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172A - 펌프 유닛 내의 압력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 Google Patents

펌프 유닛 내의 압력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172A
KR20010031172A KR1020007004094A KR20007004094A KR20010031172A KR 20010031172 A KR20010031172 A KR 20010031172A KR 1020007004094 A KR1020007004094 A KR 1020007004094A KR 20007004094 A KR20007004094 A KR 20007004094A KR 20010031172 A KR20010031172 A KR 20010031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trol valve
control
valve body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뵈킹프리드리히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3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17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2Disc valves
    • F04B53/1022Disc valves having means for guiding the closure member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 F02M45/02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with each cyclic delivery being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 F02M45/04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having a cyclic delivery of specific time/pressure or time/quantity relationship with each cyclic delivery being separated into two or more parts with a small initial part, e.g. initial part for partial load and initial and main part for full load
    • F02M45/06Pumps peculiar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3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by variably-timed valves controlling fuel passages to pumping elements or overflow passages
    • F02M59/366Valves being actu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04B49/225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with throttling valves or valves varying the pump inlet opening or the outlet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5/00Fluid parameters
    • F04B2205/17Opening width of a throttling device
    • F04B2205/172Opening width of a throttling device after the pump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내에서 펌프 유닛에 의한 압력 형성의 제어를 위한 제어 유닛에 관한 것이고, 제어 유닛은 유동 방향(14)의 내향으로 개방되며 제어 유닛의 하우징(2) 내에서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위치되며 제어 밸브(1)의 폐쇄시에 내부로부터 제어 밸브(1)의 밸브 시트(4) 상으로 밀착되는 밸브 몸체(3)를 갖는 I형 밸브로써 구성되는 제어 밸브(1)의 밸브 몸체(3)는 시스템 내에서 압력 형성을 위해 큰 양정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작은 양정으로 개방된 위치를 거쳐 폐쇄 위치로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밸브(1) 및 이에 연결된 밸브 작동 유닛을 갖는다. 제어 밸브(1)의 관통 유동 곡선이 제어 밸브의 작은 양정(hklein)에서 가능한 평탄한 흐름을 갖기 위해, 제어 유닛은 제어 밸브(1)를 통한 관통 유동이 작은 양정(hklein)으로 개방된 제어 밸브(1)에서 스로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펌프 유닛 내의 압력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PRESSURE IN A PUMP UNIT}
임의의 펌프 유닛의 압력 형성 제어를 위한 이런 유형의 제어 유닛은 기술 분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런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직접 분사식 엔진의 연소실 내로 연료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엔진은 분사 압력을 형성하여 연료를 분사 노즐을 통해 연소실 내로 분사하는 펌프 유닛을 갖는다. 엔진의 분사 시스템은 예를 들어 펌프-노즐-유닛(PDE) 또는 펌프-라인-노즐(PLD) 시스템으로써 구성된다.
공지된 제어 유닛은 통상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다. 전자석으로 구성된 밸브 작동 유닛은 비 여기(excited) 상태에서 개방된다. 이를 통해, 펌프 유닛으로부터의 압력 흐름이 분사 시스템의 저압 영역에 자유롭게 주어지고, 이로써 펌프 챔버가 펌프 플런저의 흡입 양정 중에 연료로 충전되고, 연료의 복귀 유동이 공급 양정 중에 가능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부는 펌프 플런저의 공급 양정 중에 이런 바이 패스(Bypass)를 차단시킨다. 이는 시스템의 고압 영역 내에 압력을 형성시킨다. 이로써, 펌프 유닛 내의 압력 형성은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유닛은 유동 방향의 내향으로 개방되는 I형 밸브로 통상 구성된다. I형 밸브는 작은 양정에서 통상 급한 관통 유동 곡선을 갖는다. 관통 유동 곡선에서 밸브를 통한 관통 유동의 흐름은 밸브의 양정에 따라 나타난다. 작은 밸브 양정에서 I형 밸브의 관통 유동 곡선의 급한 모양으로 인해 밸브 양정의 적은 변동 만으로도 관통 유동량의 비교적 큰 변동을 초래한다. 기본적으로 작은 양정에서 관통 유동의 변동은 공급된 매체의 전체량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작은 양정에서 밸브를 통한 관통 유동량이 가능하면 밸브 양정에 따라야하고, 작은 양정에서 관통 유동 곡선의 흐름이 가능하면 평탄하게 되는 적용이 있다.
이런 유형의 적용은 예를 들어, 직접 분사식 엔진에서 연료 공급 제어이다. 이는 조기 분사, 즉, 원래의 주 분사 전에 연소실 내로 적은 양의 연료가 분사된다. 이런 조기 분사는 엔진 소음 및 배기 가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기 분사되는 연료량은 엔진 작동을 바람직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결정되야한다. 조기 분사는 제어 밸브의 작은 양정에서 형성된다. 기술 분야에 따르면, 밸브 양정의 아주 작은 변동에도 제어 유닛의 조기 분사량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기 분사량을 가능하면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작은 양정에서 관통 유동 곡선이 평탄한 흐름을 갖는 것은 유익 할 수 있다.
작은 양정에서 관통 유동 곡선의 흐름을 가능하면 평탄하게 하기 위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관통 유동량은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전기 제어는 비싸다.
본 발명은 제어 밸브 및 이에 연결된 밸브 작동 유닛을 구비한 펌프 유닛 내에 압력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에 관한 것이고, 제어 유닛은, 폐쇄된 제어 밸브에서 내부로부터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 상으로 밀착되는 제어 유닛의 하우징 내에서 축 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위치된 밸브 몸체를 갖는 유동 방향으로 내향 (nach innen)개방되는 I형 밸브로써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분사 압력의 형성을 위한 펌프 유닛을 구비한 직접 분사식 엔진의 연소실 내로 연료를 공급하고, 분사 노즐을 통해 연료실 내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제어 밸브 및 이에 연결된 밸브 작동 유닛을 구비한 제어 유닛을 통해 압력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제어 밸브는, 제어 유닛의 하우징 내에서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위치되며 제어 밸브의 폐쇄시에 내부로부터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 상으로 밀착되는 밸브 몸체를 갖는 유동 방향의 내향으로 개방되는 I형 밸브로써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두 개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의 제어 밸브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어 유닛의 제어 밸브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 유닛의 제어 밸브를 통한 관통 유동 곡선의 흐름의 선도이다.
기술 분야의 이런 단점으로부터 관통 유동 곡선이 제어 밸브의 작은 양정에서 가능하면 평탄한 흐름을 갖는 전술된 유형의 제어 유닛이 개선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이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된 유형의 제어 유닛으로부터 개량된, 제어 밸브를 통한 관통 유동이 작은 양정으로 개방되는 제어 밸브에서 스로틀화되는 스로틀 장치의 특징을 갖는 제어 유닛을 제안한다.
큰 양정으로 개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의 제어 밸브에서 펌프 유닛으로부터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를 거쳐, 압력 형성이 제어되야 하는 시스템의 저압 영역으로 자유로운 관통 유동이 주어진다. 이로써, 펌프 챔버가 펌프 플런저의 흡입 양정 중에 공급된 매체로 충전되고, 매체의 복귀 유동은 공급 양정 중에 가능하다. 시스템 내에는 압력이 마찬가지로 형성되지 않는다.
밸브 작동 유닛의 제어를 통해 밸브 플런저는 제어 밸브의 폐쇄 위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통해 제어 밸브는 작은 양정으로 개방되는 제어 밸브에서 관통 유동, 물론 스로틀화된 관통 유동이 이전과 마찬가지로 펌프 유닛으로부터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를 거쳐, 그리고 스로틀 장치를 통해 시스템의 저압 영역으로 주어진다. 이로써, 펌프 챔버는 펌프 플런저의 흡입 양정 중에 공급된 매체로 제한 충전되고, 매체의 복귀 유동은 공급 양정 중에 가능하다. 시스템의 고압 영역에는 적은 압력이 형성된다.
밸브 작동 유닛의 다른 제어는, 펌프 플런저의 공급 양정 중에 제어 밸브를 완전히 폐쇄시키고, 펌프 유닛으로부터 시스템의 저압 영역으로의 바이패스를 차단시킨다. 이는 시스템의 고압 영역 내에 고압을 형성시킨다.
제어 밸브를 통해 유동되는 매체의 관통 유동량은 폐쇄 과정 중에 제어 밸브의 완전 개방시의 최대값으로부터 제어 밸브의 완전 폐쇄시의 최저값인 0으로 급격히 하락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작은 양정의 달성시에 공급된 매체의 거의 일정한 적은량이 제어 밸브를 통해 제어 밸브가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유동된다. 작은 양정시에 제어 밸브의 관통 유동 곡선의 흐름은 유익하게 매우 평탄하다. 이를 통해, 밸브 양정의 변동은 관통 유동의 변동을 거의 유발시키지 않는다. 관통 유동은 적은 양정에서 밸브 양정에 거의 따른다.
스로틀 장치는 밸브 몸체 내로 양호하게 일체된다. 이는 특별히 조정될 필요가 없고 제어 밸브의 완전 개방시에 비 활성화 위치로부터 밸브 몸체와 함께 작은 양정으로 개방되는 제어 밸브의 활성화 위치로 배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추가의 밸브 몸체는 밸브 몸체 내에서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위치된다. 추가의 밸브 몸체는 제어 밸브의 폐쇄시에 및 제어 밸브의 작은 양정에서 유동 방향의 내부로부터 제어 밸브의 추가의 밸브 시트 상으로 밀착된다. 제어 밸브의 완전 개방시에, 즉, 큰 양정에서 제어밸브의 밸브 몸체는 밸브 시트에 의해, 그리고 스로틀 장치의 추가의 밸브 몸체는 추가의 밸브 시트에 의해 상승된다. 긍급된 매체는 밸브 시트 및 추가의 밸브 시트를 통해 펌프 유닛으로부터 시스템의 저압 영역으로 자유롭게 유동된다. 제어 밸브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었을 때, 즉, 작은 양정에서 제어 밸브의 밸브 몸체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밸브 시트에 의해 상승되고, 스로틀 장치의 추가의 밸브 몸체는 추가의 밸브 시트 상에 밀착된다. 공급된 매체는 스로틀화되어 밸브 시트 및 추가의 스로틀 장치를 통해 유동된다. 이때, 시스템 내에는 작은 압력이 형성된다. 제어 밸브의 완전 폐쇄시에, 제어 밸브의 밸브 몸체는 밸브 시트 상에 밀착되고, 공급된 매체는 밸브 시트에 보유된다. 이제 시스템 내에는 고압이 형성된다.
추가의 밸브 몸체는 밸브 몸체와 추가의 밸브 몸체 사이에서 영향을 미치는 스프링 요소를 통해 제어 밸브의 폐쇄시에, 또는 제어 밸브의 작은 양정시에 밸브 시트 상으로 유익하게 가압된다.
추가의 밸브 몸체는 제어 밸브의 큰 양정시에 밸브 몸체에 밀착되는 정지부를 유익하게 갖는다. 스로틀 장치가 활성화 중에, 제어 밸브의 폐쇄시에 정지부와 밸브 몸체 사이에 간격은 작은 밸브 양정의 크기에 상응된다.
본 발명은 추가의 밸브 몸체가 유동 방향 외부의 밸브 몸체에 구성되고, 추가의 밸브 몸체가 제어 밸브의 폐쇄시에, 그리고 제어 밸브의 작은 양정시에 방출부가 그로부터 제어 밸브로부터 안내되는 수용 구멍 내에서 밀착 수용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안한다. 추가의 밸브 몸체 및 수용 구멍은 제어 밸브의 작은 양정 중에 폐쇄되는 추가의 밸브 시트를 형성한다. 제어 밸브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즉, 큰 양정시에 제어 밸브의 밸브 몸체는 밸브 시트에 의해 상승되고, 스로틀 장치의 추가의 밸브 몸체는 수용 구멍 외에 놓인다. 공급된 매체는 밸브 시트 및 추가의 밸브 시트를 통해 펌프 유닛으로부터 시스템의 저압 영역으로 자유롭게 유동된다. 제어 밸브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었을 때, 즉, 작은 양정에서 제어 밸브의 밸브 몸체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밸브 시트에 의해 상승되고, 스로틀 장치의 추가의 밸브 몸체는 수용 구멍에 의해 밀착 수용된다. 공급된 매체는 스로틀화되어 밸브 시트 및 추가의 스로틀 장치를 통해 유동된다. 이를 통해, 시스템 내에서 적은 압력이 형성된다. 제어 밸브의 완전 폐쇄시에, 제어 밸브의 밸브 몸체는 밸브 시트 상에 그리고 공급된 매체는 밸브 시트에 보유된다. 이때 시스템 내에는 고압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 압력 형성을 위한 펌프 유닛을 구비한 직접 분사식 엔진의 연소실로 연료를 공급하고, 연료를 분사 노즐을 통해 연소실 내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분사 시스템은 원래의 주 분사 이전에 적은량의 연료를 연소실 내로 조기 분사하는 수단을 갖는다.
이런 분사 시스템에서 조기 분사 연료량이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제어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사 시스템이 전술된 제어 유닛을 갖는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제어 밸브 및 이에 연결된 밸브 작동 유닛을 갖는 제어 유닛에 의한 시스템 내의 펌프 유닛을 통해 형성되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제어 밸브는 유동 방향 내에서 내향 개방되고 제어 밸브의 하우징 내에서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위치되며 제어 밸브의 폐쇄시에 내부로부터 제어 밸브의 밸브 시트 상으로 밀착되는 밸브 몸체를 갖는 I형 밸브로써 구성되고, 시스템 내에서 압력 형성을 위해 제어 밸브의 밸브 몸체는 큰 양정으로 개방되는 위치로부터 작은 양정으로 개방되는 위치를 거쳐 폐쇄 위치로 배치된다.
이로써, 제어 밸브의 작은 양정시에 관통 유동 곡선은 가능한 평탄한 흐름을 갖고, 본 발명은 관통 유동이 제어 밸브를 통해 밸브 몸체가 작은 양정으로 개방되는 시점으로부터 밸브 몸체가 폐쇄되는 시점까지 스로틀 장치를 통해 스로틀화되는 것을 제안한다.
분사 압력 형성을 위한 펌프 유닛을 구비한 직접 분사식 엔진의 연소실로 연료를 공급하고, 연료를 분사 노즐을 통한 연소실 내로의 연료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유익하게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이런 방법의 사용시에 본 발명에 따른 장점이 특히 적용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조기 분사 연료량이 특히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제어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제어 밸브를 통한 관통 유동량이 관통 유동 곡선의 평탄한 흐름으로 인해 제어 밸브의 밸브 양정에 거의 따르지 않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변동되는 작은 양정에서 관통 유동량은 적은 변동에 따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 유닛의 제어 밸브(1)를 제1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다. 제어 유닛은 임의의 시스템 내에서 펌프 유닛에 의한 압력 형성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유닛은 제어 밸브(1) 및 이에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밸브 작동 유닛을 갖는다. 제어 밸브(1)는 유동 방향(14)의 내향으로 개방되는 I형 밸브로써 구성된다. 제어 밸브는 제어 유닛의 하우징(2) 내에서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위치되며 제어 밸브(1)의 폐쇄시에 내부로부터 제어 밸브(1)의 밸브 시트(4) 상으로 밀착되는 밸브 몸체(3)를 갖는다. 제어 밸브(1)는 제어 밸브(1)가 작은 양정으로 개방될 때 제어 밸브(1)를 통한 관통 유동을 스로틀화시키는 스로틀 장치를 갖는다.
이런 스로틀 장치(5)는 밸브 몸체(3) 내로 일체되는 추가의 밸브 몸체(6)로써 구성된다. 추가의 밸브 몸체(6)는 유동 방향의 외부에 놓인 밸브 몸체(3)에 배치된다. 추가의 밸브 몸체(6)는 제어 밸브(1)의 작은 양정시에 폐쇄 위치되고, 제어 밸브의 개방시에는 제어 밸브(1)의 공급부(8) 및 방출부(9)에 연결되는 두 개의 스로틀 구멍(7)을 갖는다. 추가의 밸브 몸체(6)는 밸브 몸체(3) 내에서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위치된다. 추가의 밸브 몸체(6)는 제어 밸브(1)의 폐쇄시에, 그리고 제어 밸브(1)의 작은 양정시에 내부로부터 제어 밸브(1)의 추가의 밸브 시트(10) 상으로 밀착된다.
제어 밸브(1)가 큰 양정으로 개방될 때, 밸브 시트(4) 및 추가의 밸브 시트(10)는 개방된다. 펌프 유닛으로부터 시스템의 저압 영역으로의 자유로운 관통 유동이 주어지고, 이로써 공급된 매체로 펌프 챔버의 충전은 펌프 플런저의 흡입 양정 중에, 그리고 매체의 복귀 유동은 공급 양정 중에 가능하다. 이 시스템 내에서는 압력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어 밸브(1)가 작은 양정으로 개방될 때, 밸브 시트(4)는 이전과 같이 개방되나, 추가의 밸브 시트(10)는 폐쇄되어 스로틀 구멍(7)을 통해 공급된 매체는 제어 밸브(1)를 통해 유동되야 한다. 제어 밸브(1)를 통해 스로틀화된 관통 유동에 의해 시스템의 고압 영역에는 저압이 형성된다.
완전히 폐쇄된 제어 밸브(1)에서 밸브 시트(4) 및 추가의 밸브 시트(10)는 폐쇄되고, 이를 통해 바이패스는 차단된다. 이로써 펌프 챔버로부터 시스템의 저압 영역으로의 고압이 시스템의 고압 영역 내에 형성된다.
추가의 밸브 몸체(10)는 밸브 몸체(3)와 추가의 밸브 몸체(6) 사이에서 영향을 미치는 스프링 요소(11)를 통해 제어 밸브(1)의 폐쇄시에 또는 제어 밸브(1)의 작은 양정시에 추가의 밸브 시트(10) 상으로 가압된다. 추가의 밸브 몸체(6)는 제어 밸브(1)의 큰 양정시에 밸브 몸체(3) 상에 밀착되는 정지부(12)를 갖는다. 추가의 밸브 시트(10)는 특히 평편하게 구성되어, 제어 밸브(1)의 큰 양정시에 추가의 밸브 시트(10)가 개방된 후, 높은 관통 유동값(Q, 도3 참조)이 가능하면 신속히 달성된다.
도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의 제어 밸브(1)가 제2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의 밸브 몸체(6)는 유동 방향의 외부에서 밸브 몸체(3)에 구성된다. 추가의 밸브 몸체(6)는 제어 밸브(1)의 폐쇄시에, 그리고 제어 밸브의 작은 양정시에 수용 구멍(13) 내에서 밀착 수용된다. 제어 밸브(1)로부터의 방출부(9)는 수용 구멍(13)으로부터 안내된다. 추가의 밸브 몸체(6)는 수용 구멍(13)의 주변부와 함께 추가의 밸브 시트(10)를 구성한다.
도1 및 도2에서 작은 양정(hklein)이 표시된다. 도3에서 관통 유동 곡선(Q = f(h))은 제어 밸브(1)의 양정(h)에 따라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의 제어 밸브(1)의 관통 유동 곡선은 실선으로 도시되나, 기술 분야에 따른 제어 유닛의 제어 밸브를 통한 관통 유동 곡선(Q)의 흐름은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3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 유닛의 매우 작은 양정(hklein)시에 제어 밸브(1)를 통한 관통 유동량(Q)은 거의 평탄하고, 거의 일정한 선의 흐름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이, 기술 분야의 제어 유닛에서는 제어 밸브의 양정에 따르지만, 제어 밸브(1)를 통한 관통 유동량(Q)이 작은 양정(hklein)에서도 제어 밸브(1)의 양정(h) 정도에 따르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작은 양정(hklein)과 큰 양정(hmax) 사이에서의 양정이 더 클때, 관통 유동량은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제어 유닛으로부터 달성된 값으로 신속히 상승한다. 작은 양정(hklein)과 큰 양정(hmax) 사이의 이런 급속한 상승은 추가 밸브 시트(1)의 평탄한 흐름으로 인해 발생된다(도1 참조).

Claims (10)

  1. 유동 방향(14)의 내향(nach innen)으로 개방되고, 제어 유닛의 하우징(2) 내에서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위치되며 제어 밸브(1)의 폐쇄시에 내부로부터 제어 밸브(1)의 밸브 시트(4) 상으로 밀착되는 밸브 몸체(3)를 갖는 I형 밸브로써 구성되는 제어 밸브(1) 및 이에 연결된 밸브 작동 유닛을 갖고, 시스템 내에서 펌프 유닛에 의한 압력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에 있어서,
    스로틀 장치(7)는 제어 밸브(1)가 작은 양정(hklein)으로 개방될 때 제어 밸브(1)를 통한 유동을 스로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스로틀 장치(5)가 밸브 몸체(3) 내로 일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어 밸브(1)의 폐쇄시에 제어 밸브(1)의 공급부(8)와 방출부(9)가 연결되는 스로틀 구멍(7)을 가지며 제어 밸브(1)의 작은 양정에서 폐쇄 위치에 있는, 추가의 밸브 몸체(6)가 유동 방향의 외부에 놓인 밸브 몸체(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추가의 밸브 몸체(6)는 밸브 몸체(3) 내에서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위치되고, 추가의 밸브 몸체(6)는 제어 밸브(1)의 폐쇄시에, 그리고 제어 밸브(1)의 작은 양정(hklein)에서 유동 방향의 내부로부터 제어 밸브(1)의 추가의 밸브 시트(10) 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추가의 밸브 몸체(6)는 밸브 몸체(3)와 추가의 밸브 몸체(6) 사이에서 영향을 미치는 스프링 요소(11)에 의해 제어 밸브(1)의 폐쇄시에 또는 제어 밸브(1)의 작은 양정(hklein)에서 추가의 밸브 시트(10) 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추가의 밸브 몸체(6)는 제어 밸브(1)의 큰 양정(h 〉 hklein)에서 밸브 몸체(3) 상에 밀착되는 정지부(1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추가의 밸브 몸체(6)는 유동 방향의 외부에 밸브 몸체(3)에 구성되고, 추가의 밸브 몸체(6)는 제어 밸브(1)의 폐쇄시에, 그리고 제어 밸브의 작은 양정에서 제어 밸브(1)의 방출부(9)가 그로부터 안내되는 수용 구멍(13) 내에 밀착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유닛.
  8. 원래의 주 분사 이전에 적은량의 연료를 연소실 내로 조기 분사하는 수단을 갖고, 분사 압력 형성을 위한 펌프 유닛을 구비한 직접 분사식 엔진의 연소실로 연료를 공급하고, 연료를 분사 노즐을 통해 연소실 내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 시스템에 있어서,
    분사 시스템이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제어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 시스템.
  9. 제어 밸브(1) 및 이에 연결된 밸브 작동 유닛을 갖는 단계와,
    제어 밸브(1)가 유동 방향(14)의 내향으로 개방되며 제어 유닛의 하우징(2) 내에서 축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위치되며 제어 밸브(1)의 폐쇄시에 내부로부터 제어 밸브(1)의 밸브 시트(4) 상으로 밀착되는 밸브 몸체(3)를 갖는 I형 밸브로써 구성되는 단계와,
    제어 밸브(1)의 밸브 몸체(3)는 시스템 내에서 압력 형성을 위해 큰 양정으로 개방된 위치로부터 작은 양정으로 개방된 위치를 거쳐 폐쇄 위치로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 내에서 펌프 유닛에 의한 압력 형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밸브(1)를 통한 관통 유동이 밸브 몸체(3)가 작은 양정으로 개방되는 시점으로부터 밸브 몸체(3)가 폐쇄되는 시점까지 스로틀 장치를 통해 스로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분사 압력 형성을 위한 펌프 유닛을 구비한 직접 분사식 엔진의 연소실로 연료를 공급하는 단계와, 분사 노즐을 통한 연소실 내로의 연료 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4094A 1998-08-18 1999-08-17 펌프 유닛 내의 압력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KR200100311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7332.5 1998-08-18
DE19837332A DE19837332A1 (de) 1998-08-18 1998-08-18 Steuereinheit zur Steuerung des Druckaufbaus in einer Pumpeneinheit
PCT/DE1999/002544 WO2000011339A1 (de) 1998-08-18 1999-08-17 Steuereinheit zur steuerung des druckaufbaus in einer pumpeneinhe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172A true KR20010031172A (ko) 2001-04-16

Family

ID=787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094A KR20010031172A (ko) 1998-08-18 1999-08-17 펌프 유닛 내의 압력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25539B1 (ko)
EP (1) EP1045975B1 (ko)
JP (1) JP2002523670A (ko)
KR (1) KR20010031172A (ko)
DE (2) DE19837332A1 (ko)
WO (1) WO20000113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3370C2 (de) * 1999-12-28 2002-12-19 Bosch Gmbh Robert Pumpe-Düse-Einheit mit Voreinspritzung
DE10023960A1 (de) * 2000-05-16 2001-11-22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ES2280318T3 (es) * 2000-07-18 2007-09-16 Delphi Technologies, Inc. Inyector de combustible.
JP2002098021A (ja) * 2000-09-25 2002-04-05 Toyota Motor Corp 複合電磁弁、高圧ポンプおよび高圧ポンプ制御装置
DE10059399B4 (de) * 2000-11-30 2005-05-1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Einspritzabfolge bei Kraftstoffeinspritzsystemen
US6390069B1 (en) * 2001-01-26 2002-05-21 Detroit Diesel Corporation Fuel injector assembly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same
EP1236885B1 (de) * 2001-02-28 2005-03-30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7210640B2 (en) * 2001-11-30 2007-05-01 Caterpillar Inc Fuel injector spray alteration through a moveable tip sleeve
DE10209527A1 (de) 2002-03-04 2003-09-25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druckmodulierten Formung des Einspritzverlaufes
DE10210282A1 (de) * 2002-03-08 2003-09-2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Einspritzen von Kraftstoff an stationären Verbrennungskraftmaschinen
DE102004022268A1 (de) * 2004-05-06 2005-12-01 Robert Bosch Gmbh Ansteuerverfahren zur Beeinflussung der Öffnungsgeschwindigkeit eines Steuerventiles an einem Kraftstoffinjek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3472A (en) * 1924-01-22 1928-03-20 Busch Sulzer Bros Diesel Engine Co Fuel-injection devic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DE2749378A1 (de) * 1977-11-04 1979-05-10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duese
JPS5882068A (ja) * 1981-11-09 1983-05-17 Nissan Motor Co Ltd 燃料噴射ノズル
JP2615174B2 (ja) * 1988-12-28 1997-05-28 株式会社ゼクセル 増圧式燃料噴射装置
FR2672366B1 (fr) * 1991-01-31 1993-08-27 Bendix Europ Services Tech Vis de purge pour circuit hydraulique.
DE4142940C2 (de) * 1991-12-24 1994-01-27 Bosch Gmbh Robert Elektrisch gesteuerte Pumpedüse
DE4238727C2 (de) * 1992-11-17 2001-09-20 Bosch Gmbh Robert Magnetventil
US5301714A (en) * 1993-03-01 1994-04-12 Johnson Keith E Multi-position valve apparatus having a return port
SE507374C3 (sv) * 1996-09-10 1998-06-29 Volvo Lastvagnar Ab Saett och anordning foer reglering av insprutningstrycket av flytande braens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45975B1 (de) 2004-05-19
DE19837332A1 (de) 2000-02-24
EP1045975A1 (de) 2000-10-25
WO2000011339A1 (de) 2000-03-02
JP2002523670A (ja) 2002-07-30
DE59909524D1 (de) 2004-06-24
US6425539B1 (en) 200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1274A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fuel pressure in a fuel injection system
US6145492A (en) Control valve for a fuel injection valve
JP4024314B2 (ja) 燃料噴射装置
JPH07293394A (ja) 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噴射装置
US6012430A (en) Fuel injector
EP1163440B1 (en) Fuel injector
JPS61136076A (ja) 電磁作動弁
US5004154A (en)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device for engine
KR20010031172A (ko) 펌프 유닛 내의 압력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JPH08240166A (ja) 燃料噴射装置
JPS59110854A (ja) 燃料を噴射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燃料噴射装置
EP0779430B1 (en) Injector
US5575253A (en) Fuel pumping apparatus
US6837451B2 (en) Seat/slide valve with pressure-equalizing pin
JPS6111447A (ja) 燃料噴射弁
US4467963A (en) Single dump single solenoid fuel injector
JP3991470B2 (ja) 噴射弁
JPH11229993A (ja) 燃料噴射装置
US6637409B2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333588A (en) Pump/injector
US6953157B2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0111310A (ko) 연료압력 지연 실린더
KR20020038691A (ko)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장치
JPH10131828A (ja) 噴射弁装置
US5878958A (en) Fuel pump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