홀에 삽입되거나 핀홀에서 이탈된 고정핀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와 천막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는, 상부 하우징을 상부 지주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하우징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하우징에 설치되는 지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에 고정 부착되고, 일 측면이 개방되고, 내측면에 오목한 한 쌍의 가이드 슬릿이 대향 형성되며, 내부 저면에는 상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연통되는 핀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고정 브라켓에 수직하게 삽입되고, 선단부가 핀 삽입공을 관통하는 고정핀; 고정핀의 측면 중심부를 관통하고, 고정핀의 외부로 돌출된 양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 슬릿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드 핀; 고정핀의 후방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개방된 일 측면을 통해 고정 브라켓에 삽입되고, 선단부에는 가이드 핀의 돌출된 양측 단부를 받치는 한 쌍의 가이드 핀 지지부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버튼; 고정 브라켓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고, 스프링의 후방을 지지하는 고정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천막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바닥면에 대해 천막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주(30)와, 각 지주 사이에서 "X"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연결되는 다수의 절첩 프레(40)임, 그리고 천막 지붕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탑지주(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주(30)는 직경이 서로 다른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로 이루어지는데, 직경이 작은 하부 지주(20)가 직경이 큰 상부 지주(10)의 내부에 안테나 방식으로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주(10)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절첩 프레임(40)에 연결되는 탑 하우징(32)이 고정 부착되고, 상부 지주(10)의 하단부에는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하우징(4)이 고정 부착되며, 상기 탑 하우징(32)과 하부 하우징(4) 사이에는 다수의 절첩 프레임(40)에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34)이 상부 지주(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그리고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하우징(4)에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고정장치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4)의 하부에도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고정장치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상부 하우징(34)에 형성되는 지주고장장치와 하부 하우징(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는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상부 하우징(3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구성으로부터 하부 하우징(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는, 상부 지주(1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하우징(34)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 하우징(34)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 브라켓(110)과,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삽입되는 고정핀(120), 상기 고정핀(12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버튼(140), 상기 고정핀(120)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30), 그리고 상기 스프링(130)을 지지하면서 고정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고정 캡(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110)은 상부 하우징(34)에 일체로 제작되거나,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 상부 하우징(34)에 고정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일 측면에는 버튼(140)이 삽입되는 통로가 되는 버튼 안내부(114)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 저면에는 상부 하우징(34)의 내부에 연통되는 핀 삽입공(11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11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슬릿(116)이 오목하게 대향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110)의 개방된 전면에는 고정핀(120)이 수직하게 삽입되고, 상기 고정핀(120)의 선단부는 상기 핀 삽입공(112)을 통과하여 상부 하우징(34)의 내부로 돌출된다. 또한 버튼(140)은 상기 버튼 안내부(114)를 통해 고정 브라켓(110)에 삽입되고, 고정핀(120)을 관통한 가이드 핀(126)의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슬릿(116)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20)은 고정 브라켓(110)의 전면으로 수직하게 삽입된 후, 핀 삽입공(112)을 통과하여 상부 하우징(34)의 내부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그 후단부에 스프링 홀(128)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고정핀(120)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24)이 고정핀(120)의 측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 홀(128)에는 스프링(130)이 삽입되어, 고정핀(120)을 후방에서 탄력 지지하게 되고, 상기 관통공(124)에는 고정핀(120)의 직경보다 더 큰 길이를 갖는 가이드 핀(126)이 삽입된다. 따라서 고정핀(120)의 관통공(124)에 삽입된 가이드 핀(126)의 양측 단부는 각각 고정핀(12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가이드 핀(126)의 양측 단부는 각각 고정 브라켓(110)의 가이드 슬릿(116)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고정핀(120)을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프링(130)의 직경이 고정핀(12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프링(130)이 고정핀(120)의 후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스프링 홀(128)에 삽입된다. 그러나 스프링(130)의 직경이 고정핀(120)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핀(120)의 후단부가 스프링(130)에 삽입되고, 스프링(130)은 고정핀(120)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 핀(126)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핀(120)의 후단부에 스프링 홀(128)이 형성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한편, 핀 삽입공(112)을 통과하여 상부 하우징(34)의 내부에 돌출된 상기 고정핀(120)은 상부 지주(10)의 핀홀(12)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핀(120)에 상당한 하중이 걸리게 되므로, 고정핀(120)은 상당한 강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정핀(120)이 금속 또는 금속에 견줄 수 있는 강도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핀(120)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부 하우징(34)의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핀(120)의 선단부가 상부 지주(10)에 흠집을 낼 우려가 있으므로, 금속 재질의 고정핀(120)에 대해서는 그 선단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핀 접촉부(122)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튼(140)은 버튼 안내부(114)를 통해 고정 브라켓(110)에 삽입된 후, 고정핀(12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버튼 안내부(114)를 따라 삽입되는 버튼(140)의 선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126)을 받치는 한 쌍의 가이드 핀 지지부(142)가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 지지부(142) 사이로 고정핀(120)의 선단부가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즉, 고정핀(120)의 양측에 돌출된 가이드 핀(126)의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 핀 지지부(142)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 지지부(142)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따라서 가이드 핀 지지부(142)의 높이는 전방으로 갈수록 더욱 낮아지고, 후방으로 갈수록 더욱 높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버튼(140)이 버튼 안내부(114)를 따라 고정 브라켓(110)의 내측으로 전진 이동하면, 가이드 핀(126)을 받치는 가이드 핀 지지부(142)의 높이가 더욱 높아지게 되어, 가이드 핀 지지부(142)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핀(126)도 상기 가이드 슬릿(116)을 따라 후진 이동하고, 결국 가이드 핀(126)이 결합되어 있는 고정핀(120)도 후진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버튼(140)이 버튼 안내부(114)를 따라 고정 브라켓(110)의 외측으로 후진 이동하면, 가이드 핀(126)을 받치는 가이드 핀 지지부(142)의 높이가 더욱 낮아지게 되어, 가이드 핀 지지부(142)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핀(126)도 상기 가이드 슬릿(116)을 따라 전진 이동하고, 결국 가이드 핀(126)이 결합되어 있는 고정핀(120)도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버튼(140)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에 따라 고정핀(120)도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버튼(140)은 버튼 안내부(114)를 통해 고정 브라켓(110)에 삽입된 후, 고정핀(120)의 이동을 위해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버튼(140)이 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 브라켓(1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140)의 저면 중심부에 걸림턱(144)이 돌출 형성되고, 또한 고정 브라켓(110)의 개방된 일 측면, 즉 버튼 안내부(114)에도 상기 버튼(140)의 걸림턱(144)에 대응하는 이탈 방지턱(118)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버튼(140)의 걸림턱(144)이 고정 브라켓(110)의 이탈 방지턱(118)에 걸리는 지점 이후로는 더 이상 버튼(140)의 후진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버튼(1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30)은, 그 선단부가 고정핀(120)의 후방에 오목하게 형성된 스프링 홀(128)에 삽입되어 고정핀(120)을 탄력 지지하고, 그 후단부는 고정 캡(15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캡(150)은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 브라켓(110)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고, 따라서 고정핀(120)과 스프링(130)은 고정 브라켓(110)과 고정 캡(15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30)은 고정핀(120)의 스프링 홀(128)과 고정 캡(150) 사이에서 압축되어 고정핀(120)을 탄력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 캡(150)의 내부 중심부에는 스프링(130)을 지지하기 위한 오목한 안착홈(152)과, 상기 안착홈(152)의 중심부에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기(15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홈(152)에 스프링(130)의 후단부가 삽입되는데, 이때 스프링(130) 내부에 안착돌기(154)가 삽입됨으로써, 스프링(130)의 후단부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스프링(130)을 지지하기 위해, 고정 캡(150)의 내부 중심부에 안착홈(152)과 안착돌기(154)가 함께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안착홈(152)과 안착돌기(154)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더라도 스프링(130)을 고정시키기에 무방할 것이다.
또한 고정 브라켓(110)의 후면에 고정 캡(150)이 고정 결합되면, 스프링(130)이 고정핀(120)을 밀게 되고, 그로 인해 고정핀(120)이 전진 이동하여 상부 하우징(34)의 내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버튼(140)의 후단부가 고정 브라켓(1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돌출된 버튼(140)을 밀면 고정핀(120)이 후진 이동되고, 스프링(130)도 압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처럼 고정 브라켓(11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간 버튼(140)을 밀지 않고 놔 두면, 상기 압착된 스프링(130)이 고정핀(120)을 밀게 되고, 고정핀(120)이 전진하면서 자연스럽게 버튼(140)도 고정 브라켓(110)의 외부로 밀려나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프링(130)이 고정핀(120)을 탄력적으로 밀게 되므로, 고정핀(120)이 전진 이동하여 상부 하우징(34)의 내부로 돌출된 후 상부 지주(10)의 핀홀(12)에 삽입되고, 따라서 상부 하우징(34)이 상부 지주(1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고정핀(120)이 전진 이동하면, 버튼(140)의 후단부가 고정 브라켓(1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핀(120)이 상부 지주(10)의 핀홀(12)에 삽입되어 상부 하우징(34)이 상부 지주(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40)을 고정 브라켓(110)의 내측으로 밀면 된다. 이처럼 버튼(140)을 밀면, 버튼(140)의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핀 지지부(142)가 전진 이동하고, 가이드 핀 지지부(142)에 접하는 가이드 핀(126)은 후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핀(126)이 결합된 고정핀(120)도 후진 이동하고, 스프링(130)은 후진 이동한 고정핀(120)과 고정 캡(150)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처럼 고정핀(120)이 상부 지주(10)의 핀홀(12)에서 벗어나면, 상부 하우징(34)도 상부 지주(10)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이처럼 버튼(140)을 계속해서 밀고 있는 동안에만, 고정핀(120)이 후 진 이동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버튼(140)을 밀지 않고 놔두면, 압착된 스프링(130)에 의해 고정핀(120)이 전진 이동하게 되고, 고정핀(120)에 결합된 가이드 핀(126)의 전진 이동에 의해 버튼(140)은 고정 브라켓(110)의 외부로 밀려 나오게 된다.
상기에서는 상부 하우징(34)에 설치되어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주 고정장치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고정장치는 하부 하우징(4)에 설치되어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방식으로 핀홀에 대한 고정핀의 삽입과 이탈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천막에 하중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고정핀이 임의로 핀홀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Claims (3)

  1.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하우징(34)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하우징(4)에 설치되는 지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34) 또는 하부 하우징(4)에 고정 부착되고, 일 측면이 개방되고, 내측면에 오목한 한 쌍의 가이드 슬릿(116)이 대향 형성되며, 내부 저면에는 상부 하우징(34) 또는 하부 하우징(4)의 내부에 연통되는 핀 삽입공(112)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110);
    고정 브라켓(110)에 수직하게 삽입되고, 선단부가 핀 삽입공(112)을 관통하는 고정핀(120);
    고정핀(120)의 측면 중심부를 관통하고, 고정핀(120)의 외부로 돌출된 양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 슬릿(116)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드 핀(126);
    고정핀(120)의 후방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30);
    개방된 일 측면을 통해 고정 브라켓(110)에 삽입되고, 선단부에는 가이드 핀(126)의 돌출된 양측 단부를 받치는 한 쌍의 가이드 핀 지지부(142)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버튼(140);
    고정 브라켓(110)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고, 스프링(130)의 후방을 지지하는 고정 캡(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1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고정핀(120)의 선단부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핀 접촉부(12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40)의 저면 중심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44)과;
    상기 걸림턱(144)에 대응하도록 고정 브라켓(110)의 개방된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이탈 방지턱(118);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KR2020070002047U 2007-02-05 2007-02-05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KR200437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047U KR200437181Y1 (ko) 2007-02-05 2007-02-05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047U KR200437181Y1 (ko) 2007-02-05 2007-02-05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181Y1 true KR200437181Y1 (ko) 2007-11-08

Family

ID=4163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047U KR200437181Y1 (ko) 2007-02-05 2007-02-05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1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071B1 (ko) 2009-05-22 2010-04-13 문도주 분해조립 및 휴대가 가능한 행사용 천막
WO2016076505A1 (ko) * 2014-11-14 2016-05-19 (주)세진기연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071B1 (ko) 2009-05-22 2010-04-13 문도주 분해조립 및 휴대가 가능한 행사용 천막
WO2016076505A1 (ko) * 2014-11-14 2016-05-19 (주)세진기연 대차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6178A (en) Tent movable between a collapsed position and a latched erect position
KR100886118B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US8869939B2 (en) Extension ladder
CN108104296B (zh) 一种移动式抗风柱
US9488003B2 (en) Portable ladder with a stand off device
US9382723B2 (en) Mechanism for folding and unfolding a tent or awning
US20090241805A1 (en) Folding Table Assembly
KR102586932B1 (ko) 자동차 시트용 사이드 테이블 어셈블리
CA2667845C (en) Foldable truck bed extender
KR200437181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KR200423920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US6234432B1 (en) Movable stand arrangement for a vehicle hardtop
US6969078B2 (en) Third wheel collapsing device for a golf club cart
AU2009238309A1 (en) Securing device for connecting bicycle rack to vehicle
JP5894744B2 (ja) 組み立て式テント
KR200409540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KR200423919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EP1244568B1 (en) Device for detachable mounting of a table
DE20013962U1 (de) Verbesserte untere Rahmenstruktur eines klappbaren Laufgitters
CN201535086U (zh) 帐篷伸缩套杆弹簧扣
CN109532996B (zh) 一种可快速收车的童车车架
JP2005139812A (ja) 梯子の転倒防止装置
JP4370436B2 (ja) 移動棚装置
CN217783084U (zh) 快速组合篷架的固定座结构
CN109037888B (zh) 桅杆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