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194A -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 Google Patents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194A
KR20010028194A KR1019990040293A KR19990040293A KR20010028194A KR 20010028194 A KR20010028194 A KR 20010028194A KR 1019990040293 A KR1019990040293 A KR 1019990040293A KR 19990040293 A KR19990040293 A KR 19990040293A KR 20010028194 A KR20010028194 A KR 20010028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rthopedic splint
support
polyurethane prepolymer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9261B1 (ko
Inventor
최용호
강재신
Original Assignee
허승욱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최용호
강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욱,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최용호, 강재신 filed Critical 허승욱
Priority to KR101999004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2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21/08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4Stiffening bandages, e.g. with plaster of Par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는 2 내지 15mm 두께의 지지체에, 지지체 중량을 기준으로 200 내지 1000중량%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프리폴리머 함침층; 및 상기 함침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며 0.5 내지 3 mm 두께의 제1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및 보호층이 부직포 또는 편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Orthopedic splint and brace}
본 발명은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섬유와 같은 유해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위생적이고 X-ray 투과성이 양호하며, 시술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피착체와 밀착성이 뛰어나 굴곡진 신체부위에 적용하기 편리한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정형외과 등에서 골절상 등의 치료에 사용하는 종래의 석고 깁스는 시술이 불편하고 중량이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X-ray 투과성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리섬유 직물 같은 지지체에 경화성 수지류를 피복시킨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에 관한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는 유리섬유 직물과 같은 유연성있는 지지체에 수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를 코팅 및/또는 함침시켜서 제조된 것이다. 그러나, 유리섬유 지지체는 시술하기 위하여 절단하는 경우 유리섬유 분진이 발생하여 환자에게 가려움증 또는 급성 경피독성 등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후에는 완전히 소각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폐기처분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는 소정 강도(strength)와 강성(rigidity)가 요구되는데 직물 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여러장의 직물을 적층하여야 한다. 따라서, 팔꿈치, 발뒤꿈치와 같이 굴곡이 심한 부위에는 신체와 밀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시술하는데 숙련된 기술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신체와 잘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형용 부목재 또는 보조기가 경화되면 외관이 미려하지 않음은 물론 신체를 충분히 고정하지 못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고 소기의 치료목적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리섬유와 같은 유해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위생적이면서 X-ray 투과성이 양호하며, 시술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후 폐기처분이 용이하며, 더 나아가 신체와의 밀착성이 양호한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형용 부목재 또는 보조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함침층
11, 12... 보호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2 내지 15mm 두께의 지지체에, 지지체 중량을 기준으로 200 내지 1000중량%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프리폴리머 함침층; 및 상기 함침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며 0.5 내지 3 mm 두께의 제1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및 보호층이 부직포 또는 편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체는 밀도 0.05 내지 0.6 g/cm3의 폴리에스테르 편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층은 밀도 0.05 내지 0.3 g/cm3의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편직물은 DTY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체는 단층 또는 이중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체 및 보호층이 밀도 0.05 내지 0.3 g/cm3의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단섬유,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폴리에스체르 단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65중량%의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3 내지 10중량%의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5 내지 30 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 6 내지 8중량%의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랜덤공중합체, 수경화촉매로서 0.5 내지 2중량%의 디모르폴리노디에틸에테르, 소포제로서 0.1 내지 2중량%의 폴리알킬렌옥시디메틸실록산 및 안정제로서 0.01 내지 1중량%의 인산을 반응시켜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가소제로서 디부틸프탈레이트를,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이 10 내지 20 중량%의 세라믹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단섬유,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DTY 사로 이루어진 편직물과 같은 지지체에 수경화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가 함침된 프리폴리머 함침층(10)을 상기 지지체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이루어진 보호층(11, 12)이 감싸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지지체의 밀도는 부직포인 경우에는 0.05 내지 0.3g/cm3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편직물인 경우에는 0.05 내지 0.6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지나치게 단단하여 굴곡진 부위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부직포의 두께는 정형용 부목재 또는 보조기를 적용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함침층의 경우는 2 내지 15mm, 보호층의 경우는 0.5 내지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충분한 양의 수지를 함침시킬 수 없고 너무 두꺼우면 적용 신체부위와의 밀착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직포의 제조공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에틸렌 단섬유,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와 같은 단섬유의 집합체를 카딩(carding)하여 웹(web)을 제조한다. 제조한 웹을 저속으로 프리니들링(preneedling)하여 느슨한 구조의 부직포를 형성한다. 프리니들링 공정에서는 니들링 머신의 바늘이 웹을 관통하면서 웹을 구성하는 단섬유들을 서로 얽히도록 하여 느슨한 구조의 부직포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필요에 따라 느슨한 구조의 부직포를 더욱 고속으로 니들링함으로써 느슨한 구조의 부직포의 단섬유들이 더욱 얽히도록 하여 상기 부직포의 구조가 컴팩트해지도록 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편직물은 가볍고 성긴 구조의 DTY 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충분한 양의 수지를 단층 구조에 함침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굴곡진 신체 부위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한 조성물을 예로 들면,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65중량%의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3 내지 10중량%의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5 내지 30 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 6 내지 8중량%의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랜덤공중합체, 수경화촉매로서 0.5 내지 2중량%의 디모르폴리노디에틸에테르, 소포제로서 0.1 내지 2중량%의 폴리알킬렌옥시디메틸실록산 및 안정제로서 0.01 내지 1중량%의 인산을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0.5 내지 2중량%의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합물을 30 ~ 12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1 ~ 10시간 반응시켜 얻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반응비는 반응후 생성되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가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기를 12 ~ 16몰% 함유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기는 하기 반응식과 같이 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하면서 우레아 결합을 형성하여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경화시킨다.
-NCO + HOH + OCN- → [-NH-CO-O-OC-NH-] → -NHCONH- + CO2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가 함유하는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함량이 12몰% 미만이면 수경화 반응시 반응물의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불량하고, 16몰%를 초과하면 부목재 또는 보조기의 접착력이 감소하고 최종 경화물이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예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은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인 것과 450인 것이 1:1 내지 1:2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랜덤공중합체도 사용할 수 있는데,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0이며, 에틸렌글리콜이 1 내지 15중량%의 비율로 공중합된 것이 물과의 친화성 증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반응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역시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바람직한 것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상기 수경화 촉매는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를 시술하기 위하여 물에 적셨을 때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경화반응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촉매화합물로서는 아민계 화합물, 모르폴린계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민계 화합물 촉매로서는 디에틸렌 트리아민, 헥사메틸렌 디아민 등을, 모르폴린계 화합물 촉매로서는 디모르폴리노디에틸에테르, 비스(2,6-디메틸모르폴리노) 디에틸 에테르, 비스[2-(4-모르폴리노)프로필] 에테르, 비스[2-{4-(2,6-디메틸모르폴리노)}프로필] 에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디모르폴리노 디에틸에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밖에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 등의 금속계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중의 상기 수경화 촉매 함량은 상기 프리폴리머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5 ~ 2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를 실질적으로 수분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즉 시술하기전 보관하는 동안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조기 경화 반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인산(H3PO4)이 바람직하다. 안정제의 함량은 상기 프리폴리머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1 ~ 1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수경화반응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소포제, 예를 들면 폴리알킬렌옥시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를 0.1 ~ 2중량%를 포함한다. 소포제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물이 반응하여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발포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경우에 따라 프리폴리머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소제, 예를 들면 디부틸프탈레이트를 0.5 ~ 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상기 성분 들, 즉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수경화 촉매, 안정제, 소포제, 및 가소제를 균일하게 블렌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또한 공지의 다른 첨가제, 즉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염료 또는 안료와 같은 발색제,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카본 블랙, 점토와 같은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중량%의 세라믹 분말을 함유하게 되면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치료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경화된 부목재 및 보조기의 강도(strength)와 강성(rigidity)은 상기 부직포에 함침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의 양에 의하여 결정된다.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를 사용하고자하는 신체부위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지지체 중량의 2 내지 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의 무게가 2배 미만이면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얻을 수 없고, 10배를 초과하면 부목재 또는 보조기가 너무 무거우며 경화열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환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이어서, 부직포 또는 편직물에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함침된 함침층을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부직포 또는 편직물을 적용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의 형태로 재단한 후, 이를 본 발명에 의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이 담겨 있는 통에 5 ~ 10초간 담근후 꺼낸다. 계속 하여, 압착 롤러(squeezer roller)를 사용하여 여분의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지지체에 함침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양을 용도에 알맞게(적용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조정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함침층의 상하면에 보호층용 부직포를 덧대고, 서로 맞닿게 되는 보호층용 부직포의 가장자리(도 1의 참조번호 15)를 접착제, 양면테이프 또는 재봉실을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그 결과 제조된 정형용 부목재 또는 보조기는 수분을 함유하는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도록 용기,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백과 같은 밀폐용기에 넣어 보관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용 부목재 또는 보조기를 환자에 시술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에 적당한 규격의 정형용 부목재 또는 보조기를 용기에서 꺼내어 상온의 물에 약 5 ~ 10초 동안 담근 후 두세번 짜서 과량의 물을 제거한다. 과량의 물을 제거한 부목재 또는 보조기를 시술부위에 적절히 위치시킨다. 적절히 트리밍한 다음 부목재 또는 보조기가 신체에 대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신축성 붕대와 같은 고정 수단으로 감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형용 부목재 또는 보조기는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용기에서 꺼내어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에 맞게 위치시킨후 경화시켜 시술하는 방법이외에도, 미리 신체의 각 부위에 적합한 형상으로 경화시켜 입체적인 부목으로 제조한 상태에서 환자의 신체 부위의 사이즈에 맞게 트리밍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후자의 방법에 따르면,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경화반응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시술을 신속하게 끝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 본 발명에 의한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는 요추·척추 고정대, 여성용 브래지어컵, 스포츠용 아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데, 이는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경화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다음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다우케미칼사, I-125MK) 17.8중량부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9 내지 55중량%)의 혼합물(MI, 한국바스프) 10.8중량부 및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143LK, 다우케미칼사) 35.8중량부; 폴리올 성분으로서, 평균분자량 2,0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H-2000, 미원유화) 11.3중량부, 평균분자량 45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H-450, 미원유화) 15.3 중량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DR-802, 한국폴리올사) 7.9중량부를 반응기에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 ~ 40분간 교반한 후, 안정제로서 인산을 0.02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6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80 ~ 85℃로 승온시켜 약 3시간 더 반응시켰다. 계속하여, 소포제로서 폴리알킬렌옥시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SAG-1000, 미국 OSI Specialities사) 0.3중량부, 수경화 촉매로서 디모르폴리노디에틸에테르 0.9중량부(미국 Nitroil사)를 투입한 후 약 1시간 더 반응 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의 점도는 20℃에서 회전식 점도계(rotational viscometer)을 사용하여 4번 회전자(No.4 rotor)를 12의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측정한 결과 12,000cps 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를 이용하여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정형용 부목재를 제조하였다. 먼저, 두께 6mm의 폴리에스테르 편직물(DTY사 300D 96F, SK 케미칼)을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이 들어 있는 통에 담근 후, 압착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조성물의 함침량이 상기 편직물 100g당 약 500g이 되도록 조정하고, 보호층으로서 협성섬유의 3mm 부직포를 사용하여 감싸고 접착제로 밀봉하여 정형용 부목재를 완성하였다.
상기 정형용 부목재를 21 ~ 24℃의 물에 3 ~ 4번 담근 후 물이 충분히 흡수되었으면 꺼내어 물기를 짜냈다. 이어서, 상기 정형용 부목재를 흡수성이 좋은 수건위에 놓고 눌러서 남은 물기를 제거하였다. 계속하여, 신축성붕대로 감겨져 있거나 또는 감겨져 있지 않은 하박 위에 상기 정형용 부목재를 적절히 위치시킨 후, 3 ~ 4분 이내에 환자의 하박의 형태에 맞게 고정시키고, 상기 정형용 부목재를 적절히 트리밍한 다음, 부목재와 하박의 둘레에 신축성 붕대를 감음으로써 수지가 경화될 때 부목을 적절히 고정시켰다. 부목재의 경화속도는 4 min/20℃ 였으며, 접지 않고도 팔꿈치까지 잘 밀착되었으며 통풍이 잘되어 25명의 시술환자중 20명으로부터 착용감 및 외관면에서 만족한다는 응답을 얻었다.
실시예 2
지지체로서 협성섬유의 6mm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형용부목재를 제조하였으며, 역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4
가소제로서 디부틸프탈레이트 0.9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역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5-6
대종산업의 세라믹 분말을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15%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형용 부목재를 제조한 다음 원적외선 연구소에 의뢰하여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한 결과 모두 0.95 이상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는 유리섬유와 같은 유해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위생적이고 X-ray 투과성이 양호하며, 시술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후 폐기처분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형용 부목재는 경화형 수지의 지지체가 밀착성과 형태 안정성이 뛰어난 부직포 또는 편직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주름이나 또는 접을 필요없이 시술 부위에 잘 밀착된 상태에서 경화되므로 굴곡이 심한 부위까지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숙련된 기술이 없더라도 손쉽게 시술할 수 있다.

Claims (8)

  1. 2 내지 15mm 두께의 지지체에, 지지체 중량을 기준으로 200 내지 1000중량%의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프리폴리머 함침층; 및 상기 함침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며 0.5 내지 3 mm 두께의 제1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및 보호층이 부직포 또는 편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밀도 0.05 내지 0.6 g/cm3의 폴리에스테르 편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층은 밀도 0.05 내지 0.3 g/cm3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편직물은 DTY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체는 단층 또는 이중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 보호층이 밀도 0.05 내지 0.3 g/cm3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폴리에틸렌 단섬유,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폴리에스체르 단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65중량%의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3 내지 10중량%의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5 내지 30 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 6 내지 8중량%의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랜덤공중합체, 수경화촉매로서 0.5 내지 2중량%의 디모르폴리노디에틸에테르, 소포제로서 0.1 내지 2중량%의 폴리알킬렌옥시디메틸실록산 및 안정제로서 0.01 내지 1중량%의 인산을 반응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가소제로서 디부틸프탈레이트를,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이 10 내지 20 중량%의 세라믹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KR1019990040293A 1999-09-18 1999-09-18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KR100319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293A KR100319261B1 (ko) 1999-09-18 1999-09-18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293A KR100319261B1 (ko) 1999-09-18 1999-09-18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194A true KR20010028194A (ko) 2001-04-06
KR100319261B1 KR100319261B1 (ko) 2002-01-05

Family

ID=1961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293A KR100319261B1 (ko) 1999-09-18 1999-09-18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2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859B1 (ko) * 2001-08-01 2004-05-31 이영찬 의료용 부목
KR100492066B1 (ko) * 2001-09-25 2005-06-02 주식회사 티앤엘 정형외과용 부목
KR100497902B1 (ko) * 2003-01-25 2005-06-29 이순옥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KR100773478B1 (ko) * 2005-08-05 2007-11-05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정형외과용 부목
WO2014058105A1 (ko) * 2012-10-11 2014-04-17 Byun Jong Sung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 지지체
KR20210126858A (ko) * 2020-04-13 2021-10-21 윤영진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 기반의 의료용 부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792B1 (ko) * 2000-12-21 2003-06-02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부목 구조
KR100385790B1 (ko) * 2000-12-21 2003-06-02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절곡부목과 그 제조방법
KR101651378B1 (ko) * 2015-12-04 2016-08-25 안영원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
KR101651379B1 (ko) * 2015-12-04 2016-08-25 안영원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 정형외과용 부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9593A (en) * 1988-07-22 1991-02-05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Orthopedic cast
KR950005648U (ko) * 1993-08-11 1995-03-20 김종립 목 보호용 밴드
JP3503974B2 (ja) * 1993-12-22 2004-03-08 テルモ株式会社 創傷被覆材
AU708453B2 (en) * 1995-04-12 1999-08-05 Depuy Orthopaedics, Inc. Scrim reinforced orthopaedic casting tape
KR100193369B1 (ko) * 1996-10-31 1999-06-15 김윤 캐스팅 테이프용 폴리에스터 지지체
KR100201873B1 (ko) * 1997-04-18 1999-06-15 김윤 캐스팅 테이프용 폴리에스터 지지체
KR100266962B1 (ko) * 1998-03-23 2006-03-23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정형용부목재
KR100297803B1 (ko) * 1998-06-19 2001-09-22 김윤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90143B1 (ko) * 1998-07-15 2002-08-21 주식회사 티앤엘 수분경화성폴리우레탄캐스트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859B1 (ko) * 2001-08-01 2004-05-31 이영찬 의료용 부목
KR100492066B1 (ko) * 2001-09-25 2005-06-02 주식회사 티앤엘 정형외과용 부목
KR100497902B1 (ko) * 2003-01-25 2005-06-29 이순옥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KR100773478B1 (ko) * 2005-08-05 2007-11-05 주식회사토마토엠앤씨 정형외과용 부목
WO2014058105A1 (ko) * 2012-10-11 2014-04-17 Byun Jong Sung 정형외과용 캐스팅 테이프 지지체
KR20210126858A (ko) * 2020-04-13 2021-10-21 윤영진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 기반의 의료용 부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9261B1 (ko) 200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5517B1 (en) Water-activated casting material
KR960003509B1 (ko) 정형용부목재 및 그 제조방법
SU741779A3 (ru) Перев зочный материал дл иммобилизации
US6595938B1 (en) Article having soft and hard regions
US5334442A (en) Orthopedic sheet-like composition
EP0545565A1 (en) Foam pads useful in wound management
EP2393524B1 (en) Absorbent foam wound dressing materials
US5514080A (en) Orthopaedic cast and components therefor
KR100319261B1 (ko)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US5063063A (en) Hypoadherent dressings comprising liquid pervious polymer coating of polyurethane containing siloxane residues
EP1003564A1 (en) Soft orthopedic casting article with reinforcement system
CA2044260C (en) Orthopaedic cast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KR100266962B1 (ko) 정형용부목재
JPS5913216B2 (ja) 整形用固定材
KR100221052B1 (ko) 신체고정용 부목재
KR20170143343A (ko) 의료용 부목
JP4696313B2 (ja) 整形外科用固定材
JP2004129902A (ja) スプリント材
KR100519433B1 (ko) 정형용 소프트 캐스팅 테이프
KR102458912B1 (ko) 수경화형 반경질 수지를 이용한 의료용 캐스트
Gogoi et al. Development and quality aspect of polyurethane orthopedic plaster cast
JPS596060A (ja) 整形用固定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