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135B1 -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 Google Patents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135B1
KR101147135B1 KR1020120021837A KR20120021837A KR101147135B1 KR 101147135 B1 KR101147135 B1 KR 101147135B1 KR 1020120021837 A KR1020120021837 A KR 1020120021837A KR 20120021837 A KR20120021837 A KR 20120021837A KR 101147135 B1 KR101147135 B1 KR 10114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water pipe
flange
work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주)크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린텍 filed Critical (주)크린텍
Priority to KR102012002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을 굴착하지 않고 지중에 매설된 상수관로를 보수하는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수관로의 절단하지 않고 상수관로의 측면에 플렌지관을 용접 고정시킨 후 플렌지관을 이용하여 상수관로의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수관로의 측면으로 플렌지관이 연결되는 작업구를 천공한 후 상기 천공된 작업구에 플렌지관을 용접 고정시킨 후 상기 플렌지관을 이용하여 보강튜브가 투입되어 관로 보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상수관의 측면에 작업구를 천공하게 되고 상기 작업구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플렌지관을 용접하는 것이어서, 작업시간이 적게 걸리는 한편 지반 굴착이 깊지 않게 하여도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Mending Method for Non-digging Sewerage uses frange}
본 발명은 지면을 굴착하지 않고 지중에 매설된 상수관로를 보수하는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수관로의 절단하지 않고 상수관로의 측면에 플렌지관을 용접 고정시킨 후 플렌지관을 이용하여 상수관로의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된 상수도관로, 산업용 배관, 가스관, 공업용수관을 굴착하지 않고 노후 된 관로 내로 한쪽 면이 코팅된 튜브(부직포)에 열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킨 보강튜브를 반전 삽입한 후 보강튜브의 내부로 온수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열경화성 수지를 고형화시킴으로서 열경화성수지가 함침된 면이 노후 된 상하수관로의 내면을 보수하는 비굴착 방식의 관로보수공법은 일반화되어 있다.
이 같은 비굴착 방식의 관로보수 공법 중 본 출원인 등록받은 특허등록 10-06449139에는 상수관로에서 일정구간을 절단하여 상수관로의 세척과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보강튜브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보강튜브의 시공이 끝난 후 상수관로의 잘려진 부분을 연결시킴에 있어서, T형 접합관을 용접으로 고정시켜 수밀과 기밀의 보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수관로의 내부에서 보강튜브가 용접열에 의한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하는 공법이 제시되어 있다.
즉, 선등록 특허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관로(10)(10a) 사이를 일정간격으로 절단한 후 하나의 상수관로(10)에 보강튜브(20)를 시공하여 상수관로(10)의 선단길이에 맞추어 절단하고, 상기 상수관로(10)(10a) 사이에 측면으로 관통홀(31)이 형성된 T형 접합관(30)을 끼우고 상수관로(10)(10a)와 T형 접합관(30)의 결합부위 외측으로 결합링(60)(60a)을 끼우고 T형 접합관(30)의 관통홀(31)로 작업자가 들어가 결합링(60)(60a)의 내측을 용접하는 한편 외부에서 결합링(60)(60a)을 용접하며, 상기 상수관로(10)에 시공된 보강튜브(20)를 용접부위에서 일정거리 만큼 이격시켜 절단 제거한 후 상수관로(10a)의 타측 절단부위에서 T형 접합관(30)의 내부로 보강튜브(20a)를 시공하되 상수관로(10)에 시공된 보강튜브(20)와 일부가 겹치게 시공하고, T형 접합관(30)의 관통홀(31)을 막은 보강튜브(20a)를 잘라낸 후 상수관로(10)에서 보강튜브(20)(20a)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보강튜브(20a)를 절단하며, T형 접합관(30)의 관통홀(31)에 형성된 플렌지(32)에 차단판(50)을 고정시켜 관통홀(31)을 막아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T형 접합관(30)을 끼워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수관로(10)(10a)의 하부와 측면으로 상당한 깊이를 파주어야 하고, 또한 상수관로(10)(10a)의 외측을 둘러가며 모두 용접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지반을 넓고 깊게 파주어야 하는 문제와 함께 용접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49139호(2006. 11. 16 등록)
본 발명은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에서, 상수관로의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된 자리에 T자형 접합관을 용접 고정한 후 T형 접합관을 이용하여 보강튜브에 의한 관로보수가 이루어지게 함에 있어서, T형 접합관을 사용하는 경우 상당한 깊이와 넓이로 지반을 굴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고, 또한 상수관로의 원형 단면을 따라 모두 용접이 이루어져야 하는 관계로 용접 작업이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을 얇게 굴착한 상태에서 상수관로의 측면을 뚫은 후 플렌지관을 용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수관로의 측면으로 플렌지관이 연결되는 작업구를 천공한 후 상기 천공된 작업구에 플렌지관을 용접 고정시킨 후 상기 플렌지관을 이용하여 보강튜브가 투입되어 관로 보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상수관의 측면에 작업구를 천공하게 되고 상기 작업구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플렌지관을 용접하는 것이어서, 작업시간이 적게 걸리는 한편 지반 굴착이 깊지 않게 하여도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수관로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제거한 후 관로 보수가 이루어지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상수관로의 측면을 천공하여 플렌지관을 연결한 후 상기 플렌지관을 이용하여 관로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관로보수가 완성되면 플렌지관을 폐쇄하여 상수흐름에 방해주지 않는 것으로, 상기 플렌지관의 중심이 상수관로의 중심보다 낮은 쪽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플렌지관의 길이를 짧게 하여 에어포켓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지면을 굴착하지 않고 지중에 매설된 상수관로를 보수하는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수관로의 절단하지 않고 상수관로의 측면에 작업구를 천공하여 플렌지관을 연결한 후 상기 플렌지관을 이용하여 상수관로의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의 T형 접합관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반 굴착의 깊이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플렌지관의 연결을 위한 용접 작업이 기존의 T형 접합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용접 작업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렌지관이 상수관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관계로 상수의 통수가 이루어질 때 플렌지관의 내부에 에어포켓이 발생하거나 수충격이 발생하는 문제를 없애게 된다.
도 1은 기존 T형 접합관을 끼우기 전의 상수관로 정단면도
도 2는 기존 T형 접합관을 끼워 용접을 마친 상태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보강튜브를 반전시킨 상태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관로보수 작업을 마친 상태의 상수관로 정단면도
도 5는 기존 상수관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작업구를 천공한 상태의 상수관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플렌지관을 용접한 상태의 상수관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작업구를 천공항 상태의 상수관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플렌지관을 용접한 상태의 상수관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보강튜브를 1차 작업한 상태의 상수관로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보강튜브를 2차 작업하는 상태의 상수관로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보강튜브를 팽창시켜 경화시키는 상태의 상수관로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보강튜브를 2차 작업한 상태의 상수관로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보강튜브를 작업한 상태의 상수관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플렌지관을 막아준 상태의 상수관로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통수가 진행되는 상태의 상수관로 측단면도
본 발명은 상수관로(10)를 비굴착 방식으로 재생함에 있어서, 상수관로(1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제거하지 않고, 상수관로(10)의 측면으로 작업구(11)를 형성한 후 상기 작업구(11)에 플렌지관(70)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플렌지관(70)과 작업구(11)를 통하여 보강튜브(20)(20a)의 반전과 관로보수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며, 관로보수 작업이 완료된 후 플렌지관(70)은 막음판(71)을 이용하여 막아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수관로(10)를 절단하여 제거한 후 T형 접합관(30)을 이용하여 관로 보수 작업을 하게 되는 기존 방식과 비교할 때 상수관로(10)의 측면에 작업구(11)를 뚫고, 상기 작업구(1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플렌지관(70)을 용접한 후 보강튜브(20)(20a)의 반전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지반을 천공하는 부위가 현저히 줄어들고, 용접 부위가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 T형 접합관(30)을 이용하는 방식은 상당한 폭과 깊이를 갖도록 지반 굴착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도심과 같은 곳에서는 작업 공간의 확보에 애를 먹게 되나, 본 발명과 같이 상수관로(10)의 일측면에서 작업구(11)를 천공하고, 플렌지관(70)을 용접 고정시키는 경우 굴착 깊이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굴착 넓이를 줄일 수 있어, 도심에서도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상수관로(10)의 관로보수가 이루어지는 지점이 노출되도록 지반을 굴착하는 과정과, 상수관로(10)가 노출되면 상수관로(10)의 측면으로 작업구(11)를 천공하는 과정과, 작업구(1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플렌지관(70)을 용접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플렌지관(70)과 작업구(11)를 통하여 상수관로(10)의 내부에 보강튜브(20)(20a)를 반전시켜 관로 보수 작업을 하는 과정과, 플렌지관(70)을 통한 관로보수가 이루어진 후 플렌지관(70)을 막음판(71)으로 막아주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수관로(10)에 천공되는 작업구(11)는 상수관로(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하는 한편 상수관로(10)의 중심보다 작업구(11)의 중심이 낮은 위치에 놓이도록 작업구(11)를 천공한다.
상기 작업구(1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용접하는 플렌지관(70)은 그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여 플렌지관(70)을 막아주는 막음판(71)이 볼트로 체결될 수 있는 공간만 확보할 수 있을 정도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작업구(11)의 직경은 플렌지관(70)의 내경과 같도록 하여 플렌지관(70)을 용접 고정하더라도 작업구(11)의 직경이 작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구(11)를 통하여 보강튜브(20)(20a)가 반전되기 때문에 보강튜브(20)(20a)를 작업구(11)로 넣을 때 작업구(11)의 천공시 발생된 날카로움으로 보강튜브(20)(20a)가 찢어지는 경우를 없애기 위하여 플렌지관(70)의 내측에 끼워져 작업구(11)의 날카로움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관을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각각의 작업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지반을 굴착하는 과정은 지하에 묻힌 상수관로(10)가 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관로보수를 위하여 지반을 굴착할 때 상수관로(10)가 노출되도록 하고, 본 발명은 상수관로(10)가 노출되도록 굴착을 할 때 상수관로(10)의 일측면만 확실히 노출되도록 굴착을 하는 한편 기존과 같이 상수관로(10)의 하부와 측면이 모두 노출되도록 굴착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굴착 작업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도심과 같은 곳에서도 굴착이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수관로(10)의 일측면에서 관로보수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T형 접합관(30)을 사용하는 방식에서의 지반 굴착 범위보다 현저히 적은 굴착이 이루어지면 되고, 도심에서의 상황에 따라 왼쪽이나 오른쪽을 선택하여 굴착할 수 있으므로, 굴착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굴착 범위가 좁아도 되고, 굴착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굴착 작업이 쉽고, 도심에서도 어렵지 않게 작업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수관로(10)가 노출되도록 지반 굴착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수관로(10)의 일측으로 작업구(11)를 천공하여야 하고, 상기 작업구(11)는 상수관로(10)의 직경 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고, 상수관로(10)의 중심보다 낮은 쪽에 작업구(1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작업구(11)의 중심위치가 상수관로(10)의 중심위치보다 낮은 쪽에 위치하도록 작업구(11)를 천공하는 이유는 플렌지관(70)을 용접하여 관로보수 작업을 마친 후 통수가 이루어질 때 플렌지관(70)의 내부에 공기가 차지 않고 물이 채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수관로(10)의 측면에 작업구(11)가 천공되면 작업구(1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플렌지관(70)을 용접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플렌지관(70)과 작업구(11)를 통하여 보강튜브(20)(20a)의 반전 작업이 이루어지고, 작업자가 상수관로(10)의 내부로 진입하여 보강튜브(20)(20a)를 절단하는 등의 관로보수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수관로(10)의 내측으로 보강튜브(20)(20a)를 반전시켜 관로 보수를 하는 작업은 당 업계에서 공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이 플렌지관(70)을 통한 관로보수가 이루어진 후 플렌지관(70)의 입구는 볼트로 막음판(71)을 막아줌으로써 작업이 완료되고, 상기 과정을 거쳐 전체 상수관로(10)의 보수가 완료되면 통수를 하게 되고, 통수 과정에서 플렌지관(70)에 에어가 차지 않고 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수관로(10)의 관로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굴착된 지반을 메꾸고 작업을 완료한다.
10 : 상수관로 11 : 작업구
20,20a : 보강튜브 30 : T형 접합관
70 : 플렌지관 71 : 막음판

Claims (2)

  1. 상수관로(10)의 관로보수가 이루어지는 지점이 노출되도록 지반을 굴착하되 상수관로(10)의 일측면에서 관로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넓게 굴착하는 과정과,
    지반의 굴착으로 인하여 상수관로(10)가 노출되면 상수관로(10)의 측면으로 작업구(11)를 천공하되 상기 작업구(11)의 중심이 상수관로(10)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도록 작업구(11)를 천공하는 과정과,
    상기 작업구(1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수관로(10)의 외측으로 플렌지관(70)을 용접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플렌지관(70)과 작업구(11)를 통하여 상수관로(10)의 내부에 보강튜브(20)(20a)를 반전시켜 관로 보수 작업을 하는 과정과,
    플렌지관(70)을 통한 관로보수가 이루어진 후 플렌지관(70)을 막음판(71)으로 막아주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수관로(10)의 일측면에 천공되는 작업구(11)의 직경은 상수관로(10)의 직경보다 적도록 하고, 상기 작업구(11)의 중심이 상수관로(10)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도록 작업구(11)를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KR1020120021837A 2012-03-02 2012-03-02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KR10114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837A KR101147135B1 (ko) 2012-03-02 2012-03-02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837A KR101147135B1 (ko) 2012-03-02 2012-03-02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135B1 true KR101147135B1 (ko) 2012-05-25

Family

ID=4627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837A KR101147135B1 (ko) 2012-03-02 2012-03-02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1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627A (ko) * 1999-09-08 2001-04-06 류상규 하수관 연결장치
KR200337222Y1 (ko) 2003-09-30 2003-12-31 강석근 주배관의 분기관 접속장치
KR100926947B1 (ko) 2009-04-17 2009-11-17 유한회사 태양건설 상수도관 일부절개 방식의 상수도관 갱생공사 반전공법 및 세관공법
KR20110086978A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배관용 폐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627A (ko) * 1999-09-08 2001-04-06 류상규 하수관 연결장치
KR200337222Y1 (ko) 2003-09-30 2003-12-31 강석근 주배관의 분기관 접속장치
KR100926947B1 (ko) 2009-04-17 2009-11-17 유한회사 태양건설 상수도관 일부절개 방식의 상수도관 갱생공사 반전공법 및 세관공법
KR20110086978A (ko) *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배관용 폐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647B1 (ko) H형강 지보재의 합일체에 따라 강성 및 전단력을 강화시킨 비개착식 터널의 방수 구조물 및 그의 시공 방법
CN105179875A (zh) 一种软弱地层排水管道变形塌陷的非开挖修复方法
JP4493699B2 (ja) 透水セグメントおよびこの透水セグメントを用いたトンネル
KR101147135B1 (ko) 플렌지관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비굴착 관로보수 공법
JP2008111227A (ja) 多連トンネルの施工方法および接続構造と、多連トンネルを構成するトンネルとパイプルーフの接続構造
JP2010031485A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と立坑の接合方法
JP2016003552A (ja) 横抗掘進用エントランスまたは到達用エグジット
KR101143482B1 (ko) 상수관 비굴착 방식의 수격방지 공법 및 장치
KR101807366B1 (ko) 논리턴밸브조립체 삽입유도관 일체형의 오버랩 원통부재와 이를 이용한 주열식 차수벽 시공방법
CN109707337B (zh) 装配式注浆导管自行止浆装置
KR100649139B1 (ko) 접합부 일체화 시공이 가능한 노후 배관 비굴착 전체 보수갱생 공법
KR102197032B1 (ko)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작업구용 강관의 구조
JP2007162323A (ja) 壁体の形成方法及び壁体
JP6432865B2 (ja) 掘進機の回収方法
KR100735619B1 (ko) 노후 된 상수도관 내부에 새 상수도관을 부설하는갱생방법
KR100807538B1 (ko) 노후 된 상수도강관 내부에 새 상수도강관을 접합 부설하는갱생방법
JP2013002183A (ja) 水中到達による推進工法
KR101390175B1 (ko) 상수도관 갱생구간 내 임시급수공법
JP6483575B2 (ja) セグメントの枠体、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セグメント
JP2015166531A (ja) 推進工法における発進坑壁及び到達坑壁の坑口構造
US8684104B1 (en) Detachable pipe ramming head with efficient lubrication dispersal
CN219826922U (zh) 一种地下复合地层隧道外侧引水装置及引水施工结构
KR100362261B1 (ko) 부단수 천공용 제수변
KR20200095261A (ko) 비굴착식 노후관 교체 방법
CN107061865A (zh) 一种污水处理厂大口径新旧管线不停产碰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