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243B1 -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 Google Patents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243B1
KR100418243B1 KR10-2001-0059766A KR20010059766A KR100418243B1 KR 100418243 B1 KR100418243 B1 KR 100418243B1 KR 20010059766 A KR20010059766 A KR 20010059766A KR 100418243 B1 KR100418243 B1 KR 10041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support
support
connector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9417A (ko
Inventor
허태경
Original Assignee
허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태경 filed Critical 허태경
Priority to KR10-2001-005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24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6Means to protect against weather
    • A47C7/666Means to protect against weather of enclosure type with sid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의자에 비 바람과 햇빛을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햇빛가리개의 골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햇빛가리개용 골조를 이루는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그리고 연결대를 중공관으로 형성하면서 각각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그리고 연결대의 내부에 고무줄을 삽입시켜 서로를 연결하며, 각각의 연결부를 끼움식으로 삽탈이 용이하게 연결함으로서, 햇빛가리개용 골조의 분리 및 조립이 고무줄의 탄력력에 의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ㄱ"자형 본체(5) 사이에 절첩가능한 연결수단이 설치된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에 있어서, 상기 "ㄱ"자형 본체(5)를 구성하는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가 중공관으로 형성되며 수평지지대(2)의 후단부와 수직지지대(3)의 상단부가 "ㄱ"형연결구(6)에 의해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수직지지대(3)의 하단부부터 수평지지대(2)의 선단부까지의 내부 전길이에 걸쳐 고무줄(7)이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각각의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의 중앙부에는 티형결합부 연결구(10)가 설치되고,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사이에는 양단이 양측 티형결합부 연결구(10)에 고정되는 고무줄(7)이 내측 전길이에 걸쳐 삽입된 중공관으로 형성되는 연결대(4)가 삽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Sunshade frame for a chair}
본 발명은 접이식의자에 비 바람과 햇빛을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햇빛가리개의 골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햇빛가리개용 골조를 이루는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그리고 연결대를 중공관으로 형성하면서 각각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그리고 연결대의 내부에 고무줄을 삽입시켜 서로를 연결하며, 각각의 연결부를 끼움식으로 삽탈이 용이하게 연결함으로서, 햇빛가리개용 골조의 분리 및 조립이 고무줄의 탄력에 의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접이식의자의 상부에 텐트골조를 착탈식으로 설치하고, 텐트골조의 외부에 플라이를 덮어 씌워서 비 바람과 햇빛을 막을 수 있는 텐트의자에 대하여 특허로서 출원한 바가 있는데, 그에 대한 출원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즉,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1-34659호(명칭:텐트의자)의 주요지는 상단부가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절곡부를 구비한 한 쌍의 수직지지대와 막대형의 한 쌍의 수평지지대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한 쌍의 "ㄱ"자형 본체를 이루고, 양측 본체의 수직지지대의 사이와 수평지지대의 사이에는 일측으로만 접어질 수 있는 절첩레버가 설치된 것이나, 이는 절첩레버가 일측으로만 접어질 수 있도록 절첩레버에 고정클립부가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상 부주의로 인하여 반대방향으로 절첩레버가 접히면서 양측 수직지지대 및 수평지지대끼리 서로 엉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폐단과, 상기 텐트의자용 골조를 조립 및 해체시킬 경우에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연결부를 일일이 뺐다 꼈다해야 하고, 양측 수평지지대 사이와 양측 수직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각각의 절첩레버를 접었다 폈다 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중공상태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내부 전길이에 걸쳐 고무줄을 탄력적으로 삽입시키면서 서로의 연결부가 끼움식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고무줄의 탄력에 의해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가 자동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수직지지대와 각각의 수평지지대의 사이를 중공관으로 된 연결대로서 끼움식으로 삽탈될 수 있도록 하여 골조가 뒤틀리거나 엉킴이 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씩의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가 각각 삽탈식으로 조립되어 한 쌍의 "ㄱ"자형 본체를 이루고, 양측 수평지지대 사이와 양측 수직지지대 사이가 연결수단에 의해 절첩 자유롭게 연결된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는 중공관으로 형성되며 수평지지대의 후단부와 수직지지대의 상단부가 "ㄱ"형연결구의 각각의 단부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수직지지대의 하단부부터 수평지지대의 선단부까지의 내부 전길이에 걸쳐 양단에 걸림부를 형성하는 고무줄이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각각의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중앙부에는 서로 직각방향으로 직선결합부와 수직결합부를 구비한 티형결합부 연결구가 설치되고,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수직결합부 사이에는 중공관으로 형성되는 연결대가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 수직지지대의 하단에는 조립핀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대의 후단부와 수직지지대의 상단부를 "ㄱ"형연결구로 연결하는 대신에, 수평지지대의 후단부나 또는 수직지지대의 상단부를 직각방향으로 구부린 밴딩부를 형성하고 평탄한 수직지지대의 상부나 수평지지대의 후단부를 밴딩부에 끼워 조립하는 것에 다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의 다른 실시예는 연결대의 중간이 이등분되어 이등분된 양단이 막대형연결구에 의해 삽탈식으로 연결되며, 막대형연결구를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된 연결대의 내측에는 양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고무줄이 관통하여 양단에 걸림부가 양측 티형결합부 연결구의 수직결합부 내측에서 걸리도록 설치된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의 평단면도.
도 4는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의 (가)(나)는 티형 결합부 연결구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측단면도.
도 6은 티형 결합부 연결구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가)(나)는 티형 결합부 연결구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햇빛가리개골조 2 : 수평지지대 3 : 수직지지대
4 : 연결대 5 : "ㄱ"형본체 6 : "ㄱ"형연결구
7 : 고무줄 8 : 직선결합부 9 : 수직결합부
10 : 티형결합부 연결구 11 : 막대형연결구 12 : 걸림턱
13 : 절개부 14 : 리벳구멍 15 : 결합리브
16 : U형밴딩부 17 : 삽입관부 18 : 리벳구멍
19 : 리벳구멍 20 : 막대형연결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텐트의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는 도 1 및 도 2에서보는 바와 같이중공관으로 형성된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가 "ㄱ"형연결구(6)에 의해 삽탈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ㄱ"형본체(5)를 이룬다. 이때 상기 "ㄱ"형본체(5)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며, "ㄱ"형연결구(6)는 관이음구의 엘보우와 같이 2개의 끼움구멍이 90도 각도로 형성되어 양단 구멍에 수평지지대(2)의 말단부와 수직지지대(3)의 선단 상부가 삽탈 자유롭게 끼워진다.
상기 좌우 한쌍의 "ㄱ"형본체(5)의 내부 전길이에 걸쳐 양단이 묶이거나 또는 와셔형태의 걸림구(7a)가 고정된 고무줄(7)이 도 2에서보는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수평지지대(2)의 선단부에는 수평지지대(2)의 선단부를 커버하는 캡(2a)이 삽입식으로 설치되고, 수직지지대(3)의 말단부에는 수직지지대(3)의 말단부를 커버하는 막대형 연결구(20)가 끼워지고, 이 막대형 연결구(20)에는 의자의 등받이 지지파이프(도시생략)에 끼워질 조립핀(3a)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양측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의 중앙부에는 관이음구의 티이연결구와 같이 일직선 상의 양단 끼움구멍이 형성되는 직선결합부(8)와, 그 직선결합부(8)의 직각방향으로 수직결합부(9)가 형성된 티형결합부 연결구(10)가 설치된다. 이때,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는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수직결합부(9)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수직결합부(9) 내부에는 고무줄(7)의 걸림부(7a)가 걸리는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다.
일직선상의 직선결합부(8)로는 수평지지대(2) 및 수직지지대(3)가 관통되게 삽입식으로 설치되고, 양측 수평지지대(2) 및 수직지지대(3)의 사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수직결합부(9) 사이에는 중공상태의 연결대(4)가 삽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은 연결대(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연결대(4)의 다른 실시예는 연결대(4)가 이등분으로 중간이 분리되어 내측 중앙에 걸림부(11a)를 구비한 막대형연결구(11)와 삽탈식으로 연결되며, 막대형연결구(11)를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대(4)의 내측에는 내측 전길이에 걸쳐 양단이 묶이거나 또는 와셔형태의 걸림구가 고정되어 형성되는 걸림부(7a)가 양측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수직결합부(9) 내측에서 걸려 고정되는 고무줄(7)이 탄력적으로 삽입 설치된다.
상기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간이 이등분으로 분리되어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수직결합부(9)에 분리된 양단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는 수평지지대(2)의 후단부와 수직지지대(3)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다른 예로서, 상기 수평지지대(2)의 후단부와 수직지지대(3)의 상단부를 "ㄱ"형연결구(6)로 연결하는 대신에 수평지지대(2)의 후단부나 또는 수직지지대(3)의 상단부를 "ㄱ"자형으로 구부린 밴딩부(2b,3b)를 형성하고 평탄한 수직지지대(3)의 상부나 수평지지대(2)의 후단부를 상기 밴딩부(2b,3b)에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티형 결합부 연결구의 각종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따른 티형결합부 연결구(10a)는 직선방향으로 수평지지대(2) 및 수직지지대(3)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직선결합부(8)의 수직방향 중앙부에 수직결합부(9)가 형성되고, 수직결합부(9)의 전길이와 수직결합부(9)와 연결되는 쪽의 직선결합부(8)의 일측이 절개되어 절개부(13)가 형성되며, 절개된 직선결합부(8)와 수직결합부(9)의 양측 상하에는 리벳구멍(14)이 관통된 결합리브(1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절개부(13)에 의해 분리된 수직결합부(9)의 내측에는 고무줄(7)의 걸림부(7a)가 걸리는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의 티형결합부 연결구(10b)는 수평지지대(2)또는 수직지지대(3)를 감싸는 U형밴딩부(16)가 형성되고 U형밴딩부(16)의 양측 단부는 반원관형으로 만곡되어 연결대(4)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부(17)를 형성하며, U형밴딩부(16)에는 U형밴딩부(1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평지지대(2) 또는 수직지지대(3)와 리벳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리벳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가)(나)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따른 티형결합부 연결구(10c)는 전체적으로 "U"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수평지지대(2) 또는 수직지지대(3)를 감싸는 U형밴딩부(16)가 형성되고 타측 양측 자유단부에는 리벳구멍(19)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자유단부 사이에는 내측으로 연결대(4)가 끼워지는 수직결합부(9)가 리벳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조립 및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대(4)의 내부에 고무줄이 들어있지 않은 햇빛가리개골조(1)를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수직지지대(3)와 수평지지대(2)의 중앙부에 티형결합부 연결구(10)를 끼워 고정하고, 수직지지대(3)와 수평지지대(2)가 연결될 부위의 수직지지대(3)나 수평지지대(2)의 한 곳에 "ㄱ"형연결구(6)의 일측을끼워 고정한다.
그 다음에 수직지지대(3)와 "ㄱ"형연결구(6) 그리고, 수평지지대(2)의 내부로 고무줄(7)을 삽입 관통시킨 뒤에, 그 고무줄(7)의 양단을 당겨 탄력이 작용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무줄(7)의 양단을 묶거나 또는 와셔등의 걸림구를 고정시켜 걸림부(7a)가 수직지지대(3)의 끝단과 수평지지대의 선단에 각각 걸리도록 한다.
그 뒤 수직지지대(3)의 끝단에 막대형 연결구(20)를 끼우고, 막대형 연결구(20)에는 조립핀(3a)을 끼우며, 수평지지대의 선단에는 캡(2a)을 끼워서 "ㄱ"형본체(5)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 수직지지대(3)와 수평지지대(2)에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직선결합부(8)를 끼워 고정할 때와, 수직지지대(3)나 수평지지대(2)의 어느 한 쪽에 "ㄱ"형연결구(6)의 일측을 끼워 고정할 때와, 수직지지대(3)의 끝단에 막대형 연결구(20)를 끼우고, 막대형 연결구(20)에는 조립핀(3a)을 끼우며, 수평지지대의 선단에는 캡(2a)을 끼워 고정할 때 그들 각각을 끼운상태에서 접착제를 스며들게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ㄱ"형본체(5)의 조립을 완료을 완료한 뒤에는 수직지지대(3)와 수평지지대(2)를 접어서 연결대(4)와 함께 햇빛가리개골조(1) 전용 가방에 넣어 보관하며, 이 햇빛가리개골조(1)를 사용하고자하는 경우에는 가방에서 이 햇빛가리개골조(1)를 꺼내기만 하면 "ㄱ"형본체(5)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고무줄(7)의 탄력에 의해 "ㄱ"형본체(5)가 자동적으로 펼쳐지게 되며, 이렇게 펼쳐진 한쌍의 "ㄱ"형본체(5)에 고정된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수직결합부(9)사이에 고무줄이 들어있지 않은 연결대(4)를 끼우면 햇빛가리개골조(1)의 펼침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은 연결대(4)의 내부에 고무줄이 들어있는 햇빛가리개골조(1)를 조립하고자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대(4)의 내부에 고무줄(7)을 삽입시켜 고무줄(7)의 양단이 연결대(4)의 양단으로 노출되게 잡아당긴 상태에서 그 연결대(4)의 양단에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수직결합부(9)를 끼운 뒤에 고무줄(7)의 양단 걸림부(7a)가 걸림턱(12)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한다.
그 뒤에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직선결합부(8)로 수직지지대(3)와 수평지지대(2)를 끼워 고정한 뒤에 위에서 "ㄱ"형본체(5)를 조립하는 것과 동일하게 "ㄱ"형본체(5)의 조립을 완료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햇빛가리개골조(1)의 조립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직선결합부(8)로 수직지지대(3)와 수평지지대(2)를 끼울 때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수직지지대(3)와 수평지지대(2)가 이등분된 것을 끼워 고정하거나, 절단되지 않은 수직지지대(3)와 수평지지대(2)를 삽입시켜 고정할 수 있음을 발겨둔다.
상기 수직지지대(3)와 수평지지대(2)가 이등분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고무줄(7)의 걸림부(7a)가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직선결합부(8) 내부에 있는 경우에 이등분된 수직지지대(3)와 수평지지대(2)의 단부를 양측에서 삽입시키는 것이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햇빛가리개골조(1)를 접어서 햇빛가리개골조 전용 가방에 넣어 보관하였다가 햇빛가리개골조(1)를 사용하고자 하는경우에는 가방에서 이 햇빛가리개골조(1)를 꺼내기만 하면 햇빛가리개골조(1)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고무줄(7)의 탄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서로 끼워지면서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즉, "ㄱ"형본체(5)의 내부와 연결대(4)의 내부에 고무줄(7)이 들어 있어서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 그리고 연결대(4)가 고무줄의 탄력으로 항상 당기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가방에 들어 있던 본 발명의 햇빛가리개골조(1)를 꺼내면 햇빛가리개골조(1)에 대한 구속력이 해제되어 상기 고무줄(7)이 당기는 힘에 의해 서로 이탈되어 있던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의 연결부가 "ㄱ"형연결구(6)로 끼워지고,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수직결합부(9)에 연결대(4)의 양단이 끼워져 햇빛가리개골조(1)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와 연결대(4)의 각각의 연결부위가 끼워지도록 햇빛가리개골조(1) 전체를 조금만 펼쳐주거나 땅바닥에 던져주는 등의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고무줄(7)의 당김력에 의해 각각의 연결부위가 펼쳐지면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는 수평지지대(2) 및 수직지지대(3)의 단부중 일측 단부를 90도방향으로 절곡시켜서 밴딩부(2b,3b)를 형성하고, 그 밴딩부(2b,3b)에 평탄한 수평지지대(2) 또는 수직지지대(3)를 끼울수 있도록 한 것으로 위에서 고무줄(7)의 당김력에 의해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가 "ㄱ"형연결구(6)에 끼워졌던 것과 유사하게 밴딩부(2b,3b)에 평탄한 수평지지대(2) 또는 수직지지대(3)가 자동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티형결합부 연결구(10a,10b,10c)의 각종 다른 실시예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한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구조가 각기 상이하나, 그들의 티형결합부 연결구(10a,10b,10c)가 수평지지대(2) 및 수직지지대(3)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연결대(4)와 삽탈식으로 연결하는 기능은 동일한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티형결합부 연결구(10a)는 절개부(13)에 의해 직선결합부(8)의 일측과 수직결합부(9) 전체가 절개되어 직선결합부(8)로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를 헐겁게 삽입시킬 수 있으며, 일측이 절개된 직선결합부(8)로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를 삽입시킨 뒤에 결합리브(15)에 형성된 리벳구멍(14)으로 리벳이나 나사를 삽입체결하면 절개부(13)가 오므려 들면서 직선결합부(8)의 내부로 삽입된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가 고정되게 됨과 동시에, 절개부(13)에 의해 분리되었던 수직결합부(9)도 오므들게 고정되어 그 구멍으로 연결대(4)를 삽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티형결합부 연결구(10a)의 리벳구멍(14)으로 리벳이나 나사를 체결시킬 때 연결대(4)의 내부로 삽입된 고무줄(7)의 양단 걸림부(7a)를 걸림턱(12)의 내측에 걸리도록 삽입시킨 상태에서 리벳이나 나사를 체결해야 한다. 이때 상기 고무줄(7)은 탄력이 있으므로 고무줄을 당겨서 걸림턱(12)의 내측에 걸리도록 삽입시켜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티형결합부 연결구(10b)의 경우는 U형밴딩부(16)가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를 감싸도록 씌운 뒤에 리벳구멍(14)으로 리벳이나 나사를 체결하면 U형밴딩부(16)가 각각의 해당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에 고정되면서 삽입관부(17)가 원형관형태로 고정되어 이렇게 고정된 삽입관부(17)의 외측으로 연결대(4)를 삽탈식으로 끼울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의 (가)(나)에 도시된 티형결합부 연결구(10c)의 경우도 도 6의 삼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에 U형밴딩부(16)를 덮어씌우면서 티형결합부 연결구(10c)의 양단 자유단부 사이에 수직결합부(9)를 삽입시킨 상태로 자유단부에 형성된 리벳구멍(19)으로 리벳이나 나사를 체결하면, 그 체결력에 의해 U형밴딩부(16) 전방의 자유단부에 수직결합부(9)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티형결합부 연결구(10c)가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처럼 고정된 티형결합부 연결구(10c)의 수직결합부(9)에 연결대(4)를 삽탈식으로 끼울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사실시예의 경우에 고무줄(7)의 걸림부(7a)를 고정시키는 것은 티형결합부 연결구(10c)의 양단 자유단부를 수직결합부(9)에 리벳이나 나사로 체결시킬 때, 연결대(4)의 내부를 양측으로 관통하여 양단으로 노출된 고무줄(7)의 양단을 당겨서 걸림부(7a)에 리벳이나 나사가 걸리도록 체결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각각의 티형결합부 연결구(10a,10b,10c)가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에 견고히 고정된 뒤에는 그들의 수직결합부(9)와 삽입관부(17)에 연결대(4)를 각각 삽탈식으로 끼워서 햇빛가리개골조(1)를 펼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렇게 펼쳐진 햇빛가리개골조(1)의 외부에 플라이를 덮어씌워서 햇빛은 물론이고 눈,비바람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티형결합부 연결구(10a,10b,10c)가 도 1에 도시된 티형결합부 연결구(10)와는 구조가 다소 상이함이 있으나, 일측은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에 고정되고 그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결합부(9)과 삽입관부(17)에는 연결대(4)를 삽탈식으로 끼울 수 있는 것은 동일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는, 골조 전체가 중공상태로 형성되면서 각각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그리고, 연결대의 내부 전길이에 걸쳐 고무줄을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있고, 서로의 연결부가 끼움식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고무줄의 탄력에 의해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그리고 연결대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끼워지는 장점이 있고, 골조를 분리시킨 경우에도 고무줄이 탄력적으로 당기고 있어 골조가 뒤틀리거나 엉킴이 없으며, 각각의 연결부가 서로 끼워져 골조가 펼쳐진 뒤에는 유동이 없는 장점을 지닌 매우 실용적인 것이다.

Claims (6)

  1. 한 쌍씩의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가 각각 삽탈식으로 조립되어 한 쌍의 "ㄱ"자형 본체(5)를 이루고, 양측 수평지지대(2) 사이와 양측 수직지지대(3) 사이가 연결수단에 의해 절첩 자유롭게 연결된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는 중공관으로 형성되며 수평지지대(2)의 후단부와 수직지지대(3)의 상단부가 "ㄱ"형연결구(6)의 각각의 단부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수직지지대(3)의 하단부부터 수평지지대(2)의 선단부까지의 내부 전길이에 걸쳐 양단에 걸림부(7a)를 형성하는 고무줄(7)이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각각의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의 중앙부에는 서로 직각방향으로 직선결합부(8)와 수직결합부(9)를 구비한 티형결합부 연결구(10)가 설치되고,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수직결합부(9) 사이에는 중공관으로 형성되는 연결대(4)가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 수직지지대(3)의 하단에는 조립핀(3a)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4)는 중간이 이등분되고 이등분된 양단이 중앙부 내측에 걸림부(11a)를 구비한 막대형연결구(11)에 의해 삽탈식으로 연결되며,막대형연결구(11)를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된 연결대(4)의 내측에는 양단에 걸림부(7a)가 형성된 고무줄(7)이 관통하여 양단에 걸림부(7a)가 양측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수직결합부(9) 내측에서 걸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의 중간이 이등분되고 이등분된 양단이 티형결합부 연결구(10)의 직선결합부(8)에 각각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2)의 후단부와 수직지지대(3)의 상단부를 "ㄱ"형연결구(6)로 연결하는 대신에 수평지지대(2)의 후단부나 또는 수직지지대(3)의 상단부에 직각방향으로 밴딩부(2b,3b)를 형성하고 평탄한 수직지지대(3)의 상부나 수평지지대(2)의 후단부를 밴딩부(2b,3b)에 끼워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티형결합부 연결구(10)는 수직결합부(9)의 전길이와 수직결합부(9)와 연결되는 쪽의 직선결합부(8)의 일측이 절개되어 절개부(13)가 형성되며, 절개된 직선결합부(8)와 수직결합부(9)의 양측 상하에는 리벳구멍(14)이 관통된 결합리브(1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절개부(13)에 의해 분리된 수직결합부(9)의 내측에는 고무줄(7)의 걸림부(7a)가 걸리는 걸림턱(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의 중앙부에는 티형결합부 연결구(10) 대신에 수평지지대(2) 또는 수직지지대(3)를 감싸는 U형밴딩부(16)가 형성되고 U형밴딩부(16)의 양측 단부는 각기 반원관형태로 만곡되어 연결대(4)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관부(17)를 형성하며, U형밴딩부(16)에 리벳구멍(18)이 형성된 티형결합부 연결구(10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평지지대(2)와 수직지지대(3)의 중앙부에는 티형결합부 연결구(10) 대신에 전체적으로 "U"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수평지지대(2) 또는 수직지지대(3)를 감싸는 U형밴딩부(16)가 형성되고 타측의 양측 자유단부에는 리벳구멍(19)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자유단부 사이에는 연결대 끼움용 수직결합부(9)가 리벳으로 고정되는 티형결합부 연결구(10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KR10-2001-0059766A 2001-09-26 2001-09-26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KR100418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766A KR100418243B1 (ko) 2001-09-26 2001-09-26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766A KR100418243B1 (ko) 2001-09-26 2001-09-26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417A KR20010099417A (ko) 2001-11-09
KR100418243B1 true KR100418243B1 (ko) 2004-02-11

Family

ID=1971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766A KR100418243B1 (ko) 2001-09-26 2001-09-26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2751B (zh) * 2019-06-12 2021-08-24 浙江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哲学教学用展示架
KR102459148B1 (ko) * 2021-03-03 2022-10-25 심종원 의자 차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121Y1 (ko) * 1983-02-23 1985-02-13 강대형 소형분수기
KR850001073Y1 (ko) * 1984-02-08 1985-05-31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산업용 로보트 공작물 포지셔너
KR910005930Y1 (ko) * 1988-06-21 199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 스크린 문자의 밝기 조절회로
US5333634A (en) * 1992-10-30 1994-08-02 Delbert Taylor Inverse umbrella tent
JPH11141193A (ja) * 1997-11-13 1999-05-25 Kobukata Ikuko 折畳み式テン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121Y1 (ko) * 1983-02-23 1985-02-13 강대형 소형분수기
KR850001073Y1 (ko) * 1984-02-08 1985-05-31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산업용 로보트 공작물 포지셔너
KR910005930Y1 (ko) * 1988-06-21 1991-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 스크린 문자의 밝기 조절회로
US5333634A (en) * 1992-10-30 1994-08-02 Delbert Taylor Inverse umbrella tent
JPH11141193A (ja) * 1997-11-13 1999-05-25 Kobukata Ikuko 折畳み式テ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417A (ko)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8469C (en) Foldable tent frame for coupling tent cloth with tent frame in integral form
AU699853B2 (en) Plane for the seat of armchairs, divans, chairs or similar, with devices for the fixing of the belts that take advantage of the tension of themselves in order to constrain them to the support framework
US20070138040A1 (en) Collapsible golf bag set
JPH0559432B2 (ko)
CN103717815A (zh) 便携式遮蔽物
US5459950A (en) Collapsible snowshoe with a pivoting binding
PT778973E (pt) Cartaz em tecido com meios tensores
US3058480A (en) Collapsible tent construction
KR100418243B1 (ko) 의자용 햇빛가리개 골조
KR200400446Y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프레임 구조
EP0549725A1 (en) ADJUSTABLE PROTECTION AGAINST CONTAMINATION FOR CATHETER.
US4438876A (en) Combination back pack and tent frame
JPH11141193A (ja) 折畳み式テント
KR20120069287A (ko) 접이식 지팡이
KR100408071B1 (ko) 텐트용 폴의 연결줄
CN209179613U (zh) 便携式帐篷
GB2451651A (en) Pop up structure
KR20090009920U (ko)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운 모기장
KR200406921Y1 (ko) 텐트
KR100864955B1 (ko) 파라솔용 연결장치
KR100419008B1 (ko) 텐트의자
JPS581227Y2 (ja) テントの組合せ1体支柱
CN217241690U (zh) 一种瓜果栽培爬蔓架
CN209732798U (zh) 组合式雨伞
CN210696305U (zh) 一种风筝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