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566A - 적재편 및 콘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적재편 및 콘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566A
KR20010030566A KR1020007001415A KR20007001415A KR20010030566A KR 20010030566 A KR20010030566 A KR 20010030566A KR 1020007001415 A KR1020007001415 A KR 1020007001415A KR 20007001415 A KR20007001415 A KR 20007001415A KR 20010030566 A KR20010030566 A KR 20010030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lt
loading component
load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글로이슈타인위르겐
Original Assignee
맥그레고-콘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그레고-콘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맥그레고-콘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3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5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13Twist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60P7/132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twist-locks for container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선박 수송시 콘테이너는 적재 구성요소(1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반자동 적재 구성요소가 사용되며, 선박에서 짐을 내릴 때 콘테이너를 잠금 해제시키도록 이러한 적재 구성요소들은 수동적으로 개방되어야 한다. 하지만, 접근하기 어려운 지점이 있으며, 이러한 지점은 특히 적재 구성요소(10)의 수동적인 개방을 불허하는 좁은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 사이에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이러한 지점에서는 특수한 적재 구성요소(10)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된 콘테이너들에 대하여 적재 구성요소(10)의 수동적인 작동 및 해당 콘테이너로부터 적재 구성요소의 자동적인 연결해제 양자에 의한 잠금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적재 구성요소(10)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일되고 동일한 적재 구성요소(10)가 사용될 수 있으며, 20피트 길이의 콘테이너들 사이의 좁은 이음부의 영역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요구되었던 서로 상이한 적재 구성요소(10)의 경우에서 발생할 수 있었던 혼동이 제거된다.

Description

적재편 및 콘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HOLDING PIECE AND METHOD FOR HOLDING CONTAINERS}
종래에는, 화물을 수송하기 위하여 8개의 코너에 소위 코너 캐스팅(corner casting)이 장착된 콘테이너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콘테이너는, 코너 캐스팅을 통하여 도입되는 힘이 바람직하게는 밑에 깔린 콘테이너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에서 제공된 위치에 콘테이너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다른 콘테이너와 구조상으로 일체형이 된다. 국제 규격(ISO)에 따르는 규정에 의해 콘테이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된 코너 캐스팅에는 적재 구성요소들이 코너 캐스팅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 내로 관통하여 도입되는 개구들이 제공되어 있고, 이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
상기된 타입의 적재 구성요소는 시간에 걸쳐 다양한 개발의 대상이 되어 왔다. 적재 구성요소의 다양한 타입이 존재한다. 이들 중 다수에는 피벗부가 장착되어 있어서, 코너 캐스팅의 내부 공간으로의 적재 구성요소의 도입 이후, 회전되어 코너 캐스팅을 단단히 연결하고 이에 따라 콘테이너 전체를 예컨대 선박의 갑판 또는 고정될 콘테이너의 밑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콘테이너인 지지 영역 연결한다. 트위스트-락(twistlock)으로 명명된 이러한 적재 구성요소는 현장에서 이들의 가치를 확인시켜 왔다. 하지만, 이들은 콘테이너의 적재 또는 하선시 접근이 어려운 지점에서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들 중 가장 주요한 것은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로 명명되는 것이다. 곤란한 상황은 40피트 콘테이너를 위하여 제공된 집결지 상에 각각 길이가 20피트인 2개의 콘테이너가 배치되어야 할 때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20피트 콘테이너 사이에는 3인치(76mm) 폭의 간격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 상태는 폭이 너무 좁아서 사람이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러한 결합 상태의 영역에서의 콘테이너에 대하여 사람에 의한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잠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른 용도로부터 변환된 적재 구성요소들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혼동되기 쉬우므로 사용하기에 어렵고, 허용 강도에 대한 가장 낮은 하한선에 불과하는 강도의 값을 가지고 있다. 추가적인 단점은 이러한 부재들의 기능에 따르는 기하학적 형상이다. 이들은 반대편에 있는 잠금장치, 예컨대 트위스트락 또는 반자동 트위스트락(SAT)보다 콘테이너의 코너 위로 또는 아래로 더 돌출되어야 한다. 유일하게 이러한 방식으로, ISO 콘테이너 규격 이음부의 영역에 있는 부착용 부품들이 콘테이너를 위치시키면서, 트위스트락이 잠금될 수 있기 전에, 우선적으로 잠금되는 것이 보장된다. 길이방향으로 적재시켜야 하는 콘테이너 및/또는 선박의 경우, 이러한 순서가 보장되지 않으면, 고착된 적재 구성요소들을 개방시키는데 있어서 중대한 문제들이 빈번히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내용에 따르는 적재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재 방법, 특히 콘테이너를 청구의 범위 제 22 항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연결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지지면에 쌓아 올려진 2개의 콘테이너에 대한 측면도;
도 2는 적재 구성요소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선 III-III를 따라 취한 콘테이너의 코너 및 코너 내로 돌출하는 적재 구성요소에 대한 길이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길이방향 단면도의 확대도;
도 5는 2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볼트를 갖춘 적재 구성요소의 패턴에 대한 도면;
도 6은 2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볼트에 대한 하면도;
도 7은 스프링이 삽입된 2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볼트에 대한 측면도;
도 8은 하나의 스프링이 다른 하나 내로 스러스트된 2개의 나선형 스프링에 대한 정면도;
도 9는 2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볼트 및 잠금 장치를 갖춘 적재 구성요소의 패턴에 대한 도면;
도 10은 2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볼트를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로 갖춘 적재 구성요소의 패턴에 대한 도면;
도 11은 2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볼트가 잠금 위치에 있는 패턴에 대한 도면;
도 12는 레버가 제공된 잠금 장치에 대한 도면;
도 13은 볼트가 한쪽에서 잠금 위치 내로 돌출하고 있는 적재 구성요소를 따라 취한 길이방향 단면도;
도 14는 볼트가 잠금해제 장치에 의해 잠금해제 위치로 빼내어진 상태의 적재 구성요소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잠금 위치에서 코너 캐스팅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하는 패턴에 대한 도면 (적재 방식: 현수);
도 16은 3개의 인접한 콘테이너의 코너를 따라 취한 길이방향 단면의 패턴에 대한 도면인데, 여기에서 2개의 코너는 1개의 콘테이너의 것이다(적재 방식: 수직);
도 17은 콘테이너의 상승시 2개의 콘테이너의 서로 인접한 코너를 따라 취한 길이방향 단면의 패턴에 대한 도면이다(적재 방식: 현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세하게, 20피트 ISO 콘테이너의 이음부 영역에서 콘테이너의 보조 잠금 및/또는 잠금해제를 간소화되도록 상기된 타입의 적재 구성요소를 개선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적재 구성요소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적재 구성요소의 가이드 편과 구멍 사이, 특히 각각의 콘테이너의 코너 캐스팅에서의 연결이 선택적으로 견인 구동장치, 예컨대 견인 케이블의 수단에 의해 가능하다는 사실 또는 가이드 편에 대한 콘테이너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의해 콘테이너는 지지 영역, 특히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위치한 콘테이너에 1개 및 이와 동일한 적재 구성요소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인접한 콘테이너 사이에 견인 구동장치 및 상응하는 적재 구성요소의 수동적인 작동이 불가능한 좁은 결합상태가 존재할 때 상기 모든 요소가 연결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적재 구성요소의 도움으로 콘테이너는 배치되어야 하는 지지 영역 상으로 자동으로 잠금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적재될 콘테이너가 배치되는 지지 영역은 선박의 적재 영역, 선박의 갑판, 그리고 다른 콘테이너의 상단부이다. 추가적으로, 다른 지지 영역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예컨대 콘테이너가 지상에 적재되는 지지 영역도 있다.
볼트는 이의 가이드 수단 내로 비교적 쉽게 배치될 수 있어서, 이러한 배치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소량의 작용력이 충분하게 된다. 더하여, 볼트를 이의 잠금 위치에서 잠금해제 위치로 다시 밀어내기에도 소량의 작용력이 충분하다. 규정으로서, 탄성력이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볼트는 이의 잠금 단부로부터 반대로 향하고 있는 제어 단부 상에서 작용하는 작용력에 의해 잠금 위치에서 조작된다. 이러한 경우에 볼트는 가이드 수단을 통하여 뻗고 가이드 편 전체를 통하여 뻗어 있어서, 움직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부들 양자에서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위치에 있는 제어 단부는 지지 영역으로 하강되는 콘테이너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 제어에 의해 잠금될 콘테이너의 이동에 따라 잠금 운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된 목적을 성취하는 추가적인 적재 구성요소는 청구범위 제 4 항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콘테이너의 지지 영역의 평면과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볼트의 수단에 의해, 볼트와 함께 가이드 편이 그 내로 돌출하는 콘테이너를 비스듬하게 함으로써, 콘테이너의 구멍으로부터 볼트의 앵커 단부에서 멀게 정렬된 가이드 편의 후방부를 결합해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편에 대한 콘테이너의 상대 변위가 유도될 수 있어서, 콘테이너로부터의 적재 구성요소의 연결해제를 결과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재 구성요소는 적재 구성요소의 견인 구동장치를 수동적으로 조작할 필요 없이 콘테이너로부터 풀리거나 연결해제될 수 있다. 더하여, 청구범위 제 4 항의 특징을 갖는 적재 구성요소에 의해, 가이드 수단이 지지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 비스듬하게 뻗는 상태가 성취된다. 볼트는 이 평면 내로 제어 단부로 개방하고, 잠금 단부는 평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평면 상에 놓이며, 이것은 구멍 내에서 제공되는 잠금 위치에 상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트의 제어 단부는, 잠금 단부가 잠금 위치 내로 가압될 수 있을 때, 콘테이너가 하강될 때에만 조작되는 상태가 성취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볼트를 잠금해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탄성력이 볼트에 작용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 단부에서 하중을 제거한 후, 탄성력이 볼트를 잠금해제 위치로 다시 미는 위치로 위치되는 상태가 성취된다.
볼트에 대한 4가지의 실시예가 생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볼트는 단일 편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형태로 볼트는 이의 잠금 단부가 가이드 수단 밖으로 돌출하도록 하강하는 콘테이너에 의해 제어 단부에서 가이드 수단 내로 깊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간단하며, 작동시 어떠한 문제도 야기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볼트는 길이방향으로 하나가 하나의 뒤에 위치하여 가이드 수단 내에서 가압하는 운동이 개시될 때 서로에 대해 작용하는 적어도 2개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잠금 작업을 수행하는 후방부는 잠금될 콘테이너가 가이드 수단의 방향으로 제어 단부 상에 작용력을 작용할 때 압축 스프링에 의해 잠금위치로 가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을 수행하는 후방부는 가이드 수단 내에 탄성적으로 수용되어서, 곤란한 적재 작업시에도 예컨대 콘테이너 상에 강한 바람 압력이 존재할 때, 모든 상황에 대해 탄성적으로 반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잠금 단부를 향하는 후방부에는 잠금 및 잠금해제 작업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잠금해제될 콘테이너를 움직이는 것이 의도되지 않을 때 수동적인 잠금해제를 대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트위스트락 대신 콘테이너의 접근 가능한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재 구성요소가 제공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적재 구성요소는 제어 단부의 도움으로 완전히 자동인 제어를 또한 가능하게 하며, 이의 운동은 콘테이너의 하강 또는 상승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볼트가 이의 잠금 단부로 밖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수단의 잠금 단부를 향하는 부분을 통해서만 뻗으므로 볼트에 대한 간소화가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가이드 수단의 반대 단부는 폐쇄되어서, 볼트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이 그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중요한 장점은, 콘테이너가 하강될 때, 콘테이너의 코너 캐스팅에 있는 구멍의 가이드 에지가 볼트의 잠금 단부에 제공된 미끄럼면 상에서 미끄럼하여서, 이에 따라 볼트를 압축 스프링의 작용력 반대 방향으로 가압한다는데 있다. 콘테이너가 완전히 하강되고 가이드 에지가 잠금 단부를 통과하는 즉시 압축 스프링은 잠금 단부를 잠금 위치로 가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는 핸들 또는 견인 구동장치, 상세하게는 SAT의 특성을 적재 구성요소에 추가하는 견인 케이블 등의 도움에 의해서만 변위될 수 있다.
견인 구동장치를 형성하는 케이블은 노브(knob) 형 핸들을 갖추어 자유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적재 구성요소가 잠금상태일 때 적재 구성요소 밖으로 돌출하는 케이블 부분의 길이는, 인접한 콘테이너들 사이의 좁은 결합상태에서 수직 구멍에, 상세하게는 적재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콘테이너의 코너 캐스팅에 손잡이가 충분히 수용되는 즉,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길이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브 형 핸들은 손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고, 그리고 콘테이너간의 상호작용하는 연결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된 목적을 성취하는 방법은 청구범위 제 22 항의 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콘테이너를 서로 또는 지지 영역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동일한 적재 구성요소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4개의 동일한 적재 구성요소가 콘테이너의 4개의 코너에 해당된다. 적재 구성요소의 상응하는 설계의 수단으로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콘테이너의 한 쪽 상의 적재 구성요소의 잠금상태를 연결해제 즉, 밑에 있는 콘테이너 또는 지지 영역으로부터 케이블 또는 유사한 견인 구동장치의 핸들을 작동시킴으로써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쪽 콘테이너는 기울어질 수 있어서, 견인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인접한 콘테이너들 사이의 접근 불가능한 좁은 이음부의 영역에서 적재 구성요소를 개방시켜야 될 필요없이 다른 2개의 적재 구성요소로부터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근 불가능한 위치에서 밑에 놓인 콘테이너 또는 지지 영역으로부터 콘테이너가 연결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하기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며, 이것은 예시의 방법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3개의 콘테이너(2,3,4)는 지지 영역(1), 예컨대 선박의 박판에 적재된다. 지지 영역에 인접한 하부 콘테이너(2,3)는 20피트 길이인 콘테이너로 형성되고, 상부 콘테이너(4)는 40피트 길이의 콘테이너이며 2개의 하부 콘테이너(2,3) 위에서 돌출하고 있다. 2개의 하부 콘테이너(2,3)의 길이는 40피트 콘테이너(4)보다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5)만큼 짧다. 각각의 3개 콘테이너(2,3,4)에는 콘테이너 코너가 제공되어 있고 각각의 콘테이너는 8개를 가지고 있다. 콘테이너 코너(6)는 바람직하게 규격화된 코너 캐스팅이다.
이러한 콘테이너 코너(6)에는 개구(7,8,9)가 제공되어서, 개구는 콘테이너(2,3,4)를 지지 영역(1) 또는 다른 콘테이너(2,3,4)에 대해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콘테이너(2,3,4)를 서로 그리고 지지 영역(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가 있다. 콘테이너(2,3 또는 4)의 각각의 코너 캐스팅의 각각의 콘테이너 코너(6)는, 지지 영역(1)과의 연결 또는 해당 콘테이너(2,3,4)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콘테이너와의 연결을 위하여 4개의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콘테이너(2,3,4) 상부측 및/또는 하부측 상에서 각각의 콘테이너 코너(6)에는 고정 장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따라, 고정 장치 즉, 적재 구성요소(10)가 사용된다. 이러한 것들은 반자동 적재 구성요소(10)이며 소위 반자동 트위스트락(semi-automatic twistlock;SAT)으로 명명된다.
적재 구성요소(10)는 가이드 편(11)과 함께 콘테이너 코너(6)에 의해 에워싸인 내부 공간(12) 내로 돌출한다. 콘테이너(2,3,4)의 위치결정시 콘테이너 코너(6)는 이러한 가이드 편(11) 상에서 안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콘테이너(2,3,4)가 소정된 지점, 예컨대 지지 영역(1)에서 정확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콘테이너(2,3,4)는 지지 영역(1)을 향하는 이의 하부면(13)으로, 하부면을 향하는 지지 영역(1)의 표면(14) 상에서 지지된다. 콘테이너(2,3,4)는 작동면(15)으로부터 올라오는 가이드 편(11)을 에워싸는 작동면(15) 상에서 콘테이너의 하부면(13)으로 놓이게 된다. 작동면(15)의 반대쪽을 향하는 하부면(16) 상에는, 적재 구성요소(10)가 지지 영역(1) 상에 지지된다. 하부면(16)과 연결되는 것은, 가이드 편(11)의 반대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잠금 편(17)이 있으며, 잠금 편은 지지 영역(1)에 제공된 구멍(18) 내로 돌출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내에서 잠금 캠(19,20)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하부 콘테이너(2,3) 상에 상부 콘테이너(4)가 위치될 때, 적재 구성요소(17)는 밑에 놓인 콘테이너(2,3)의 콘테이너 코너(6)에서 잠금 편(17)과 또한 잠금될 수 있다.
가이드 편(11)을 통하여 뻗어 있는 것은 가이드 수단(21)이며, 이 가이드 수단은 지지 영역(1)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21)는, 이의 하부 개구(22)가 작동면(15)의 영역 내로 지지 영역(1)을 향하는 상태로 개방하고 있는 한편, 이의 반대쪽 상부 개구 또는 높은 개구(23)는, 가이드 수단(21)을 통하여 뻗어 있는 볼트(24)가 지지 영역(1)에 대하여 콘테이너 코너(6)를 잠금시키는 잠금 위치(25)에 있는 방식으로 작동면(15) 위쪽으로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 위치(25)에서 볼트(24)는 지지 영역(1)을 향하는 이의 하부 에지(26)로 콘테이너 코너(6)의 측면(27) 상을 가압하여 지지 영역(1)에 하중을 가한다.
볼트(24)는, 단일체로서 설계되어 있고, 상부 개구(23) 밖으로 나와서 콘테이너 코너(6)의 내부 공간(12) 내로 잠금 단부(28)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콘테이너(2)가 지지 영역(1)의 방향으로 하강될 때, 볼트(24)는 잠금 단부(28) 반대쪽의 제어 단부(29)에서 콘테이너 코너의 측면(27)에 의해 잠금 위치(25)의 방향으로 조작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어 단부(29)에는 경사면(30) 제공되어 있어서 하강하는 콘테이너(2)가 경사면 상에서 미끄럼한다. 따라서, 콘테이너(2)의 중량은 압축 스프링(31)의 압력과 대립되는 상태로 볼트(24)를 가이드 수단(21) 내로 가압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압축 스프링(31)은 제어 단부(29)를 향하는 이의 단부 상에서 하우징(34)을 구획형성하는 단부면(33)에서 제1 종단부(32)로 지지된다. 이러한 하우징(34)은 볼트(24)의 하부면(35)에서 잠금 편(17)을 향하는 홈통 모양이다.
제2 단부면(36)이 제1 단부면(32)의 반대쪽을 향하는 상태로, 압축 스프링(31)은 가이드 수단(21)에 형성된 제2 카운터 지지부(38) 상에서 하우징(34)의 밖으로 돌출하는 하부(36)의 영역에 지지되어서, 볼트(24)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볼트(24)는 압축 스프링(31)에 의해 인장되도록 한다. 콘테이너(2)가 상승되거나 기울어지고 제어 단부(29)가 측면(27)으로부터 풀려서 이에 따라 하중이 제거되는 동시에, 압축 스프링(31)은 볼트(24)를 이의 잠금해제 위치로 되돌려 가압하여서, 잠금 단부(28)가 가이드 수단(21)에 의해 수용되도록 한다. 볼트(24)의 이러한 위치에서 잠금 단부(28)에 인접한 측면(27)의 일부는 볼트(24)의 원형 전방 에지(39)를 따라 미끄럼하여서, 콘테이너 코너(6)로 하여금 가이드 편(11)으로부터 상승될 수 있게 한다.
적재 구성요소(10)의 또 하나의 실시예는 2개의 부재(40,41)를 포함하는 볼트(24)를 갖추고 있다(도 5 내지 도 8). 이러한 2개의 부재(40,41)는 가이드 수단(21)의 길이방향으로 하나가 하나를 뒤따르도록 위치된다. 이들은 연결 웹(42)에 의해 상호연결되고, 이 웹은 2개의 부재(40,41)에 형성된 하우징(34)을 통하여 뻗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34)에 위치된 것은 2개의 압축 스프링(31)이며, 보다 작은 스프링(43)은 보다 큰 스프링(31)을 통하여 뻗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2개의 압축 스프링(31,43)은 반대 방향으로 감겨 있다. 즉, 큰 압축 스프링(31)은 좌측 방향으로 감겨 있고 작은 압축 스프링(43)은 우측 방향으로 감겨 있다.
2개의 압축 스프링 중 큰 것(31)은 하우징(34) 밖으로 돌출하며 이의 제1 종단면(32)으로 부재(41)에서 하우징(34)을 구획형성하는 단부면(33)에 지지된다. 하우징(34) 밖으로 돌출하는 큰 압축 스프링의 하단부는 가이드 수단(21)에 형성된 카운터 표면 상에 지지된다.
대조적으로, 작은 압축 스프링(43)은 하우징(34) 밖으로 하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작은 스프링은 부재(41)에 형성된 하우징(34)의 단부면(33)에서 단독적으로 지지되는 한편, 단부면(33)의 반대편에 놓인 이의 전방 단부(44)는 부재(40)에 형성된 인접한 단부면(45) 상에 지지된다.
2개의 부재(40,41)는 미끄러져 빠지지 않도록 가이드 수단(21)에 단단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들은 가이드 수단(21)에 형성되어 있는 상응하게 제공된 홈(47)에 있는 부재(41)에 형성된 가이드 면(46)의 도움으로 안내된다.
추가적으로, 부재(40,41) 양자는 연결 웹(42)에 의해 상호연결되고, 이로부터 가이드 핀(48)이 슬롯(49) 내로 개방되어 있으며 그 내에서 볼트(24)의 길이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승하는 콘테이너 코너(6)의 측면(27)으로부터 후방 부재(41)로부터의 하중의 제거시, 후방 부재(41)가 가이드 수단(21)에서 압축 스프링(31)에 의해 조작되어서 잠금해제 위치로 미끄러지는 것이 보장되고, 이에 따라, 전방 부재(40)를 가이드 핀(48)을 통하여 잠금해제 위치 내로 끌어내게 된다.
볼트(24)의 2개의 부재(40,41)를 포함하는 이러한 구조의 경우에서, 콘테이너 코너(6)의 측면(27)에 의한 제어 단부(29)로의 하중 작용시, 잠금 단부(28)의 이동은, 측면(27)이 위치된 하강된 위치에 대해 탄성적으로 작용하기에 적합하게 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우선적으로 후방 부재(41)는 전방 부재(40)의 방향에 있는 슬롯(49)을 따라 변위된다. 측면(27)이 전방 부재(40)의 잠금 단부(28)를 풀었을 때에만, 작은 압축 스프링(43)이 전방 부재(40)를 잠금 위치로 가압한다.
많은 경우에서, 제어 단부(29)에 의한 측면(27)의 풀림이 수행되기 전에, 콘테이너(2,3,4)의 잠금해제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는 예컨대 콘테이너(2,3,4)가 지지 영역(1)과 평행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상승될 때 발생할 수 있어서, 잠긴 쪽의 영역에서는 콘테이너가 여전히 지지 영역(1)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 한편, 수동적으로 잠금해제된 쪽은 이미 상승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장치(50)가 제공된 실시예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이러한 장치는 축(52)에 대하여 피벗 가능한 원호형 편(53)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편심기(51)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원호형 편(53)은 원호부(54)에 의해 구획형성된다. 축(52)은 원호부와 편심된 위치에서 원호형 편(53)을 관통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피벗식 구동장치(55)인 견인 구동장치에 원호형 편(53)이 연결되어 있다. 구동장치는 원호부(54)를 거쳐 뻗어 있는 케이블(56)의 형태로 되어 있고, 원호부를 통하여 뻗어 있는 홈에 연장되어 있으며, 축(52)의 반대편에 있는 단부(57)에서 원호형 편(53)과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56)은 작동면(15)을 통하여 뻗어 있는 보어(58)를 통하여 밖으로 전달되고, 보어(58) 밖으로 돌출하는 이의 단부(59)에서 예컨대 파지하기 쉬운 손잡이 형태의 핸들(60)을 수용하고 있다. 보어(58)는 케이블(56)의 편향을 용이하게 하는 개구부(61) 내로 개방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핸들(60)로 케이블(56)을 개구부(61) 밖으로 잡아 당길 때, 각각의 사용자를 위한 편리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케이블(56)에는 복귀 스프링(62)이 연결되어 있어서, 케이블(56)의 풀림 이후에 케이블이 이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원호형 편(53)은 부재(40) 상에서 원호부(54) 상에 상응하게 형성된 캐치(63)로 원호형 편의 원호부(54)를 밀접하게 따른다. 이러한 캐치(63)는 원호형 편(53)에 면하는 원호형 면(65)을 가지고 있으며, 원호형 편(53)이 피벗될 때, 이면에 대해 원호부(54)가 가압된다. 초기 위치(64)에서, 원호형 편(53)의 도움으로 원호형 면(65)에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서, 전방 부재(40)는 단지 압축 스프링(30 또는 43)의 압력하에 있을 뿐이다. 후방 부재(41)에 형성된 제어 단부(29)가 측면(27)의 영향을 받고 있고, 볼트(24)가 이에 따라 이의 잠금 위치 내로 변위되면, 원호형 면은 원호형 편(53)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차후에, 측면(27)을 상승시킴으로써 제어 단부(29)로부터 하중이 제거되지 않는 상태로, 가이드 수단(21)의 방향으로 잠금 위치로부터 전방 편(40)이 수축되어야 하는 것이 발생할 것이면, 핸들(60)의 도움으로 케이블(56)에 견인력이 작용되어서, 편심기(51)가 축(52)에 대하여 피벗 선회한다. 따라서, 원호부(54)는 캐치(63)의 원호형 면(65)과 접하게 되어서 이를 후방 부재(41)의 방향으로 가압하고 핸들(60)에 견인력을 추가하면서 이에 따라 부재(42)도 가압한다. 따라서, 2개의 스프링(31,43)의 인장은 증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테이너 코너(6)의 측면(27)이 가이드 편(11)으로부터 압출될 수 있을 때까지 전방 부재(40)는 수축될 수 있다. 이러한 원호형 편(53)의 피벗된 위치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도 11은 원호형 편(53)의 원호부(54)가 캐치(63)의 원호형 면(65) 상에 작용하지 않는 부재(40)의 잠금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케이블(56)의 길이 및 손잡이 형 핸들(60)의 치수는 특별히 선택된다. 따라서, 핸들(60)은 상응하는 콘테이너 코너(6)의 하나의 단부면에 있는 수직 구멍 내로 특히, 하나의 코너 캐스팅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적재 구성요소(10) 밖으로 횡단 방향으로 돌출하는 케이블(56)의 길이는 이에 따라 선택된다. 따라서, 인접한 콘테이너 사이의 좁은 이음부의 경우에서, 각각의 적재 구성요소(10)의 핸들(60)은 상응하는 구멍을 통하여 해당 콘테이너 코너(6)로 횡단방향으로 지나갈 수 있다. 그러면, 케이블(56)에 있는 핸들(60)은 콘테이너의 적재시 방해요인이 되지 않는다. 특히, 콘테이너는 핸들(60)의 치수보다 작은 간격을 두고 적재될 수 있다.
원호형 편(53)을 피벗시키는 작용력이 케이블(56)을 통하여 작용되는 피벗식 구동장치(55) 대신, 레버(84)의 도움으로 원호형 편(53)을 축(52)에 대하여 피벗 선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레버(84)는 원호형 편(53)에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다(도 12).
작동에 있어서 추가적인 요소는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장치(50)가 제공된 적재 구성요소(10)의 경우를 결과하는데, 이러한 경우에서는 상기된 실시예에 따라, 제어 단부(29)를 통하여 볼트(24)가 각각의 소정의 위치로 더 이상 변위될 필요가 없고, 가이드 수단(21)에서 지지되는 압축 스프링(66)에 의해 볼트(24)가 잠금 위치 내로 계속 가압되는 수단으로 잠금 단부(28)만 가지고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압축 스프링(66)은 볼트(24)를 구획형성하는 후방 벽(68)에서 하나의 단부로 지지되고 다른 단부로 가이드 수단(21)을 구획형성하는 단부(67)에서 지지된다(도 13 내지 도 17).
콘테이너(2,3,4)의 잠금시 이의 측면(27)은 볼트(24)의 잠금 단부(28)의 방향으로 하강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잠금 단부(28)는 측면(27)을 안내하는 미끄럼 면(69)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미끄럼 면은 하강하는 측면(27)의 압력하에서 가이드 수단(21)의 방향으로 항복을 하여, 이에 따라 압축 스프링(66)을 인장시킨다. 측면(27)이 잠금 단부(28)의 최외각 지점을 지나 잠금 위치 내로 이동할 정도로 볼트(24)가 항복하면, 볼트(24)는 압축 스프링(66)에 의해 다시 잠긴 위치로 가압된다. 이제 콘테이너 코너(6)는 볼트(24)에 의해 자동적으로 잠기게 된다.
이러한 잠금 상태가 해제되려면,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장치(50)가 작동된다. 이 경우에서는 핸들(60)을 통해 작용력이 케이블(56)로 도입된다. 케이블은 피벗 조인트(71)를 통하여 피벗 레버(72) 상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벗 레버(72)는 단단하게 원호형 편(53)에 연결되고, 그리고 축(52)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피벗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원호형 편(53)이 피벗되면, 원호부(54)는 볼트(24) 상에 형성된 가압면(73)에 대항하여 가압되어서, 원호형 편(53)의 피벗 작용이 증가하면서 볼트(24)는 잠금 위치 밖으로 후진으로 미끄러져서 이에 따라 압축 스프링(66)을 가압한다. 이와 동시에 장치(50)를 에워싸는 나선형 스프링(74)은 인장되고, 이는 케이블(56)로부터 하중이 제거된 후, 볼트(24)가 조작되지 않는 초기 위치로 원호형 편(53)이 복귀되는 것을 보장한다.
볼트(24)가 잠금 위치로부터 빼내어진 후, 측면(27)은 최외각 지점(70)을 너머 미끄럼할 수 있고 가이드 편(11)으로부터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해제 위치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적재 구성요소(10)를 조립하기 위하여, 적재 구성요소는 길이 방향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연결 나사(75,76,77)로 부착되는 주강으로 만들어진 2개의 반쪽이 결과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연결 나사(77)는 부가적으로 나선형 스프링(74)을 위한 고정 수단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적재 구성요소(10)에 대한 본 실시예의 매우 유리한 장점은, 수동으로 작동되는 적재 구성요소(10)와 같이 변경을 취할 필요 없이 만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예컨대 자동적인 작업시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5)의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이러한 경우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서, 현수 타입 적재에 있어서, 적재 구성요소(10)는 잠금 편(17)이 도시되지 않은 상부 콘테이너의 콘테이너 코너(6) 내에 있는 상태로 매달려 있게 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부 콘테이너(78)는 하부 콘테이너(79)의 방향으로 하강되어서, 적재 구성요소(10)가 이의 가이드 편(11)과 함께 하부 콘테이너(79)의 콘테이너 코너(6) 내로 미끄럼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24)는 하부 콘테이너(79) 상에 제공된 콘테이너 코너(6)의 측면(27)에 의해 가이드 수단(21)의 방향으로 조작된다. 상부 콘테이너(78)가 적재 구성요소(10)의 작동면(15) 상에 위치되는 즉시 측면(27)은 볼트(24)의 최외각 지점(70)을 너머 미끄러진다. 따라서, 잠금 작용은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5)의 영역 및 반대편의 영역(80) 양자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콘테이너(78)가 다시 상승되어야 한다면, 우선적으로 콘테이너의 수동적으로 접근 가능한 영역에서 콘테이너의 단부면 상에 놓인 2개의 적재 구성요소(10)가 잠금 해제된다. 이것은 핸들(60)의 작동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원호형 편(53)이 피벗되고 이에 따라 원호부(54)가 가압면(73) 상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볼트(24)는 압축 스프링(66)의 작용에 상반되게 가이드 수단(21) 내로 수축된다. 이제 상부 콘테이너(78)는 2개의 수동으로 잠금 해제된 적재 구성요소(10)의 영역에서 상승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콘테이너(78)의 반대편 단부면의 영역에 있는 다른 적재 구성요소(10)는 여전히 밑에 있는 콘테이너(79)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콘테이너(78)를 상승시킬 때, 상부 콘테이너는 기울어진다. 이것의 결과는, 볼트(24)의 잠금 단부(28)로부터 멀리 정렬된 가이드 편(11)의 수직인 후방측은 하부 콘테이너(29)의 콘테이너 코너(6)의 코너 캐스팅에 있는 구멍의 측면(27)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 콘테이너(78)는 하부 콘테이너(29)와 상대되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15에서 우측으로). 이에 의해 하부 콘테이너(79)의 콘테이너 코너(6)에 있는 가이드 편(11)의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5) 내에서의 상대 이동이 있게 된다. 이러한 상대 이동은 가이드 편(11)의 가이드 수단(21) 밖으로 돌출하는 볼트(24)의 잠금 단부(28)가 하부 콘테이너(79)의 콘테이너 코너(6) 밖으로 미끄러져 나오는 상태를 결과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볼트(24)는 이의 전방 에지(39)로 하부 콘테이너(79)의 콘테이너 코너(6)에 있는 구멍의 측면(27)을 따라 미끄러진다. (대안적으로) 필요하다면, 볼트(24)의 전방 에지(39)를 미끄럼 에지(81)로 설계하므로써, 볼트(24)는 볼트(24)의 특정한 상대 이동의 방향 또는 콘테이너 코너(6)에 있는 가이드 편(11)의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어서, 이러한 방식으로 압축 스프링(66)이 인장되고 그리고 볼트(24)가 가이드 수단(21) 내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가압될 수 있게 한다. 측면(27)은 그 후, 미끄럼 면(81)의 최외각 지점을 너머 미끄러질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적재 구성요소(10)가 콘테이너 코너(6)에 있는 개구(8) 밖으로 통과할 수 있다.
하부 콘테이너(83)에 대한 상부 콘테이너(82)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는, 하부 콘테이너(83)의 콘테이너 코너(6) 내로 적재 구성요소(10)가 이들의 잠금 편(17)과 함께 스러스트되면 유사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상부 콘테이너(82)는 하부 콘테이너(83)의 콘테이너 코너(6)로부터 올라오는 가이드 편(11) 상으로 하강된다(도 16 및 도 17). 상부 콘테이너(82)에 부착된 콘테이너 코너(6)의 측면(27)은 볼트(24)를 가이드 수단 내로 가압한다. 측면(27)이 최외각 지점을 지나는 즉시, 가압된 압축 스프링(66)은 볼트(24)를 이의 잠금 위치로 다시 가압하여서, 상부 콘테이너가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5)의 영역 및 반대쪽의 영역 양자에서 잠기게 된다.
상부 콘테이너(80)가 상승될 때, 우선적으로, 단부 측에 놓인 2개의 적재 구성요소(10)가 각각의 적재 구성요소(10)의 핸들(60)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잠금 해제된다. 따라서 볼트(24)는 각각의 적재 구성요소(10)의 가이드 수단(21) 내로 수축된다. 각각의 적재 구성요소(10)의 측면(27)은 상응하는 콘테이너 코너(6)의 최외각 지점을 너머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콘테이너(82)는,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5)의 좁은 상태 때문에 핸들(60)을 통해 수동적으로 잠금 해제될 수 없는 반대 단부 측에 위치된 콘테이너 코너(6)의 영역에서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비스듬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비스듬한 위치결정 때문에, 가이드 편(11)의 후방측은 상부 콘테이너(82)의 상응하는 콘테이너 코너(6)의 인접한 측면(27)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 수단(21) 밖으로 돌출하는 적재 구성요소(10)의 볼트(24)의 전방 에지(39)는 좁은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5)의 영역에서 각각의 상부 콘테이너(82)의 콘테이너 코너(6)의 코너 캐스팅 밖으로 피벗된다(도 18). 이제 상부 콘테이너(82)의 전체가 하부 콘테이너(83)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잠금 해제 절차를 위한 본질적인 특성은, 볼트(24)가 각각의 콘테이너의 하부측 또는 상부측을 거쳐 뻗어 있는 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거나 경사져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경사지게 하는 것은 볼트(24)가 잠금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응하는 콘테이너 코너(6)로부터 가이드 편(11)을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더하여, 가이드 수단(21)에 의해 관통되는 가이드 편(11)의 전방면이 작동면(15)에 대하여 소량 경사져 있어서, 상응하는 콘테이너의 상승하는 측면(27)에 대한 볼트(24)의 전방 에지(39) 방향으로의 변위가 용이해지는 것으로 이러한 제거작업은 용이해진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능의 수단에 의해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5)의 영역 및 적재 콘테이너(10)의 수동적인 조작을 위하여 접근 가능한 영역 양자에서의 통합된 적재 구성요소(10)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좁은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5)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콘테이너 구성요소와 수동적인 조작을 위하여 접근 가능한 영역에서 사용되는 콘테이너 구성요소에 대한 기존의 필수적인 차이가 모든 경우에 대해서 사용 가능한 본 발명의 통합된 적재 구성요소 즉, 반자동 적재 구성요소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25)

  1. 콘테이너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제공되어 있는 이의 하면으로 지지되는 지지 영역인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콘테이너에서 지지 영역으로부터 올라오는 가이드 편이 안내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상태로 지지 영역에 대해 콘테이너를 잠금시키기 위한 가이드 편을 가지고 있는 적재 구성요소에 있어서,
    가이드편(11)이, 가이드편(11) 내에서 뻗어 있는 가이드 수단(21)에서의 잠금 위치 내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볼트(24)에 의해 구멍에서 잠금 가능하고, 그리고 구멍에서의 가이드 편(11)의 잠금된 상태가, 견인 구동장치 또는 가이드 편(11)을 기준으로 구멍과 함께 하는 콘테이너의 상대 이동에 의해 잠금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볼트(24)는, 잠금 단부(28)로부터 반대로 향하고 있고 볼트(24)의 잠금 위치에서, 그 상에 작용하는 작용력에 의해 조작되는 제어 단부(29)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3.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단부(29)가 지지 영역(1)으로 하강되는 콘테이너에 의해 잠금 위치에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4. 콘테이너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제공되어 있는 이의 하면으로 지지되는 지지 영역인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콘테이너에서 지지 영역으로부터 올라오는 가이드 편이 안내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상태로 지지 영역에 대해 콘테이너를 잠금시키기 위한 가이드 편을 가지고 있는 적재 구성요소에 있어서,
    가이드편(11)이, 가이드편(11) 내에서 뻗어 있는 가이드 수단(21)에서의 잠금 위치 내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볼트(24)에 의해 구멍에서 잠금 가능하고, 그리고 볼트(24)의 잠금 단부(28)가 가이드 수단(24) 밖으로 나와서 구멍 내로 돌출하며, 그리고 볼트(24)가, 이의 잠금 단부(28)를 향하여 볼트(24)와 지지 영역(1)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는 방식으로 지지 영역(1)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트(24)가 가이드(21)에서 비스듬한 상태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의 제어 단부(29)로 지지 영역(1)의 평면으로 개방하고 있으며, 그리고 잠금 단부(28)가 간격을 두고 지지 영역(1) 위에 놓여 있고, 이것은 구멍에 제공되어 있는 잠금 위치(25)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트(24)가 이의 길이방향으로 하나가 하나의 뒤에 위치된 적어도 2개의 부재(40,41)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및 잠금 해제용 장치(50)가 볼트(24)와 관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8. 제 7 항에 있어서, 잠금 및 잠금 해제용 장치(50)가 바람직하게 볼트(24) 상에 지지되는 편심기(51)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9. 제 8 항에 있어서, 잠금 및 잠금 해제용 편심기(51)가 볼트(24)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10. 제 8 항에 있어서, 편심기(51)가 축(52)에 장착되어 있고 피벗되기 위하여 견인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11. 제 10 항에 있어서, 견인 구동장치가 케이블(56) 및 이의 자유 단부에 위치된 핸들(60)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블(56)은 편심기(51)에 연결된 피벗 레버(72)에 관절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12. 제 8 항에 있어서, 편심기(51)가 축(52)에 대하여 피벗 가능한 원호형 편(53)의 형태로 되어 있고 원호부(54)에 의해 구획형성되며, 원호부(54)의 중점과 떨어진 지점에서 축(52)에 의해 관통되며, 그리고 원호부(54)와 함께 볼트(24) 상에 형성된 원호면(65) 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원호면(65)이 원호부(54)에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호형 편(53)이 레버 구동장치에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트(24)가 스프링(31)의 작용력의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 수단(21) 내에서 하강하는 콘테이너(2,3,4)에 의해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16. 제 15 항에 있어서, 볼트(24)가 가이드 수단(21) 밖으로 잠금 위치에서 돌출하는 미끄럼면(69)을 볼트의 잠금 단부(28)에서 가지고 있으며, 미끄럼면(69)은 하강하는 콘테이너(2,3,4)에 의해 조작되어서, 이에 따라 가이드 수단(21)의 방향으로 볼트(24)를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17. 제 16 항에 있어서, 볼트(24)가 이의 잠금 단부(28) 상에, 상승하는 콘테이너(2,3,4)에 의해 조작되는 가압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스프링 작용력의 반대방향으로 볼트(24)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편(11)이 볼트(24)의 잠금 단부(28)로부터의 잠금 위치(25)에 의해 소정된 수직 간격에서 지지 영역(1)과 평행하게 뻗고 있는 작동면(15)에 의해 에워싸여 있고, 상기 작동면(15)의 하면(16)이 지지 영역(1)에 지지되고 그리고 콘테이너의 하면(13)이 상부 둘레면을 향하고 있고 하면(16)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이의 상부측 상에서 지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면이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5)로부터 반대로 면하는 방향으로 맞추어진 하향 경사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피트 ISO 콘테이너 이음부(5)에 향하는 콘테이너(2,3,4)의 측상에서 사용되는 2개의 가이드 편들 중 하나가 이음부(5)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향 경사부를 가진 미끄럼면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다른 하나는 반대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향 경사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56) 및 핸들(60)은, 적어도 핸들(60)이 콘테이너, 상세하게는 콘테이너 코너(6)에 있는 구멍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치수 또는 설계조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구성요소.
  22. 지지 영역 상에 고정되고 지지 영역에 면하는 콘테이너의 표면에 제공된 구멍 내로 가이드 편과 함께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구성요소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콘테이너인 지지 영역 상에 콘테이너를 적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테이너의 4개의 코너가 동일한 적재 구성요소로 지지 영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콘테이너에 연결되고, 그리고 콘테이너를 지지 영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테이너로부터 잠금 해제하기 위하여, 2개의 적재 구성요소가 콘테이너의 한측에서 견인 구동장치에 의해 개방되고, 그리고 콘테이너가 잠금 해제된 적재 구성요소의 쪽에서 한 측이 상승되어, 이에 따라 기울어져서, 이러한 기울어짐에 의해 다른 2개의 적재 구성요소가 잠금 해제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수동적으로 잠금되지 않는 적재 구성요소(10)들이, 콘테이너에 있는 구멍으로부터 이들의 가이드 편(11) 밖으로 피벗하는 것 그리고 지지 영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테이너에 대한 연결해제될 콘테이너의 상대적인 변위에 의해 자동적으로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볼트(24)가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장치(50)의 조작에 의해 접근 가능한 적재 구성요소(10)의 영역에서 잠금 해제되고 그리고 콘테이너가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된 적재 구성요소(10)의 영역에 있는 한측에서 상승되며, 그리고 이렇게 기울어진 콘테이너는 볼트(24)의 잠금 단부(28)에 제공된 미끄럼면(69) 위로 여전히 잠금 위치에 있는 적재 구성요소(10)의 영역으로 미끄러져서 잠금 위치 밖으로 빠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이전 항들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반자동 적재 구성요소(10)가 적재 구성요소(10)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1415A 1997-08-12 1998-08-08 적재편 및 콘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 KR20010030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4813A DE19734813A1 (de) 1997-08-12 1997-08-12 Staustück
DE19734813.0 1997-08-12
PCT/EP1998/005038 WO1999007623A1 (de) 1997-08-12 1998-08-08 Staustück und verfahren zum stauen von behälter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566A true KR20010030566A (ko) 2001-04-16

Family

ID=783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415A KR20010030566A (ko) 1997-08-12 1998-08-08 적재편 및 콘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537001B1 (ko)
EP (1) EP1003682B1 (ko)
JP (1) JP2001513474A (ko)
KR (1) KR20010030566A (ko)
CN (1) CN1151052C (ko)
AU (1) AU9259198A (ko)
DE (2) DE19734813A1 (ko)
DK (1) DK1003682T3 (ko)
ES (1) ES2181267T3 (ko)
HK (1) HK1030404A1 (ko)
IL (1) IL134467A (ko)
PL (1) PL338376A1 (ko)
TW (1) TW512117B (ko)
WO (1) WO1999007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5128A1 (de) * 1999-06-02 2000-12-07 Macgregor Conver Gmbh Kuppelstück zum Verbinden von Containern
DE10032566A1 (de) * 2000-04-06 2002-01-17 Horst Neufingerl Selbsttätig lösbare Verbindungsbaugruppe, insbesondere zum Verbinden zweier übereinander angeordneter Seefracht-Container
US7731459B2 (en) * 2005-01-21 2010-06-08 Bnsf Railway Company Container for oversized cargo
JP4719301B1 (ja) * 2010-04-03 2011-07-06 株式会社ロッコーエンジニアリング コンテナの連結用金具
EP3281885B1 (en) 2015-04-09 2021-06-09 Minato Seiki Iron Works Co., Ltd. Container fixing device
FI127888B (fi) * 2016-04-27 2019-04-30 Macgregor Finland Oy Sovitin
KR102140090B1 (ko) * 2017-11-10 2020-08-03 한광희 컨테이너 결속장치
WO2023230674A1 (en) * 2022-06-03 2023-12-07 Jaxal Industries Pty Ltd Apparatus for use in loading shipping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09983A (fr) * 1966-11-10 1968-01-19 Frangeco Dispositif de verrouillage entre un container ou semi-remorque et son bogie routier,pour les transports rail-route
US3827375A (en) * 1968-03-07 1974-08-06 Acf Ind Inc Container securing means for railway flat cars
US3508501A (en) * 1968-05-24 1970-04-28 Pullman Inc Bracket arrangement for securing cargo containers on vehicles
US3604363A (en) * 1970-06-01 1971-09-14 Illinois Railway Equipment Co Container securing means for transport carrier with automatic latch to accommodate various clearances with bottom container fittings
US4277212A (en) * 1979-03-16 1981-07-07 Peck & Hale, Inc. Connector interconnecting freight devices
FR2519136A1 (fr) * 1981-12-28 1983-07-0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controle du profil d'une piece
US4776736A (en) * 1987-06-01 1988-10-11 Portec, Inc. Twin container hold down
DE4030336C2 (de) * 1990-09-25 2001-03-22 Macgregor Conver Gmbh Kuppelstück zum Verbinden von Containern
SE467459B (sv) 1990-09-25 1992-07-20 Allset Marine Lashing Ab Vridlaas foer hoernlaadorna till containrar
US5356249A (en) * 1993-03-30 1994-10-18 Buffers Ab Automatic securing system for locking and unlocking a freight container to a load carrier
US5570981A (en) * 1993-11-16 1996-11-05 Holland Company Latch device for securing cargo containers to vehicle decks
US5575599A (en) * 1994-04-15 1996-11-19 Penz Products, Inc. Container lock pin system
DE19504635A1 (de) 1994-08-19 1996-02-22 Macgregor Conver Gmbh Kuppelstück zur lösbaren Verbindung von Containern
US5842821A (en) * 1995-05-08 1998-12-01 National Steel Car Limited Container support pedestal
US5613814A (en) * 1995-07-27 1997-03-25 Jackson; Robert G. Latching mechanism for securing shipping containers on transport vehicles
GB9605532D0 (en) * 1996-03-15 1996-05-15 Reynard Stephen K Auto-lock chassis front pin
DE29617029U1 (de) 1996-09-30 1996-11-21 Wader Willi Gmbh Selbstverriegelndes Verbindungselement für Container
DE29717934U1 (de) 1997-10-09 1997-12-11 Marine Equip & Consult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von übereinandergestapelten Behältern
US6039519A (en) * 1998-06-25 2000-03-21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Impact-resistant restraint for carg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34467A0 (en) 2001-04-30
CN1151052C (zh) 2004-05-26
HK1030404A1 (en) 2001-05-04
DK1003682T3 (da) 2002-11-04
IL134467A (en) 2004-02-19
AU9259198A (en) 1999-03-01
DE59805990D1 (de) 2002-11-21
PL338376A1 (en) 2000-10-23
EP1003682B1 (de) 2002-10-16
ES2181267T3 (es) 2003-02-16
JP2001513474A (ja) 2001-09-04
DE19734813A1 (de) 1999-02-18
US6537001B1 (en) 2003-03-25
WO1999007623A1 (de) 1999-02-18
CN1269761A (zh) 2000-10-11
TW512117B (en) 2002-12-01
EP1003682A1 (de) 200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7002B2 (en) Method for holding containers
US4638744A (en) Corner mechanism for collapsable container
US4591307A (en) Corner fitting with retractable twist lock
US7621414B2 (en) Coupling piece for joining two containers that are stacked one atop the other, arrangement of stacked containers, and method for joining stacked containers using coupling pieces of this type
EP1063178B1 (en) Container connector
US4419034A (en) Telescopable retractable stacker key locking device
CN101500848B (zh) 锁定装置
US4925226A (en) Manually operated cargo container hook apparatus
CN102530447B (zh) 集装箱自锁系统
US5560088A (en) Coupling pieces for connecting containers
KR20110066937A (ko) 화물선에 사용되는 컨테이너들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장치
US9346615B2 (en) Coupling member for interconnecting two containers stacked one above the other
EP1532045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cking ship containers
KR20010030566A (ko) 적재편 및 콘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
GB2276664A (en) An automatic securing system for locking and unlocking a freight container to a load carrier
CN107531405B (zh) 集装箱固定装置
US4382734A (en) Cargo securement device
EP0281422A2 (en) Collapsible container
US4382735A (en) Cargo securement device
US4202643A (en) Solid container coupling device
CZ142097A3 (cs) Zámek kontejneru
US4521044A (en) Twistlock operator
WO2019070188A1 (en) COUPLING DEVICE FOR FREIGHT CONTAINERS, ASSEMBLY ARRANGEMENT, AND LATCHING METHOD OF CONE INSERTION COUPLING DEVICE
US6490766B1 (en) Coupling device including automatic latching lock
CA2120876A1 (en) Integrated interbox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