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711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711A
KR20010024711A KR1020007006345A KR20007006345A KR20010024711A KR 20010024711 A KR20010024711 A KR 20010024711A KR 1020007006345 A KR1020007006345 A KR 1020007006345A KR 20007006345 A KR20007006345 A KR 20007006345A KR 20010024711 A KR20010024711 A KR 20010024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ceiling plate
pla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요에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치요에 야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7010930U external-priority patent/JP3051473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7010971U external-priority patent/JP3049874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7011318U external-priority patent/JP3050201U/ja
Application filed by 치요에 야마다 filed Critical 치요에 야마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8/005606 external-priority patent/WO1999029581A1/ja
Publication of KR20010024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711A/ko

Links

Abstract

개구부가 형성된 판에 대해,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뚜껑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뚜껑 구조에 있어서, 판상에는 뚜껑으로 덮을 수 있는 영역에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형상 복원력을 갖는 시트형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를 막는 폐쇄판이 본체부의 내측에서 고정되어 있고, 폐쇄판과 뚜껑은 각각 밀착성을 갖는 필름이 설치되고, 뚜껑 폐쇄시에 서로 밀착한다. 또한 뚜껑의 아랫면에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누름부는 뚜껑 폐쇄시에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하여 용기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뚜껑의 자유단 측에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천정판에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에는 걸어멈춤판이 설치되고, 뚜껑이 닫혔을 때 볼록부에 걸어멈춤한다. 가요성 필름과 본체부 내의 수용물 사이에는 칸막이가 설치되고, 가요성 필름과 칸막이 사이에는 스페이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해 회동(回動)식으로 개폐하는 뚜껑(lid)은, 물티슈 용기나 과자 상자 등 여러 가지 용기류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류로서는 종래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용수철(C)을 이용하거나,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고무(L)를 이용하여 뚜껑(H)을 자동적으로 여는 구조가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비교적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해 지거나 제품의 수율이 나빠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구조는 재료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용기의 내용물이 비교적 저렴한 경우에는, 제품의 전체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뚜껑을 자동적으로 여는 구조의 채용을 단념할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구조는 금속제 코일 용수철이나 고무를 사용하기 때문에, 용기를 구성하는 재료가 가연물이더라도, 용기 전체를 가연물로서 취급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요즘들어 자원의 유효한 이용을 부르짖는 속에서, 소비자는 자원의 재활용이나 자연 환경의 보호를 염두에 두고, 상품을 구입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한편 물티슈 용기는 필요에 따라 뚜껑을 열어 용기 윗면에 형성된 작은 구멍으로부터 물티슈를 한 장씩 빼내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티슈용 용기는 천정판(top plate)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물티슈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outlet)가 형성되어 있는 폐쇄판(sealing plate)으로 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종래의 용기는 본체부의 천정판 바깥면에 폐쇄판의 아랫면을 접착시킴으로써 본체부와 폐쇄판을 접합시켜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용기는 상자형을 하고 있는 본체부의 윗면에 폐쇄판을 더 설치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용기는 운반 중이나 취급 중에 폐쇄판에 물건이 부딪치거나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폐쇄판이 손상을 입어 밀폐기구나 취출구의 기능을 다 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사태를 초래했었다.
또한 용기의 폐쇄판에 형성되어 있는 취출구는 그대로 개방되어 있으면 취출구의 틈새로부터 수분이 방산되어 물티슈 등의 수용물이 건조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취출구를 폐쇄하기 위해 용기에는 뚜껑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뚜껑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고, 취출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취출구 주위에 제1통상체(first cylinder)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제1통상체의 외경과 거의 같은 내경을 갖는 제2통상체가 뚜껑에 설치되어 있어, 뚜껑을 닫을 때에 제2통상체의 내벽에 제1통상체의 외벽이 접촉하면서 삽입되어 밀폐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있다. 또한, 뚜껑의 자유단(free and side) 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뚜껑을 닫았을 때에 걸어 멈추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 용기를 사용하여 밀폐상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회동시켜 취출구 위에 올린 후에 더욱 힘을 가해야만 한다. 또한, 뚜껑을 열 때에도 뚜껑을 강하게 잡아당기지 않으면 취출구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용기 본체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본체를 손상시키거나 폐쇄판을 파손시키는 등의 사태를 초래했었다.
한편 물티슈용 용기는 기밀성과 적당한 강도가 요구되는 것으로부터, 종래는 플라스틱 용기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었지만, 플라스틱제 용기는 물티슈 사용 후에 통상의 가연성 쓰레기와 함께 폐기할 수 없다. 그 중에는 소각하면 유독 가스를 발생시켜 생활환경을 악화시키는 플라스틱 용기도 있어, 요즘의 환경 지향적인 성향에 반하는 것이 많다. 플라스틱 쓰레기 감량이 사회적 과제로 되어 있는 오늘날에는, 플라스틱 재료의 사용량을 극히 억제한 용기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청에 응하기 위해, 종이로 만들어진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종이제 용기로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반드시 용이하지는 않다. 특히 물티슈용 용기로서는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한 뒤에 물티슈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물티슈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뚜껑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한편, 뚜껑을 열 때에는 용이하게 열 수 있는 구조인 것이 요구된다. 또한 용기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이러한 뚜껑의 개폐구조를 가능한 한 적은 제조공정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들 요구를 만족시키고, 또한 제조 비용이 싼 용기는 지금까지 개발하지 못했다.
또한 물티슈용 용기로서는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한 뒤에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종이제 용기의 상부에 필름을 설치하여 이 필름에 취출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취출구를 덮도록 회동식 뚜껑을 설치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위생성과 수분을 유지하는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뚜껑을 닫았을 때에 다음에 꺼내기 위해 취출구로부터 끝부분이 나와 있는 물티슈를 뚜껑으로 눌러 찌부러뜨려 버리게 된다.
뚜껑을 열었을 때 물티슈 끝부분이 눌려 찌부러뜨려진 채의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것을 보고 위생적인 느낌을 받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기 구조로서는 실제로 물티슈가 뚜껑 이면에 접촉한 채 장시간 방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애써 용기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더라도 다음에 사용하는 물티슈가 위생적이라는 보증은 없다.
따라서 다음에 사용하는 물티슈의 끝부분을 위생적인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용기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배경에 비추어 본 바,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뚜껑을 자동적으로 열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과제로 한다. 또한, 통상의 가연성 쓰레기와 함께 폐기할 수 있고, 또는 자원으로서 재활용하는 것도 용이한 뚜껑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제2과제로 한다.
또한 운반이나 취급 중에 손상되기 어려운 용기, 특히 용기 본체에 고정된 폐쇄판이 파손되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과제로 한다. 또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 밀폐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4과제로 한다. 또한,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 뚜껑을 열어 취출구를 개방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5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기능을 갖는 용기를 비교적 저렴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을 제6과제로 한다.
또한 용기의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7과제로 하고, 플라스틱 재료의 사용량을 줄여 환경 지향성에 합치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8과제로 한다. 더욱이 또한, 뚜껑의 폐쇄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한편, 뚜껑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적은 제조공정에서 마무리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9과제로 한다.
더욱이 또한, 용기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는 새로운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어, 뚜껑을 닫았을 때에 다음에 사용하는 물티슈의 끝부분을 찌부러뜨리지 않고, 또한 그 물티슈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0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아용 물티슈 등의 위생용품 등을 보관 수용해 두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뚜껑 구조를 적용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뚜껑이 닫혀 있을 때의 걸어멈춤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a)은 시트형성체의 수축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b)은 시트형성체의 신장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다른 실시예의 시트형성체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또다른 실시예의 시트형성체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또다른 실시예의 시트형성체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코일 용수철을 이용한 종래 뚜껑의 자동 개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탄성 고무를 이용한 종래 뚜껑의 자동 개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용기의 뚜껑이 개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A-A선을 따라 파단된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1은, 도9의 B-B선을 따라 파단된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2는, 뚜껑이 닫혀 있는 상태의 용기 및 뚜껑과 폐쇄체에 각각 설치된 필름끼리 밀착되어 있는 모양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13은, 뚜껑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14는, 뚜껑을 뚜껑 걸어멈춤부에 의해 멈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표면도이다.
도15(a)는, 뚜껑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15(b)는, 뚜껑의 걸어멈춤 상태를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16은, 폐쇄판을 나타내기 및 폐쇄판이 본체부의 내부에서 고정되어 있는 모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7은, 복귀부재의 일례인 복귀력을 갖는 종이 성형품의 신장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7의 종이 성형품의 수축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는, 복귀부재의 일례인 복귀력을 갖는 종이 성형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25는, 밀봉재(seal)이 부착된 필름을 미리 성형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6은, 함몰부가 형성된 누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7은, 내측 폐쇄판이 형성된 누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29는, 뚜껑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0은, 뚜껑을 천정판에 걸어 멈추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1은, 뚜껑을 천정판에 걸어 멈추는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2는, 뚜껑을 천정판에 걸어 멈추는 또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3은, 뚜껑을 천정판에 걸어 멈추는 또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4(a), 도34(b)는, 폐쇄판의 태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38은, 도37의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39는, 도37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40은, 본 발명의 또는 다른 실시예의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41은, 도40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42는, 칸막이의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44는, 뚜껑을 자동적으로 개방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5는, 도43의 실시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46은, 또다른 실시예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된 판에 대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뚜껑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뚜껑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상에는 상기 뚜껑으로 덮을 수 있는 영역에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형상 복원력을 갖는 시트형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트형성체는 상기 뚜껑의 회동축선에 가까운 쪽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판에는 함몰부(recess)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형성체는 상기 함몰부 내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시트형성체가 상기 개구부 주변에 복수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시트형성체는 종이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시트형성체는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시트형성체는, 시트를 둘로 접은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시트형성체는, 시트를 산모양 접기(mountain fold)와 골짜기 접기(valley fold)를 번갈아 반복하여 형성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뚜껑이 완전히 열려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성체는 상기 뚜껑에 접촉해 있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천정판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그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그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어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폐쇄판 및 그 취출구를 폐쇄하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하고 있는 용기이며, 상기 폐쇄판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천정판 내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폐쇄판 표면의 취출구 주위와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 밀착성을 갖는 필름이 설치되어 있어, 그 뚜껑을 닫았을 때에 그 취출구 주위에 설치된 필름과 그 뚜껑의 아랫면에 설치된 필름이 서로 밀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천정판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그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그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어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폐쇄판 및 그 취출구를 폐쇄하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하고 있는 용기이며, 그 폐쇄판 윗면의 취출구 주위와 그 뚜껑의 아랫면에 밀착성을 갖는 필름이 설치되어 있어, 그 뚜껑을 닫았을 때에 그 취출구 주위에 설치된 필름과 그 뚜껑의 아랫면에 설치된 필름이 서로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폐쇄판이 상기 본체부 내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천정판 내면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폐쇄판이 상기 본체부 바깥쪽에서 상기 본체부의 천정판 바깥면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뚜껑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뚜껑이 폐쇄판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폐쇄판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함몰부 내에는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상시 복귀경향을 갖는 복귀부재가 수납되어 있고, 상기 복귀부재는 수축상태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깊이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이고, 또한 신장상태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깊이 치수보다도 큰 치수를 갖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복귀부재는 상기 취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복수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복귀부재는 종이를 접어 넣어 형성한 종이 성형품이며, 그 종이 성형품이 그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복귀경향을 갖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뚜껑의 자유단 측에는 걸어멈춤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어멈춤 돌기부는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천정판의 가장자리 부분의 아랫면 쪽에 걸어 멈출 수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천정판 표면에 상기 천정판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개구부 방향으로 돌출된 뚜껑 걸어멈춤부(lid engagement portion)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뚜껑의 자유단이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뚜껑 걸어멈춤부의 아랫면 쪽에 걸어 멈출 수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폐쇄시에 접촉하는 상기 뚜껑 아랫면과 상기 폐쇄판 윗면에, 서로 잘 맞물리는 요철형상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용기는 상기 필름을 제외하고 모두 종이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천정판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flexibility) 필름을 갖고 있고,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pressing portion)가 형성되어 있고, 그 누름부는 상기 뚜껑의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pressure wel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천정판에 형성된 절결을 폐쇄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절결의 외주 부분을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폐쇄판, 상기 개구부를 덮 도록 상기 폐쇄판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을 갖고 있고,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누름부는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닿아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천정판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천정판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된 개구부, 상기 절결한 천정판 부분으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천정판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할 수 있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의 자유단 측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정판에는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뚜껑의 오목부에 정합(comformity)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의 오목부에는 그 볼록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하도록 걸어멈춤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뚜껑의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하는 걸어멈춤판은, 상기 누름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천정판의 아랫면에 설치한 부재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천정판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천정판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된 개구부, 상기 절결한 천정판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천정판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할 수 있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의 자유단 측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정판에는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뚜껑의 볼록부에 정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정판의 오목부에는 그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하도록 걸어멈춤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천정판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천정판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된 개구부, 상기 절결한 천정판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천정판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할 수 있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를 구비하고, 상기 천정판에는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뚜껑의 자유단에 걸어 멈추는 걸어멈춤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천정판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개구부를 덮 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 상기 가요성 필름과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 사이에 설치되는 칸막이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에는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와 정합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필름과 상기 칸막이 사이에는 스페이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천정판에 형성된 절결을 폐쇄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절결의 외주 부분을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폐쇄판과,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폐쇄판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 상기 가요성 필름과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 사이에 설치되는 칸막이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에는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와 정합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필름과 상기 칸막이 사이에는 스페이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칸막이 아랫면의 상기 구멍 주위에는 마찰계수가 큰 시트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누름부는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뚜껑의 회동축선 쪽이고, 상기 뚜껑의 아랫면과 상기 가요성 필름 사이에 탄성 복귀력을 갖는 부재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취출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누름부의 위치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천정판과 상기 가요성 필름 사이에 실질적인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가요성 필름 사이에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기 개구부보다 크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개구부의 전체 주위에 접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아래쪽으로,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를 갖는 내측 폐쇄판을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용기이다. 이 용기(1)는 거의 직방체 형상을 갖고, 천정판(3)과 4개의 측판(5), 저판(7)을 구비하고 있다.
천정판(3)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11)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13)이 천정판(3)의 끝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뚜껑(13)은 개구부(11)를 막는 위치로부터, 천정판(3)에 대해 거의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 또는 그것을 초과하는 위치까지 회동 자재이다.
뚜껑(13)의 자유단(15)측 중앙에는 걸어멈춤 돌기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멈춤 돌기부(17)는 도1에 있어서 천정판(3)의 가까운 쪽 중앙에 형성된 걸어멈춤 수용부(19)에 걸어 멈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 수용부(19)은 천정판(3)으로부터 연장되는 턱부분(21)을 갖고, 그 턱부분(21)이 걸어멈춤 돌기부(17)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어멈춤 수용부(19)에는 손잡이(2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손잡이(23)에 손가락을 걸어 아래쪽으로 누름으로써, 걸어멈춤 수용부(19)의 기부(24)가 휘어져 걸어멈춤 돌기부(17)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천정판(3)에는 개구부(11)의 양편에 함몰부(25)가 형성되어 있고, 그 속에 복원력을 갖는 시트형성체(27)가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시트형성체(27)는 두꺼운 종이를 둘로 접은 것으로, 이 형성체는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완전히 접힌 상태로부터, 도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혀진 부분이 각도A를 이루는 상태까지 형상을 복원할 수 있다. 이 형상복원력은 뚜껑(13)을 윗쪽으로 들어 올리는 데 충분한 힘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형성체(27)가 도3(a)의 상태에 있을 때, 접힌 종이의 전체가 함몰부(25)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13)이 닫혀 있을 때는 뚜껑(13)과 천정판(3) 사이에 빈틈이 형성되지 않고, 개구부(11)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시트형성체(27)를 배치하는 위치는, 시트형성체(27)가 조금 복원한 것 만으로도 뚜껑(13)을 크게 열 수 있도록, 뚜껑(13)의 회동축선에 가까운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에 있어서, 시트형성체(27)의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상태로 배치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의 시트형성체(27)는 종이로 구성되어 있지만, 구부렸을 때에 형상의 복원력을 갖는 플라스틱 시트 등, 복원력이 있는 다른 시트를 사용하여 시트형성체(27)를 형성하더라도 상관 없다.
시트형성체(27)는 상기 실시예 외에 여러 가지 형성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를 산모양 접기와 골짜기 접기를 번갈아 반복하도록 하여 지그재그 형상 시트형성체(27)로 할 수도 있다.
이 외에,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판(3)에 대해 비교적 복귀력이 강한 시트편(29)을 단지 비스듬히 끼워 넣은 것이나,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를 단지 뭉친 것(31)을, 각각 복원력을 갖는 시트형성체(27)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뚜껑 구조는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추고 있고, 이하 그 사용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13)은, 통상은 걸어멈춤 돌기부(17)가 걸어멈춤 수용부(19)에 걸어멈춤으로써 폐쇄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이 때 함몰부(25) 내의 시트형성체(27)는, 그 복원력을 축적한 상태로 도3(a)과 같이 접혀 있다.
뚜껑(13)을 열 경우에는 걸어멈춤 수용부(19)의 손잡이(23)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자기에게 가까운 쪽으로 잡아당겨, 걸어멈춤 돌기부(19)의 걸어멈춤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시트형성체(27)가 도3(b)의 상태로 그 형상을 복원하고자 하기 때문에, 동시에 뚜껑(13)을 들어 올려 뚜껑을 열 수 있다.
들어 올려진 뚜껑(13)의 자유단(15)에 손가락을 걸어 뚜껑(13)을 더 회동시킴으로써 뚜껑(13)을 완전히 열 수 있다. 뚜껑(13)이 완전히 열려 있을 때에는, 뚜껑(13)은 시트형성체(27)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개구부가 형성된 판상 뚜껑과 접촉 가능한 영역에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복원력을 갖는 시트형성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형성체의 형상 복원력에 의해 뚜껑을 자동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형성체가 뚜껑의 회동축선에 가까운 쪽에 설치되어 있으면, 시트형성체가 조금 복원하여 신장한 것 만으로도, 뚜껑을 크게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판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시트형성체가 함몰부 내에 배치되어 있으면, 뚜껑이 폐쇄되어 있을 때는 시트형성체는 접혀 함몰부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뚜껑과 용기의 천정판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시트형성체를 개구부 주변에 복수 설치함으로써, 뚜껑을 들어 올리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형성체가 종이로 형성되어 있으면, 종이제 용기와 함께 가연물로서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시트형성체가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되어 있으면, 뚜껑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적절한 복원력을 갖는 플라스틱 시트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시트형성체가 시트를 둘로 접은 것이나, 시트를 산모양 접기와 골짜기 접기를 번갈아 반복하여 형성한 것이면,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내용물이 저렴한 제품이더라도 용기에 비용을 들이지 않고 뚜껑의 자동개폐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뚜껑가 완전히 열려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시트형성체가 뚜껑에 접촉해 있지 않으면 뚜껑는 시트형성체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개방된 채 자유 회동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물티슈를 수납하기 위한 용기(101)를 나타낸다.
용기(101)는 천정판(103)과 4개의 측판(105), 저판(107)으로 구성되는 거의 직방체의 본체부(109)와, 이 본체부(109)의 천정판(103)에 형성된 개구부(111)에 설치된 폐쇄판(113)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9)와 폐쇄판(113)은 공히 일정한 강도를 갖는 두꺼운 종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09)의 천정판(103)에는 뚜껑(115)이 설치되어 있고, 이 뚜껑(115)은 개구부(111)의 하나의 긴 변을 회동축선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천정판(103)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11)를 형성할 때에 천정판(103)으로부터 잘라내어진 천정판(103)의 일부가 뚜껑(115)를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미리 형성된 개구부(111)에 대해 다른 종이재료를 사용하여 뚜껑(115)을 작성하여, 이것을 개구부(111)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뚜껑(115)이 천정판(103)이 아니라 폐쇄판(113)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뚜껑(115)의 자유단(117) 중앙에는 걸어멈춤 돌기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멈춤 돌기부(119)는 도12,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115)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 개구부(111) 주위의 가장자리 부분(121)의 아랫면 쪽에 걸어 멈출 수 있는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다른 태양으로서 특별한 걸어멈춤 돌기부(119)를 형성하지 않고, 뚜껑(115)의 자유단(117)이 개구부(111)까지 신장시켜 놓은 것이어도 좋다.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 돌기부(119)는 개구부(111)의 가장자리 부분(121)에 조금 걸어 멈추고 있을 뿐이어서, 그 때문에 도13의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분(121)의 끝부분(122)을 위에서 누르면, 걸어멈춤 돌기부(119)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걸어멈춤 돌기부(121)에 의한 뚜껑의 걸어멈춤 구조는, 구조가 간단하고 용이하며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서는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판 표면에 뚜껑 걸어멈춤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뚜껑 걸어멈춤부(120)는 뚜껑(115)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 뚜껑(115)의 걸어멈춤 돌기부(119)를 표면 쪽에서 걸어 멈출 수 있는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도15(a) 참조). 그리고, 뚜껑 걸어멈춤부(120)는 폐쇄판 표면에 접착제(S)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폐쇄판에는 걸어멈춤 해제용 함몰부(136)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 걸어멈춤부(120)에 의한 걸어멈춤 돌기부(119)의 걸어멈춤 상태를 해제할 때에 천정판의 가장자리 부분(122), 뚜껑 걸어멈춤부(120) 및 걸어멈춤 돌기부(119) 등이 진입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즉, 폐쇄상태를 해제할 때에 도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 방향에서 뚜껑 걸어멈춤부(120)의 끝부분을 밀어 넣음으로써 뚜껑 걸어멈춤부 아래쪽 면에 의한 걸어멈춤 돌기부(119)의 걸어멈춤을 해제한다. 해제하면, 도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 돌기부(119)는 뚜껑 그 자체와 복귀부재(137)의 복귀력에 의해 E 방향으로 향한다.
또한, 뚜껑(115)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훅 앤 루프 패스너(Hook-and-Loop fastener)나 여러번 사용 가능한 점착 테이프를 뚜껑(115)와 천정판(103)에 설치하는 등, 종래 공지의 여러 가지 수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폐쇄상태에 있어서, 뚜껑(115)와 천정판 (103)의 접촉면이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구성해 두고, 보다 밀폐도가 높은 폐쇄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뚜껑(115)과 천정판(103)을 요철상으로 구성하여 폐쇄상태에 있어서 요철이 맞물려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도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115)의 아랫면(123)에는, 밀착성이 높은 필름(126)이 거의 사각형 테두리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필름(126)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폐쇄판(113)에 대해서 설명한다. 폐쇄판(113)은 본체부(109)의 개구부(111)를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111)보다도 한단계 큰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도10, 도11 및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판(113)은 본체부(109)의 천정판(103)의 내면측에 가열 접착법이나 적절한 접착제(S)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폐쇄판(113)을 용기의 내측에 고정함으로써, 용기의 외측에 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폐쇄판(113)이 벗겨지기 어렵고, 손상도 받기 어렵다. 따라서, 용기(101) 내의 위생환경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밀착성이 높은 필름이 뚜껑 아랫면과 폐쇄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폐쇄판은 천정판의 바깥면 쪽에 가열 접착법이나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폐쇄판(113)의 중앙에는 폐쇄판(113)의 표면(127)보다도 한층 낮게 되어 있는 중앙 함몰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 함몰부(124)의 중앙에는 물티슈(W)를 용기(101) 내에서 꺼내기 위한 취출구(125)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125)는 용기(101) 내의 위생환경을 유지하고, 또한 물티슈(W)의 습기를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가는 슬릿(slit) 또는 작은 구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함몰부(124) 주위에는, 볼록부(129)가 거의 사각형 테두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철상 부분(129)의 테두리상은 앞서 기술한 뚜껑(115) 아랫면에 부가된 필름(126)의 테두리상과 거의 일치한다.
볼록부(129)의 표면은 폐쇄판(113)의 표면(127)과 동일한 레벨에 있고, 그 표면에는 볼록부(129)의 형상에 따라 밀착성이 높은 필름(133)이 부착되어 있다.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115)이 닫힌 상태에서는, 뚜껑 아랫면의 필름(126)이 볼록부 표면의 필름(133)과 서로 밀착하여, 중앙 함몰부 (124) 내의 환경을 볼록부(129)의 바깥쪽 환경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앙 함몰부(124) 내에 있는 다음에 꺼내기 위한 물티슈(W) 및 용기(101) 내에 있는 물티슈(W)의 위생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물티슈(W)의 습기를 유지할 수 있다.
볼록부(129)의 주위에는 볼록부의 외주를 따라 주위 함몰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101)의 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주의 함몰부(135)의 각 부분에는, 각각 복귀부재(137)가 수납되어 있다. 이 주위 함몰부는 복귀부재(137)를 수납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복귀부재(137) 보다도 한단계 큰 장방형의 함몰부를 복귀부재(137)의 수 만큼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귀부재(137)는, 도3과 동일하게 두꺼운 종이를 둘로 접은 복귀력을 갖는 종이 성형품(139)이다. 이 둘로 접은 종이 성형품(139)은 예각적으로 접어 넣은 수축상태(도18 참조)로부터 신장상태(도17 참조)로 상시 복귀하는 경향을 갖는다. 도18의 수축상태에서는, 종이 성형품(139)의 높이(h)는 주위 함몰부(135)의 깊이 치수보다 작고, 도17의 신장상태에서는, 종이 성형품(139)의 높이(H)는 주위 함몰부(135)의 깊이 치수보다 크다.
또한 종이 성형품(139)은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복귀할 때, 뚜껑(115)을 윗쪽으로 들어 올리는 데 충분한 복귀력을 갖는다. 따라서, 걸어멈춤 돌기부 (121)가 개구부(111)의 가장자리 부분(119)에 걸어 멈춰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종이성형품(139)의 복귀력에 의해 뚜껑(115)이 들려, 본체부(109)의 천정판(103)과 뚜껑(115)의 자유단(117) 사이에 사람의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종이 성형품(139)을 배치하는 위치는, 종이 성형품(139)이 조금 신장한 것 만으로도 뚜껑(115)이 크게 열리도록, 가능한 한 뚜껑(115)의 회동축선에 가까운 위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종이 성형품(139)은 주위 함몰부(135) 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중앙 함몰부(124) 내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여 배치하거나, 또는 볼록부(129)의 일부를 움푹 들어가게 하여, 그 속에 배치하더라도 상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종이 성형품(139)을 배치하고 있지만, 2개의 종이 성형품(139)의 복귀력 만으로는 충분히 뚜껑(115)이 열리지 않는 경우에는, 추가 종이 성형품(139)을 주위 함몰부(135) 내 또는 중앙 함몰부(124) 등에 더 배치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꺼운 종이를 둘로 접은 종이 성형품(139)을 복귀부재 (137)로서 이용하고 있지만, 도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를 산모양 접기와 골짜기 접기를 반복하도록 접어 형성한 지그재그상 종이 성형품(141)을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태양으로 사용하더라도 좋다. 그 외에, 종이를 대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동일하게 접어 넣어 복귀력이 있는 성형품을 형성하여, 이것을 복귀부재로서 이용하더라도 좋고, 시트 이외에 고무나 용수철 등의 종래 공지의 복귀력이 있는 부재를 복귀부재(137)로서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용기(101)의 사용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101)는, 통상은 뚜껑(115)이 폐쇄되어 있다. 이 때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115)의 걸어멈춤 돌기부(119)가 개구부(111)의 가장자리 부분(121)에 걸어 멈춰 있기 때문에, 뚜껑(115)은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12에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115)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뚜껑(115) 아랫면의 필름(126)과 폐쇄판(113)에 설치된 필름(133)이 서로 밀착되기 때문에, 중앙 함몰부(124)는 외계로부터 격리되어 위생적인 환경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이 때 종이 성형품(139)은 뚜껑(115)에 의해 위쪽으로부터 눌려지기 때문에, 도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구부러진 상태에 있다.
용기(101)로부터 물티슈(W)를 꺼내는 경우에는 도1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12l)의 끝부분(122)을 위에서 눌러, 걸어멈춤 돌기부 (119)의 걸어멈춤 상태를 해제한다. 또한, 도15(a), 도15(b)의 태양을 갖는 경우는 도15 (b)의 화살표(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 걸어멈춤부(120)의 끝부분을 위에서 눌러, 걸어멈춤 돌기부(119)의 걸어멈춤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뚜껑(115)은 종이 성형품(139)이 도17의 상태로 복귀하고자 하는 힘에 의해 들어 올려지고, 천정판(103)과 뚜껑(115)의 자유단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이 틈새에 손가락을 걸어 뚜껑(115)을 밀어 올리면 뚜껑(115)을 용이하게 열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취출구(125)로부터 물티슈(W)를 꺼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발명에 의하면 폐쇄판이 본체부 내측에서 본체부 천정판 내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폐쇄판을 바깥쪽에서 고정한 경우에 비해 벗겨지기 어렵고, 또한 손상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용기 내의 위생환경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폐쇄판 표면의 취출구 주위에 밀착성을 갖는 필름이 설치되고, 뚜껑의 아랫면 쪽에는 폐쇄판에 설치된 필름과 대응하는 위치에, 그 필름과 밀착 가능한 필름이 설치되어 있으면 폐쇄판의 폐쇄시에, 중앙 함몰부 및 용기 내의 위생환경을 외계로부터 차단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중앙 함몰부 및 용기 내의 물티슈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쇄판 함몰부 내에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상시 복귀경향을 갖는 복귀부재가 수납되어 있는 것에 의해, 그 복귀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뚜껑을 들어 올려 뚜껑을 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복귀부재를 폐쇄판의 회동축선에 가까운 쪽에 설치하면, 복귀부재가 조금 신장복원하는 것 만으로도 뚜껑을 크게 들어 올려 열 수 있다.
또한 복귀부재를 취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복수 설치하도록 하면, 뚜껑을 들어 올리는 힘이 증가되어 확실하게 뚜껑을 들어 올릴 수 있다.
또한 복귀부재가 종이를 접어 넣어 형성한 종이 성형품이고, 그 종이 성형품이 그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복귀경향을 갖는 것이면, 이 종이 성형품도 용기와 함께 가연물로서 폐기할 수 있고, 또한 종이 자원과 그대로 재활용 공정에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종이 성형품은 종이를 둘로 접은 것, 또는 종이를 산모양 접기와 골짜기 접기를 번갈아 반복하여 형성한 것이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종래의 플라스틱 용기는, 뚜껑이 자동적으로 열리도록 용수철이나 탄성 고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해 지거나 제품의 수율이 나빠지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뚜껑의 자유단 쪽에는 걸어멈춤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어멈춤 돌기부가 뚜껑 폐쇄시에 천정판의 가장자리 부분의 아랫면 쪽에 걸어 멈출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면, 뚜껑의 폐쇄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그 구조의 제조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용기가 필름을 제외하고 모두 종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통상의 가연성 쓰레기와 함께 폐기할 수 있다. 또한, 태우더라도 유독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재활용도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 지향성이 강한 요즘 시장에도 합치되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의 용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20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티슈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201)를 나타낸다.
용기(201)는 천정판(203)과 4개의 측판(205), 저판(207)으로 구성되는 상자체 (209)와, 그 상자체(209)의 천정판(203) 표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뚜껑 (211)을 구비하고 있다. 상자체(209)와 뚜껑(211)은 공히 일정한 강도를 갖는 두꺼운 종이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은 전체로서 본체부를 구성한다.
천정판(203)에는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의 개구부(213)가 형성되어 있고, 천정판 (203)의 아랫면에는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13)의 전주위를 따라 스페이서(215)가 부착되어 있다. 스페이서(215)는 개구부(213)의 전주위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정판(203)의 아랫면에는 폴리에틸렌 등의 가요성을 갖는 필름(217)이 접착제(219)로 부착되어 있고, 이 필름(217)이 개구부(213) 전체를 덮고 있다. 필름 (217)의 주위 부분은 접착제(219)로 천정판(203) 아랫면에 부착되어 있지만, 필름 (217)의 중앙 부분은 천정판(203)으로부터 스페이서(215)의 두께 만큼 아래쪽으로 떨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필름(217)의 윗쪽에는 스페이서(215)의 두께 만큼 공간이 형성된다. 뚜껑(211)이 닫혔을 때, 이 공간은 물티슈 끝부분의 수용장소로 된다.
공간(215)는 필름(217)을 천정판(203)으로부터 분리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재질은 특별히 문제삼지 않는다. 바람직한 것은 종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213)의 전 주위에 걸쳐 스페이서(215)가 형성되어 있지만, 개구부(213) 주위에 일정한 간격마다 동일한 두께의 스페이서를 배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지만 스페이서를 형성하지 않고 도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을 느슨하게 부착 함으로써 필름 윗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필름(2l7)의 거의 중앙에는 용기(201) 내에 수용된 물티슈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221)가 형성되어 있다.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취출구(221)는, 용기 사용 전은 박리 가능한 밀봉재(223)에 의해 막혀 있어 사용자는 물티슈를 꺼내기 전에, 이 밀봉재(223)를 벗겨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밀봉재(223)가 부착 필름(217)을 천정판(203)에 붙이는 경우에는, 도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217)의 연속체로부터 필름을 꺼내면서, 취출구(221)용 구멍의 형성, 밀봉재 붙임 및 일정한 길이로의 절단을 연속적으로 행하여, 천정판 (203)에 붙여 나간다.
뚜껑(211)의 아랫면 측에는 개구부(213)와 대응하는 위치에 타원형 종이제의 누름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225)는 뚜껑(211)을 폐쇄했을 때에, 누름부(225)의 정점 부근이 필름(217)의 취출구(221) 부근에 눌러 접할 수 있는 철상의 형상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뚜껑(211)이 폐쇄되어 있을 때는 취출구(221)가 누름부(225)로 꽉 눌러져 밀폐된다. 따라서 용기 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물티슈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부(225)가 타원형을 갖고 있지만, 밀폐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누름부는 원형이더라도, 파형(波形)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부(225)가 뚜껑(211)의 아랫면 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뚜껑(211)을 성형함으로써 누름부를 일체로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이들 누름부(225) 표면에는 필름(217)과 압착하는 필름이 코팅되어 있어, 누름부(225)와 필름(217)의 밀착성을 보다 높게 하더라도 좋다. 누름부(225)에 코팅하는 필름은 압착성을 갖는 한 필름(217)과 동일한 재질이더라도 다른 재질이더라도 좋다.
도21에 나타내는 누름부(225)의 형태에서는 뚜껑(211)을 닫았을 때에 직접 취출구(221)를 꽉 누르기 때문에, 취출구(221)로부터 나와 있는 물티슈의 끝부분도 동시에 꽉 눌려 버린다. 따라서 도26(a) 및 도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 (225)의 중앙(취출구(221)에 대응하는 개소)에 함몰부(226)를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물티슈의 끝부분은 함몰부(226) 내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누름부(225)에 의한 눌림이 완화된다. 또한 함몰부(226) 주위의 누름부의 부분(228)이 필름(217)에 눌러 접함으로써, 용기 내를 밀폐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1로 되돌아가서, 누름부(225)는 개구부(213)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어, 뚜껑(211)을 닫았을 때에 누름부(225) 주위가 개구부(213)의 전 주위에 닿아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뚜껑(211)을 닫았을 때에 개구부(213)의 전 주위를 밀폐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내의 위생 유지와 물티슈의 건조 방지를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누름부(225)는 종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211)을 닫고 있을 때에는 필름(217)에 닿아 접해 있을 정도로 탄성변형되고, 한편 뚜껑(211)을 열었을 때에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누름부(225)는 종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이 이외에도 탄성변형 가능한 플라스틱시트로 구성하거나, 또는 전체를 스폰지 등의 탄성발포 재료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누름부(225)는 거의 탄성력을 갖지 않는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뚜껑(211)을 닫았을 때에 누름부(225)가 변형되지 않고 필름(217)이 약간 늘어나도록 하여 누름부(225)에 압착하여, 취출구(221)를 막을 수 있다. 또한 탄성력을 거의 갖지 않는 누름부(225)가 개구부(213)의 주위 부분과 닿아 접했을 때에는, 개구부(213) 주위의 종이 끝부분이 탄성변형되어, 그 부분으로 밀폐할 수 있다.
뚜껑(211)의 끝부분에는 걸어멈춤 돌기부(227)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멈춤 돌기부(227)는 천정판(203)에 설치된 걸어멈춤 수용부(229)에 걸어 멈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걸어멈춤 구조에 의해 뚜껑(211)을 닫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뚜껑(211)을 열 때에는 뚜껑(211)에 손가락을 걸어 가볍게 들어 올리도록 하면 좋다.
또한 뚜껑(211)의 아랫면의 좌우 양측에는, 도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를 둘로 접은 종이 성형품(224)이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다. 이 종이 성형품(224)은 그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복귀경향을 갖기 때문에, 뚜껑(211)이 닫혀 있을 때에는 상시 뚜껑(211)을 들어 올리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뚜껑(211)과 천정판(203)의 걸어멈춤 상태가 일단 해제되면, 뚜껑(211)은 자동적으로 일정 높이까지 열리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23, 도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23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천정판(203)에 절걸(2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한 부분이 그대로 뚜껑(211)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뚜껑(211)의 부착 부분은 도23에서는 천정판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지만, 측판(205)과 천정판(203)의 교선 상에 있더라도 좋다.
천정판(203)의 아랫면에는 절결(231)의 외주 부분을 덮도록 고리상 폐쇄판 (233)이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다. 폐쇄판(233) 중앙에는 개구부(2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폐쇄판의 아랫면에는 필름(217)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뚜껑(211)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아 중앙에 함몰부(226)를 갖는 누름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211)이 닫혔을 때에는 누름부(225)의 부분(228)이 필름(217)에 눌러 접하여, 용기 내의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미리 스페이서(215)와 필름(217)을 설치한 폐쇄판(233)을 용기와는 별도로 작성해 두고, 마지막에 폐쇄판(233)을 접착제로 천정판(203)의 내면 측에 부착함로써 효율적으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필름의 아래쪽으로 도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내측 폐색판(235)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내측 폐쇄판은 취출구(221)가 누름부(225)로 꽉 눌려짐으로써 밀폐상태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내측 폐쇄판에는 용기의 물티슈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237)가 형성되어 있다. 폐쇄시에는 필름에 형성된 취출구(221)는 뚜껑(211)의 누름부(225)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눌려지지만, 그 필름과 내측 폐쇄판(235)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물티슈는 그 스페이서에 수납된다. 따라서, 물티슈는 누름부(225)에 의해서 과도 하게 압박되는 일은 없다.
내측 폐쇄판(235)의 형상은 도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205)에 접착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도3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고리상 폐쇄판으로, 천정판과 하판에 구멍부가 있는 필름을 붙임으로써 각각 위쪽의 취출구(221)와 아래쪽의 취출구(237)를 형성시키더라도 좋다. 이 때, 필름은 천정판과 하판에 각각 1장씩 붙이더라도 좋고, 고리상 폐쇄판의 외면을 고리상으로 덮도록 1장의 필름을 부착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28∼도3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28, 도30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용기의 천정판(203)이 거의 사각형으로 절결되어 있고, 이 절결한 천정판 부분을 그대로 뚜껑(211)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천정판(203)을 절결한 영역에는 개구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211)의 한변은, 천정판(203)으로부터 잘려 떨어져 나가지 않고 천정판 (203)에 접속해 있고, 이 접속 부분이 뚜껑(211)의 회동 축선과 일치한다.
천정판(203)의 아랫면에는 가요성을 갖는 필름(217)이 약간 느슨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 필름(217)은 개구부(213)의 전체를 덮고 있다. 필름(217)의 거의 중앙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취출구(221)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211)의 아랫면에는 볼록형상으로 부불어 오른 누름부(225)가 뚜껑과는 별도의 부재로서 부착되어 있고, 이 누름부(225)는 뚜껑(211)을 폐쇄했을 때에 필름(217)의 취출구(221) 부근에 눌러 접하도록 되어 있다.
도28, 도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211)의 아랫면 측의 회동 축선의 근방에는, 고무판(239)이 고정구(241)로 고정되어 있고, 고무판(239)의 다른 끝부분은 필름(217)에 닿아 접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고무판(239)은 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곧게 뻗은 판상의 초기형상을 갖고, 고무판(239)에 힘을 가하여 구부러져 있는 상태에서는, 초기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탄성복원력을 갖는다. 뚜껑(211)이 폐쇄되어 있을 때 및 도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211)이 조금 열려 있을 때에는, 고무판(239)은 뚜껑(211)과 필름(217) 사이에 끼어지도록 하여 굴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무판(23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뚜껑(211)을 도29 및 도35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자동적으로 들어 올려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211)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 뚜껑(211)을 천정판 (203)에 걸어 멈추게 하여 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에 대해서 이하 용기의 제조공정과 관련시키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용기의 전개도를 작성할 때에는 두꺼운 종이를 블레이드로 구멍을 뚫어 형성하지만 이 구멍을 뚫는 공정에 있어서 동시에, 뚜껑을 형성하기 위한 슬릿을 천정판에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되는 슬릿 중, 뚜껑(211)의 자유단측(뚜껑의 회동 축선과 마주보는 쪽)에 형성되는 슬릿에 의해서, 뚜껑(211)측에 오목부(245)가 형성된다(도30 참조). 그리고 이 뚜껑(211)측의 오목부(245)에 대응하여, 천정판(203) 측에는 볼록부(249)가 형성된다. 뚜껑의 오목부(245)는 뚜껑의 자유단 측의 거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뚜껑(211)의 아랫면에는 누름부(225)를 형성하기 위해 종이부재(251)가 부착된다. 이 때 도28, 도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부재(251)의 한변(뚜껑의 자유단 측에 위치하는 변)이 뚜껑(211)의 오목부(245) 속에 조금 돌출되도록 종이부재(251)를 부착한다. 이렇게 하여 오목부(245) 내에 형성된 돌출 부분(253)은, 뚜껑(211)을 닫았을 때에 천정판(203)의 볼록부(249)에 걸어 멈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 부분(253)이 형성되어 있는 종이부재(251) 부분이 걸어멈춤 판에 상당한다.
뚜껑(211)을 폐쇄할 때에 뚜껑을 가볍게 누름으로써 돌출 부분 (253)이 천정판(203) 측의 볼록부(249)에 걸어 멈출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걸어멈춤 구조에 의해 뚜껑(211)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뚜껑(211)을 열 때에는 뚜껑측의 돌출 부분(253)과 천정판 측의 볼록부(249)의 걸어멈춤 상태를 해제하 도록, 천정판의 볼록부(249) 부근을 손가락으로 누르도록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누름부를 형성하기 위한 종이부재(251)의 일부에 의해서 돌출 부분(253)을 형성하도록 했지만, 누름부를 형성하기 위한 종이부재가 아니라 별도의 종이부재를 뚜껑(211)의 아랫면에 부착하여, 그 종이부재의 일부가 뚜껑의 오목부(245) 내에서 돌출 부분(253)을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는 반대로 도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211)측에 볼록부(243)을 형성하고, 천정판(203) 측에 오목부(247)를 형성해 두고, 그 오목부 (247)의 일부에 돌출 부분(253)이 형성되도록 걸어멈춤판(255)을 천정판(203) 측에 부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볼록부와 오목부의 형상은 도30 및 도31에 나타내는 것에 한하지 않고, 뚜껑측 또는 천정판 측의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할 수 있도록 걸어멈춤판을 설치할 수 있는 형상이면, 파형이나 톱니바퀴 형상 등, 여러 가지 볼록부와 오목부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 자유단과 그것에 대응하는 천정판 슬릿변을 직선상으로 형성해 두고, 뚜껑의 아랫면에 설상(舌狀) 종이부재(251)를 돌출 부분(253)이 뚜껑 자유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부착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33 및 도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의 폐쇄시에 뚜껑의 자유단 표면을 걸어 멈추도록, 천정판 표면에 걸어멈춤판을 설치해 두더라도 좋다.
또한 도30 및 도31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오목부의 깊이와 돌출 부분의 길이를 크게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설계에서는 오목부의 깊이는 1∼5㎜ 정도로 충분하고, 또한 돌출 부분의 길이는 0.1∼2mm 정도로 충분하다. 오목부의 깊이 및 돌출 부분의 길이는 사용하는 종이재의 성질이나 두께 등에 따라, 가장 양호한 걸어멈춤 상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의 아랫면에 형성된 볼록형상으로부풀어 오른 누름부가, 뚜껑의 폐쇄시에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하기 때문에, 취출구가 막혀 용기 내의 위생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용기 내의 물티슈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천정판과 가요성 필름 사이에 실질적인 간격이 형성되도록,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가요성 필름 사이에 스페이서가 설치되기 때문에, 필름 윗부분에 물티슈 끝부분이 수용되는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가 개구부보다 크고, 누름부가 뚜껑의 폐쇄시에 개구부의 전 주위에 닿아 접하기 때문에, 개구부의 주위에서도 용기의 밀폐성이 담보되어, 용기 내 위생환경의 유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취출구 위치에 대응하는 누름부 위치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 폐쇄시에 물티슈의 끝부분이 함몰부 내에 수용되어, 누름부에 의한 찌부러짐이 완화된다.
또한 뚜껑의 아랫면에 종이를 접어 넣어 형성되어, 그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복귀경향을 갖는 종이 성형품을 설치함으로써, 뚜껑을 자동적으로 들어 올려 사용자가 뚜껑을 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의 대부분을 종이로 구성함으로써, 물티슈를 다 쓴 후에 통상의 쓰레기와 함께 폐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의 자유단 측에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고, 천정판이 뚜껑 폐쇄시에 뚜껑의 볼록부와 오목부에 정합하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 변을 가져, 뚜껑 또는 천정판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하도록 걸어멈춤판을 설치함으로써, 그 걸어멈춤판의 돌출 부분이 대응하는 천정판 또는 뚜껑에 있어서의 볼록부와 맞물려 뚜껑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천정판을 절결한 부분을 뚜껑으로서 이용하는 구조에서는, 뚜껑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천정판에 슬릿을 형성할 때에 동시에,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슬릿을 형성해 두고, 그 후에 오목부 쪽에 걸어멈춤판을 부착하도록 하는 것 만으로도 간단히 뚜껑의 걸어멈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를 형성하기 위해 천정판의 아랫면에 설치하는 부재의 일부가 오목부의 일부에 돌출하도록 구성하면, 특별히 다른 부재로서 걸어멈춤판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좋고, 또한 걸어멈춤판 만을 오목부 내에 설치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뚜껑의 회동 축선 측으로, 뚜껑의 아랫면과 가요성 필름 사이에 탄성복귀력을 갖는 부재를 설치하면, 뚜껑을 자동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의 물티슈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301)에 대해서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301)의 기본적 구조는 도20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칸막이 필름(310)을 설치한 점이 특징이다. 도37∼39에 있어서, 도20 중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 있는 부재는, 도20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용기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음에 사용하는 물티슈의 끝부분이 필름(217)보다 과도하게 윗쪽으로 나오지 않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도 도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함몰부(226)를 누름부(225)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름부(225)에 함몰부를 형성해 두면, 만일 물티슈의 끝부분이 필름(217)보다 윗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되어도, 물티슈의 끝부분은 이 함몰부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누름부(225)에 의해 찌부러지는 일이 없다.
이하 본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8, 도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판에 설치되는 필름(217)과 물티슈 사이에는, 칸막이를 구성하는 칸막이 필름(310)이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칸막이 필름(310)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칸막이 필름(310)과 천정판에 설치되는 필름(217) 사이에는 스페이서(314)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 필름(310)에는 취출구(221)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3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312)으로부터 최상부 물티슈의 끝부분이 나와 있다. 이 물티슈의 끝부분은 칸막이 필름(3l0)과 천정판에 설치되는 필름(217) 사이의 스페이서(314) 내에 위치하여, 취출구(221) 바로 아래에 면해 있다. 취출구(221)는 사람의 손가락이 2개 정도 들어가는 크기이기 때문에, 물티슈의 끝부분을 취출구(221)로부터 손가락으로 끄집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1장의 물티슈가 꺼내진 후에도, 다음의 물티슈의 끝부분이 이 스페이서(314)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정판에 설치되는 필름(217)과 칸막이 필름(310) 사이에 스페이서(314)를 형성하고, 거기에 물티슈의 끝부분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뚜껑(211)을 폐쇄했을 때에도 물티슈의 끝부분이 누름부(225)에서 눌려 찌부러지는 일이 없다. 또한 물티슈의 끝부분이 직접 뚜껑(211)과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다음에 꺼내야 하는 물티슈는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된다.
칸막이 필름(310)의 아랫면에는 구멍(312) 주위에 마찰시트(316)가 부착되어 있다. 이 마찰시트(316)는 예를 들면 샌드 페이퍼 등의 마찰계수가 비교적 높은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물티슈는 서로 그 일부끼리가 겹쳐서 접혀 있기 때문에, 1장의 물티슈를 꺼낼 때 다음 물티슈는 도중까지 함께 꺼내진 후, 도중에서 꺼내는 물티슈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하여 다음 물티슈의 끝부분이 스페이서(314) 내에 남게 된다.
이렇게 하여 물티슈를 꺼내는 과정에서 다음 물티슈는 마찰시트(316)와 접촉하면서 함께 꺼내지기 때문에, 마찰저항에 의해 꺼내지기 어려운 상황에 있다. 마찰시트(316)는 이와 같이 다음 물티슈가 꺼내지기 어렵게 하여, 다음 물티슈의 끝부분이 정확하게 스페이서(314) 내에 남도록 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칸막이는 플라스틱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종이재료로 구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아랫면 측이 마찰계수가 큰 종이재료인 것을 칸막이로서 사용하면 마찰시트(316)를 부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깊이를 가져 윗부분이 개방되는 용기상 종이부재(335)를 천정판(203)의 아랫면에 부착하여, 필름(317)과 그 종이부재 (335)의 저면(336) 사이에 스페이서(314)가 형성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종이부재 (335)의 저면(336)이 칸막이가 된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40, 도4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용기(301)의 기본 구조는 도23의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23의 실시예와 다른 구성 만을 이하 설명한다. 또 도40, 도41에 있어서 도23 중의 부호와 같은 부호가 붙여 있는 부재는, 동일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38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필름(217)과 물티슈 사이에 칸막이 필름(310)이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마찰시트(316)가 칸막이 필름(310) 아랫면 측에 설치되어 있는 점도, 도38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이부재(335)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43∼도4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의 천정판(303)이 거의 사각형으로 절결되어 있어, 이 절결한 천정판 부분을 그대로 뚜껑(311)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천정판(303)을 절결한 영역에는 개구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311)의 한변은 천정판(303)으로부터 잘려 분리되는 일 없이 천정판(303)에 접속해 있고, 이 접속 부분이 뚜껑(311)의 회동 축선과 일치한다.
천정판(303)의 아랫면에는 가요성을 갖는 필름(317)이 약간 느슨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 필름(317)은 개구부(313) 전체를 덮고 있다. 필름(317)의 거의 중앙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취출구(321)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311)의 아랫면에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325)가 뚜껑과는 별개 부재로서 부착되어 있고, 이 누름부(325)는 뚜껑(311)을 폐쇄했을 때에 필름(317)의 취출구(321) 부근에 눌러 접하도록 되어 있다.
도43, 도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311)의 아랫면 측의 회동 축선 근방에는, 고무판(339)이 고정구(341)로 고정되어 있고, 고무판(339)의 다른 끝부분은 필름(317)에 닿아 접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고무판(339)은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곧게 뻗은 판상의 초기형상을 갖고, 고무판(339)에 힘이 가해져 굽어 있는 상태에서는 초기형상으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탄성복원력을 갖는다. 뚜껑(311)이 폐쇄되어 있을 때 및 도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311)이 조금 열려 있을 때에는, 고무판(339)은 뚜껑(311)과 필름(317) 사이에 끼도록 굴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무판(33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뚜껑(311)을 도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까지 자동적으로 들어 올려,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38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필름(317)과 물티슈 사이에 칸막이 필름(310)이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마찰시트(316)가 칸막이 필름(310)의 아랫면 측에 설치되어 있는 점도, 도38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311)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 뚜껑(311)을 천정판 (303)에 걸어 멈추게 하여 그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는 도30∼도33에 대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4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43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변형으로, 도46 중 도43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43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본 실시예의 용기는 전체가 사다리꼴형을 하고 있고, 그 저면에는 안정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플랜지(flange)(4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 이면의 좌측에는 고무판(339)이 설치되고, 그 일단 측은 누름부(325)와 하나로 형성된 유지부(413) 내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천정판(303)으로부터 전방의 측판(305)에 걸쳐서 걸어멈춤판(415)이 부착되어 있고, 그 한변은 개구부(313) 내로 조금 돌출되어 걸어멈춤부(417)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뚜껑을 닫았을 때, 그 자유단 측이 걸어멈춤부(417)에 걸어 멈추게 하여 뚜껑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 필름과 물티슈 사이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가요성 필름과 칸막이 사이에 스페이서 부분이 형성되도록 했기 때문에, 다음에 꺼내는 물티슈의 끝부분을 이 스페이서 부분에 수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뚜껑을 닫았을 때에 물티슈의 끝부분이 뚜껑에 의해 눌려 찌부려지는 일이 없다. 또한 물티슈의 끝부분이 직접 뚜껑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위생적이다.
또한 칸막이 판 아랫면의 구멍 주위에 마찰계수가 큰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1장의 물티슈를 꺼냈을 때에 마찰작용에 의해 다음 물티슈가 가요성 필름을 넘는 지점까지 함께 꺼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음 물티슈의 끝부분을 항상 가요성 필름과 칸막이 사이의 스페이서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천정판과 가요성 필름 사이에 실질적인 간격이 형성되도록,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가요성 필름 사이에 스페이서가 설치되기 때문에, 가요성 필름의 윗쪽에 일정한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38)

  1. 개구부가 형성된 판에 대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뚜껑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뚜껑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판상에는 상기 뚜껑에 의해 덮을 수 있는 영역에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형상 복원력을 갖는 시트형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성체는 상기 뚜껑의 회동 축선에 가까운 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형성체는 상기 함몰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성체가 상기 개구부 주변에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성체는 종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구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성체는 플라스틱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성체는 시트를 둘로 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구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성체는 시트를 산모양 접기와 골짜기 접기를 번갈아 반복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구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완전히 열려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성체는 상기 뚜껑에 접촉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구조.
  10. 천정판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그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그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어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폐쇄판 및 그 취출구를 폐쇄하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하고 있는 용기이며, 상기 폐쇄판이 상기 본체부 내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천정판 내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판 표면의 취출구 주위와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 밀착성을 갖는 필름이 설치되어 있고, 그 뚜껑을 닫았을 때에 그 취출구 주위에 설치된 필름과 그 뚜껑의 아랫면에 설치된 필름이 서로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천정판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 그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그 본체부에 고정되어 있어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폐쇄판 및 그 취출구를 폐쇄하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하고 있는 용기이며, 그 폐쇄판 표면의 취출구 주위와 그 뚜껑의 아랫면에 밀착성을 갖는 필름이 설치되어 있고, 그뚜껑을 닫았을 때에 그 취출구 주위에 설치된 필름과 그 뚜껑의 아랫면에 설치된 필름이 서로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판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천정판 내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판이 상기 본체부 외측에서 상기 본체부 천정판 외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폐쇄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판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함몰부 내에는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상시 복귀경향을 갖는 복귀부재가 수납되어 있고, 상기 복귀부재는 수축상태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깊이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이며, 또한 신장상태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깊이 치수보다도 큰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는 상기 취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는 종이를 접어 넣어 형성한 종이 성형품이며, 그 종이 성형품이 그 수축상태로부터 신장상태로 복귀경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자유단 측에는 걸어멈춤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어멈춤 돌기부는 상기 뚜껑의 폐쇄시에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천정판의 가장자리 부분의 아랫면 측에 걸어 멈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천정판 표면에 상기 천정판 가장자리 부분에서 개구부 방향으로 돌출된 뚜껑 걸어멈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뚜껑의 자유단이 상기 뚜껑의 폐쇄시에 상기 뚜껑 걸어멈춤부 아랫면 측에 걸어 멈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시에 접촉하는 상기 뚜껑 아랫면과 상기 폐쇄판 표면에, 서로 감합하는 요철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필름을 제외하고 모두 종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4. 천정판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을 갖고 있고,
    상기 뚜껑 아랫면에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누름부는 상기 뚜껑의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5. 천정판에 형성된 절결을 폐쇄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결절의 외주부분을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폐쇄판과,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폐쇄판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을 끄집어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을 갖고 있고,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누름부는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6. 천정판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천정판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절결한 천정판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천정판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과,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할 수 있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의 자유단 측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정판에는, 상기 뚜껑의 폐쇄시에 상기 뚜껑의 오목부에 정합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의 오목부에는 그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되도록 걸어멈춤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하는 걸어멈춤판은, 상기 누름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천정판의 아랫면에 설치한 부재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8. 천정판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천정판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된 개구부,
    상기 절결한 천정판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천정판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뚜껑,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의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할 수 있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의 자유단 측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정판에는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뚜껑의 볼록부에 정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정판의 오목부에는 그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하도록 걸어멈춤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9. 천정판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천정판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절결한 천정판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천정판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뚜껑은,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할 수 있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를 구비하고,
    상기 천정판에는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뚜껑의 자유단에 걸어 멈추게 하는 걸어멈춤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0. 천정판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과,
    상기 가요성 필름과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 사이에 설치되는 칸막이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에는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와 정합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필름과 상기 칸막이 사이에는 스페이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1. 천정판에 형성된 절결을 폐쇄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뚜껑을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절결의 외주 부분을 덮도록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폐쇄판과,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폐쇄판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과,
    상기 가요성 필름과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 사이에 설치되는 칸막이를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에는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와 정합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필름과 상기 칸막이 사이에는 스페이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아랫면의 상기 구멍 주위에는, 마찰계수가 큰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3.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아랫면에는 볼록형상으로 부풀어 오른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누름부는 상기 뚜껑의 폐쇄시에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 부근에 눌러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4. 제24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회동 축선 측이고, 상기 뚜껑 아랫면과 상기 가요성 필름 사이에, 탄성복귀력을 갖는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5. 제24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누름부의 위치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6. 제24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과 상기 가요성 필름 사이에 실질적인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가요성 필름 사이에 스페이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7. 제2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개구부보다 크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뚜껑 폐쇄시에 상기 개구부의 전 주위에 닿아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8. 제2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필름의 취출구의 아래쪽으로, 상기 본체부 내의 수용물을 꺼내기 위한 출력를 갖는 내측 폐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07006345A 1997-12-11 1998-12-11 용기 KR200100247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10930 1997-12-11
JP1997010930U JP3051473U (ja) 1997-12-11 1997-12-11 容 器
JP1997010971U JP3049874U (ja) 1997-12-12 1997-12-12 蓋体構造
JP1997-10971 1997-12-12
JP1997011318U JP3050201U (ja) 1997-12-26 1997-12-26 押圧部付きの蓋を有する容器
JP1997-11318 1997-12-26
JP1998000300U JP3051487U (ja) 1997-12-26 1998-01-30 仕切りを有する容器
JP1998-299 1998-01-30
JP1998-300 1998-01-30
JP1998000299U JP3051486U (ja) 1997-12-26 1998-01-30 押圧部付きの蓋を有する容器
JP1998001981U JP3056751U (ja) 1997-12-26 1998-03-31 押圧部付きの蓋を有する容器
JP1998-1981 1998-03-31
JP1998-1982 1998-03-31
JP1998001982U JP3056752U (ja) 1997-12-26 1998-03-31 仕切りを有する容器
PCT/JP1998/005606 WO1999029581A1 (fr) 1997-12-11 1998-12-11 Conten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711A true KR20010024711A (ko) 2001-03-26

Family

ID=6029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345A KR20010024711A (ko) 1997-12-11 1998-12-11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47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998B2 (en) Flexible container and reusable closure element
EP0953313A1 (en) A container
US6786329B2 (en)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EP0913336A1 (en) Closing device with automatic opening
WO2003057591A2 (en) Fitment and package for storing fluid-contain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EP3007988B1 (en) Resealable and refillable wipes dispenser
WO1996037138A1 (en) A flexible pouch and re-usable dispensing device
JP4769574B2 (ja) ウエットシート収容容器
JP3056752U (ja) 仕切りを有する容器
KR20010024711A (ko) 용기
KR101439340B1 (ko) 용기마개
IL156431A (en) Dispenser for hygienic paper products or the like
JPS621089Y2 (ko)
WO1999029581A1 (fr) Contenant
JP2000355340A (ja) ウェットシート用容器
JPH0238759Y2 (ko)
EP0915025A1 (en) Closing device with automatic opening
JP3685858B2 (ja) 清拭シート収容容器
KR102520780B1 (ko) 선택적 절취를 통한 오프닝 영역을 구비하는 중첩 라벨 시스템
JP4519552B2 (ja) シート状物収納容器
JP3051473U (ja) 容 器
KR200494477Y1 (ko) 개선된 밀폐력을 갖는 물티슈 케이스용 커버
JP2009274807A (ja) 廃棄物収容容器
JP3981749B2 (ja) 蓋付容器の収納ケース
WO2006080097A1 (ja) ハニカム状パネル材とこれを用いた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