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378B1 -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378B1
KR101651378B1 KR1020150171893A KR20150171893A KR101651378B1 KR 101651378 B1 KR101651378 B1 KR 101651378B1 KR 1020150171893 A KR1020150171893 A KR 1020150171893A KR 20150171893 A KR20150171893 A KR 20150171893A KR 101651378 B1 KR101651378 B1 KR 10165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able
ultraviolet
orthopedic
polyolef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원
Original Assignee
안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원 filed Critical 안영원
Priority to KR102015017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25Strips of substantially planar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 효율의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100)는 경화성 심재(130)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되어 있고, 상기 경화성 심재(130)의 편직물은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가연사(假撚絲) 섬유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100)는 처방이 간편하고 빠르게 시술 가능 하며 쾌적한 사용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 {ORTHOPEDIC UV-CURABLE FIXING MATERIAL}
본 발명은 처방이 편리한 정형외과용 고정재로서, 상세하게는 자외선으로 경화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절 환부에 대한 처치 및 신체 부위의 고정 등을 목적으로 정형외과 또는 기타 유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신체 일부의 골절 또는 인대의 파열 시, 치료를 위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환부 고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정형 외과 또는 기타 유사 분야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재가 개발되어 오고 있다. 특히 경화성 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되는 부위인 고정재 내부의 심재는 고정재의 사용감 및 처방의 편리성과 직결되는 구조로서 이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개량이 있어 왔다. 이를테면 경화성 심재의 기재와 관련하여 전통적인 소석고 형태에서 현재의 보편적인 유리섬유 형태로, 그리고 유리섬유 형태에서 최근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형태에 이르기까지 점차 진보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달리 경화 방식에 있어서는 여전히 유리 섬유 도입 직후의 수경화 방식이 고수되고 있으며 새롭게 제시되는 각종 경화법은 실용적으로 보급되지 못한 바, 종래 경화 방식이 가지는 각종 난점은 여전히 극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일 예로, 종래의 수경화 방식은 처치 시 매번 새롭게 정화된 물이 충분한 양 준비되어야 하므로 처방 환경에 제한이 있고, 건조되지 못한 채로 고정재 내부에 남겨진 습기는 환부에 염증 또는 짓무름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고정재가 깁스용 붕대 형태(cast tape)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하층의 권취재가, 그리고 부목(splint)의 형태로 처치되는 경우에는 내피가 물에 젖기 쉬워 착용 시 불쾌감이 유발되거나 위생상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한 수경화 방식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미국에서는 정형외과용 고정재의 자외선 경화의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자외선 경화란 통상 공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며 표면 코팅이나 접착력 향상을 목적으로 행해지는 경화법 중 하나로서, 이것이 정형외과용 고정재에 대하여 도입될 경우 매우 효율적인 대체 경화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경화 시간에 있어서 통상적인 수경화 방식과 큰 차이가 없고, 인체에 밀착 착용한 상태로 경화되어야 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의 특성을 고려할 때 요구되는 자외선 조사량은 다소 과도하며, 특히 경화용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A(UV-A)는 피부 투과력이 높아 이를 골절 환부에 대하여 장시간 직, 간접적으로 조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있어 크게 실용화되기 어려웠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이 해결되는 것은 물론, 보다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 고정재에 대한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어 왔다.
ULTRAVIOLET LIGHT CURABLE ORTHOPEDIC CAST MATERLIAL AND METHOD OF FORMING AN ORTHOPEDIC CAST (미국 등록특허 US3,881,47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수경화성 고정재는 물론, 기 제안된 바 있는 최초의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경화형 고정재에 비하여도 우수한 경화 효율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는 경화성 심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성 심재는 자외선(UV)에 의하여 경화되고, 상기 경화성 심재의 기재는 폴리올레핀계(polyolefine)계 가연사(假撚絲) 섬유의 편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화성 심재는 기재상에 함침 또는 코팅되어 있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성분 중 광개시제(光開始劑)는 벤조인 에테르(benzoin ether)류, 벤조페논(benzophenone)류, 티옥산톤(thioxanthone)류 및 카르보닐(carbonyl) 화합물류 광개시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심재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가연사 섬유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180~400 데니어(denier)의 섬유사가 10~60가닥의 범위로 합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가연사 섬유의 편직물 기재가 가지는 강성을 바탕으로, 상기 경화성 심재의 기재 상에 제공되는 오프닝(opening)의 크기를 0.50~14.5 mm2 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외선 투과도 및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이용하여 경화 효율과 처방의 편의성이 향상된 정형외과용 고정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는 경화 시 위생적이고 쾌적하며,
또한 짧은 시간 내에 경화 가능한 우수한 경화 효율을 가지며,
또한 광개시제의 함량 및 자외선 조사량을 감축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아울러 자외선 경화 방식은 여타의 광 경화방식, 이를테면 시장 규모가 적고 가격이 비싼 가시광 경화 방식 등에 비하여 매우 실용적이며,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을 일부 조절하면 부수적으로 향균 또는 소독 효과를 쉽게 얻을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내피(110), 외피(120) 및 자외선에 의하여 경화되는 경화성 심재(130)로 구성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100)의 경화성 심재(130) 편직물에 대한 일 실시예로서, 레노(leno) 직물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고효율의 자외선 경화효과를 가지는 정형외과용 고정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100)는 경화성 심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성 심재(130)는 자외선(UV)에 의하여 경화되고, 상기 경화성 심재(130)의 기재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가연사(假撚絲) 섬유의 편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대표적인 실시 형태만을 기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하기 내용과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상에서 표현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는 통상의 '정형외과용 부목', ‘정형외과용 깁스’, ‘받침나무’, ‘지지체’, ‘보호 차폐물’, ‘시축 교정물’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정형외과용 부목 또는 깁스형 편직물 테이프 형태로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로서, 내피(110), 외피(120) 및 자외선에 의하여 경화되는 경화성 심재(130)로 구성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경화성 심재>
경화성 심재(130)는 통상 내피(110)와 외피(120) 사이에 내장된다. 상기 경화성 심재(130)의 구성 편직물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와 함께 수(水)경화성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재(100)의 강도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경화성 심재(130)의 편직물 기재를 구성하는 섬유(131)는 폴리올레핀계 가연사 섬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100)에 포함되는 경화성 수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100)에 포함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조성물은 액상의 올리고머(oligomer), 모노머(monomer), 광개시제(photo-initiator) 및 각종 첨가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는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광중합 반응으로부터 경화되는데, 조사되는 자외선 에너지에 의해 수지 내의 광개시제가 라디칼(radical) 형태로 변환되고 상기 라디칼이 중합성 모노머 및 올리고머와 반응하면서 단단하게 굳어지게 된다.
상기 올리고머(oligomer)는 수지의 물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성분으로서 에폭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대하여는 폴리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히 기재의 강인성, 유연성, 내굴곡성 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모노머(monomer)는 반응성 희석제 또는 가교제로서 광개시제 등과 중합하여 피막을 형성한다. 단관능성, 다관능성 모노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광개시제(光開始劑, photo-initiatior)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라디칼 혹은 양이온을 생성시켜 광 중합을 개시하는 물질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개시제(光開始劑)는 반드시 어느 하나의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벤조인에터(benzoin ether)류, 벤조페논(benzophenone)류, 티옥산톤(thioxanthone)류 및 카르보닐(carbonyl) 화합물류 광개시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2~3종류의 광개시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혼합 사용 시의 광 흡수 및 반응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없어 자외선 흡수량과 경화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포함되는 광개시제의 함량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총 중량 대비 1~5%로, 종래의 4~7%에 비교하여 적은 함량임에도 본 발명에서는 충분한 경화율을 확보할 수 있다.
수경화성 수지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100)의 경화성 심재(130) 함침 또는 코팅되는 수경화성 수지는 반드시 어느 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저장 안정성이 높고 경화 효율이 좋다고 알려져 있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프리폴리머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조성물의 준비는 업계 통상의 과정을 따를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하나의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합물을 30~120℃에서 교반하여 1~10시간 가량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경화성 촉매, 충전제, 중합체, 강화제, 건조제, 결합제, 소포제, 윤활제, 슬립작용제, 안정제, 기포제거제, 접착부여제, 산화방지제, 충진제, 발색제 및 향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수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의 세라믹 분말을 함유하게 되면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치료 효과가 증대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의 경화성 심재(130)를 이루는 편직물 구조에 관하여 확대도(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심재(130)는 고정재의 경화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관여한다.
경화성 심재
도 2는 경화성 심재(130)의 편직물 구조의 일 실시예로서, 성글게 짠 얇은 직물 형태의 레노(leno)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심재(130)의 편직물 구조를 특별히 어느 하나의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레노(leno) 구조로 제조할 경우 가볍고 통기성이 좋으며 자외선 투과율이 우수하다.
상기 레노 구조를 이루고 있는 섬유사(131)는 폴리올레핀(polyolefie)계 가연사(假撚絲)이다. 상기 폴리올레핀으로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 선택된다. 상기 가연사로 바람직하게는 180~400 데니어(denier)의 섬유사를 10~60가닥,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350 데니어(denier)의 섬유사를 20~40가닥 합사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가연사 섬유를 사용하게 되면 경화성 심재(130)를 구성하는 편직물 기재의 단위 두께 또는 단위 면적당 강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경화성 심재(130)의 두께를 감소시키거나 표면 오프닝(132)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시간당 자외선 투과도가 향상된다.
상기 경화성 심재(130)의 두께는 통상 0.05~0.6cm(0.5~6mm)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환부의 특성과 구체적인 처방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경화성 심재의 기재상에 제공되는 오프닝(opening, 132)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0.50~14.5 mm2,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2.0mm2이다.
종래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오프닝을 구성하면 심재(130)의 기본 강도를 확보할 수 없어 오프닝 범위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고정재는 폴리올레핀계 섬유가 가지는 고유의 높은 강성으로부터 심재(130)의 기본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바, 상기한 크기의 오프닝을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가연사 섬유 즉, 꼬임, 고정, 풀림과 같은 일련의 공정 과정을 통하여 높은 권축과 신축성이 부여된 특징을 가지는 섬유를 사용하므로 일반 섬유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동일 면적 내에 더 많은 양의 수지를 함침시킬 수 있어 단위 시간 및 조사량 대비 경화 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는 종래 대비 적은 양의 자외선 에너지와 짧은 조사 시간만으로도 충분한 경화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고, 시술이 편리하며, 인체에 대한 자극 또한 적어 실용적이다. 아울러 경화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구성하는 성분 중 하나인 광개시제, 특히 다량 피부 접촉 시 여러가지 질병을 유발 할 수 있는 벤조페논류 광개시제의 함량을 줄일 수 있어 안전하고 경제적이다.
경화 후, 상기 오프닝(132)은 고정재의 통기성을 높여 쾌적한 사용감을 제공한다.
<내피 및 외피>
커버층에 해당하는 내피(110) 및 외피(120)의 소재는, 경화성 심재(130)에 함침 또는 코팅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와 비반응성이며 상기 수지가 환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거나 새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서, 통기성과 신축성을 겸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120)는 고정재 내의 경화성 심재(130)로 자외선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이에 따른 적정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5~6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4m이며, 외피상에 제공되는 적정 오프닝(opening)의 개구율은 바람직하게는 1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이다. 상기 '개구율'이란 일정 범위 내의 공극, 즉 오프닝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며, 기재의 확대 사진을 통해 기계적으로 구할 수 있다.
외피(120)의 소재로는 상기한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이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폴리플루오로에틸렌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등의 합성섬유나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을 사용한 편직물, 부직포 또는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외피(120)는 제조 시, 미경화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부착되어 침투하거나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아크릴산 유도체(퍼플루오로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와 같은 불소계 처리제로 발유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한 외피의 소재 중 폴리플루오로에틸렌계 등의 섬유를 사용하면 특별한 발유 처리를 거치지 않고도 발유성을 확보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내피(110)는 환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완충재로 작용한다. 따라서 부드러운 착용감을 가지고 경화 시 발생하는 수지의 반응열 및 미경화 수지가 환부에 직접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통기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이라면 내피(110)의 소재를 어느 하나의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등의 합성 섬유나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환부의 양태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입체적인 편직물 형태로 활용한다.
내피(110)의 두께는 통상 1~15mm, 바람직하게는 2~13mm로 제조되는 것이 좋은데, 이는 내피(110)의 두께가 1mm이하일 경우에는 환부에 대한 완충 기능이 충분치 못하고 15mm이상일 경우에는 성형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상기 내피(110)는 단층 또는 복층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복층으로 제조될 경우에는 최하층에만 통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면에는 향균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도1에 나타난 정형외과용 고정재(100)는 단층의 내피(110)로 구성된 형태이다.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고정재(100)는 경화성 촉매, 충전제, 중합체, 강화제, 건조제, 결합제, 소포제, 윤활제, 슬립작용제, 안정제, 기포제거제, 접착부여제, 산화방지제, 충진제, 발색제 및 향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100)를 경화하기 위하여는 240~420nm의 파장을 사용한다. 특히, 240~300nm의 자외선은 표면 경화에 관여하고, 360~370nm의 자외선은 두께 경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공업분야의 표면 코팅에 적용되는 경우와 달리 경화성 심재(130)의 두께 전체를 경화하여 고정재로써 기능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315~42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360~370nm 파장대의 자외선-A(UV-A)를 사용한다.
광원으로는 상기한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나, 대표적으로 백열전구, 수은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유전 베리어 방식, 마이크로파 방식, 발광다이오드, 레이저 발광, 태양광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재를 경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외선의 양은 0.5~5.0 J/cm2이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 내외에서 통상 알려진 범위에 비하여 현저히 적은 수치에 해당한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한 시험예를 기재한다. 시험에는 하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제시된 정형외과용 고정재를 이용하였다.
하기 시험예는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한 일 시험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및 효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경화방식 자외선 경화 수경화


경화성 심재

기재
폴리프로필렌 가연사 폴리프로필렌 가연사 폴리에틸렌 가연사 폴리프로필렌 비가연사
유리섬유

유리섬유
구조
(오프닝)
8.2mm2 10.5mm2 8.5mm2 8.4mm2 4.6mm2 3.3mm2
층수 5 5 5 5 5 5


자외선 경화성 수지

올리고머 및
모노머

3-메타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래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모노머 (99.5%)



-

광개시제
벤조인알킬에터(0.12%), 벤조페논 (0.38%)
상기 표 1 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경화성 심재를 가지는 정형외과용 고정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는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물의 함량에 따라 제조하였다. 먼저 올리고머 및 모노머를 교반 날개와 온도계가 부착된 플라스크에 담아 차광 상태로 교반하며 60 ℃까지 가열한 후, 광개시제를 첨가하여 상기 60℃에서 광개시제가 녹을 때까지 교반 혼합하며 용해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상기 표 1에 제시된 각 기재상에 롤코터 방식으로 300g/m2 도포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고정재를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기재는 폴리프로필렌 가연사를 이용하고, 실시예 3의 기재는 폴리에틸렌 가연사를 이용하였으며, 제시된 오프닝의 크기가 제공되도록 레노(leno) 직물 형태로 구성하였다. 내피는 폴리에스테르의 니들 펀치 부직포로, 두께 2.0mm, 외피는 1.0mm, 개구율 30%의 EVA 엘라스토머의 메쉬 시트로 구성하였다.
한편, 비교예 3은 종래 가장 일반적인 고정재로서 유리섬유 기재와 수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아그마 스프린트(4inch)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고정재는 비교예 대비 20~30%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00 : 부목
110 : 내피
120 : 외피
130 : 경화성 심재
131 : 심재 편직물의 구성 섬유
132 : 오프닝

Claims (13)

  1. 경화성 심재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심재는 자외선(UV)에 의하여 경화되고, 상기 경화성 심재의 기재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계 가연사(假撚絲) 섬유의 편직물이며,
    상기 자외선 조사량은 0.5~5.0J/cm2이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가연사 섬유의 굵기는 280~350 데니어(denier)이며, 20~40 가닥의 범위로 합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심재는 기재상에 함침 또는 코팅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며,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성분 중 광개시제(光開始劑)는 벤조인 에테르(benzoin ether)계, 벤조페논(benzophenone)계, 티옥산톤(thioxanthone)계, 카르보닐(carbonyl) 화합물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 100 중량% 중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의 파장은 240~4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심재에 제공되는 오프닝(opening)의 크기는 0.5~14.5 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심재의 두께는 0.05~0.6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외과용 고정재는 자외선 경화성 촉매, 충전제, 중합체, 강화제, 건조제, 결합제, 소포제, 윤활제, 슬립작용제, 안정제, 기포제거제, 접착부여제, 산화방지제, 충진제, 발색제, 향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외과용 고정재는 부목 또는 깁스용 편직물의 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
KR1020150171893A 2015-12-04 2015-12-04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 KR101651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893A KR101651378B1 (ko) 2015-12-04 2015-12-04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893A KR101651378B1 (ko) 2015-12-04 2015-12-04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378B1 true KR101651378B1 (ko) 2016-08-25

Family

ID=5688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893A KR101651378B1 (ko) 2015-12-04 2015-12-04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859A (ko) * 2017-01-05 2018-07-13 (주)진솔루션 자외선 경화형 깁스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고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1473A (en) * 1971-12-20 1975-05-06 Merck & Co Inc Ultraviolet light curable orthopedic cast material and method of forming an orthopedic cast
JPH0947501A (ja) * 1995-08-10 1997-02-18 Yoshiyuki Kuroda 外科用固定包帯
KR100319261B1 (ko) * 1999-09-18 2002-01-05 허승욱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JP2005334442A (ja) * 2004-05-28 2005-12-08 Alcare Co Ltd スプリント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1473A (en) * 1971-12-20 1975-05-06 Merck & Co Inc Ultraviolet light curable orthopedic cast material and method of forming an orthopedic cast
JPH0947501A (ja) * 1995-08-10 1997-02-18 Yoshiyuki Kuroda 外科用固定包帯
KR100319261B1 (ko) * 1999-09-18 2002-01-05 허승욱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JP2005334442A (ja) * 2004-05-28 2005-12-08 Alcare Co Ltd スプリント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LTRAVIOLET LIGHT CURABLE ORTHOPEDIC CAST MATERLIAL AND METHOD OF FORMING AN ORTHOPEDIC CAST (미국 등록특허 US3,881,47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859A (ko) * 2017-01-05 2018-07-13 (주)진솔루션 자외선 경화형 깁스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고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3330A (en) Orthopedic cast system
US6942628B1 (en) Open cell mesh cast material
CA2298969C (en) Thermoplastic cast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GB2261821A (en) Orthopaedic aids and body protectors
EP3632476A1 (en) Wound contact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e
AT507998B1 (de) Stützschalenanordnung zum stützen und schienen von beinen
JPH09510901A (ja) 医療用物品
JP4875631B2 (ja) 低密度医療用包帯基材、医療用包帯及び医療用包帯製品
JP5024951B2 (ja) 光硬化型整形外科用固定材
DE60124260T2 (de) Härtbare, haftschien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EP0304536A2 (en) Polymeric wound dressings
CA1065719A (en) Photocurable contour conforming splint
JP2001514933A (ja) 強化システムを有する軟質整形外科用キャスティング物品
KR101651378B1 (ko) 자외선 경화형 정형외과용 고정재
EP2323702B1 (en) Orthopedic bandage set
US20090264551A1 (en) Photocurable fixture for orthopedic surgery background of the invention
CN220309292U (zh) 一种新型抗菌敷料贴
EP0257133B1 (en) Wound dressing and process for making same
ATE476218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dizinischen polsters
KR20010028194A (ko)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KR101651379B1 (ko)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 정형외과용 부목
US10415181B2 (en) Knit fabric for orthopedic support material
PL86914B1 (ko)
US7549967B2 (en) Fixing means for temporarily fixing human or animal body parts
Wytch et al. New splinting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