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589B1 - 파라솔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파라솔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589B1
KR100727589B1 KR1020060105250A KR20060105250A KR100727589B1 KR 100727589 B1 KR100727589 B1 KR 100727589B1 KR 1020060105250 A KR1020060105250 A KR 1020060105250A KR 20060105250 A KR20060105250 A KR 20060105250A KR 100727589 B1 KR100727589 B1 KR 100727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parasol
rod
rib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래
Original Assignee
박봉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래 filed Critical 박봉래
Priority to KR1020060105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589B1/ko
Priority to CN2007101637394A priority patent/CN10116760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Abstract

지지봉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하부 차양막을 지지하는 제1 살대와, 지지봉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부 차양막과 결합되며 제1 살대와 교차되는 제2 살대와, 제1 살대의 제2 살대와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1 교차연결부재와, 제1 교차연결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살대에 설치되는 제2 교차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파라솔의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파라솔의 프레임의 견고성이 향상되고, 살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마찰에 의한 살대의 파편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생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파라솔, 살대, 교차연결, 마찰

Description

파라솔의 프레임{FRAMES OF PARASOL}
도 1a는 종래 파라솔의 프레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파라솔의 프레임의 부분 확대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0 : 제1 살대 250 : 제2 살대
270 : 제1 교차연결부재 280 : 제2 교차연결부재
295 : 고정부재 370 : 제1 교차연결부재
380 : 제2 교차연결부재 390 : 회동핀부
본 발명은 파라솔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파라솔의 구조적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고, 파라솔 사용자의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한 파라 솔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파라솔은 복수의 살대가 연결된 구조체인 프레임을 이용하여 차양막을 지지한다. 파라솔은 거의 옥외에서 사용되므로, 바람에 의해 차양막에 가해지는 외력이나 파라솔을 운반할 때 프레임에 가해지는 외력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파라솔이 펼쳐져 있는 경우, 바람에 의해 차양막에 가해지는 힘은 파라솔의 프레임에 전달되므로, 살대 자체의 강성 및 파라솔의 프레임 전반의 견고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파라솔 이용자는 파라솔 아래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음식물을 섭취하므로, 파라솔로부터 유해한 물질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에는 종래 파라솔의 프레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도 1a에 A로 표시된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를 함께 참조하여 종래 파라솔의 프레임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파라솔의 프레임(10)에는, 지지봉(1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제1 허브(12)와, 제1 허브(12)의 하방에 지지봉(1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 제2 허브(13)와, 일단부가 제1 허브(12)에 힌지 연결되는 제1 살대(14)와, 일단부가 제2 허브(13)에 힌지 연결되는 제2 살대(15)와, 제1 살대(14) 및 제2 살대(15)가 교차되며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16)이 포함된다. 하부 차양막(도시되지 않음)은 제1 살대 하부(14b)에 부착된다.
파라솔의 프레임(10)이 펼쳐진 상태에서 바람이 불거나 파라솔이 넘어지는 등의 상황이 발생되어 하부 차양막(도시되지 않음)에 외력이 가해지면, 이 외력은 제1 살대 하부(14b)로 전달되고, 힌지핀(16) 및 제2 살대(15)로 분산된다. 제1 살대(14)는 힌지핀(16) 및 제2 살대(15)에 의해 지지되므로, 힌지핀(16)을 중심으로 제1 살대 상부(14a)와 제1 살대 하부(14b) 사이에 굽힘 응력이 주로 작용된다. 제1 살대(14) 및 제2 살대(15)는 힌지핀(16)에 의해 관통되어 있으므로 굽힘 응력에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외력이 강한 경우에는 제1 살대(14)가 휘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또한, 파라솔의 프레임(10)에는 바람 등의 외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므로, 제1 살대(14) 및 제2 살대(15)의 힌지핀(16)에 의해 연결된 부분에 반복적인 마찰이 발생된다. 이 때, 제1 살대(14) 및 제2 살대(15)의 재질이 인체에 유해한 것일 경우, 마찰에 의해 파편이 발생되어 파라솔 사용자에게 유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파라솔의 견고성이 향상되고, 파라솔 사용자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라솔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지봉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하부 차양막을 지지하는 제1 살대와, 지지봉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부 차양막과 결합되며 제1 살대와 교차되는 제2 살대와, 제1 살대의 제2 살대와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1 교차연결부재와, 제1 교차연결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살대에 설치되는 제2 교차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파라솔의 프레임이 제공된다.
제1 살대 및 제2 살대에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제2 교차연결부재를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고정부재는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제2 교차연결부재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 보다 지지봉에 근접한 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제2 교차연결부재에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는 각각 핀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핀홀에 삽입되어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제2 교차연결부재를 연결하는 회동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제2 교차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회동핀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동핀부에 대응하는 핀홀이 형성될 수 있고, 회동핀부의 외주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핀홀에는 돌기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상기 제2 교차연결부재의 접촉되는 면에는 마찰면이 형성될 수 있고, 마찰면은 경면가공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라솔의 프레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파라솔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은 모두 그 연결구조가 동일하므로, 하나의 프레임을 설명하는 것으로써 파라솔의 전체 프레임에 대한 설명을 갈음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 고, 도 2b에는 도 2a에 B로 표시된 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c에는 도 2b에 표시된 X-X'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파라솔의 프레임(200)에는 지지봉(210), 고정캡(211), 제1 허브(213), 제2 허브(215), 스탑퍼(217), 상부 차양막(220), 제1 살대(230), 제2 살대(250), 제1 교차연결부재(270), 돌출부(271), 핀홀(273), 후크(275), 통공(279), 제2 교차연결부재(280), 돌출부(281), 통공(289), 회동핀(290), 고정부재(295) 및 고정홀(296)이 포함된다.
여기서, 제1 살대(230)에는 제1 살대 상부(231), 제1 살대 하부(232) 및 하부차양막 고정부(235)가 포함되고, 제2 살대(250)에는 제2 살대 상부(251), 제2 살대 하부(252), 상부 차양막 고정부(255)가 포함된다.
지지봉(210)의 상단부에는 고정캡(211)이 설치되고, 고정캡(211)의 하부에는 복수의 살대가 방사상으로 힌지결합 될 수 있는 제1 허브(213)가 설치된다. 제1 허브(213)의 하부에는 복수의 살대가 방사상으로 힌지결합 될 수 있는 제2 허브(215)가 지지봉(21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고, 제2 허브(215)의 일부분에는 제2 허브(215)를 지지봉(2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스탑퍼(217)가 설치된다.
제1 살대(230)의 일단부는 제1 허브(213)에 힌지결합 되고, 제2 살대(250)의 일단부는 제2 허브(215)에 힌지결합 된다. 제1 살대(230) 및 제2 살대(250)는 B로 표시한 부분에서 교차되는데, 제1 살대(230) 및 제2 살대(250)는 제1 살대(230)의 일부분에 설치된 제1 교차연결부재(270) 및 제2 살대(250)의 일부분에 설치된 제2 교차연결부재(280)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교차연결부재(270)에는 길이방향으로 통공(279)이 형성되고, 이 통공(279)에 제1 살대(230)가 삽입된다. 제1 교차연결부재(270)의 일측에는 돌출부(271)가 형성되고, 돌출부(271)에는 핀홀(273)이 형성된다. 핀홀(273)은 제1 교차연결부재(270) 내에서 통공(279)과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교차연결부재(280)에는 길이방향으로 통공(289)이 형성되고, 이 통공(289)에 제2 살대(250)가 삽입된다. 제2 교차연결부재(280)의 일측에는 돌출부(281)가 형성되고, 돌출부(281)에는 핀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돌출부(281)에 형성된 핀홀(도시되지 않음)은 제2 교차연결부재(280) 내에서 통공(289)과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교차연결부재(270)에 형성된 핀홀(273)과 제2 교차연결부재(280)에 형성된 핀홀(도시되지 않음)에 회동핀(290)이 삽입되어, 제1 교차연결부재(2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280)는 회동핀(290)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살대(230) 및 제2 살대(250)는 제1 교차연결부재(2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280)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교차연결부재(270)에 형성된 핀홀(273) 및 제2 교차연결부재(280)에 형성된 핀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된 회동핀(29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동핀(290)의 외주면에 돌기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고 각 핀홀(273, 도시되지 않음)에는 이에 상응하는 홈부를 형성하거나, 회동핀(290)의 양단부 직경을 각 핀홀(273, 도시되지 않음)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교차연결부재(270)의 일부분에는 고정홀(296)이 형성되고, 고정홀(296)에 고정부재(295)가 결합되면서 통공(279)에 삽입된 제1 살대(230)에 제1 교차연결부재(270)를 고정시킨다. 고정부재(295)로는 나사, 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제1 살대(230) 및 제1 교차연결부재(270)의 재질에 따라 고정부재(295) 대신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살대(230)에 제1 교차연결부재(27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1 살대(230)가 통공(279)에 억지끼워맞춤 되도록 하여 제1 살대(230)에 제1 교차연결부재(270)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2 교차연결부재(280)의 일부분에도 고정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고정홀(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면서 통공(289)에 삽입된 제2 살대(250)에 제2 교차연결부재(280)를 고정시킨다. 이 때, 제2 살대(250)에 제2 교차연결부재(280)를 고정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설명은 제1 교차연결부재(270)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도 2a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상부 차양막(220)은 일반적으로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부 차양막(220)의 중심부는 지지봉(210) 및 고정캡(211)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 차양막(220)의 가장자리부분은 상부 차양막 고정부(255)에 고정된다.
하부 차양막(도시되지 않음)은 상부 차양막(220)과 같이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중심부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기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하부 차양막(도시되지 않음)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은 하부 차양막 고정부(235)에 고정되고, 하부 차양막(도시되지 않음)의 통기 구(도시되지 않음) 가장자리 부분은 제1 교차연결부재(270)에 형성된 후크(275)에 고정된다. 후크(275)는 제1 교차연결부재(270)의 일부분에 형성되는데, 제1 교차연결부재(2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280)의 회전 중심인 회동핀(290)을 기준으로 하부 차양막 고정부(235)에 가까운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살대(230)의 경우, 회동핀(290)의 중심선 및 제1 살대(230)의 중심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허브(213)에 연결된 부분까지를 제1 살대 상부(231)라 하고, 그 나머지 부분을 제1 살대 하부(232)라 한다. 제2 살대(250)의 경우에도 회동핀(290)의 중심선 및 제2 살대(250)의 중심선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2 허브(215)에 연결된 부분까지를 제2 살대 상부(251)라 하고, 그 나머지 부분을 제2 살대 하부(252)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파라솔의 프레임(200)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파라솔의 프레임(200)이 펼쳐지게 되면, 즉 제2 허브(215)가 지지봉(210)을 따라 제1 허브(213)를 향하여 이동되면, 고정캡(211), 제2 허브(215) 및 상부 차양막 고정부(255)가 형성하는 각도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제2 살대(250)가 회전된다. 이 때, 제2 살대(250)는 제1 살대(2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살대(230)는 제1 허브(213)를 중심으로 제2 허브(215), 제1 허브(213) 및 하부 차양막 고정부(235)가 형성하는 각도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부 차양막(220)과 고정캡(211)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므로 상부 차양막(220)이 펼쳐지게 되고, 제1 살대(230)도 하부 차양막 고정부(235) 및 지지 봉(2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제1 살대 하부(232)에 고정된 하부 차양막(도시되지 않음)도 펼쳐지게 된다.
상부 차양막(220) 및 하부 차양막(도시되지 않음)이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스탑퍼(217)를 이용하여 제2 허브(215)가 지지봉(210)에 고정되게 하여, 상부 차양막(220) 및 하부 차양막(도시되지 않음)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반대로, 제2 허브(215)가 지지봉(210)을 따라 제1 허브(2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살대(230)는 하부 차양막 고정부(235), 제1 허브(213) 및 제2 허브(215)가 형성하는 각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살대(250)는 고정캡(211), 제2 허브(215) 및 상부 차양막 고정부(255)가 형성하는 각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 허브(215)가 제1 허브(2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지지봉(210), 제1 살대(230) 및 제2 살대(250)가 거의 평행을 이루게 되면 파라솔의 프레임(200)이 접히게 된다.
파라솔의 프레임(200)이 펼쳐진 경우, 하부 차양막(도시되지 않음)에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면 제1 살대 하부(232)로 외력이 전달된다. 제1 살대(230)의 일단부는 제1 허브(213)에 힌지결합 되어있고, 일부분은 제1 교차연결부재(2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280)에 의해 제2 살대(25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살대(230)에는 주로 굽힘 응력이 작용된다. 이 때, 제2 살대(250)의 일단부는 제2 허브(215)에 힌지결합 되어있고, 일부분은 제1 교차연결부재(2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280)에 의해 제1 살대(2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살대 상부(251)에는 주로 압축 및 인장 응력이 작용된다.
상부 차양막(2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제2 살대 하부(252)에는 굽힘 응력이 작용되고, 제1 살대 상부(231)에는 압축 및 인장 응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제1 살대(230) 및 제2 살대(2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에 굽힘 응력이 가장 강하게 작용되므로, 제1 살대(230) 및 제2 살대(250)에는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같이 제1 살대(14) 및 제2 살대(15)에 힌지핀(16)을 직접 관통시켜 연결시키는 경우, 제1 살대(14) 및 제2 살대(15)의 핀홀(도시되지 않음)에 응력이 집중되어 제1 살대(14) 및 제2 살대(15)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핀홀(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1 살대(14) 및 제2 살대(15)에 균열 등의 결함이 발생되어 응력집중원으로 작용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 제1 살대(14) 및 제2 살대(15)의 길이에 제한을 받아 파라솔의 프레임(10)의 크기에도 제한을 받게 된다.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살대(14) 및 제2 살대(15)의 직경을 증가시키거나 강도가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료비가 상승되거나 파라솔의 프레임(10)의 하중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교차연결부재(2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280)를 이용하여 제1 살대(230) 및 제2 살대(250)에 기계적인 가공을 가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므로, 제1 살대(230) 및 제2 살대(250)의 기계적 성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단, 제1 살대(230)에 제1 교차연결부재(270)를 고정시키는데 고정부재(295)를 사용하는 경우, 고정부재(295)가 제1 살대(230)를 가급적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굽힘 응력이 가해지는 제1 살대 하부(232)에 고정부재(295)를 결합시키면, 그 결합부위에 굽힘 응력이 집중되어 제1 살대(230)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압축 및 인장 응력이 가해지는 제1 살대 상부(231)에 고정부재(295)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c에 C로 표시한 핀홀(273)의 중심과 고정홀(296)의 중심 사이의 수평거리가 가급적 길어질수록 제1 살대(230)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증가된다. 같은 이유로, 제2 교차연결부재(280)의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제2 살대 상부(25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교차연결부재(2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280)를 연결하는 회동핀(290) 및 각각의 돌출부(271, 281)에도 외력이 전달된다. 따라서, 각각의 돌출부(271, 281)는 응력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도록 곡선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라솔의 프레임(200)에 가해지는 외력은 일정한 방향에서 일정한 크기로 가해지지 않고, 그 크기 및 방향이 빈번히 변경된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된 종래 파라솔의 프레임(10)에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1 살대(14) 및 제2 살대(15)가 힌지핀(16)을 중심으로 서로 빈번하게 회전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된다.
살대의 재질은 유리섬유강화합성수지, 탄소섬유강화합성수지, 금속, 도금 또 는 도장한 금속, 합성수지를 코팅한 대나무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고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살대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면 살대의 미세한 파편이 발생된다. 파라솔 사용자는 파라솔 아래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살대 사이의 마찰로 발생되는 살대의 미세한 파편이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되거나 음식물에 혼입될 수 있다. 유리섬유, 탄소섬유, 도금 또는 도장된 금속의 파편 또는 도료 등은 대부분 인체에 유해하고, 도금 또는 도장이 탈락된 금속 살대는 부식이 발생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특히 유리섬유강화합성수지 및 탄소섬유강화합성수지로 제작된 살대에 직접 핀홀을 형성하는 등의 기계적 가공을 가한 경우에는 살대가 부스러지거나 가공된 부위에서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의 미세한 파편이 탈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 살대(230) 및 제2 살대(250)는 직접 마찰이 발생되지 않고, 제1 교차연결부재(2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280) 사이에 마찰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1 교차연결부재(2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280)의 마찰이 발생되는 면(이하 '마찰면'이라 칭한다)에서는 상술한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제1 교차연결부재(2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280)의 재질이 금속일 경우에는 마찰면을 경면가공 하거나 윤활제를 이용하여 건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재질이 합성수지일 경우에는 마찰면에 내마멸성이 높고 마찰계수가 작으며 인체에 비교적 무해한 불소수지, 세라믹 등을 코팅할 수 있다. 특히 마찰면의 표면조도를 최대한 낮게 제작함으로써 마찰면에서 파편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살대 상부(231), 제1 살대 하부(232), 제2 살대 상부(251), 제2 살대 하부(252), 제1 교차연결부재(370), 후크(375), 통공(379), 제2 교차연결부재(380), 마찰면(382), 통공(389), 회동핀부(390), 돌기부(391), 고정부재(395, 397) 및 고정홀(398)이 도시되어 있다. 이 중 제1 살대 상부(231), 제1 살대 하부(232), 제2 살대 상부(251) 및 제2 살대 하부(252)의 전체적인 형상 및 아래 설명 중에 언급되는 제1 살대(230) 및 제2 살대(250)는 도 2a를 참조하기로 한다.
제1 교차연결부재(370)의 길이 방향으로 통공(379)이 형성되고, 제1 살대(230)가 통공(379)에 삽입된다. 제1 교차연결부재(370)는 고정홀(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95)에 의해 제1 살대(230)에 고정된다. 제1 교차연결부재(370)의 제1 살대 하부(232) 방향 일부분에는 하부 차양막(도시되지 않음)이 고정되는 후크(375)가 형성된다.
제2 교차연결부재(380)의 길이 방향으로 통공(389)이 형성되고, 제2 살대(250)가 통공(389)에 삽입된다. 제2 교차연결부재(380)는 고정홀(398)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97)에 의해 제2 살대(250)에 고정된다. 제2 교차연결부재(380)의 일면에는 마찰면(382)이 형성되고, 마찰면(382)의 중앙부분에는 회동핀부(390)가 돌출 형성된다. 회동핀부(390)의 외주면에는 돌기부(391)가 형성된다.
제1 교차연결부재(370)의 일면에는 마찰면(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마찰 면(도시되지 않음)의 중앙부분에는 회동핀부(390)와 대응되는 핀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핀홀(도시되지 않음)의 내주면에는 돌기부(391)와 대응되는 홈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회동핀부(390)의 마찰면(382)에 대한 높이는 제1 교차연결부재(370)에 형성되는 핀홀(도시되지 않음)의 깊이와 대응되는데, 통공(379)과 핀홀(도시되지 않음)이 접하지 않아야 한다. 돌기부(391)는 홈부(도시되지 않음)와 대응되는 형상 및 깊이를 갖고, 핀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된 회동핀부(39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1 교차연결부재(3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380)는 제1 살대(230) 및 제2 살대(250)가 형성하는 각도와 상관없이 마찰면(382)의 일정 면적이 접촉되고 있다. 따라서, 제1 교차연결부재(370) 및 제2 교차연결부재(380) 상호간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파라솔의 프레임(도 2a의 200)의 작동이 원활해진다. 또한, 회동핀부(390)의 직경을 충분히 크게 하면 파라솔의 프레임(도 2a의 200)의 견고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찰면(38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면가공 되거나, 윤활유가 도포되거나, 마찰계수가 작은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라솔의 교차하는 살대에 각각 교차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살대에 기계적인 가공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파라솔의 프레임의 견고성이 향상되고, 살대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마찰에 의한 살대의 파편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생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지지봉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하부 차양막을 지지하는 제1 살대와;
    상기 지지봉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부 차양막과 결합되며 상기 제1 살대와 교차되는 제2 살대와;
    상기 제1 살대의 상기 제2 살대와 상기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1 교차연결부재와;
    상기 제1 교차연결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살대에 설치되는 제2 교차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파라솔의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살대 및 상기 제2 살대에 상기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상기 제2 교차연결부재를 각각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파라솔의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는 상기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상기 제2 교차연결부재의 상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부분 보다 상기 지지봉에 근접한 측에 각각 설치되는 파라솔의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상기 제2 교차연결부재에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각각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상기 제2 교차연결부재를 연결하는 회동핀을 더 포함하는 파라솔의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상기 제2 교차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회동핀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동핀부에 대응하는 핀홀이 형성되는 파라솔의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핀부의 외주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핀홀에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파라솔의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차연결부재 및 상기 제2 교차연결부재의 접촉되는 면에는 마찰면이 형성되는 파라솔의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은 경면가공 된 파라솔의 프레임.
KR1020060105250A 2006-10-27 2006-10-27 파라솔의 프레임 KR100727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250A KR100727589B1 (ko) 2006-10-27 2006-10-27 파라솔의 프레임
CN2007101637394A CN101167608B (zh) 2006-10-27 2007-10-26 阳伞伞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250A KR100727589B1 (ko) 2006-10-27 2006-10-27 파라솔의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589B1 true KR100727589B1 (ko) 2007-06-14

Family

ID=3835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250A KR100727589B1 (ko) 2006-10-27 2006-10-27 파라솔의 프레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27589B1 (ko)
CN (1) CN101167608B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5004A (en) * 1987-07-07 1989-01-19 Kojimaa Kk Bone structure of umbrella
KR20000017149U (ko) * 1999-02-18 2000-09-25 문성기 파라솔
KR20050025863A (ko) * 2003-09-08 2005-03-14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
KR20050079757A (ko) * 2004-02-06 2005-08-11 노충래 양면우산 및 그 사용방법
KR200411431Y1 (ko) 2005-11-14 2006-03-14 김은수 이중파라솔의 살대연결구조
KR20190000880U (ko) * 2017-09-29 2019-04-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야간항공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2069A (en) * 1995-05-16 1996-01-09 Lee; Chorng-Cheng Sunshade
CN2336628Y (zh) * 1998-04-09 1999-09-08 林振雄 休闲伞的骨架构造
CN2352023Y (zh) * 1998-09-10 1999-12-08 游清泉 双股伞骨单元的伞骨架构造
CN2495166Y (zh) * 2001-03-26 2002-06-19 李重成 遮阳休闲伞的伞布扣合构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5004A (en) * 1987-07-07 1989-01-19 Kojimaa Kk Bone structure of umbrella
KR20000017149U (ko) * 1999-02-18 2000-09-25 문성기 파라솔
KR20050025863A (ko) * 2003-09-08 2005-03-14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
KR20050079757A (ko) * 2004-02-06 2005-08-11 노충래 양면우산 및 그 사용방법
KR200411431Y1 (ko) 2005-11-14 2006-03-14 김은수 이중파라솔의 살대연결구조
KR20190000880U (ko) * 2017-09-29 2019-04-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야간항공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67608A (zh) 2008-04-30
CN101167608B (zh)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4976B1 (en) Umbrella frame
US9605441B2 (en) Tent frame top connecting structure
US10689877B2 (en) Multiple rod linkage structure and tent with such multiple rod linkage structure
US20140166060A1 (en) Laborsaving mechanism for unfolding sunshade
US10801660B1 (en) Support frame
KR100727589B1 (ko) 파라솔의 프레임
CN101204262A (zh) 可减小间隙的中棒结构
US6834659B2 (en) Rib assembly for multi-foldable umbrella
US20190203502A1 (en) Umbrella
FR2650491A1 (fr) Dispositif d&#39;articulation pour armature de parasol
KR102349305B1 (ko) 분리수거가 용이한 우산
JP3229170U (ja)
FR3111368A3 (fr) Structure de dépliage retournée
TWM610009U (zh) 雨傘結構改良
CN209573532U (zh) 一种防风抗扭伞骨
KR101700939B1 (ko) 손쉽고 안전한 국기꽂이
CN214483539U (zh) 一种新型雨伞
CN217722854U (zh) 钓鱼伞
JP3107166U (ja) 傘の逆開き破損防止具
CN200976893Y (zh) 伞具下巢结构
CN2634880Y (zh) 一种双层抗风伞
AU2019200088A1 (en) Spring Assist System for a Canopy Frame
FR2932837A1 (fr) Dispositif repliable pour exterieur de protection contre les intemperies et son utilisation
CN200947874Y (zh) 可减小间隙的中棒结构
WO2020034262A1 (zh) 一种防风抗扭伞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