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118B1 -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118B1
KR100886118B1 KR1020070093442A KR20070093442A KR100886118B1 KR 100886118 B1 KR100886118 B1 KR 100886118B1 KR 1020070093442 A KR1020070093442 A KR 1020070093442A KR 20070093442 A KR20070093442 A KR 20070093442A KR 100886118 B1 KR100886118 B1 KR 100886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ixing
support
le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태
Original Assignee
조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태 filed Critical 조민태
Priority to KR102007009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에 고정 부착되고, 내부 저면에는 상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연통되는 핀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고정 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고 핀 삽입공에 연통되는 가이드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핀 지지부와, 핀 지지부의 일 측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고정 브라켓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핀 지지부의 일측단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는 레버 프레임; 선단부가 가이드 홈과 핀 삽입공에 관통 삽입되고, 중심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핀 돌기부가 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핀; 고정핀의 후방을 탄력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고정 브라켓의 개방된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코일 스프링의 후방을 지지하고, 일측에 레버가 통과하는 레버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prop of folding tent}
본 발명은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대해 절첩식 천막을 지지하는 각 지주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또한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일반적인 절첩식 천막의 골격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에서 햇빛과 비를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첩식 천막은, 크게 바닥면에 대해 천막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주(30)와, 각 지주(30) 사이에서 "X"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상호 교차되는 절첩 프레임(40), 그리고 천막 지붕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탑지주(5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첩식 천막은, 상기 탑지주(50)를 중심으로 각 지주(30)를 모으면 휴대 및 보관 가능할 정도로 천막의 부피가 축소되고, 반대로 각 지주(30)를 방사상으로 펼치면 천막의 골격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도 2에는 일반적인 절첩식 천막의 지주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대해 천막을 지지하는 지주(30)는, 직경이 서로 다른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로 이루어지는데, 직경이 작은 하부 지주(20)가 직경이 큰 상부 지주(10)의 내부에 안테나 방식으로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주(10)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절첩 프레임(40)에 연결되는 탑 하우징(32)이 고정 부착되고, 상부 지주(10)의 하단부에는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하우징(4)이 고정 부착되며, 상기 탑 하우징(32)과 하부 하우징(4) 사이에는 다수의 절첩 프레임(40)에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34)이 상부 지주(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그리고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하우징(4)에 지주 고정장치(1)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34)의 하부에도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주 고정장치(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징(3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와 하부 하우징(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1)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주로 하부 하우징(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하우징(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 지주(10)의 일측면 하단부에는 통공의 핀홀(12)이 형성되고, 하부 지주(20)의 일측면에도 통공의 핀홀(22)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지주(10)를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의 핀홀(12, 22)이 소정 간격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 고정장치(1)는, 하부 하우징(4)에 연통되도록 고정 부착되 는 고정 브라켓(8)과, 고정 브라켓(8)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핀홀(12, 22)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6)과, 상기 고정핀(6)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7), 그리고 상기 고정핀(6)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5)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지주 고정장치(1)에 의하면, 손잡이(5)를 잡아당겨서 고정핀(6)을 핀홀(12, 22)에서 이탈시킨 후 상부 지주(10)를 원하는 만큼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손잡이(5)를 놓으면 고정핀(6)이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의 핀홀(12, 22)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주 고정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우선, 지주(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손잡이(5)를 잡아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나머지 한 손으로 상부 지주(10)를 움직여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지주(3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직선 방향으로 고정핀(6)을 잡아당긴 상태로 있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당한 체력을 소비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핀홀에 대한 고정핀의 삽입과 이탈을 용이하게 하여 지주의 높이 조절을 쉽게 하고, 또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는, 다수의 절첩 프레임이 방사상으로 연결되고 상부 지주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부 하우징을 상부 지주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하우징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지주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에 설치되는 지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에 고정 부착되고, 내부 저면에는 상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연통되는 핀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고정 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고 핀 삽입공에 연통되는 가이드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핀 지지부와, 핀 지지부의 일 측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고정 브라켓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핀 지지부의 일측단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는 레버 프레임; 선단부가 가이드 홈과 핀 삽입공에 관통 삽입되고, 중심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핀 돌기부가 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핀; 고정핀의 후방을 탄력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고정 브라켓의 개방된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코일 스 프링의 후방을 지지하고, 일측에 레버가 통과하는 레버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핀 지지부의 일측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힌지 돌기와; 상기 힌지 돌기에 결합되어 레버 프레임의 회동을 탄력 지지하는 힌지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캡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레버 프레임 회동의 중심축이 되는 핀 지지부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캡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핀 돌기부는 고정핀의 중심부 외주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에 의하면, 레버를 회동시키는 간단한 방식으로 핀홀에 대한 고정핀의 삽입과 이탈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바닥면에 대해 천막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주(30)와, 각 지주 사이에서 "X"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교차 연결되는 다수의 절첩 프레(40)임, 그리고 천막 지붕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탑지주(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주(30)는 직경이 서로 다른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로 이루어지는데, 직경이 작은 하부 지주(20)가 직경이 큰 상부 지주(10)의 내부에 안테나 방식으로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주(10)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절첩 프레임(40)이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탑 하우징(32)이 고정 부착되고, 상부 지주(10)의 하단부에는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하우징(4)이 고정 부착되며, 상기 탑 하우징(32)과 하부 하우징(4) 사이에는 다수의 절첩 프레임(40)이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34)이 상부 지주(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그리고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하우징(4)에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고정장치가 형성되고, 또한 상부 하우징(34)에도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고정장치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상부 하우징(34)에 형성되는 지주 고장장치와 하부 하우징(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는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상부 하우징(3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구성으로부터 하부 하우징(4)에 형성되는 지주 고정장치에 대해서도 용 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지주 고정장치의 고정핀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는, 다수의 절첩 프레임(40)이 방사상으로 연결되고 상부 지주(1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하우징(34)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하우징(34)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 브라켓(110)과, 상기 고정 브라켓(110)에 삽입되는 고정핀(120), 상기 고정핀(12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레버 프레임(140), 상기 고정핀(120)을 후방에서 탄력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30),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130)을 지지하면서 고정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고정 캡(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110)은 상부 하우징(34)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 상부 하우징(34)에 고정 부착된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110)의 내부 저면에는 상부 하우징(34)의 내부에 연통되는 핀 삽입공(11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110)의 내부에 고정핀(120)을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 프레임(140)이 삽입된다. 상기 레버 프레임(140)은, 고정 브라켓(110)의 내부 저면에 안착되는 핀 지지부(142)와, 핀 지지부(142)의 일 측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고정 브라켓(110)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레버(14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러한 레버 프레임(140)은 핀 지지부(142)의 일측단(A)을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레버(146)를 일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핀 지지부(142)가 상기 일측단(A)을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고, 레버(146)를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핀 지지부(142)가 상기 일측단(A)을 중심축으로 하여 원래의 위치로 회동하여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핀 지지부(142)에는 핀 삽입공(112)에 연통되는 가이드 홈(144)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레버 프레임(140)의 원활한 회동을 위해, 상기 핀 지지부(142)가 회동할 때 중심축이 되는 핀 지지부(142)의 일측단(A)에는 힌지 돌기(148)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 돌기(148)에 결합되는 힌지 스프링(149)이 레버 프레임(140)의 회동을 탄력 지지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 스프링(149)은 중심부에 힌지공이 관통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힌지 돌기(148)는 상기 힌지 스프링(149)의 힌지공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힌지 스프링(149)의 양측 단부는 각각 고정 브라켓(110)의 내부 저면과 내부 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레버(146)를 잡아당겨서 핀 지지부(142)가 일측단(A)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면, 고정 브라켓(110)의 내부 측면에 접하는 힌지 스프링(149)의 일측 단부가 핀 지지부(142)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하는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처럼 핀 지지부(142)가 회동한 상태에서 잡아당기고 있는 레버(146)를 놓게 되면, 상기 힌지 스프링(14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핀 지지부(142)는 원래의 위치로 회동하여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110)에 삽입되는 고정핀(120)은, 그 선단부가 가이드 홈(144)과 핀 삽입공(112)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부 하우징(34)의 내부로 돌출되고, 중심부 외주면에는 핀 지지부(142)에 의해 지지되는 핀 돌기부(124)가 돌출 형성된다. 즉, 고정핀(120)을 가이드 홈(144)과 핀 삽입공(112)에 삽입시키면, 고정핀(120)의 중심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핀 돌기부(124)는 가이드 홈(144)을 통과하지 못하고 가이드 홈(144) 주위의 핀 지지부(142)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핀(120)의 선단부만 가이드 홈(144)과 핀 삽입공(112)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부 하우징(34)의 내부로 돌출된다. 이처럼 상부 하우징(34)의 내부로 돌출된 고정핀(120)의 선단부는 다시 상부 지주(10)의 핀홀(12)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120)의 후방에는 스프링 홈(128)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130)의 선단부가 상기 스프링 홈(128)에 삽입되어 고정핀(120)을 후방에서 탄력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146)를 일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핀 지지부(142)가 일측단(A)을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핀 지지부(142)에 의해 지지되는 핀 돌기부(124)도 후진 이동하게 되고, 결국 고정핀(120)이 후진 이동함으로써 상부 하우징(34)과 상부 지주(1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이처럼 고정핀(120)이 후진 이동하면 고정핀(120)을 후방에서 탄력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30)은 압축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146)를 잡아당기는 힘을 풀어버리면 상기 코일 스프링(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핀(120)이 전진 이동하고, 이와 함께 핀 지지부(142)도 반대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핀 지지부(142)에 지지되는 핀 돌기부(124)가 고정핀(12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 구조가 되도록 구성되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60)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66)이 고정핀(160)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66)에 고정핀(160)의 직경보다 더 큰 길이를 갖는 가이드 핀(164)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고정핀(160)의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 핀(164)의 양측 단부가 핀 지지부(14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핀(120)의 후방에 코일 스프링(130)이 삽입되는 스프링 홈(128)이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32)의 선단부가 고정핀(170)의 후단부 외주면을 감싸고, 코일 스프링(132)의 전방 끝단이 고정핀(170)의 중심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핀 돌기부(174)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핀 삽입공(112)을 통과하여 상부 하우징(34)의 내부에 돌출된 상기 고정핀(120)은 상부 지주(10)의 핀홀(12)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핀(120)에 상당한 하중이 걸리게 되므로, 고정핀(120)은 상당한 강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정핀(120)이 금속 또는 금속에 견줄 수 있는 강도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핀(120)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부 하우징(34)의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핀(120)의 선단부가 상부 지주(10)에 흠집을 낼 우려가 있으므로, 금속 재질의 고정핀(120)에 대해서는 그 선단부에 플라스틱 재질 의 핀 접촉부(122)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 캡(150)은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 브라켓(110)의 개방된 후면에 고정 결합되고, 따라서 고정 브라켓(110)과 고정 캡(15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고정핀(120)과 코일 스프링(130), 그리고 핀 지지부(142)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130)은 고정핀(120)의 스프링 홈(128)과 고정 캡(150) 사이에서 압축되어 고정핀(120)을 탄력 지지하게 된다. 한편, 고정 캡(150)의 내주면에는 코일 스프링(130)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안착홈(152)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30)의 전단부는 고정핀(120)을 후방에서 탄력 지지하고, 코일 스프링(130)의 후단부는 고정 캡(150)의 안착홈(152)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캡(150)의 일측에 레버(146)가 통과하는 레버홈(156)이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특히 상기 레버홈(156)은 레버(146)가 움직일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핀 지지부(142)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레버(146)는 상기 레버홈(156)을 통해 고정 브라켓(1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레버홈(156) 외부로 돌출된 레버(146)를 조작함으로써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 캡(150)의 내주면에는 핀 지지부(142)의 일측단(A)을 지지하는 캡 돌기부(15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 돌기부(154)는 핀 지지부(142)가 회동할 때 중심축이 되는 핀 지지부(142)의 일측단(A)을 지지하여 레버 프레임(140)의 원활한 회동을 지원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주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한 상부 하우징(34)의 지주 고정장치 구성을 상부 지주(10)와 하부 지주(20)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하우징(4)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코일 스프링(130)이 고정핀(120)을 탄력적으로 밀게 되므로, 고정핀(120)이 전진 이동하여 상부 하우징(34)의 내부로 돌출된 후 상부 지주(10)의 핀홀(12)에 삽입되고, 따라서 상부 하우징(34)이 상부 지주(1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130)에 의해 전진 이동한 고정핀(120)의 핀 돌기부(124)에 의해 핀 지지부(142)는 임의로 회동하지 않고, 특히 상기 핀 지지부(142)는 힌지 스프링(149)에 의해 더욱 임의로 회동할 염려가 없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핀(120)이 상부 지주(10)의 핀홀(12)에 삽입되어 상부 하우징(34)이 상부 지주(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46)를 일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이처럼 레버(146)를 잡아당기면, 핀 지지부(142)가 일측단(A)을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고, 핀 지지부(142)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핀(120)도 후진 이동함으로써, 상부 하우징(34)과 상부 지주(1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고정핀(120)이 후진 이동하면, 고정핀(120)을 후방에서 탄력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130)은 후진 이동한 고정핀(120)과 고정 캡(150) 사이에서 압축된다.
한편, 이처럼 레버(146)를 일측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있는 동안에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130)이 고정핀(120)을 전진시키려는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또한 힌지 스프링(149) 역시 핀 지지부(142)를 원래의 상태로 회동시키려는 탄성 복원력을 계속해서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잡아당기고 있는 레버(146)를 놓게 되면, 압축된 코일 스프링(130)에 의해 고정핀(120)이 전진 이동하게 되고, 고정핀(120)의 전진 이동에 의해 고정핀(120)의 핀 돌기부(124)를 지지하는 핀 지지부(142) 역시 회동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한 힌지 스프링(14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도 핀 지지부(142)는 원래의 상태로 회동하는 힘을 더욱 크게 받게 된다. 그리고 이처럼 전진 이동한 고정핀(120)은 다시 상부 지주(10)의 핀홀(12)을 통과함으로써, 상부 하우징(34)을 상부 지주(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절첩식 천막의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절첩식 천막의 지주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에서 고정핀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 지주 12; 핀홀
34; 상부 하우징 4; 하부 하우징
110; 고정 브라켓 112; 핀 삽입공
120; 고정핀 122; 핀 접촉부
124; 핀 돌기부 128; 스프링 홈
130; 코일 스프링 140; 레버 프레임
142; 핀 지지부 144; 가이드 홈
146; 레버 148; 힌지 돌기
149; 힌지 스프링 150; 고정 캡
152; 안착홈 154; 캡 돌기부
156; 레버홈

Claims (4)

  1. 다수의 절첩 프레임이 방사상으로 연결되고 상부 지주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부 하우징을 상부 지주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하우징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지주의 하측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에 설치되는 지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에 고정 부착되고, 내부 저면에는 상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연통되는 핀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고정 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고 핀 삽입공에 연통되는 가이드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핀 지지부와, 핀 지지부의 일 측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고정 브라켓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핀 지지부의 일측단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는 레버 프레임;
    선단부가 가이드 홈과 핀 삽입공에 관통 삽입되고, 중심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핀 돌기부가 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핀;
    고정핀의 후방을 탄력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
    고정 브라켓의 개방된 후면에 고정 결합되어 코일 스프링의 후방을 지지하고, 일측에 레버가 통과하는 레버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핀 지지부의 일측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힌지 돌기와;
    상기 힌지 돌기에 결합되어 레버 프레임의 회동을 탄력 지지하는 힌지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캡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레버 프레임 회동의 중심축이 되는 핀 지지부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캡 돌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돌기부는 고정핀의 중심부 외주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KR1020070093442A 2007-09-14 2007-09-14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KR100886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442A KR100886118B1 (ko) 2007-09-14 2007-09-14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442A KR100886118B1 (ko) 2007-09-14 2007-09-14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118B1 true KR100886118B1 (ko) 2009-02-27

Family

ID=4068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442A KR100886118B1 (ko) 2007-09-14 2007-09-14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11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995A1 (en) * 2013-01-08 2014-07-17 Bravo Sports Canopy shelter brackets
US9528292B1 (en) 2013-08-09 2016-12-27 Bravo Sports Canopy with overhang
USD774815S1 (en) 2014-03-06 2016-12-27 Bravo Sports Shade cover
US9683387B2 (en) 2012-12-07 2017-06-20 Bravo Sports Canopy shelter link point
US9797157B2 (en) 2014-03-04 2017-10-24 Shelterlogic Corp. Canopy with detachable awning
US9867466B2 (en) 2014-12-15 2018-01-16 Shelterlogic Corp. Foldable chair
US10072439B2 (en) 2012-10-02 2018-09-11 Shelterlogic Corp. Sliding-eave mount mechanism for canopy structure
USD932580S1 (en) 2013-07-16 2021-10-05 Shelterlogic Corp. Lock for an adjustable locking leg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730U (ko) * 1998-04-17 1999-11-15 장정우 절첩식 천막후레임
KR20030060785A (ko) * 2002-01-08 2003-07-16 김대환 캐노피의 구조
KR200423919Y1 (ko) 2006-05-30 2006-08-11 조민태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KR20060122187A (ko) * 2005-05-25 2006-11-30 주식회사 태훈 캐노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730U (ko) * 1998-04-17 1999-11-15 장정우 절첩식 천막후레임
KR20030060785A (ko) * 2002-01-08 2003-07-16 김대환 캐노피의 구조
KR20060122187A (ko) * 2005-05-25 2006-11-30 주식회사 태훈 캐노피
KR200423919Y1 (ko) 2006-05-30 2006-08-11 조민태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2439B2 (en) 2012-10-02 2018-09-11 Shelterlogic Corp. Sliding-eave mount mechanism for canopy structure
US9683387B2 (en) 2012-12-07 2017-06-20 Bravo Sports Canopy shelter link point
WO2014109995A1 (en) * 2013-01-08 2014-07-17 Bravo Sports Canopy shelter brackets
US9279269B2 (en) 2013-01-08 2016-03-08 Bravo Sports Canopy shelter brackets
USD932580S1 (en) 2013-07-16 2021-10-05 Shelterlogic Corp. Lock for an adjustable locking leg assembly
US9528292B1 (en) 2013-08-09 2016-12-27 Bravo Sports Canopy with overhang
US9797157B2 (en) 2014-03-04 2017-10-24 Shelterlogic Corp. Canopy with detachable awning
USD774815S1 (en) 2014-03-06 2016-12-27 Bravo Sports Shade cover
US9867466B2 (en) 2014-12-15 2018-01-16 Shelterlogic Corp. Foldable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118B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US7607447B1 (en) Frame assembly for canopy tent
KR100787521B1 (ko)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US7341006B2 (en) Folding table assembly
CN108104296B (zh) 一种移动式抗风柱
KR102586932B1 (ko) 자동차 시트용 사이드 테이블 어셈블리
JP2007511320A (ja)
KR20030072543A (ko) 버튼식 높이조절 장치
KR20190003520A (ko) 접이식 루프탑텐트
KR200468957Y1 (ko) 접이식 테이블
KR200423920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JP5894744B2 (ja) 組み立て式テント
KR20090051409A (ko) 파라솔 지주의 각도 조절 장치
JP4227184B1 (ja)
KR200409540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US20090071517A1 (en) Dual function umbrella
KR200437181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KR102423185B1 (ko) 개량 힌지 어셈블리
KR200423919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주 고정장치
JP6278944B2 (ja) 折畳みテーブル
US7819408B2 (en) Fold flat support structure assemblies featuring simplified latches and releases
KR101847351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US9193368B2 (en) Fold flat article support assemblies with simplified release latches and stowable service shelves
KR20100010615U (ko) 절첩식 천막
KR20060090951A (ko) 강의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