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627A - 하수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627A
KR20010026627A KR1019990038024A KR19990038024A KR20010026627A KR 20010026627 A KR20010026627 A KR 20010026627A KR 1019990038024 A KR1019990038024 A KR 1019990038024A KR 19990038024 A KR19990038024 A KR 19990038024A KR 20010026627 A KR20010026627 A KR 20010026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er pipe
branch pipe
sew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4216B1 (ko
Inventor
이무근
류상규
Original Assignee
류상규
아하건설 주식회사
이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상규, 아하건설 주식회사, 이무근 filed Critical 류상규
Priority to KR10-1999-003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2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관을 하수관의 측면에 연결하는 경우 연결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지관이 연결되는 하수관 부위에 구멍을 형성하고, 지관과 연결시키는 지관 연결구는 일측이 지관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삽입부로 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와 하수관사이에는 패킹이 밀착 설치되어 후크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하수관에 연결구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장치.

Description

하수관 연결장치{A COUPLING DEVICE OF DRAINPINE}
본 발명은 하수관과 지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관을 하수관의 측면에 연결하는 경우 지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하수관 연결방식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수관 10의 측면에 구멍 12을 형성하고 그 구멍 12으로 지관 15을 삽입한 후 지관 15의 외주면을 몰타르 17로 발라 밀봉 하였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의 하수관 연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관 15의 선단이 하수관 10의 일부를 막게되어 하수의 흐름을 방해할 뿐 아니라 토사나 오물이 걸리고 퇴적되어 하수도의 기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하수관 준설시에 하수관 내부로 돌출된 지관으로 인하여 버켓 통과에 지장을 초래하여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며, 버켓을 무리하게 통과시키고자 하면 지관의 선단에 충격을 주게되어 연결부가 파손되어 하수관의 오수가 누수되어 토양을 오염 시키게 되며, 또한 지하수 유입을 촉진시켜 하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지관을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몰타르로 지관 주위를 발라 밀봉하는 과정에서 지관의 하부에는 몰타르가 잘 붙지 않아 작업이 곤란하고 또한 몰타르가 굳을때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시공후에도 오랜시간 하수를 흘릴 수 없으므로 시공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수관에 연결되는 지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하수관과 지관이 연결되는 부위를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하며, 지관이 하수관 내부로 삽입되지 않으므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며 하수관 준설을 용이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관이 연결되는 하수관 부위에 구멍을 형성하고, 지관과 연결시키는 지관 연결구는 일측이 지관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삽입부로 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와 하수관사이에는 패킹이 밀착설치되어 후크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하수관에 연결구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하수관 연결부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하수관 연결부의 단면도
도 3 는 본 발명 하수관 연결부의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하수관 연결구의 설치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수관 10의 일측에 지관 15을 연결하기 위한 구멍 12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연결되는 지관 15은 연결구 30를 이용하여 연결하되, 상기 지관 연결구 30는 일측이 지관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 3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삽입부보다 넓게 플랜지 35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35에는 삽입부 31로 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 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 32에는 볼트구멍 36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35와 하수관 10사이에는 패킹 34이 밀착설치되어 후크볼트 38와 너트 39를 이용하여 하수관 10에 연결구 30를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은 하수관 10에 생활 하수구를 흘려 보내기 위한 지관 15을 연결하고자 할 때 우선 하수관 10에 지관 15이 연결되는 부위에 구멍 12을 드릴링 작업을 하여 형성한후 구멍의 외부에 연결구 30를 부착 설치한다.
이때 연결구 30는 플랜지 35를 이용하여 하수관 10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후크볼트 38과 너트 39를 이용하여 하수관 10에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연결구 30의 플랜지 35에 형성된 36에 후크볼트 38를 끼운 상태에서 후크 38a가 연결구의 내측을 향하도록 한후 연결구의 플랜지를 하수관의 구멍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후크볼트 38를 외측에서 회전 시키면 후크볼트 38의 후크 38a가 하수관 10에 형성된 구멍 12의 주면에 걸리게 된다. 이후 외측에서 너트 39를 조이면 연결구 30는 하수관 10에 결합되는 것이며, 이때 패킹 34은 하수관과 연결구 사이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보강부 32는 후크볼트 38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며, 삽입부 31와 플랜지 35의 보강역할을 하여 강도를 증가하여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너트 39의 하면에는 패킹 37a와 와셔 37b를 설치하여 볼트구멍 36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후 연결구 30의 삽입구 31측으로 지관 15을 밀어 넣으면 지관 15의 내경에 연결구 30의 삽입부 31가 끼워져 연결되는 것이며, 이후 지관 15이 연결구 30와 접촉하는 주면을 실리콘 등의 실링재를 이용하여 밀폐시키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에 연결되는 지관을 연결시키면 시공시 하수관을 완전히 노출시키지 않고 지관이 연결되는 부위까지만 하수관주변의 땅을 파낸후 지관을 연결할 수 있어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하수관과 지관이 연결되는 부위가 밀폐되어 누수가 방지되며, 지관이 하수관 내부로 삽입되지 않으므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게되며, 하수관 준설시에도 버켓이 장애를 받지않음으로써 준설작업을 용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관에 연결되는 지관을 용이하게 연결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하수관과 지관이 연결되는 부위를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하며, 지관이 하수관 내부로 삽입되지 않으므로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며 하수관 준설을 용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지관이 연결되는 하수관 부위에 구멍을 형성하고, 지관과 연결시키는 지관 연결구는 일측이 지관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삽입부로 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와 하수관사이에는 패킹이 밀착설치되어 후크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하수관에 연결구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수팽창고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와 지관의 접속부에는 실링재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 장치.
KR10-1999-0038024A 1999-09-08 1999-09-08 하수관 연결장치 KR100424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024A KR100424216B1 (ko) 1999-09-08 1999-09-08 하수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024A KR100424216B1 (ko) 1999-09-08 1999-09-08 하수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627A true KR20010026627A (ko) 2001-04-06
KR100424216B1 KR100424216B1 (ko) 2004-03-22

Family

ID=1961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024A KR100424216B1 (ko) 1999-09-08 1999-09-08 하수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2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135B1 (ko) * 2012-03-02 2012-05-25 (주)크린텍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CN112095744A (zh) * 2019-12-05 2020-12-18 怀化沃普环保科技有限公司 预留检修孔型下水道防堵沉水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555A (ko) * 2003-03-22 2004-10-06 영풍산업 주식회사 누수 방지를 위한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및 장치
KR100707816B1 (ko) 2006-03-09 2007-04-13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디씨파이프 분기관 이음 소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117B1 (ko) * 1994-10-10 1998-12-01 석진철 굴삭기의 조작성 향상 유량제어장치
KR19980027910A (ko) * 1996-10-18 1998-07-15 김광호 노트북 컴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135B1 (ko) * 2012-03-02 2012-05-25 (주)크린텍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CN112095744A (zh) * 2019-12-05 2020-12-18 怀化沃普环保科技有限公司 预留检修孔型下水道防堵沉水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4216B1 (ko) 200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JPWO2003008715A1 (ja) マンホール構造の施工方法、マンホール構造用止水可とう継手及びマンホール構造
KR20010026627A (ko) 하수관 연결장치
KR200261920Y1 (ko) 오폐수 하수관로
KR200318113Y1 (ko) 흄관용 받침부재
KR200211157Y1 (ko) 지중관체 보수장치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KR200391844Y1 (ko) 암거 구조체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JP2578342Y2 (ja) 下水道管における既設管との接続装置
CN216201341U (zh) 一种承插式混凝土管道接口的止水结构
KR200160541Y1 (ko)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
JP4219073B2 (ja) 補修桝
KR20080105687A (ko) 하수도 분기관 연결구조
CN215594122U (zh) 一种顶管管节与顶管井防水构造
KR200195785Y1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부재
KR200462219Y1 (ko) 유속 변환구조를 갖는 매립용 흄관의 시공 구조물
KR200294160Y1 (ko) 전기 및 통신관로용 철재맨홀
KR100509516B1 (ko)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방법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JP2537383B2 (ja) 枝管付き既設管の内面ライニング方法
KR200325547Y1 (ko) 오폐수 도관의 연결부재
JP2006257731A (ja) マンホール継手、並びに、管接続構造
KR200163392Y1 (ko) 주하수관에분기하수관을연결시키기위한체결구
JPH08277570A (ja) 公共用ドロップ桝の仮埋設方法及び下水道施工方法と下水道設備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030

Effective date: 200312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1010041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030

Effective date: 200312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