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902B1 -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902B1
KR100497902B1 KR10-2003-0005037A KR20030005037A KR100497902B1 KR 100497902 B1 KR100497902 B1 KR 100497902B1 KR 20030005037 A KR20030005037 A KR 20030005037A KR 100497902 B1 KR100497902 B1 KR 10049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nonwoven fabric
splint
web
medical spl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8404A (ko
Inventor
이순옥
Original Assignee
이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옥 filed Critical 이순옥
Priority to KR10-2003-000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9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68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두께의 경화피에 경화성수지가 함침되는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는 스테이플 화이버로 이루어진 웹을 형성하는 단계; (b) 서로 평행하게 인출되는 합성섬유로 제직된 직물 사이에 상기 웹을 개재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웹을 부직포로 형성시키면서 부직포를 구성하는 스테이플 화이버를 인접하는 각각의 직물에 결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은 강도가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제조상의 공정성과 재단성이 양호하여 제조비용 또한 저렴한 부목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medical splint}
본 발명은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하면의 표층을 이루는 직물과 직물 사이에 부직포가 내재된 구조를 가진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깁스(gibs)에 사용되는 부목은 각종 사고에 의해 뼈에 금이 가거나 골절된 경우, 그 환부를 고정시켜 골절 또는 금이 간 뼈를 접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의료용 부목은 여러 겹(통상 8겹)의 직물을 적층시킨 다음 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킨 직물 타입과, 단층의 부직포에 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킨 부직포 타입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전자의 부목은 다층의 직물이 겹쳐져 있으므로, 직물 조직의 고유한 특성상 강도가 뛰어나지만 필요한 정도의 두께로 형성시 무게가 지나치게 무거워진다. 또한, 전자의 부목은 직물을 여러 겹으로 적층시키고 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킨 다음 스퀴징하는 공정으로 제조되는데, 직물 표면이 매끄러우므로 스퀴징 공정에서 적층된 각각의 직물이 서로 틀어지는 등 제조 공정상의 로스가 발생하며, 재단성도 떨어져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후자의 부목은 단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자의 부목 보다 상대적으로 가볍고 전자와 같은 제조 공정상의 로스가 야기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특성상 강도가 크게 저하되어 의료용 부목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직포를 형성하는 스테이플 화이버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 강도가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제조상의 공정성과 재단성이 양호하여 제조비용 또한 저렴한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두께의 경화피에 경화성수지가 함침되는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는 스테이플 화이버로 이루어진 웹을 형성하는 단계; (b) 서로 평행하게 인출되는 합성섬유로 제직된 직물 사이에 상기 웹을 개재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웹을 부직포로 형성시키면서 부직포를 구성하는 스테이플 화이버를 인접하는 각각의 직물에 결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를 거친 후, (d) 상기 (c) 단계의 결과물에 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경화성수지를 스퀴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하부 표층을 이루는 직물 사이에 심층을 이루는 부직포가 내재되므로, 8겹의 직물로 구성된 종래의 부목보다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부직포만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부목의 강도저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충분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심층을 이루는 부직포가 상,하부 표층을 이루는 직물에 스테이플 화이버에 의해 결속되어 직물과 부직포 사이에 상당한 물리적 결합력이 존재하므로, 경화성수지의 스퀴징 공정 및 재단공정에서 직물과 부직포가 서로 틀어지는 등 제조 공정 상의 로스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종래의 부목이 갖는 강도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화피는 상, 하면을 이루는 표면층이 각각 합성섬유로 제직된 직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소정 두께를 형성하기 위하여 직물을 여러 겹으로 적층함에 따른 무게 증가를 방지하고 경화성수지의 함침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직물로 이루어진 표면층 사이에 부직포가 내재된 구조를 가진 부목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목은 통상적인 부목과 같이 경화성수지가 경화피에 함침된 것으로 환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하며,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성수지가 경화되어 환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은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는 스테이플 화이버로 이루어진 웹을 형성하는 단계(S10)와, 서로 평행하게 인출되는 합성섬유로 제직된 직물 사이에 웹을 개재시키는 단계(S20)와, 웹을 부직포로 형성시키면서 부직포를 구성하는 스테이플 화이버를 인접하는 각각의 직물에 결속시키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의 결과물에 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키는 단계(S40)와, 경화성수지를 스퀴징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카딩기(60)는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 등의 스테이플 화이버로 이루어진 웹(32)을 형성한다(S10 단계). 상기 웹(32)은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웹(32)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한 쌍의 피딩롤러(70) 사이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각각의 인출롤러(71)에 롤링 형태로 감긴 한 쌍의 직물(11,21)은 인출롤러(71)의 구동에 의해 인출되면서 피딩롤러(70) 사이로 각각 공급된다. 그러면, 웹(32)은 상,하면을 이루는 각각의 직물(11,21) 사이에 개재된다(S2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의료용 부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각각의 직물(11,21)은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경사와 위사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제직된 실질적인 상,하부 표층(10,20)으로서, 경사와 위사의 조직에 따라 평직(Plain weave), 능직(Twill weave), 수자직(Satin weave)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여기서, 경사는 직물(11,21)의 길이 방향을 의미하고, 위사는 경사에 직각 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직물(11,21)은 조직이 치밀한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화성수지의 경화시 그 강도가 뛰어나다. 직물(11,21)의 제직에 사용되는 합성섬유로는 폴리에스터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격과 물성을 고려할 때 폴리에스터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11,21)과 직물(11,21) 사이에 웹(32)이 내재된 원단은 니들 펀칭기(80)의 스트리퍼 플레이트(81) 사이로 통과된다.
이어서, 니들 빔(83)에 장착된 다수의 니들(85)은 스트리퍼 플레이트(81)의 상,하측에서 왕복 이동되면서 각각의 직물(11,21) 및 웹(32)을 통하게 된다. 그러면, 직물(11)과 직물(21) 사이의 웹(32)은 니들(85)에 의해 자체의 스테이플 화이버가 3차원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각각의 직물(11,21)에 인접하는 스테이플 화이버가 직물(11,21)에 결속된다(S30 단계). 즉, 부직포(31)는 스테이플 화이버가 서로 얽히어 포(fabric)로 형성되면서 직물(11,21)에 결속되는 것이다. 이 때, 부직포(31)의 표층에 존재하는 스테이플 화이버는 펀칭시 각각의 직물(11,21)과 결속되므로 직물(11,21)과 부직포(31) 사이에 상당한 물리적 결합력을 부여한다. 전술한 바 있는 니들 펀칭기(80)는 필요에 따라 여러 대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처리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부직포(31)는 웹 자체가 위와 같은 니들 펀칭기(80)에 의해 서로 얽힌 상태에서 직물(11)과 직물(21) 사이에 내재되고, 니들 펀칭기(80)에 의해 표층에 존재하는 스테이플 화이버가 인접하는 직물(11,21)에 결속될 수도 있다.
한편, 상,하부 표층(10,20) 사이에 심층(30)이 내재된 부목용 원단은 권취롤러(75)에 의해 권취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부목용 원단은 폴리우레탄수지와 같은 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킨다(S40 단계). 그런 다음, 경화성수지를 스퀴징한다(S50 단계).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원단이 완성된다. 이를 적절한 크기로 재단하여 필요에 따라 상부 표층(10)의 외표면에 항균성 외피(40)를 부착하고, 하부 표층(20)의 외표면에 보호 커버(50)를 부착하여 의료용 부목(100)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항균성 외피(40)는 환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부 표층(10)의 외표면에 부착된다. 항균성 외피(40)는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나일론(nylon) 등 소재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부직포를 포함하며, 알베카신(arbekacin) 등의 다양한 항박테리아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된 의료용 부목은 직물을 여러 겹으로 적층한 형태의 종래 의료용 부목 제조시 발생하는 문제점, 즉 경화성수지의 스퀴징 공정 및 재단공정에서 직물과 부직포가 서로 틀어지는 제조 공정 상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 또한 저렴하고 생산성이 매우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의료용 부목은 부직포만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부목의 강도저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즉, 부직포의 양면에 적층된 직물은 조직이 치밀한 직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부목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한다. 특히, 직물만을 8겹 적층하여 제조한 종래의 의료용 부목은 조직이 치밀한 고강도의 직물을 사용시 후공정에서 경화성 수지가 경화피 전체에 원활히 함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의료용 부목에서는 이러한 후공정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밀도의 고강도 직물을 사용할 수 있어 충분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단순히 직물 사이에 부직포를 내재시킨다는 기술적 사상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전술한 다양한 공정상의 문제점을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한데 그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상,하부 표층을 이루는 직물 사이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심층이 내재되므로, 8겹의 직물로 구성된 종래의 부목보다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부직포만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부목의 강도저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충분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둘째, 심층을 이루는 부직포가 상,하부 표층을 이루는 직물에 스테이플 화이버에 의해 결속되어 직물과 부직포 사이에 상당한 물리적 결합력이 존재하므로, 경화성수지의 스퀴징 공정 및 재단공정에서 직물과 부직포가 서로 틀어지는 등 제조 공정 상의 로스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의료용 부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 표층 20... 하부 표층
11,21... 직물 30... 심층
31... 부직포 32... 웹
40... 항균성 외피 50... 보호 커버
60... 카딩기 70... 피딩롤러
71... 인출롤러 75... 권취롤러
80... 니들 펀칭기 81... 스트리퍼 플레이트
83... 니들 빔 85... 니들

Claims (2)

  1. 소정 두께의 경화피에 경화성수지가 함침되는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는 스테이플 화이버로 이루어진 웹을 형성하는 단계;
    (b) 서로 평행하게 인출되는 합성섬유로 제직된 직물 사이에 상기 웹을 개재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웹을 부직포로 형성시키면서 부직포를 구성하는 스테이플 화이버를 인접하는 각각의 직물에 결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를 거친 후,
    (d) 상기 (c) 단계의 결과물에 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경화성수지를 스퀴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KR10-2003-0005037A 2003-01-25 2003-01-25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KR100497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037A KR100497902B1 (ko) 2003-01-25 2003-01-25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037A KR100497902B1 (ko) 2003-01-25 2003-01-25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404A KR20040068404A (ko) 2004-07-31
KR100497902B1 true KR100497902B1 (ko) 2005-06-29

Family

ID=3735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037A KR100497902B1 (ko) 2003-01-25 2003-01-25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071B1 (ko) 2018-02-07 2018-11-14 유신열 의료용 부목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871A (ko) * 1997-08-11 1999-03-05 백정호 신체고정용 부목재
KR20010028194A (ko) * 1999-09-18 2001-04-06 허승욱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KR20010033201A (ko) * 1997-12-19 2001-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수용성 바인더를 함유한 백킹을 보유하는 정형 주조 물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871A (ko) * 1997-08-11 1999-03-05 백정호 신체고정용 부목재
KR20010033201A (ko) * 1997-12-19 2001-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수용성 바인더를 함유한 백킹을 보유하는 정형 주조 물품
KR20010028194A (ko) * 1999-09-18 2001-04-06 허승욱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071B1 (ko) 2018-02-07 2018-11-14 유신열 의료용 부목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404A (ko) 200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4565B1 (en) Reinforced multilayer fabric and method of preparation
CA1124499A (en) Multi-layered, needle-punched, felt-like cushioning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089386C (zh) 用于柔性砑光的带
JP5436215B2 (ja) 複合搬送ベルト
CZ178595A3 (en) Non-woven textile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EP0398965B1 (en) An oriented fibre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it
KR19990044690A (ko) 구조물 강화용 섬유상 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강화시킨 구조물
JP2022182789A (ja) 繊維構造体、及び繊維強化複合材
EP1669486B1 (en) Nonwoven base fabric for reinforcing
KR101844729B1 (ko) 부직포 구성요소와 폼 재료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커버의 적층용 텍스타일 복합 재료
ITMI20090990A1 (it) Procedimento ed apparato di produzione in continuo di una struttura tessile resistente alla perforazione ed alla penetrazione e struttura tessile cosi&#39; ottenuta
KR100497902B1 (ko) 의료용 부목의 제조 방법
JP2007524768A (ja) 抄紙機に用いるエンドレスベルト用の基材
EP22614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a textile structure resistant to perforation and penetration and textile structure thus obtained
KR100537864B1 (ko) 의료용 부목
KR200311582Y1 (ko) 의료용 부목
KR880002438B1 (ko) 침포용 기포(針布用 基布)
KR850001411B1 (ko) 제지용 니들 펠트(needle felt) 및 그 제조방법
CN214727000U (zh) 一种动物皮革纤维缠绕基布及皮革
PT730682E (pt) Tecido nao tecido agulhado de varias camadas seu processo e suas utilizacoes
CN114206603A (zh) 包括由连接层分隔且其中的纤维彼此平行的至少两对单向层的防弹层压件
CN114174063B (zh) 包含连结在一起的单向层的防弹层压件
JP3632844B2 (ja) 積層不織布の製造方法
JP2009228160A (ja) 補修補強用からみ織物および複合材料
JP2011219902A (ja) 製紙用フェル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