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077B1 -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 Google Patents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077B1
KR100783077B1 KR1020060084919A KR20060084919A KR100783077B1 KR 100783077 B1 KR100783077 B1 KR 100783077B1 KR 1020060084919 A KR1020060084919 A KR 1020060084919A KR 20060084919 A KR20060084919 A KR 20060084919A KR 100783077 B1 KR100783077 B1 KR 100783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onnection
connecting member
skeleton
mannequin d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귀성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이귀성
이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귀성, 이주호 filed Critical 이귀성
Priority to KR1020060084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에 관한 것으로, 머리부재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로 연결되며 어깨뼈대부재와 갈비뼈대부재가 설치된 척추뼈대부재와, 상기 어깨뼈대부재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로 연결된 팔부재와, 상기 팔부재의 단부에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로 연결된 손부재와, 상기 척추뼈대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골반뼈대부재와, 상기 골반뼈대부재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로 연결된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단부에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로 연결된 발부재로 구성되며, 외면에 스킨이 성형되고, 상기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는 구리 또는 황동을 꼬아서 된 심재와, 상기 심재의 외부에 씌워지는 합성수지재의 주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네킹, 연결부재, 금속, 심재, 주름관, 스프링

Description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Manikin having joi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의 "손부재"에 대한 확대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에서 "연결부재"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인형에서 관절을 갖는 "마디연결부재"에 대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머리부재 4 : 연결부재
5 : 척추뼈대부재 6 : 팔부재
7 : 골반뼈대부재 8 : 다리부재
42 : 보조연결부재 44 : 주름관
46 : 심재 62, 83 : 상부지지체
64, 85 : 하부지지체 86 : 발부재
663 : 마디연결부재 664 : 마디체
665 : 코일스프링
본 발명은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네킹 인형의 허리에 대하여 몸통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하고, 몸통에는 팔이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굽힘이 가능하게 한 것이며, 다리도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굽힘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마네킹 인형이 여러 형태의 형상으로 변화 가능하도록 하여 새로운 이미지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창출될 수 있도록 한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점등에서는 수요자의 구매 의욕을 돋구기 위하여 마네킹 인형에 옷을 입혀 의류품을 선전하였던 것이고, 마네킹 인형의 일반적인 형상은 부동의 자세로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 보급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항상 변화됨이 없이 지속적으로 일정한 자세만을 취하고 있는 마네킹 인형에 옷을 입혀 선전의 효과를 유지하기에는, 마네킹 인형의 단순한 부동의 자세에 의하여 지루하고 단순한 느낌을 소비자에게 주게되어 의류품 선전의 역효과를 낳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두부, 몸통, 팔, 다리, 허리 등이 굽혀질 수 있어, 인체와 유사한 포즈를 취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어 의류품 등의 선전 효과가 지속적으로 새롭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은,
머리부재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로 연결되며 어깨뼈대부재와 갈비뼈대부재가 설치된 척추뼈대부재와, 상기 어깨뼈대부재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로 연결된 팔부재와, 상기 팔부재의 단부에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로 연결된 손부재와, 상기 척추뼈대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골반뼈대부재와, 상기 골반뼈대부재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로 연결된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단부에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로 연결된 발부재로 구성되며, 외면에 스킨이 성형된 마네킹 인형을 구성하되, 상기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는 구리 또는 황동을 꼬아서 된 심재와, 상기 심재의 외부에 씌워지는 합성수지재의 주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에 대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인형의 "손부재"에 대한 확대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에서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인형에서 관절을 갖는 "마디연결부재"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A)은, 머리부재(2)와; 머리부재(2)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로 연결되며 어깨뼈대부재(52)와 갈비뼈대부재(54)가 설치된 척추뼈대부재(5)와; 어깨뼈대부재(52)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로 연결된 팔부재(6)와; 팔부재(6)의 단부에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로 연결된 손부재(66)와; 척추뼈대부재(5)의 하부에 연결된 골반뼈대부재(7)와; 골반뼈대부재(7)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로 연결된 다리부재(8)와; 다리부재(8)의 단부에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로 연결된 발부재(86)로 구성된다.
머리부재(2)는, 원통형의 중량체이며 하부에는 척추뼈대부재(5)와 연결되는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가 결합되도록 소정의 결합부(20)가 형성된다.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율이 뛰어난 구리 또는 황동을 꼬아서 된 심재(46)와, 심재(46)의 외부에 씌워지는 합성수지재의 주름관(44)으로 구성됨으로써, 전후좌우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어 다양한 포즈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후술될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들도 이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척추뼈대부재(5)는 원통형 파이프로서 몸통(110)의 중심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어깨뼈대부재(52)가 수평되게 설치되며, 어깨뼈대부재(52)의 하부에는 몸통(110)의 형상으로 유지하도록 갈비뼈대부재(54)가 설치된다.
어깨뼈대부재(52)의 단부에는 팔부재(6)와 연결되는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가 설치된다.
상기 팔부재(6)는 어깨뼈대부재(52)와 연결된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와, 상기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에 연결된 상부지지체(62)와, 상기 상부지지체(62)에 연결된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와, 상기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에 연결된 하부지지체(64)와, 상기 하부지지체(64)와 연결된 손부재(6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부재(66)와 하부지지체(64)는 보조연결부재(4)가 더 설치되어 연결됨으로써 팔뚝을 비틀었을때 비틀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지지체(62) 및 하부지지체(64)는 일측에 리브(63)를 형성함으로써 스킨(100)과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즉, 팔을 비틀었을때 스킨(100)과 상부지지체(62) 및 하부지지체(64)가 긴밀히 결합되어있지 않으면 스킨(100)만 비틀리면서 겉돌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브(63)를 형성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부재(66)의 말단에 형성된 손가락(662)은 마디연결부재(663)로 연결된다.
마디연결부재(66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리 또는 황동, PVC 등으로 중공을 갖도록 형성된 마디체(664)와, 마디체(664) 내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665)과, 코일스프링(665) 내에 삽입된 심재(666)로 구성된다.
여기서, 코일스프링(665)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심재(666)는 다수개의 구리를 꼬아서 형성되어야 내구성이 길어질 수 있다.
골반뼈대부재(7)는 척추뼈대부재(5)의 하부에 연결되며, 그 상부에는 관절을 갖는 보조연결부재(4)가 설치되어 갈비뼈대부재(54)와 연결됨으로써, 몸통을 비틀었을때 비틀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골반뼈대부재(7)의 하부 양측에는 다리부재(8)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골반뼈대부재(7)에 끼움공(미도시)을 형성하고, 다리부재(8)의 상부연결부재(4)에 구형끼움부(84)를 형성함으로써 구형끼움부(84)를 끼움공에 끼워 결합시켜 다리부재(8)가 회전될 수 있다.
관절을 갖는 부연결부재(4)의 하부에는 상부지지체(83)가 연결되며, 상부지지체(83)의 하부에는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가 연결되고, 상기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의 하부에는 하부지지체(85)가 연결된다.
전술한 다리부재(8)의 하단에는 발부재(86)가 설치되는데, 발부재(86)와 하부지지체(85)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손부재(66)에서 설명했듯이 다리부재(8)의 상부 및 하부지지체(83,85)의 측면에는 리브(87)가 더 형성됨으로써, 스킨(100)과 유리되는 폐단을 방지하도록 한다.
발부재(86)의 발가락(862)은 전술한 손가락(662)과 마찬가지로 마디연결부재(663)로 연결되는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골반뼈대부재(7)와 발부재(86)는 아연 주물 또는 합성수지, 기타 금속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머리부재(2)는 척추뼈대부재(5)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개를 좌우로 돌릴 수 있고, 앞으로 숙이거나 뒤로 젖히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팔부재(6)는 어깨뼈대부재(52)와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4)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느 방향으로든지 회전이나 구부림이 가능하며, 특히 손부재(66)를 비틀어서 손바닥이 상부를 향한 상태로도 구부림이 가능하다.
즉, 손부재(66)와 하부지지체(64)는 관절을 갖는 보조연결부재(4)가 더 설치되어 있으므로, 팔뚝을 비틀었을때 스킨(100)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할 수 있어 팔뚝이 비틀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가락(662)은 각 마디가 관절을 갖는 마디연결부재(663)로 연결됨으로써, 손가락(662)이 다양한 각도와 형상으로 포즈를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모습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언급한 관절을 갖는 연결부재와 마디 연결부재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굽혀져 형태가 형성되며,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한방향 이상 굽혀질 수 있다.
발부재(86)와 발가락(862)의 연결 및 작동관계는 전술한 손부재(66) 및 손가락(662)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든 관절이 굽혀질 수 있으며, 굽혀진 형태로 인체와 유사한 포즈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5)

  1. 삭제
  2. 머리부재와 연결부재로 연결되며 어깨뼈대부재와 갈비뼈대부재가 설치된 척추뼈대부재와, 상기 어깨뼈대부재와 연결부재로 연결된 팔부재와, 상기 팔부재의 단부에 연결부재로 연결된 손부재와, 상기 척추뼈대부재의 하부에 연결된 골반뼈대부재와, 상기 골반뼈대부재와 연결부재로 연결된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단부에 연결부재로 연결된 발부재로 구성되며, 외면에 스킨이 성형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구리 또는 황동을 꼬아서 된 심재와, 상기 심재의 외부에 씌워지는 합성수지재의 주름관으로 구성되어, 전후좌우로 구부러질 수 있게 되며,
    상기 손부재와 발부재의 손가락과 발가락은 마디연결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마디연결부재는, 구리, 황동, PVC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되며 중공을 갖는 마디체와, 상기 마디체 내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 내에 삽입되며 구리 또는 황동을 꼬아서 된 심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팔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상부지지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에 연결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하부지지체와, 상기 하부지지체와 연결된 손부재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손부재와 하부지지체는 보조연결부재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는 일측에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스킨과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뼈대부재는 상기 척추뼈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그 상부에는 보조연결부재가 설치되어 갈비뼈대부재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KR1020060084919A 2006-09-05 2006-09-05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KR100783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919A KR100783077B1 (ko) 2006-09-05 2006-09-05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919A KR100783077B1 (ko) 2006-09-05 2006-09-05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093U Division KR200431119Y1 (ko) 2006-09-07 2006-09-07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077B1 true KR100783077B1 (ko) 2007-12-07

Family

ID=3913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919A KR100783077B1 (ko) 2006-09-05 2006-09-05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269B1 (ko) * 2018-08-16 2019-02-14 박수양 교육용 마네킹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133A (ko) * 1987-06-22 1989-03-11 고종원 형상기억합금을 응용한 작동식 완구
JP2000279647A (ja) 1999-03-30 2000-10-10 Takara Co Ltd 弾性人形体
KR20010026442A (ko) * 1999-09-06 2001-04-06 정형근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
KR200279704Y1 (ko) 2002-03-19 2002-06-26 배동욱 주름관절
KR20050020968A (ko) * 2002-05-31 2005-03-04 매텔 인코포레이티드 와이어 보강재를 구비한 플렉서블한 장난감 인물상
KR20190000860U (ko) * 2017-09-27 2019-04-04 위야오 화시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셀카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133A (ko) * 1987-06-22 1989-03-11 고종원 형상기억합금을 응용한 작동식 완구
JP2000279647A (ja) 1999-03-30 2000-10-10 Takara Co Ltd 弾性人形体
KR20010026442A (ko) * 1999-09-06 2001-04-06 정형근 자세 변환가능한 인형의 조립키트 및 그 조립방법
KR200279704Y1 (ko) 2002-03-19 2002-06-26 배동욱 주름관절
KR20050020968A (ko) * 2002-05-31 2005-03-04 매텔 인코포레이티드 와이어 보강재를 구비한 플렉서블한 장난감 인물상
KR20190000860U (ko) * 2017-09-27 2019-04-04 위야오 화시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셀카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269B1 (ko) * 2018-08-16 2019-02-14 박수양 교육용 마네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0745A (en) Figure having numerous seamless repositionable parts
JP7357043B2 (ja) アニメーション人形のための延長リグ
JP3008383B2 (ja) 連続的外皮を有する姿勢づけ可能形像
US6494763B1 (en) Life-like doll
KR101339585B1 (ko) 구체 관절 인형
US3357610A (en) Human-appearing manikin and method of making
JP3185443U (ja) 人形玩具の関節機構及び人形玩具
JP4636403B2 (ja) 人形の骨格構造及び該人形
EP1417010B1 (en) Flexible figure
KR100783077B1 (ko)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KR200431119Y1 (ko) 관절을 갖는 마네킹 인형
CN212038988U (zh) Bjd娃娃公仔
JP2006158542A (ja) 人形の脚部構造及び該脚部構造を備える人形
US8591283B2 (en) Action figure
JPH1176627A (ja) 人 形
JP2004222935A (ja) ソフトビニル製大型可動人形の骨格構造および該骨格構造を有するソフトビニル製大型可動人形
WO2001008776A1 (en) Doll having realistic twisting midriff
KR101039646B1 (ko) 일체형 모형 인형 및 그 제조 방법
US11317746B2 (en) Chopstick buddies
RU2297265C2 (ru) Каркас куклы
KR200179488Y1 (ko) 완구용 골격프레임
KR200204416Y1 (ko) 인형의 자세 고정용 유지구
JP3060521U (ja) 分解・組立て可能な小型人形
JP2014018580A (ja) 人形体
JP3068703U (ja) 人 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