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541Y1 -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 - Google Patents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541Y1
KR200160541Y1 KR2019970025117U KR19970025117U KR200160541Y1 KR 200160541 Y1 KR200160541 Y1 KR 200160541Y1 KR 2019970025117 U KR2019970025117 U KR 2019970025117U KR 19970025117 U KR19970025117 U KR 19970025117U KR 200160541 Y1 KR200160541 Y1 KR 200160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sewer pipe
coupl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152U (ko
Inventor
임규영
Original Assignee
임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규영 filed Critical 임규영
Priority to KR2019970025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54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1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3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주하수관에 결합된 분기하수관(30)의 결합력을 높이고, 수밀을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하수관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관체(20)의 결합구(21) 외측단부에 분기하수관(20)의 결합을 위한 이탈방지편(2)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
본 고안은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설된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주하수관에 결합된 분기하수관의 결합력을 높이고, 수밀을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주로 콘크리트관과 합성수지관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합성수지관은 외부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2 중 관체로 제작되어 내구성과 시공작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근래에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합성수지관을 이용한 하수관은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버려지는 폐수의 배수를 위한 분기하수관과, 상기 분기하수관이 결합되는 주하수관으로 구분된다. 한편, 종래에 주하수관에 결합되는 분기하수관의 결합방법은 상기 주하수관에 연결구멍을 뚫어 연결한 연결관체의 결합구에 분기하수관을 끼우고 둘레의 접합부에 접착제를 도포 하여 결합시키거나, 시멘트 몰탈을 덮어 씌워 결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분기하수관들이 연결된 주하수관은 도로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하중 및 지속적인 주행진동과, 해동시 지각변동으로 인하여 주하수관에 접착제나 시멘트 몰탈에 의하여 결합된 분기하수관이 이완되고 결합부위가 파손되어 누수현상이 발생되어 지하수오염을 일으키게 되며, 심한 경우는 벌어진 틈으로 토사가 유입되어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주하수관에 결합된 분기하수관의 결합력을 높이고, 수밀을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하수관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관체의 결합구 외측단부에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주하수관에 결합되는 분기하수관이 연결관체에 억지 끼워 맞춤 결합되어 용이하게 결합되며, 이탈방지수단에 의하여 분기하수관의 결합력이 높아져 누수현상등이 방지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분기하수관을 결합한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연결관체 21 : 결합구
30 : 분기하수관 31 : 리브
32 : 골 33 : 패킹
1 : 연결부재 1a : 절곡부
2 : 이탈방지편 2a : 경사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분기하수관을 결합한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주하수관에 결합된 연결관체(20)에 결합되는 분기하수관(30)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하며, 수밀이 유지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즉,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하수관에 결합되는 연결관체(20)의 결합구(21) 단부에 연결부재(1)에 의하여 결합된 이탈방지편(2)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는 연결관체(20)의 결합구(21) 단부에 셋 또는 그 이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결합구(21)에 분기하수관(30) 삽입시 굽혀지기 용이하게 결합구(21)와의 경계에 절곡부(1a)를 형성하며, 분기하수관(30)과 연결관체(20)의 결합구(21) 사이에서 분기하수관(30)의 결합력을 높인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의 단부에 결합된 이탈방지편(2)은 결합구(21)에 삽입되는 분기하수관(30)의 리브(31)와 리브(31) 사이의 골(32)에 삽입되어 연결관체(20)의 결합구(21)에 결합된 분기하수관(30)이 상기 결합구(21)에서 이탈되지 않게 쐐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결관체(20)의 결합구(21)에 결합된 분기하수관(30)에 외력에 의하여 이탈력이 작용되면 리브(31)에 쐐기 역할을 하여 상기 분기하수관(30)이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경사면(2a)을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이용하여 분기하수관(30)을 주하수관에 결합시키고자할 경우에는 분기하수관(30)의 단부에 수밀유지를 위한 패킹(33)을 결합하고, 연결관체(20)의 결합구(21)에 일정량 삽입한 후 결합구(21)의 단부에 연결부재(1)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이탈방지편(2)을 리브(31)와 리브(31) 사이에 형성된 골(32)에 삽입한다. 그리고, 분기하수관(30)을 계속하여 삽입하므로 분기하수관(3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결합되어 있는 분기하수관(30)에 차량의 하중 또는 주행진동 및 해동에 의한 지각변동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분기하수관(30)에 이탈력이 작용되면 이때 리브(31)와 리브(31)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이탈방지편(2)이 쐐기 역할을 하므로 분기하수관(30)에 외력에 의한 이탈력이 작용되어도 분기하수관(30)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분기하수관의 결합방법이 상기 분기하수관의 끼움 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그 끼움 결합 후 이탈방지편이 쐐기 역할을 하여 분기하수관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결합상태가 견고하며, 분기하수관의 단부에 패킹이 구비되어 수밀이 유지되어 누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결관체 결합구(21)의 단부에 연결부재(1)에 의하여 결합된 이탈방지편(2)을 구비하되, 상기 이탈방지편(2)은 결합구(21)에 삽입되는 분기하수관(30)의 리브(31)와 리브(31) 사이의 골(32)에 삽입되어 상기 분기하수관(30)이 결합구(21)에 억지 끼워 맞춤 되게 하고, 분기하수관(30)에 이탈력이 작용시 리브(31)에 쐐기 역할을 하여 상기 분기하수관(30)이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경사면(2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
KR2019970025117U 1997-09-03 1997-09-03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 KR200160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117U KR200160541Y1 (ko) 1997-09-03 1997-09-03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117U KR200160541Y1 (ko) 1997-09-03 1997-09-03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152U KR19990012152U (ko) 1999-04-06
KR200160541Y1 true KR200160541Y1 (ko) 1999-11-15

Family

ID=1950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117U KR200160541Y1 (ko) 1997-09-03 1997-09-03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5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152U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KR100764878B1 (ko) 비굴착 전체보수 갱생관의 단부처리 방법 및 단부처리용슬리브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200160541Y1 (ko) 주하수관의 분기하수관 결합구
KR20160004207U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0195784Y1 (ko) 주하수관에 분기 하수관 결합구
JPH11191918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接続方法、接続構造およびシール用可とう性継手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100240206B1 (ko)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KR20010026627A (ko) 하수관 연결장치
KR100903088B1 (ko) 피씨 암거 연결 시공방법
KR100359294B1 (ko) 조립식 암거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KR200275256Y1 (ko) 하수관과 가지관의 연결구조
KR200195785Y1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부재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KR200216512Y1 (ko) 조립식 관로구
JPH027994Y2 (ko)
KR100490026B1 (ko) 건축 및 도로와 같은 토목공사에서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하수관용연결기구
KR10047053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용 급,배수관의 연결장치
KR100947851B1 (ko) 교량 배수시설용 배수관 조립체
KR200205746Y1 (ko) 맨홀용 방수 조립식 연결관
KR200252819Y1 (ko)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하수관 연결구조
KR200163392Y1 (ko) 주하수관에분기하수관을연결시키기위한체결구
KR200192941Y1 (ko) 피브이씨관 보강 콘크리트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