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229A - 와이퍼 장치용 튜브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와이퍼 장치용 튜브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229A
KR20010024229A KR1020007003044A KR20007003044A KR20010024229A KR 20010024229 A KR20010024229 A KR 20010024229A KR 1020007003044 A KR1020007003044 A KR 1020007003044A KR 20007003044 A KR20007003044 A KR 20007003044A KR 20010024229 A KR20010024229 A KR 20010024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late
bearing
bush
bearing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흘프포르테쿠르트
디이트리히얀
벡커행크
부스티노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게오르그 뮐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게오르그 뮐러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Publication of KR2001002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22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22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 B60S1/0425Modular wiper assembly having a separate transverse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wiper shaft holders to the transver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13Modular wiper assembly
    • B60S1/0419Modular wiper assembly the support structure being integrally m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3Attachement of a wiper modular assembly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88Means for mounting wiper arms onto the vehicle
    • B60S1/349Means for mounting the wiper bearing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 튜브(12)의 단부에 있는 튜브 소켓(14, 68)에 이것에 대해 횡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베어링(36)과 와이퍼 드라이브(18, 20)의 캐리어인 와이퍼 장치용 튜브 플레이트(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 플레이트 튜브(12)와 튜브 소켓(14, 68)이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이 튜브 소켓(14, 68)이 베어링 부시(40, 42, 44, 46, 48)를 유극 없이 지지하며, 이 베어링 부시는 언세트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강제로 상기 튜브 소켓(14, 68) 안에 프레스된다.

Description

와이퍼 장치용 튜브 플레이트{Tube plate for a wiper system}
차량용 와이퍼 장치들은 와이퍼 캐리어, 소위 플레이트 또는 튜브 플레이트를 이용해 - 상기 와이퍼 캐리어가 튜브로 이루어지는 경우 - 차체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이 캐리어에 포함되어 있는 모터 캐리어는 와이퍼 모터와 이에 설치된 기어 복스를 구비한 와이퍼 구동 장치를 지지하고 있다. 이 기어 복스의 피동 샤프트는 기어 복스 돔(gear box dome) 안에 지지되어, 윈드실드 와이퍼 각각에 대한 구동 샤프트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크랭크들이 한 크랭크와 링크 로드들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윈드실드 와이퍼의 구동 샤프트는 와이퍼 베어링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의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캐리어의 단부들에 고정되거나 형성되어 있다. 이 캐리어는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 또는 고정 아이(fastening eyes)에 의해 차체에 직접 고정되며, 이 경우 이 고정 아이는 베어링 하우징에, 캐리어에 및/또는 모터 캐리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들은 다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많은 인터페이스 및 그에 상응하는 허용오차를 필요로 한다.
DE-GM 74 34 119에는 모터 캐리어로서 이용되는 플레이트가 4각 튜브에 웰딩되고, 튜브 플레이트가 이 4각 튜브로 만들어지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4각 튜브들의 단부들에는 각각 하나의 와이퍼 베어링이 고정되어 있다. 그런 종류의 튜브 플레이트 또는 관형 프레임 장치들(tubular frame device)은 구조가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매우 안정적이다. 비용상의 이유로 프리-벤딩(pre-bending)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직선의 플레이트 튜브가 요청되고 있다.
DE 29 20 899 C2에는 튜브 소켓이 이에 적절한 돌출부들을 이용해 플레이트 튜브의 중공 프로화일(hollow profile) 안에 끼워지는 튜브 플레이트가 공지되어 있다. 이 돌출부들은 상기 플레이트 튜브의 벽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가지며, 이 안으로 플레이트 튜브의 영역들이 압착되어, 플레이트 튜브와 튜브 소켓 사이의 형상 결합(form-fit)을 형성한다. 이 튜브 소켓 안에 와이퍼 베어링이 배열되어 있다. 나사형 연결 부재에 비해 그 부품 수가 감소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결합 작업은 많은 제작 단계들을 이용해 미리 만들어진(pre-producted) 많은 개별 부품들을 필요로 한다. 이는 베어링 지지 및 로지스틱(logistics)에 대한 비용을 높인다. 또한 이 솔리드 돌출부들은 리세스들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중량을 갖는다.
또한 뮌헨 소재, 1995년 발행, Carl Hanser 출판사의 잡지 "Werkstatt und Betrieb(workshop and operation)"의 812 내지 815 페이지에 그리고 특별호로 1994년 발행, Claus Dannert 출판사의 잡지 "Metallumformtechnik(metal reshaping technics)"에서 "내고압 성형법을 통해 제조되는 경량 구조의 정밀-공작물(precision-work pieces in light structure, producted through internal high pressure-reshaping)"의 제목으로 튜브를 공작물로 형성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 이용되는 상기 방법은 고압의 작용하에서 이용된다.
형성하려는 관형 공작물은 분리형 공구(parted implement) 안에 배치되고, 원하는 공작물 형상이 그 안에서 만들어진다. 수직 방향으로 동작하는 프레스 플런저는 프레스 안에 장착된 공구를 폐쇄(close)시킨다. 이 관형 공작물 단부들은 폐쇄 공구(closing implement)를 통해 폐쇄되며, 공구 내측 형상을 향해 튜브 벽을 프레스시키는 압력 매체가 상기 폐쇄 공구를 통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내압과 중첩되는 축 방향 압력이 횡 방향으로 작용하는 플런저에 의해 상기 튜브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상기 형성에 필요한 소재가 상기 튜브 공작물의 벽두께로부터 파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성형에 필요한 소재는 이 튜브의 단축(shortening of the tube)을 통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 폐쇄 기계는 형성 동안에 축 방향으로 폴로우-업된다.
내고압 방법(internal high pressure method)을 이용해 제조되는 튜브 플레이트에 와이퍼 베어링을 위한 튜브 소켓을 형성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이 일부재(one-piece) 또는 이부재(two-piece) 베어링 부시 안에 삽입하는 것이 특허 출원 DE-OS 196 42 666에 개시되어 있다. 이 베어링 부시들은 상기 튜브 소켓에서 형상 결합, 마찰 결합 또는 소재 결합을 통해 지지된다. 축 방향의 형상 결합 연결은 예를 들어 튜브 소켓의 한 영역이 베어링 부시의 리세스, 예를 들어 홈 안에 압착되므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베어링 부시는 이의 원주에서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한 영역을 갖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영역은 링 형상 리세스를 통해 정해진다. 장착 시에 프레스 공정을 통해 벗겨지(peeled)거나 변형되는 조각(material)이 상기 리세스 안에 모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 베어링 부시는 언세트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 튜브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튜브 소켓 안에 프레스된다. 이 때 상기 베어링 부시와 튜브 소켓의 탄성 영역은, 전체 내구 연한 동안 유극 없는 마찰 결합이 유지되는 한도에서, 변형된다. 언세트 소재는 본 발명의 사상에서 동작 하중 하에서 액성 한계(liquid limit)를 넘어가지 않으며 마찰 결합이 상실될 때까지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소재를 의미한다. 이 베어링 부시는 일부재 또는 다부재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튜브 소켓과 베어링 부시 사이의 큰 허용 오차 범위를 상쇄하고 부정확한 내부 콘투어의 교정 작업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베어링 부시는 그의 원주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종 방향 톱니를 지지하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이 톱니의 첨두는 상기 튜브 소켓의 표면을 다소 파고들어 가므로, 마이크로 구조를 가지는 형상 결합이 발생한다. 장착 동안 밀쳐진 소재가 상기 톱니의 사이공간 안에 수용된다. 언세트 소재로서 철 외에도 예를 들면 알루미늄 및 경금속 합금이 적합하다.
베어링 소재가 적절한 경우 상기 와이퍼 베어링을 위한 지지면이 베어링 부시 안에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소결 함유 소재(sintered material)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부시를 상기 베어링 부시 안에 프레스시키거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층을 베어링 부시 안에서 형성하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내구 연한 동안 축 방향으로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 부시를 마찰 결합에 의한 고정을 위해 베어링 부시와 튜브 소켓 사이에 마찰 결합이면 충분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첨두의 극하중(extreme load)이 우려되면, 부가의 형상 결합식 고정을 제공하는 것도 합목적적이며, 예를 들어 상기 튜브 소켓의 가장자리 또는 그의 일부가 축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홈 안에 압착된다. 이 홈이 회전 대칭형이면, 이 베어링 부시는 축 방향으로만 고정되는 반면, 홈이 회전 대칭형이 아닌 경우 원주 방향으로의 고정 역시 얻어질 수 있다. 회전 대칭이 아닌 환형 홈이 상기 튜브 소켓과 인접해 있는 홈 바닥 또는 홈 플랭크의 영역에서 상기 환형 홈의 하나 또는 다수의 평탄부(flattenings)를 통해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다. 프레스 깊이가 작을지라도 뒤틀림 및 축 방향 이동에 대한 안전성이 충분히 얻어진다.
내고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재가 공구 표면 쪽으로 압착되기 때문에, 상기 플레이트 튜브의 매우 정확한 외측 콘투어가 얻어지는 반면, 이 내측 콘투어는 소재 흐름(material flow)의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더 큰 허용 오차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베어링 부시가 튜브 소켓의 정밀한 외면에 센터링되면 그것은 유리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베어링 부시는 한 부시 안에서 가이드되며, 이 부시는 각각 칼라를 이용해 부시 단부에서 상기 튜브 소켓과 결합하며 이 튜브 소켓의 외주면에 센터링된다. 이것은 이 영역에서 접착, 땜납, 용접 등을 통해 상기 튜브 소켓과 소재에 적합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이 튜브 소켓이 이의 단부에서 내향의 굽은 영역들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들은 내고압 공정에서 형성되거나 내고압 공정 후에 다른 작업 단계들에서 형성될 수 있어서, 이 튜브 소켓의 폐쇄 측면들이 중앙에서 호울 또는 슬롯을 가지며 그와 같이 만들어진 가장자리들이 안쪽으로 굽혀 젖혀져 있다. 안쪽으로 굽혀 젖혀져 있는 영역은 형상의 탄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영구적인 마찰 결합을 가져온다.
또한 이 베어링 부시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의해 축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것은 칼라(shoulder), 예를 들어 구동 샤프트의 크랭크와 개시 디스크(starting disk) 사이에 구동 샤프트에 축에서 고정되며 상기 크랭크 및 고정 링을 통해 상기 튜브 소켓에 대해 축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고정 링은 상기 베어링 부시 안에 끼워진다.
이 튜브 플레이트는 나사들을 이용해 차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 튜브가 튜브 소켓 위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연장부는 고무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분리 부재들이 삽입되는 횡 방향 보어를 포함한다. 탄성의 예비 응력을 제한하기 위해 디스턴스 부시가 제공된다. 상기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분리 부재들이 상기 디스턴스 부시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횡 방향 보어가 상기 플레이트의 정면 쪽에 개방된 슬롯 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이 분리 부재들이 상기 디스턴스 부시를 이용해 정면 쪽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상기 횡 방향 보어는 플레이트 튜브의 종 축을 중심으로 임의로 회전될 수 있게 배열되므로, 이 튜브 플레이트가 약간의 변경을 이용해 많은 내장 상황(built-in-situation)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튜브 플레이트는 부가의 고정 요소에 의해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언커플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해 하나의 개구를 가지는 일정한 각의(angular) 고정 요소를 직접 상기 베어링 축에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플레이트 튜브의 연장부에 끼워 이것과 고정 연결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도 약간 변경을 가하여 고정 점들이 베어링 축을 중심으로 및 플레이트 튜브의 종 축을 중심으로 360°의 각도 범위에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와이퍼 장치용 튜브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다른 장점들은 하기의 도면 설명에서 나타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은 다수의 특징들을 결합된 형태로 담고 있다. 당 업자는 이 특징들을 합목적적으로 개별적으로 고려할 수도 있으며 가치 있는 다른 결합 내용으로 통합할 수도 있다.
도 1은 튜브 플레이트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3의 화살표 II 방향으로 본 베어링 부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 III - III에 따라 절개한 베어링 부시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변형 예,
도 5는 튜브 소켓 및 삽입되어 있는 베어링 부시가 있는 플레이트 튜브의 부분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선 VI - VI에 따라 절개한 횡단면도,
도 7은 도 5에 대한 변형 예.
도 8은 도 7에 대한 변형 예,
도 9는 플레이트 튜브의 한 단부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대한 변형 예,
도 11은 고정 부재가 있는 플레이트 튜브,
도 12는 고정 부재가 있는 베어링 부시.
튜브 플레이트(10)의 본질적인 구성 요소는 내고압 공정에서 관 형상의 소재로부터 성형된 플레이트 튜브(12)이다. 이 플레이트 튜브(12)는 일반적으로 적절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특히 표면 코팅된 철이나 표면 코팅되지 않은 철 또는 특수강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그에 성형된 튜브 소켓(14와 16)을 갖는다. 와이퍼 모터(18)와 기어 복스(20)로 이루어진 와이퍼 구동 장치는 상기 기어 복스(20)의 하우징에 제공된 기어 복스 돔(22)을 이용해 튜브 소켓(16) 안에서 지지된다. 크랭크(26)를 가진 피동 샤프트가 이 기어 복스 돔(22) 안에 지지되어 있으며, 구(球)형 꼭지(gudgeon)(30)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로드(rod)에 의해, 구동 샤프트(32)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크랭크들(24)의 구형 꼭지(28)와 연결되어 있다. 이 구동 샤프트(32)들은 이의 단부(34)들에서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윈드실드 와이퍼를 지지하며 와이퍼 베어링(36)에서 상기 플레이트 튜브(12)의 단부들에 지지되어 있다. 이 와이퍼 베어링(36)은 언세트 소재(unset material),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또는 경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베어링 부시(40)를 포함하며, 이 경우 이 베어링 부시는 강제로 튜브 소켓(14) 안에 프레스된다.
도 2와 도 3에는 맨틀(mantle)에서 숄더(shoulder)(50)와 종 방향 톱니(54)를 가진 베어링 부시(4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베어링 부시(40)가 상기 튜브 소켓(14) 안에 프레스되어 조립될 때, 상기 톱니의 첨두들은 튜브 소켓(14)을 압박하며, 이 경우 밀쳐진 그리고 벗겨진 조각(peeled material)이 상기 종 방향 톱니의 사이공간들에 수용될 수 있다. 도 3에 따른 베어링 부시(40)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52)은 상기 베어링 부시(40) 안에 직접 만들어지는 반면, 도 4에 따른 베어링 부시(42)에서는 소결 함유 소재로 이루어진 부시(58) 안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32)가 프레스되어 있다. 이 부시(58) 대신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부시가 제공되거나 -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 지지 층이 베어링 부시(44) 안에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베어링 부시(40, 42, 44, 46 및 48)를 축 방향으로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 튜브(12)의 튜브 소켓(14, 68) 안에 고정하는 데에는 마찰 결합(friction connection)으로서 충분한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첨두의 극하중(extreme load)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형상 결합식(form-fit)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합목적적이다. 도 5에 따른 실시에서 한 편으로는 상기 베어링 부시(44)의 숄더는 상기 튜브 소켓(14)의 정면과 접하는 반면, 다른 한 편으로는 이 튜브 소켓(14)의 가장자리(66)가 스탬핑 다이(stamping die)를 이용해 베어링 부시(44)의 홈(60) 안에 압착된다. 그러므로 이 베어링 부시(44)는 상기 플레이트 튜브(12)와 대면하여 축에 고정된다. 상기 베어링 부시(44)를 원주 방향으로도 고정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홈(60)은 평탄부(64)를 갖는다. 하나의 평탄부(64)이면 충분한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수의 평탄부들 또는 비(非)원형의 다른 연장부들이 상기 홈(6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상기 튜브 소켓(14)의 가장자리(66)가 프레스되어 만들어진 콘투어가 비회전 대칭의 횡단면 프로화일을 가진다는 것이다.
도 7과 도 8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 부시(46)는 부가적으로 구동 샤프트(32)를 통해 축에 고정되며, 한 편으로는 이것은 상기 크랭크(24)에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개시 디스크(starting disk)(76)의 정면에 지지되어 움직이며(start), 이 디스크는 상기 구동 샤프트(32)의 환형 홈(80)에 있는 고정 링(78)을 이용해 축에 고정되어 있다. 그것은 상기 튜브 소켓(68 및14)과 대면하여 한 편으로는 축에서 크랭크(24)를 통해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베어링 부시(46) 안에 끼워지는 고정 디스크(74)를 통해 고정된다.
도 7에 따른 튜브 소켓(68)은 안쪽으로 굽혀진, 상기 베어링 부시(46)를 지지하는 가장자리(70)를 갖는다. 상기 베어링 부시(46)를 향한 쪽의 가장자리(70) 표면이 정밀한 다이 표면을 통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narrow) 허용 오차가 준수될 수 있다. 또한 이 가장자리(70)는 그의 아크(arc) 형상부(72)와 함께 형상적으로 큰 탄성(elasticity of form)을 가지므로, 상기 튜브 소켓(68)과 상기 베어링 부시(46) 사이의 마찰 결합이 전체 내구 연한 동안 보장된다.
이 가장자리(70)는 다양한 종류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 한 가지 방법으로는 내고압 공정에서 튜브 소켓(68)의 영역에서 적절하게 접혀 젖혀진 부분이 성형되고 나중에 상기 베어링 부시(46)를 위한 관통부(passage) 만이 개방되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고압 공정 후에 먼저 폐쇄형(closed) 튜브 소켓(14)이 그 정면에서 중앙 호울(86)을 갖게되며 안쪽으로 돌출한 가장자리가 프레스 가공을 통해 굽혀지고, 이 경우 상기 호울(86)이 그에 상응하게 확장되는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튜브 소켓(68)의 폐쇄형 정면에 십자형 슬롯(88)을 제공하며 그 때문에 형성된 단편(rag)(90)을 안쪽으로 굽히는 것이다. 이 단편(90)이 이의 자유단들에서 어떠한 폐쇄형 링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반경 방향으로 특히 탄성적이다.
도 8에 따른 실시예에는 부시(82) 안에 상기 베어링 부시(46)가 프레스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부시(82)는 이의 단부에서 칼라(collar)(84)를 가지며, 이것은 상기 튜브 소켓(14)을 정면 쪽에서 커버하며, 및 상기 칼라를 이용해 상기 부시(82)는 튜브 소켓(14)의 외측에 센터링된다. 상기 칼라(84)는 소재에 적합하게 접착, 땜납, 용접 등을 통해 상기 튜브 소켓(14)과 고정 연결된다.
상기 튜브 플레이트(10)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 튜브(12)는 상기 튜브 소켓(14, 68)에 의해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부(38)에 횡 방향 보어(108)가 제공되어 있으며, 탄성적인 분리 부재(uncoupling element)(92)가 상기 횡 방향 보어 안에 끼워진다. 이것을 관통해 디스턴스 부시(94)가 끼워지고, 이 디스턴스 부시는 칼라(96)를 이용해 분리 부재(92)에 접하며 설정된 응력 경로(stress travel)가 얻어지면, 다른 단부를 이용해 차체에 지지된다. 그 때문에 상기 분리 부재들(92)과 플레이트 튜브(12)가 조립 시에 신뢰할 수 있게 고정되도록 한다. 종 방향 상쇄(compensation)를 위해 이 디스턴스 부시(94)가 긴 호울(110)을 갖는다. 구조적인 조건에 적응하기 위해, 상기 횡 방향 보어(108)는 상기 플레이트 튜브(12)의 종 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되어 배열되어 있다.
이 분리 부재(92)는 상기 디스턴스 부시(94)와 고정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이것을 장착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횡 방향 보어(108)는 플레이트 튜브(12)의 정면 쪽에서 개방된 슬롯(98) 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이 쪽으로부터 상기 디스턴스 부시(94)는 함께 상기 분리 부재(92) 안에 삽입될 수 있다.
차체에서 고정 점의 선택이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 튜브(12)의 연장부(38)에 일정한 각의(angular), 분리 부재(92)의 수용을 위한 개구(104)를 갖는 고정 부재(100)를 끼우는 것이 합목적적이다. 이 고정 부재(100)는 상기 플레이트 튜브(12)의 종 축을 중심으로 각각의 임의의 각도로 상기 연장부에 배열된다. 이 때 그것은 마찰 결합으로, 형상 결합으로 또는 소재 결합으로 상기 플레이트 튜브(12)와 연결되어 있다.
도 12에 따른 변형 예는 고정 부재(102)를 나타내며, 이것은 상기 베어링 부시(48)에 직접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 부재(92)의 수용을 위한 개구(106)를 갖는다. 이 고정 부재(102)는 상기 베어링 부시(48)의 베어링 축을 중심으로 각각의 임의의 각도로 배열되며, 그 베어링 부시(48)는 그 튜브 소켓(14)에 회전되어 장착된다.

Claims (19)

  1. 플레이트 튜브(12)의 단부에 있는 튜브 소켓(14, 68) 이것에 대해 횡 방향으로 배열된 하나이상의 와이퍼 베어링(36) 및 와이퍼 드라이브(18, 20)의 캐리어인 와이퍼 장치용 튜브 플레이트(10)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튜브(12) 및 튜브 소켓(14, 68)는 한개의 부재로 제조되고 이 튜브 소켓(14, 68)이 베어링 부시(40, 42, 44, 46, 48)를 유극 없이 지지하며, 이 베어링 부시는 언세트 금속(unset metal)으로 이루어지고 강제로 상기 튜브 소켓(14, 68) 안에 프레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시(40)가 그의 둘레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종 방향 톱니(54)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소결 함유 소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부시(48)는 베어링 부시(42) 안으로 프레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베어링 층(62)은 베어링 부시(44)에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시(44)는 한 쪽 단부에서 숄더(50)를 가지며 다른 쪽 단부에서 축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홈(60)을 가지며, 상기 튜브 소켓(14)의 가장자리(66)가 홈 안으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홈(60)은 회전 대칭이 아닌 형상을 가지는 환형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홈(60)이 원주 방향으로 하나이상의 평탄부(6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소켓(68)은 그의 단부가 안쪽을 향해 굽혀진 영역(7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82)는 그의 단부가 칼라(84)에 의해 상기 튜브 소켓(14)과 결합하며 상기 튜브 소켓(14)의 외측 원주 면에 센터링되며, 이 부시(82) 안에서 상기 베어링 부시(46)가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시(46)는 구동 샤프트(32)에 의해 축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11. 제 1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튜브(12)는 특수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12. 제 1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102)는 상기 베어링 부시(48)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02)와 차체 스크루 이용 고정 지점(screwing point) 사이에 분리 부재(9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14. 제 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튜브(12)는 이 튜브 소켓(14, 68)을 지나 연장되어 있으며 그 연장부(38)의 영역에 분리 부재들(92)의 수용을 위한 횡 방향 보어(10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 보어(108)는 플레이트 튜브(12)의 정면에 개방된 슬롯(98)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 보어(108)에 삽입되는 분리 부재(92)를 관통해 디스턴스 부시(94)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17. 제 1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분리 부재(92)는 상기 디스턴스 부시(94)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18. 제 1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튜브 플레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튜브 플레이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내고압 공정을 통해 폐쇄형으로 제조된 튜브 소켓(68)이 대략 그의 정면 중앙에서 호울을 가지고 한쪽이상의 호울 영역이 프레스를 통해 내향으로 접혀 젖혀지고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제조 방법.
  19. 제 1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튜브 플레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튜브 플레이트 제조 방법에 있어서,
    내고압 공정을 통해 폐쇄형으로 제조된 튜브 소켓(68)은 대략 그의 정면 중앙에서 슬롯을 가지며 한쪽이상에서 그와 같이 형성되는 단편(90)이 안쪽을 향해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플레이트 제조 방법.
KR1020007003044A 1998-07-23 1999-07-03 와이퍼 장치용 튜브 플레이트 KR200100242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3159.2 1998-07-23
DE19833159A DE19833159B4 (de) 1998-07-23 1998-07-23 Rohrplatine für eine Wischeranlage
PCT/DE1999/002051 WO2000005110A1 (de) 1998-07-23 1999-07-03 Rohrplatine für eine wischer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229A true KR20010024229A (ko) 2001-03-26

Family

ID=787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044A KR20010024229A (ko) 1998-07-23 1999-07-03 와이퍼 장치용 튜브 플레이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37775A1 (ko)
JP (1) JP2002521259A (ko)
KR (1) KR20010024229A (ko)
DE (1) DE19833159B4 (ko)
WO (1) WO2000005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6766B1 (en) 2001-10-29 2010-06-09 Mineral Lassen LLC Wave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DE10158098A1 (de) * 2001-11-27 2003-06-05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158099A1 (de) * 2001-11-27 2003-06-05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DE10208538B4 (de) * 2002-02-27 2009-04-02 Robert Bosch Gmbh Wischeranlage mit einer Platine
DE10359331B4 (de) * 2003-12-17 2008-05-29 Man Nutzfahrzeuge Ag Gelenklager einer Nutzfahrzeuglenkung
DE102006009687B4 (de) * 2006-03-02 2013-11-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Halterung einer Wischeranlage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6061675A1 (de) * 2006-12-28 2008-07-03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08004324B4 (de) * 2008-01-15 2018-01-11 Volkswagen Ag Scheibenwischeranlage an einem Fahrzeug
DE102008041092B4 (de) * 2008-08-07 2018-01-18 Robert Bosch Gmbh Platine mit Formrohr zur Führung und Lagerung einer Antriebswelle
FR2959540B1 (fr) * 2010-04-28 2012-08-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alier de dispositif d'essuie-vitre en deux parties
DE102015122094A1 (de) * 2015-12-17 2017-06-22 Valeo Systèmes d'Essuyage Wischermot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ischermotors
DE102016212746B4 (de) * 2016-07-13 2020-01-09 Felss Systems Gmbh Verfahren und maschinelle Anordnung zur Herstellung eines rohrartigen Trägers zur drehbaren Lagerung wenigstens einer Wischerwelle eines Wischerantriebs sowie rohrartiger Träger der genannten Art
DE102017208687A1 (de) 2017-05-23 2018-11-29 Robert Bosch Gmbh Wischeranlage mit Lagergehäus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81409B (it) * 1973-03-15 1974-10-10 Magneti Marelli Spa Perfezionamento alle strutture di supporto di alberi rotanti realizzate con cuscinetti porosi sinterizzati
DE7434119U (de) * 1974-10-11 1975-02-06 Rau G Gmbh Antrieb für Scheibenwischer in Fahrzeugen
DE2920899A1 (de) * 1979-05-23 1981-01-22 Rau Swf Autozubehoer Scheibenwischeranlag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4446315A1 (de) * 1994-12-23 1996-06-27 Teves Gmbh Alfred Scheibenwischeranlage mit einem geräusch- bzw. schwingungsdämpfenden Befestigungsmittel
DE19546906A1 (de) * 1995-12-15 1997-06-19 Teves Gmbh Alfred Wischerlager für eine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es
EP0897357B1 (de) * 1996-03-18 2001-10-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eibenwischeranlage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19642666A1 (de) * 1996-03-26 1997-10-02 Bosch Gmbh Robert Lagerung von Antriebswellen einer Wischeranlage
EP0798183B1 (de) * 1996-03-26 2002-04-10 Robert Bosch Gmbh Rohrplatine
EP0798181B1 (de) * 1996-03-26 2002-03-27 Robert Bosch Gmbh Lagerung eines Wischerantriebes
DE19642184A1 (de) * 1996-10-12 1998-04-16 Bosch Gmbh Robert Scheibenwischerla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37775A1 (de) 2000-09-27
WO2000005110A1 (de) 2000-02-03
JP2002521259A (ja) 2002-07-16
DE19833159B4 (de) 2011-03-24
DE19833159A1 (de) 200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6044A (en) Drive unit for a wiper system of motor vehicles
KR20010024229A (ko) 와이퍼 장치용 튜브 플레이트
DE4311908B4 (de)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DE19712113B4 (de) Lagerung eines Wischerantriebs
KR100243774B1 (ko) 차량용 조정요소 특히 변속링크장치의 변속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
KR101045773B1 (ko) 차량용 윈도우 와이퍼 장치
RU2404388C2 (ru) Редукторный привод с креплением приводного элемента на опорах без осевого люфта, прежде всег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подвижной детали в автомобиле
KR20020059604A (ko) 윈드 스크린 와이퍼용 고정부
JPH05149323A (ja) 拘束形ボールアンドソケツトジヨイント
DE10340665A1 (de) Kraftspeicher für eine Reibungskupplung
GB2343497A (en) One piece component forming primary flywheel pressing and method therefor.
DE10065874A1 (de) Hydrodynamische Koppelungseinrichtung
DE19981050B4 (de) Führungshülse für einen Nehmerzylinder
CA2393434C (en) Vehicle component mounting assembly
US5621943A (en) Windscreen wiper device for a rotating motor shaft
US6196754B1 (en) Driv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especially for vehicle window panes
EP3586041A1 (de) Antrieb, umfassend einen elektromotor und ein getrieb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ntriebs
KR100688052B1 (ko)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US20040045389A1 (en) Rotating housing and gear assembly
US6082902A (en) Bearing for driven shafts of wiper device
JP2002521258A (ja) 管状ブランクの固定機構
KR100712869B1 (ko) 와이퍼 시스템
CN113915216B (zh) 功能元件
US7148445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ie rod housing
KR20010080498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용 구동 샤프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