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442A -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442A
KR20010026442A KR1019990037759A KR19990037759A KR20010026442A KR 20010026442 A KR20010026442 A KR 20010026442A KR 1019990037759 A KR1019990037759 A KR 1019990037759A KR 19990037759 A KR19990037759 A KR 19990037759A KR 20010026442 A KR20010026442 A KR 20010026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parts
fixing
postur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근
Original Assignee
정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근 filed Critical 정형근
Priority to KR1019990037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6442A/ko
Publication of KR2001002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4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조립하는 사람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그 자세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조립이 가능한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는, 조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14, 14', 14")와 인형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부(16, 16', 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세트의 인형 부분품(10, 10', 10"); 2개 이상의 부분품(10, 10', 10")의 연결부(14, 14', 14")에 각 단부가 고정되고, 중앙부분에서 그 부분품(10, 10', 10")의 상호간의 자세관계를 조정가능하게 하는 관절부(26)가 형성된 관절수단(20,30); 그리고, 고형화되어 상기 부분품(10, 10', 10")의 변형된 자세관계를 고정하도록 관절수단(20, 30)에 의하여 소정의 자세관계로 연결된 부분품(10, 10', 10")의 연결부(14, 14', 14") 사이의 빈공간에 충진되는 충진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 본 발명의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 조립방법은, 관절수단의 각 고정부를 부분품의 연결부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단계; 각 관절수단에 의하여 연결된 각 부분품이 배열되어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관절수단의 관절부를 변형시키는 자세변형단계; 및 소정의 자세를 가진 부분품들 사이에 충진되고 고형화됨으로써 부분품들이 고정되도록 하는 충진 및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A pose changeable doll assembling kit and its assembling method}
본 발명은 다양한 자세를 가지는 완성품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립하는 사람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그 자세를 변형시켜가면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형 조립키트는, 인형의 팔, 다리, 몸통 등의 부분품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져, 소비자가 직접 각 부분품을 짜 맞춤으로써, 완성된 인형을 얻을 수 있게 한 물품이다. 이러한 인형 조립키트와 유사한 것으로서, 종래에 로보트나 자동차 등과 같은 형태를 갖춘 장난감 조립키트 또는 레고(등록상표) 등의 조립키트 등이 널리 판매되고 있다.
이들 종래의 조립키트에 있어서는, 조립될 부분품들에 암수형태의 후크나 홈 등의 연결부분이 형성되어 있어서, 조립하는 사람(이하, '조립자'라 한다)은 조립키트에 첨부되어 있는 설명서의 지시에 따라서 조립하게 된다. 대개 이러한 경우에는 완성된 형태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조립자는 이미 정해진 형태의 완성품을 얻을 수 있을 뿐이고, 자신의 기호에 맞추어 그 형태나 자세를 변형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조립키트에 있어서도, 물론 조립된 후 완성품의 형태에서 팔, 다리 등의 일부분을 회전시키는 등의 변형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변형가능한 팔, 다리 등은 일정하게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워서 결국에는 가장 안정한 형태, 예컨대 차렷자세 등을 취하게 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하는 사람의 기호에 맞는 자세를 가지는 완성된 인형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형조립키트의 인형의 부분품과 관절수단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수단과 부분품, 그리고 충진고정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수단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수단과 부분품, 그리고 충진고정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인형의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10',10": 부분품 12,12',12" : 연결홈 14,14',14" : 연결부
20 : 주름튜브 22,24 : 고정부 26 : 관절부
30 : 조인트 32, 34 : 고정부 36, 38 : 관절부
40 : 충진고정수단 50 : 피부 52 : 머리칼
54, 56 : 옷 58 : 신발 62 : 발판
64 : 바람개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는, 인형의 각 부분품을 조립하여 소비자가 완성하도록 하는 인형조립키트에 있어서, 조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와 인형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세트의 인형 부분품; 2개 이상의 부분품의 연결부에 각 단부가 고정되고, 중앙부분에서 그 부분품의 상호간의 자세관계를 조정가능하게 하는 관절부가 형성된 관절수단; 그리고, 고형화되어 상기 부분품의 변형된 자세관계를 고정하도록 관절수단에 의하여 소정의 자세관계로 연결된 부분품의 연결부 사이의 빈공간에 충진되는 충진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방법은, 인형의 각 부분품을 포함한 인형 조립키트를 사용하여 인형을 조립하는데 있어서, 관절수단의 각 단부를 상기 인형의 부분품의 연결부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단계; 각 관절수단에 의하여 연결된 각 부분품이 배열되어 소정의 자세를 갖도록, 상기 관절수단의 관절부를 변형시키는 자세변형단계; 그리고, 소정의 자세를 가지도록 배열된 부분품과 부분품 사이에 충진되고 고형화됨으로써 상기 관절수단에 의하여 만들어진 소정의 자세가 고정되도록 하는 충진고정수단을 충진하여 고형화하는 충진 및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형조립키트의 인형의 부분품(10, 10', 10")과 관절수단(20)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인형조립키트는 한 세트의 인형 부분품(10, 10', 10")과, 각 부분품을 변형가능하게 연결하는 다수의 관절수단(20), 그리고 관절수단(20)과 부분품(10, 10', 10")이 연결되어 있는 부위의 빈 공간을 채워 고정시키는 충진고정수단(40)(도 3 참조)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세트의 인형 부분품(10, 10', 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두 연결되면 소망하는 형태의 완성된 인형을 얻을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각 부분품(10, 10', 10")은 인형의 각 부분의 형상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인형의 각 관절부위에서 절단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부분품(10, 10', 10")은 다른 부분품(10, 10', 10")과 각각 대응하여 연결되는 연결부(14, 14', 14")와 인형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부(16, 16', 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분품(10')의 연결부(14')는 각각 대응되는 다른 부분품(10")의 연결부(14")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을 위한 연결홈(12', 12")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경우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관절수단의 형태에 따라서는 연결홈과 같은 별도의 수단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부분품(10, 10', 10")의 외피부(16, 16', 16")는 완성된 인형의 외표면을 이루는 면이다.
이러한 인형의 부분품(10, 10' 10") 들은, 예컨대, 닥종이 인형의 경우에는 펄프가루를 물에 개서 프레스 금형으로 가압성형하여 만들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석고나 플라스틱과 같은 종래의 인형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관절수단을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수단(20, 30)의 하나로서 주름튜브(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주름튜브(20)와 부분품(10', 10"), 그리고 충진고정수단(40)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주름튜브(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분품(10', 10")의 연결부(14', 14")에 형성된 연결홈(12', 12")에 각각 삽입, 연결될 수 있는 단부인 2개의 고정부(22, 24)를 가진다. 그리고 고정부(22, 24) 사이에는 주름형태로 된 관절부(26)가 구성되어 있다. 관절부(26)는 양 고정부(22, 24)의 상호간의 자세관계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는데, 결과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고정부(22, 24)에 고정되어 있는 부분품(10', 10")들 상호간의 자세관계를 변형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주름튜브(20)는 단순한 형태이면서도 3차원 상으로 양 고정부(22, 24)의 위치관계 또는 자세관계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는 장정을 가진다. 즉, 관절부(26)를 이루는 주름이 일부 펴지고 일부는 접히면서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 주름튜브(20)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료나 종이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수단으로서 조인트(30)와 같은 구조의 관절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조인트(30)의 분해 조립도이고, 도 5는 그 조인트(30)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며, 도 6은 조인트(30)와 부분품(10', 10"), 그리고 충진고정수단(40)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조인트(30) 두 개의 연결된 제1 조인트 팔(30a)과 제2 조인트 팔(30b)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두 제1, 제2 조인트 팔(30a, 30b)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관절부(36, 38)를 이루고, 결합되지 않은 단부는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각각 고정부(32, 34)를 이룬다.
이렇게 관절수단인 조인트(30)의 각 고정부(32, 34)가 뾰족하므로 부분품(10', 10")의 연결부(14', 14")에 직접 꽂아 연결시킬 수 있어, 연결부(14', 14")에 별도의 연결을 위한 홈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조인트(30)의 양 고정부(32, 34)는 2차원 평면상에서만 움직이지만, 고정부(32, 34)를 부분품(10, 10' 10")에 고정시키는 방향에 따라서, 부분품(10, 10' 10")간의 자세관계는 3차원 상에서 변환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관절수단(20, 30)의 고정부(22, 24, 32, 34)가 각각 2개인 예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고정부(22, 24, 32, 34)의 개수가 반드시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을 가지는 관절수단도 가능하다.
또, 충진고정수단(40)은 한지 등의 종이나 석고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품(10', 10")의 변형된 자세관계를 고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관절수단(20, 30)에 의하여 소정의 자세관계로 연결된 부분품(10', 10") 사이의 빈 공간에 충진되고 굳어지면 관절수단(20, 30)에 의해서 그 자세가 정해진 대로 부분품(10', 10")의 자세가 고정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 조립키트에는 인형의 외표면을 장식하는 외장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장재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형의 피부(50), 머리털과 같은 털(52)을 포함하는 표면재료, 발판(62), 바람개비(64)나 바위, 머리핀, 지게를 포함하는 장식재료, 또는 인형의 옷(54, 56), 신발(5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하는 방식을 설명한 설명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인형조립방법은, 인형의 각 부분품을 포함한 인형 조립키트를 사용하여 인형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인형 부분품에 관절수단을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인형 부분품들의 위치관계 또는 자세관계를 조정하는 자세변형단계, 그리고 그 변형된 자세를 고정시키는 충진 및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 고정단계에서 인형을 조립하는 조립자는, 관절수단(20, 30)의 각 고정부(22, 24, 32, 34)를 상기 인형의 부분품(10, 10', 10")의 연결부(14, 14', 14")에 각각 고정한다. 이 때, 관절수단(20, 30)의 형태에 따라서 고정방법을 여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즉, 관절수단이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조인트(30)인 경우에는, 그 각 고정부(32, 34)를 인형의 부분품(10', 10")의 연결부(14', 14")에 직접 꽂음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또 관절수단이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름튜브(20)인 경우에는, 그 고정부(22,24)를 각 부분품(10', 10")의 연결부(14', 14")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12', 12")에 삽입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각 부분품(10, 10', 10")들을 각각 관절수단(20, 30)에 의하여 연결시킨 후에는, 자세변형단계로서 각 부분품(10, 10', 10")이 배열되어 소정의 자세,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개비(64)를 돌리며 즐거워서 손을 올리는 자세 등과 같이 조립자의 마음에 드는 자세를 갖도록 인형의 자세를 조정한다.
이렇게 인형의 자세가 조립자의 기호에 맞도록 변형시키는 것은, 부분품(10, 10' 10")들을 연결하고 있는 관절수단(20, 30)의 관절부(26, 36, 38)를 꺾거나 회동시키는 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즉, 관절수단의 관절부(26, 36, 38)를 2차원 평면상에서 또는 3차원상에서 꺾거나 회동시킴으로서, 각 고정부(22, 24, 32, 34)에 고정된 각 부분품(10, 10', 10") 상호간의 자세관계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립자의 기호에 따라 즐겁게 노는 사람의 자세도 될 수 있고 바닥에 앉아 울고있는 사람의 자세도 될 수 있다.
다음에, 충진 및 고정단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자의 기호에 맞는 소정의 자세를 가지도록 배열된 부분품(10')과 부분품(10") 사이에 소정의 충진재료 예컨대 한지와 같은 종이재료나 석고 등을 포함한 충진수단을 충진한다. 도 3 및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진된 충진수단(40)은 고형화함으로써, 부분품(10', 10")간의 소정의 위치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완성된 인형의 외표면을 구성하기도 한다. 이 충진수단(40)은 인형 부분품(10', 10")의 재료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형상의 빈 공간에 쉽게 채울 수 있고 또 쉽게 고형화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충진 및 고정단계 후, 인형의 외표면을 꾸미는 장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식단계는 인형을 완성하는 단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형의 외표면에 인형의 피부(50), 머리털(52), 수염 등을 포함하는 표면재료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인형이 안정감 있게 서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발판(62)이나, 바위와 같은 주변 장식물, 머리핀과 같은 악세사리, 지게, 바람개비(64) 등을 포함하는 장식재료 등으로 장식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인형의 옷(54, 56), 신발(58) 등등의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로 장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람을 다양한 자세를 변환가능하게 조립하는 인형 조립키트와 그 조립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사람의 형상을 하는 인형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자세가 가능한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예컨대, 걷거나 뛰거나 울부짖는 등의 여러 가지 자세가 가능한 동물인형이 있을 수 있고, 팔다리가 다수개 달린 신화 속의 인물이나 상상 속의 동물, 식물, 또는 로보트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에 의하면, 조립하는 사람은 자신의 기호에 맞도록 인형의 자세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변환시켜 구성할 수 있으며, 또 그 변형된 자세가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자신의 기호에 맞는 자세를 가지는 완성된 인형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4)

  1. 인형의 각 부분품을 조립하여 소비자가 완성하도록 하는 인형조립키트에 있어서,
    조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14, 14', 14")와 인형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부(16, 16', 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세트의 인형 부분품(10, 10', 10");
    2개 이상의 부분품(10, 10', 10")의 연결부(14, 14', 14")에 각 단부가 고정되고, 중앙부분에서 그 부분품(10, 10', 10")의 상호간의 자세관계를 조정가능하게 하는 관절부(26)가 형성된 관절수단(20,30); 그리고,
    고형화되어 상기 부분품(10, 10', 10")의 변형된 자세관계를 고정하도록 관절수단(20, 30)에 의하여 소정의 자세관계로 연결된 부분품(10, 10', 10")의 연결부(14, 14', 14") 사이의 빈공간에 충진되는 충진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 조립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수단(20,30)은, 2개 이상의 상기 부분품(10, 10', 10")의 연결부(14, 14', 14")의 재질이나 형상에 따라 고정되기 쉽도록 고정부(22, 24, 32, 34)가 각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절수단(30)의 각 고정부(32, 34)가 상기 부분품(10', 10")에 직접 꽂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관절수단(20)의 고정부(22,24)를 삽입할 수 있는 연결홈(12', 12")이 각 부분품(10', 10")의 연결부(14', 14")에 형성되어 있어 그 고정부(22, 24)를 그 연결홈(12', 12")에 삽입함으로써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절수단의 관절부(26, 36, 38)는 각 고정부(22, 24, 32, 34)의 위치가 2차원 또는 3차원 상에서 변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충진고정수단(40)은 종이, 한지 또는 석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립키트에는 인형의 외표면을 장식하는 외장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외장재는 인형의 피부, 털을 포함하는 표면재료, 바위, 머리핀, 지게를 포함하는 장식재료, 또는 인형의 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조립키트.
  3. 인형의 각 부분품을 포함한 인형 조립키트를 사용하여 인형을 조립하는데 있어서,
    관절수단(20, 30)의 각 단부를 상기 인형의 부분품(10, 10', 10")의 연결부(14, 14', 14")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단계;
    각 관절수단(20, 30)에 의하여 연결된 각 부분품(10, 10', 10")이 배열되어 소정의 자세를 갖도록, 상기 관절수단(20, 30)의 관절부(26, 36, 38)를 변형시키는 자세변형단계; 그리고,
    소정의 자세를 가지도록 배열된 부분품(10')과 부분품(10") 사이에 충진되고 고형화됨으로써 상기 관절수단(20, 30)에 의하여 만들어진 소정의 자세가 고정되도록 하는 충진고정수단(40)을 충진하여 고형화하는 충진 및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계에서는, 관절수단(30)의 각 단부에 형성된 각 고정부(32, 34)를 상기 부분품(10', 10")에 직접 꽂음으로써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관절수단(20)의 고정부(22,24)를 각 부분품(10', 10")의 연결부(14', 14")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12', 12")에 삽입함으로써 연결시키며;
    상기 자세변형단계에서는, 관절수단의 관절부(26, 36, 38)를 2차원 또는 3차원상으로 변환시켜 각 고정부(22, 24, 32, 34)에 고정된 각 부분품(10, 10', 10") 상호간의 자세관계를 변형시켜 소정의 자세를 형성하며;
    상기 충진 및 고정단계에서는, 한지와 같은 종이 또는 석고를 포함하는 충진고정수단(40)을 충진하며;
    상기 충진 및 고정단계 후, 인형의 외표면을 꾸미는 장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장식단계에서 인형의 외표면에는 인형의 피부, 털을 포함하는 표면재료, 발판, 바람개비, 바위, 머리핀, 지게를 포함하는 장식재료, 또는 인형의 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로 장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형 조립방법.
KR1019990037759A 1999-09-06 1999-09-06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 KR20010026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759A KR20010026442A (ko) 1999-09-06 1999-09-06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759A KR20010026442A (ko) 1999-09-06 1999-09-06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442A true KR20010026442A (ko) 2001-04-06

Family

ID=1961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759A KR20010026442A (ko) 1999-09-06 1999-09-06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64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077B1 (ko) * 2006-09-05 2007-12-07 이귀성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KR20160002752U (ko) * 2015-01-29 2016-08-0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관절 연결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112U (ko) * 1983-01-17 1984-11-30 도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조립구성완구
JPS61200099U (ko) * 1985-05-31 1986-12-15
US5017173A (en) * 1989-10-19 1991-05-21 Mattel, Inc. Torsional joint skeleton for poseable figure
US5516314A (en) * 1993-12-20 1996-05-14 Anderson; S. Catherine Self-supporting fig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112U (ko) * 1983-01-17 1984-11-30 도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조립구성완구
JPS61200099U (ko) * 1985-05-31 1986-12-15
US5017173A (en) * 1989-10-19 1991-05-21 Mattel, Inc. Torsional joint skeleton for poseable figure
US5516314A (en) * 1993-12-20 1996-05-14 Anderson; S. Catherine Self-supporting fig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077B1 (ko) * 2006-09-05 2007-12-07 이귀성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KR20160002752U (ko) * 2015-01-29 2016-08-0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관절 연결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745A (en) Figure having numerous seamless repositionable parts
JP2018523529A (ja) アニメーション人形
JP4500220B2 (ja) 人形の球状関節
JP5203738B2 (ja) 軟質樹脂製人形の胸部骨格構造
US6176756B1 (en) Plush construction set
JP3141096U (ja) 形態変化玩具
KR20010026442A (ko)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
KR200187072Y1 (ko) 관절을 지닌 펄프몰드 닥종이 인형
KR200438421Y1 (ko) 구체 관절 인형용 관절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체 관절인형
JPWO2008099509A1 (ja) 自立人形とその製造方法
TWI305153B (ko)
KR200271897Y1 (ko) 복제 인형
KR100526971B1 (ko) 요철형상의 관절부재
KR100380204B1 (ko) 자세 변환가능한 펄프몰드 닥종이 인형 및 그 조립키트와그 제조방법
KR200177182Y1 (ko) 펄프몰드 장식품
JPS62716Y2 (ko)
JP3228771U (ja) 玩具用カバー
JP7366305B1 (ja) 模型玩具、及び模型玩具の構造体
KR200303341Y1 (ko) 조립식 인형
KR200204416Y1 (ko) 인형의 자세 고정용 유지구
JP3126447U (ja) 人型おもちゃの骨組み
JP2007135798A (ja) 玩具
JP3008106U (ja) 人 形
JP4297283B2 (ja) 人形用の頭部及び頭部製造方法
JPS62116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