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103A - 회전 가능한 지지 바디를 갖춘 라인들을 안내하는 안내장치 및 안내부재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지지 바디를 갖춘 라인들을 안내하는 안내장치 및 안내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103A
KR20010024103A KR1020007002857A KR20007002857A KR20010024103A KR 20010024103 A KR20010024103 A KR 20010024103A KR 1020007002857 A KR1020007002857 A KR 1020007002857A KR 20007002857 A KR20007002857 A KR 20007002857A KR 20010024103 A KR20010024103 A KR 20010024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guide
guide member
mounting
adap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르베르트 베흘러
스테판 레이몬드 아츠
빌리발트 베버
Original Assignee
클라우즈 하이드리히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즈 하이드리히,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즈 하이드리히
Publication of KR2001002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1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Buck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또는 도관들을 수용하기 위해 통로부(5)를 갖는 안내부재(1)에 관한 것이다. 상기 통로부(5)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4)에 의해서 연결되는 두 측벽(2,3)으로 한정된다. 상기 두 벽(2,3)들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 지지 부재(6,7)들은 통로부(5)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지지 바디(6,7)속으로 장착 저어널들의 일부가 돌출하며, 상기 장착 저어널들은 어댑터(14a,14b,14a,14b)상에 제공된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지지 바디를 갖춘 라인들을 안내하는 안내 장치 및 안내부재 {GUIDING ELEMENT AND GUIDING DEVICE FOR GUIDING LINES WITH ROTATABLE SUPPORTING BODIES}
안내 장치는 에너지 안내 체인의 주어진 운동 공정에 따라 라인들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하다. 안내장치가 안내 부재들로 구성되는 경우에, 다각형 효과(polygon effect)가 발생하므로, 안내장치의 곡률반경의 영역에 있는 다각형 라인은 체인의 분리 부재 및 라인 사이에서 상대적인 변위가 발생된다. 통상적으로, 상대적인 변위의 영역은 여러 측정에 의해서 공지된다.
연결 부재들과 분리 바디들사이의 상대적인 변위는 연결부재들과 라인들 사이에서 마찰을 발생하며, 이러한 마찰은 라인들에 마찰마모를 받게 한다. 상기 라인상의 마찰 마모는 작동의 중지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통로부를 구비하며, 라인들을 수용하기 위한 안내부재에 대해 독일 특허 제 42 25 016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부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두 측벽들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측벽들은 통로부를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한 장착 지지 바디가 제공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 지지 바디들은 라인 및 지지 바디 사이의 상대이동을 최소화 하며, 상기 라인은 라인내에서 마찰 마모를 감소시킬수 있도록 지지 바디에 대해 지지된다.
그외에도, 유럽 특허 제 0 745 785 A호에 회전가능한 지지 바디가 측벽들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에 배열되어 있는 안내장치 및 안내부재가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라인들을 안내하는 안내 장치 및 안내 부재에 관한 것이다. 라인들은 안내하는 안내 장치들은 ‘에너지 안내 체인’이라는 용어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안내 장치의 실예가 실용신안 등록 제 G 84 11 975 U1호에 기술되어 있다. 아내 장치는 힌지형태로 함께 연결되는 다수의 안내 부재들을 포함한다. 각 안내부재들은 통로부를 구비한다. 각 안내부재의 통로부들은 라인 또는 도관이 놓여지는 수용통로를 형성한다. 라인들의 공간적인 분리를 위해, 실용신안 등록 제 G 84 11 975 U1호에는 통로 횡단부가 분리 부재에 의해서 분리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 부재의 다른 형상이 독일 특허 제 195 47 215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도 1은 안내부재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안내부재의 내부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조립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안내 부재의 제 2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어댑터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어댑터의 평면도.
도 8은 안내 부재용 지지 바디들과, 어댑터와, 연결수단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안내부재에서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어댑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어댑터의 평면도.
도 12는 안내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어댑터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어댑터의 평면도.
도 15은 어댑터의 정면도.
도 16는 도 15에 도시된 어댑터의 평면도.
도 17은 어댑터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18는 도 17에 도시된 어댑터의 평면도.
도 19은 어댑터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20는 도 19에 도시된 어댑터의 평면도.
도 21은 지지 바디들과, 도 19에 도시된바와 같이 어댑터들을 갖춘 안내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21의 안내부재의 단면도.
도 23은 안내부재의 정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안내부재의 부분적인 평면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바와 같이 안내부재에 어댑터를 끼워마추는 스낸쇼트(snapshot)의 도면.
도 26은 어댑터의 정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어댑터의 저면도.
도 28은 도 21에 도시된 안내부재를 장착한 안내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안내 부재 2,3 : 측벽
4 : 연결부재 5 : 통로부
6,7 : 지지 바디 8,9,10,11,12 : 장착 저어널
13 : 내측면 14a,14b : 어댑터
15a,15b : 어댑터 16 : 보어
17 : 나사 18 : 헤드 지지부
19 : 외측면 20 : 지지 홈
21 : 립 22 : 디플레션(depression)
23 : 조립형 유니트 30 : 안내부재
32,33 : 측벽 34 : 연결 부재
35 : 통로부 36,37a,37b,37c : 지지 바디
38,39 : 장착 저어널 40 : 아암
41 : 메인 바디 42 : 설형부
43 : 내측면 44,45 : 어댑터
46 : 보어 47 : 나사
48 : 헤드 지지부 49 : 외측면
50 : 홈 51 : 설형부
52,53 : 지지 홈 60 : 안내 부재
61,62 : 어댑터 63 : 측벽
64 : 장착 저어널 65 : 지지 바디
66 : 장착 저어널 67 : 지지 바디
68,69 : 장착 저어널 70,71 : 부분
72,73 : 측벽 74,75 : 연결부재
76 : 통로부 77 : 지지 바디
78 : 어댑터 79,80 : 장착 저어널
81 : 어댑터 82 : 메인 바디
83 : 지지 홈 84 : 유지 홈
85,86,87 : 장착 저어널 88 : 표면
89,90 : 장착 저어널 91 : 표면
92,93 : 축선 94,95 : 측벽
96,97 : 연결 부재 98 : 피봇 축선
99 : 장착 바디 100 : 안내 장치
101 : 안내 부재 102 : 라인 또는 도관
103 : 리세스 104 : 돌출부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단순한 수단을 사용하여 통로부의 분리형태에 대해 가장 광범위한 변화가 이루어질수 있는 안내 장치 및 안내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안내 장치 또는 안내 부재들에서 안내되는 라인들의 마찰 마모가 감소되도록 안내 장치 및 안내 부재를 반대로 끼워마춤(retro-fit)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첨부된 청구범위 제 1항의 특징을 갖는 안내부재 및, 제 14항의 특징을 갖는 안내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배열된 두 측벽들에 의해서 한정된 통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두 측벽들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에 의해서 연결된다. 안내부재는 통로부를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바디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 및/또는 측벽에 연결될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에 의해서 구별되며, 상기 어댑터는 적어도 일부가 지지 바디속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저어널 또는 트래니언(trunnion)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부재의 설계 형상은 통로부의 분리가 단순한 수단을 사용하여 광범위하게 변화될수 있게 한다. 상기 어댑터 및 지지 바디들이 단순한 푸쉬-인 연결(push-in connection)에 의해서 함께 연결되므로, 안내 부재의 통로부속으로 지지 바디들과 어댑터를 끼워마추는데 수반되는 조립 절차는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안내 부재의 형상에 따른 장점은 어댑터들이 그 자체의 적절한 형상에 의해서 이미 존재하는 안내부재와 결합하여 조립될수 있으므로 상기 안내부재내의 라인의 마찰마모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어댑터 및 지지 바디들이 표준 구성부품의 형태로 구성되므로, 동일한 어댑터 및 지지바디들은 상이한 형상의 측벽 및 연결부재를 갖는 소정의 너비와 높이를 갖는 안내부재에도 항상 사용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부재의 형상은 지지 바디가 장착 저어널의 축선에 대해 회전할수 있도록 보장한다. 라인 및 지지바디 사이 또는 지지 바디 및 장착 저어널 사이에 발생되는 상이한 마찰계수에 대해, 지지 바디 및 라인사이에 상대이동이 확실히 일어나도록 장착 저어널의 직경 및/또는 지지 바디의 벽 두께에 대한 적절한 부분이 형성된다.
아마, 어댑터는 서로 거의 직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개의 장착 저어널 또는 트래니언을 구비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어댑터들의 형상은 일정한 횡단부를 갖는 통로부가 서로 거의 직각으로 배열된 두 면에서 분리되게 한다.
안내부재의 형상에 따른 또다른 장점은 서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두개의 저어널 또는 트래니언들을 어댑터가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어댑터의 형상은 통로부가 평행한 면속으로 분리될수 있도록 한다. 서로 동축의 관계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장착 저어널 또는 트래니언들을 어댑터가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어댑터들은 서로 동축으로 연장하는 두 저어널들에 직가으로 연장되는 장착 저어널과 관련하여 설계될수 있으므로, T-형상으로 분리될수 있다. 어댑터에 대한 장착 저어널들의 조합은 통로부의 분리에 대해 추가의 옵션(option)을 제공할수 있다. 그래서, 장착 저어널과 함께 어댑터는 십자형태(cross)로 구성될수도 있다.
안내 부재의 조립을 단순화하기 위해, 어댑터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에 대해 긍정적인 제동 관계 또는 힘-제동(force-locking)관계로 연결될수 있다. 또한, 어댑터는 연결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홈을 구비한다. 지지 홈의 내측 형상은 연결 부재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어댑터의 이러한 형상은 연결부재의 종축방향으로 어댑터의 변위에 의해 연결부재상에 위치설정될수 있다.
안내부재의 형상에 따른 또다른 장점은, 지지 홈이외에 어댑터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는 연결부재에서 개구속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한다.
돌출 및 지지 홈의 형상은 연결부재들의 공지된 형상에 대해 대응할수 있다. 이것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바디들과 어댑터들에 안내부재를 연속적으로 끼워추어질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서, 안내부재에 안내되는 라인의 마찰 마모를 최소화 할수 있다.
연결 부재의 종축 방향에서 어댑터의 변위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어댑터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연결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고, 돌출부는 연결부재에서 개구속으로 적어도 일부가 결합한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가 종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개구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어댑터가 연결부재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될수 있다. 또한, 다수의 어댑터가 연결부재의 종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될수 있다.
아마, 지지 바디가 그 목적에 따라 원통형상으로 구성될수 있다. 특히, 지지 바디는 거의 중공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안내부재속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추가의 부하를 안내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개념에 따르면, 지지 바디는 압출에 의해서 형성될수 있다. 이것은 지지 바디를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생산하게 한다. 상기 지지 바디는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될수 있다.
아마, 지지 바디는 마찰마모에 저항하는 표면을 갖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또한, 안내부재는 메시-형(mesh-like) 형상으로 통로부를 분리하는 다수의 지지 바디가 제공되어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형상은 통로부에서 상이한 횡단부들를 갖는 라인을 위치시킬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는 청구범위 제 1항 내지 제 13항중의 어느 한항에 기술된바와 같이 힌지형으로 상호 연결된 안내 부재들에 의해서 구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 및 상세한 내용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안내 부재(1)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안내 부재(1)는 연결 부재(4)들에 의해서 함께 연결되는 측벽(2,3)을 구비한다. 상기 측벽(2,3) 및 연결부재(4)들은 통로부(5)를 형성한다.
각각의 연결 부재(4)는 단부면에서 나선형 보어(16)를 구비하며, 상기 나선형 보어(16)속으로는 나사(170가 체결되며, 상기 나사(17)는 각각 측벽(2,3)에서 보어를 통해 연장된다. 나사(17)의 헤드(18)는 각 측벽(2,3)의 외측(19)에 대해 지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부(5)는 지지 바디(6)들에 의해서 세분된다. 각 지지 바디(6)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지지 바디들의 회전 방향이 자유롭게 선택되므로, 지지 바디들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된다.
각 지지 바디(6)는 두 어댑터(14a, 14b 및 15a, 15b)들에 의해서 연결 부재들에 각각 연결된다.
도 2는 조립상태에서의 안내 부재(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어댑터(15a, 15b) 및 어댑터(14a, 14b)들은 연결 부재(4)상에 푸쉬(push)된다. 풋쉬된 상태의 어댑터(15a, 14a 및 15b, 14b)들 사이에는 회전 가능한 지지 바디(7)가 배열된다. 상기 지지 바디(7)는 연결부재(4)의 종축 방향으로 거의 연장된다. 상기 지지 바디(7)들은 상호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4)들 사이에 위치된다. 각 어댑터(14a,14b)는 두 개의 장착 저어널 또는 트래니언(trunnion, 8, 9)을 구비한다. 장착 저어널(8,9)들은 서로 동축 관계 있게 된다. 즉, 이들은 공동축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 저어널들은 각각 어댑터(14a, 14b)의 대향 표면에 제공된다. 상기 장착 저어널(8,9)은 각각 원통형상의 지지 바디속으로 결합된다. 각 지지 바디(7)는 각각의 장착 저어널(8,9)을 수용하기 위해 중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 바디(14a,14b)들은 장착 저어널(10)을 구비한다. 상기 저어널(10)은 장착 저어널(8,9)에 거의 직각으로 배열된다. 어댑터(14a,14b)의 조립상태에서, 장착 저어널(10)들은 서로에 대해 접촉하게 된다. 각각의 장착 저어널(10)은 중공 원통형상의 지지 바디(6)속으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 바디(6)들은 각각의 어댑터(14a, 14b)의 저어널(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어댑터(15a, 15b)는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서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두 장착 저어널(11,12)을 구비하는 것이 어댑터(14a,14b)와 상이하다. 어댑터(15a,15b)들은 측벽(2,3)의 내측면(13)에 대해 지지될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지지 바디(6)들은 장착 저어널(11,12)상에 지지된다.
어댑터들은 연결부재에 대해 해제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연결부재는 다각형의 단면을 형성한다. 각각의 어댑터(14a,14b, 15a,15b)는 연결부재(4)가 유입되는 지지 홈(20)을 구비한다. 상기 어댑터(14a,14b, 15a,15b)는 연결부재(4)에 대해 긍정적인 제동관계로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각 지지 홈은 연결부재(4)의 대응 리세스와 결합하는 리브들을 구비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부재(4)들, 지지 바디(6,7)들 및 어댑터(14a,14b, 15a,15b)들은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이, 조립형 유니트(23)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조립형 유니트(23)는 측벽(2,3)에 형성된다. 서로 인접한 지지 바디(6)들의 공간은 지지 바디(7)들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지지 바디들의 길이는 자유롭게 선택될수 있다.
도 4는 안내 부재(30)를 나타낸다. 상기 안내 부재(30)는 통로부(35)를 구비한다. 상기 통로부(35)는 서로 이격됨과 동시에 마주보는 두 측벽(32,33)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두 벽(32,33)들은 서로 이격된과 동시에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34)들에 의해서 연결된다. 각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재(34)들은 나사(47)가 삽입되는 보어(46)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47)는 각 측벽(32,33)을 통해 연장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나사(47)들의 각각의 헤드(48)는 측벽(32) 또는 측벽(33)의 외측면에 대해 지지된다.
통로부(35)에는 라인 또는 도관용 지지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지지 바디(36,37a,37b,37c)들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지지 바디(36)들은 연결 부재(34)에 거의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지지 바디(36,37a,37b,37c)는 중공의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거의 평행한 관계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34)들에는 대응하는 장착 저어널을 갖는 어댑터(44,45)들이 있다. 상기 저어널상에는 지지 바디(36,37a,37b,37c)들이 지지되어 있다.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열되며 지지 바디(36)들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두 저어널(38)을 구비한 어댑터(45)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착 저어널(38)들은 안내부재(30)의 종축 방향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지지 바디(36,37a,37b,37c)들의 장착 방법은 도 5에 안내부재(30)의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어댑터(44)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지지 바디(36)들이 장착되는 두 장착 저어널(38)들을 포함한다. 또한, 어댑터(44)는 대응 바디(37a,37b,37c)들을 장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3개의 장착 저어널(39)를 구비하며, 상기 저어널(39)들은 서로 겹쳐있는 상태로 배열되며, 장착 저어널(38)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아암(40)상에 제공된다.
상기 아암(40)은 메인 바디(41)에 연결된다. 아암(40)의 자유 단부는 연결 부재(34)에서 홈(50)속으로 결합하는 설형부(42)를 형성한다. 상기 홈(50)은 연결부재(50)의 종축 방향으로 거의 연장된다. 상기 설형부(42)에 대응하는 제 2 설형부(51)가 메인 바디(41)로 부터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설형부(51)는 제 2 연결부재(34)의 대응 홈(50)속으로 결합한다. 또한, 상기 설형부(51)는 메인 바디(41)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 바디(41)는 설형부(51)의 각 측면상에 제공된 두 지지 홈(52,53)들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홈(52,53)들속으로 상기 연결부재(34)의 대응 지지부(54), 리지-형 또는 비드형상의 지지부가 결합된다. 어댑터(44,45)는 연결부재(34)와 공동으로 작동하는 지지 홈(52,53) 및 설형부(42,51)에 의해서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된다.
도 6 및 도 7은 어댑터(45)의 구조를 나타낸다. 어댑터(45)는 아암(40)의 한 측면상에만 장착 저어널(39)를 구비한다. 장착 저어널(39)이외에도, 어댑터(44)는 장착 저어널(390에 대하여 동축으로 제공되며 아암(40)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장착 저어널들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아암(40)은 장착 저어널(39)에 대향하게 된다. 어댑터들의 형상은 통로부(35)를 네트-형 형상으로 분리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안내 부재(30)의 실시예는 먼저 연결부재(34), 어댑터(38,39) 및 지지 바디(36,37a,37b,37c)들이 하나의 조립형 유니트로 조립된 구조물을 나타낸다. 이후, 상기 측벽(32,33)들은 연결 부재(34)에 연결될수 있다.
도 8은 안내 부재(6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명료화를 위해, 측벽들이 생략되어 있다. 상기 측벽들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측벽들과 동일하다.
안내 부재(6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재(34)에 대응하는 두 연결부재(34)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4)의 홈(50)은 어댑터(61,62)들에 긍정적인 제동 관계로 연결될수 있는 프로화일형상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어댑터(61,62)는 홈의 프로화일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측벽(63)을 구비한다.
상기 어댑터(61)는 서로 동축의 관계로 형성된 두 장착 저어널(64)들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 저어널(64)은 연결부재들의 종방향으로 거의 연장되는 지지 바디(65)들을 장착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지지 바디(64)들은 연결부재(34)의 홈(50)에 일부가 배치된다. 그러나, 이들은 홈(50)의 벽에 접촉하지 않을때,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상기 어댑터(61)는 장착 저어널(64)에 거의 직각인 장착 저어널(66)을 구비한다. 대향적으로 배치된 어댑터(61)의 장착 저어널(66)들은 장착 바디(67)에 장착하기 위해 이용된다. 장착 바디(67)는 연결부재(34)의 종방향에 거의 직각으로 배치된다.
어댑터(62)들은 서로 직각인 상태에 있는 두 장착 저어널(68,69)만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 저어널(68)들은 지지 바디(65)를 장착하는데 이용된다. 장착 저어널(69)들은 지지 바디(67)를 장착하는데 이용된다. 어댑터(62)들은 측벽들에 인접하게 배열된다(도시되지 않음)
도 9는 연결 부재(34)에서 어댑터(61)의 배열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홈(51)이 어댑터(61)의 대응부(71)와 결합하는 도보테일 형상의 일부(70)를 구비하므로, 어댑터(61)와 연결부재(34)사이에 긍정적인 제동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댑터(61)는 연결부재(34)의 종축에 직각으로 당겨지는 것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안내부재들의 상술된 실시예에서, 양측벽들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통로 횡답부를 분리하는 지지 바디가 제공되어 있다.
도 12는 측벽(72,73)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75) 및 연결 부재(74)에 의해 연결되는 측벽(72,73)을 구비하는 안내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통로부(76)에는 상기 연결부재(74,75)에 거의 직각으로 연장되는 지지 바디(77)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지지 바디(77)들은 적절한 장착 저어널(79)을 갖는 어댑터(78)들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각 어댑터(78)가 연결 부재(74,75)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장착 저어널(80)을 구비한다. 각각의 지지 바디(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장착 저어널(74)들의 각각에 장착될수 있다. 통로부(76)의 횡단부의 나머지 부분에는 아무것도 없다. 이러한 배열은 상대 이동으로 인한 측벽(72,73)의 내부면들에 대해 통로부(76)에 배열된 라인 또는 도관들이 마찰하는 것을 방지한다. 대응효과는 상술된 실시예에서 얻어질수 있다. 어댑터(78)들은 신뢰적이며 확실히 고정되도록 연결부재(74,75)의 형사에에 적절히 적용된다.
도 13 내지 도 20은 어댑터(81)의 여러 형상을 나타낸다. 어댑터(81)는 유지 또는 멈춤 노우즈(84,nose)들과 함께 지지 홈(83)을 갖는 메인 바디(82)를 구비하며, 상기 노우즈들은 서로 마주보며, 지지 홈(83)의 종축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3은 어댑터(81)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어댑터(81)는 두 장착 저어널(85,86)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 저어널(85,86)들은 서로 거의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어댑터(81)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어댑터(81)의 주요한 구조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어댑터(81)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15 및 도 16은 3개의 장착 저어널(86,85,87)들을 구비한다. 장착 저어널(85,87)들은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들은 메인 바디(82)의 공동면(88)으로 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어댑터(81)는 또한 장착 저어널(85,87)들에 의해서 걸쳐지는 표면에 거의 직각인 장착 저어널(86)을 구비한다.
도 17 및 도 18은 어댑터(81)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어댑터(81)는 4개의 장착 저어널(85,87,89,90)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 저어널(85,87)들은 서로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며, 지지홈(83)의 양측면상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장착 저어널(85,87)들은 메인 바디(82)의 공동면(88)으로 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상기 장착 저어널(89,90)들은 서로 평행한 관계로 제공되어 있다.
이들은 메인 바디(82)의 표면(88)에 대향하는 표면(81)으로 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상기 장착 저어널(89,90)들은 지지 홈(83)의 양측면상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 저어널(85,89)들은 공동 축선(82)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저어널(87,90)은 공동축선(93)상에 배열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어댑터(8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어댑터(81)는 장착 저어널(86)이 생략되어 있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어댑터(81)의 형상에 거의 대응한다.
이제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안내 부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안내 부재의 실시예는 연결 부재(96,97)에 의해서 함께 연결되는 측벽(94,95)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 부재(96)는 측벽(94)상에 제공된 축선(98)에 대해 피봇가능하다. 상기 연결 부재(96,97)들은 도 22에 도시된바와 같이, 어댑터(81)를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어댑터(81)들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어댑터들과 동일하다, 도 22에는 어댑터(81)들이 연결부재(96,97)에 지지되도록 연결부재(96,97)의 대응하는 접촉 표면에 각각 유지 또는 멈춤 노우즈(840들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연결부재(96,97)들은 대응하는 어댑터(81)들의 홈(83)속에 결합된다. 어댑터(81)와, 상기 어댑터(81)들 사이에 배열된 지지 바디(99)들은 축선(98)에 대해 어댑터(96)에 피봇 연결될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는 안내 부재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안내부재의 주요한 구조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안내부재의 형상과 거의 일치한다. 이러한 안내 부재는 연결 부재(96,97)에 의해 연결된 측벽(94,95)을 구비한다. 연결 부재(96,97)들은 어댑터(81)를 지지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연결부재(96,97)들은 리세스(103)를 구비하는 방식으로 수정된다. 상기 리세스(103)들이 연결부재(96)의 종축 에지에 제공되어 있는 것이 도 2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기세스(103)들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연결 부재(97)는 대응하는 리세스를 또한 구비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 부재(96)의 리세스(103)는 연결 부재(97)의 리세스(103)에 정렬된다. 상기 리세스들은 연결부재(96,97)의 종축 방향으로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81)상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어댑터(81)는 리세스(103)에 대한 대응형상으로 구성되는 돌출부(104)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104)가 리세스(103)속으로 결합되는 것이 도 2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8은 피봇가능하게 함께 연결되는 다수의 안내 부재(101)들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 부재(101)들의 형상은 도 21 또는 도 22에 각각 도시된바와 같이, 안내 부재의 실시예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또한, 도 23은 라인 또는 도관(102)을 나타낸다. 도 23에 도시된바와 같이, 라인 또는 도관(102)은 지지 바디(99)들에 대해 안내 장치(100)의 곡선영역에서 지지된다. 라인 또는 도관(102)에 대해 안내 부재(101)의 상대 이동중에, 지지 바디(99)들의 구름(rolling)이동이 발생하며, 그러므로서 라인 또는 도관은 마찰 마모를 받지 않는다.

Claims (14)

  1. 라인들을 수용하기 위해 통로부(5,35,76)를 구비하며, 상기 통로부(5,35,76)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두 측벽(2,3,32,33,63,72,73,94,95)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두 측벽들이 통로부(5,35,76)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바디(6,7,36,37a,37b,37c,65,77,79)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4,34,74,96,97)에 의해서 연결되는 안내 부재(1,30,60,10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14a,14b,15a,15b,44,45,61,62,78,81)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4,34,74,96,97) 및/또는 측벽(2,3,32,33,63,72,73,94,95)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저어널(8,9,10,11,38,39,64,66,68,69,79,80,85,86,87,89,90)을 구비하며, 상기 저어널은 적어도 일부가 지지 바디(6,7,36,37a,37b,37c,65,77,99)속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4a,14b,15a,15b,44,45,61,62,78,81)는 서로 거의 직각관계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장착 저어널(8,9,10,11,38,39,64,66,68,69, 79,80,85,86,87,89,9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14a,14b,15a,15b,44,45,61,62,78,81)는 서로 거의 평행관계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장착 저어널(8,9,10,11,38,39,64,66,68,69,79,80,85,86,87,89,9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14a,14b,15a,15b,44,45,61,62,78,81)는 서로 거의 동축관계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장착 저어널(8,9,10,11,38,39,64,66,68,69,79,80,85,86,87,89,9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14a,14b,15a,15b,44,45,61,62,78,81)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4,34,74,96,97)에 대해 힘-제동 관계로 또는 긍정적인 제동관계로 연결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14a,14b,15a,15b)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4)가 적어도 일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홈(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81)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04)를 구비하며, 연결부재(96,97)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03)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104)는 연결부재(96,97)의 종축 방향으로 어댑터(81)의 변위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해 연결부재(96,97)의 리세스(103)속으로 적어도 일부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6,7,36,37a,37b,37c,65,77,99)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6,7,36,37a,37b,37c,65,77,99)는 거의 중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6,7,36,37a,37b,37c,65,77,99)는 압출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6,7,36,37a,37b,37c,65,77,99)는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6,7,36,37a,37b,37c,65,77,99)는 마찰-저항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형 배열로 통로부(5,35,76)를 분리하는 다수의 지지 바디(6,7,36,37a,37b,37c,65,77,99)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부재.
  14. 라인들을 안내하기 위해,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내부재(101)들을 피봇식으로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안내장치.
KR1020007002857A 1997-09-17 1998-09-16 회전 가능한 지지 바디를 갖춘 라인들을 안내하는 안내장치 및 안내부재 KR20010024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0967A DE19740967A1 (de) 1997-09-17 1997-09-17 Führungselement und Führungsvorrichtung zum Führen von Leitungen mit drehbaren Anlagekörpern
DE19740967.9 1997-09-17
PCT/EP1998/005887 WO1999014517A1 (de) 1997-09-17 1998-09-16 Führungselement und führungsvorrichtung zum führen von leitungen mit drehbaren anlagekörper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103A true KR20010024103A (ko) 2001-03-26

Family

ID=784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857A KR20010024103A (ko) 1997-09-17 1998-09-16 회전 가능한 지지 바디를 갖춘 라인들을 안내하는 안내장치 및 안내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015793B1 (ko)
JP (1) JP2001516860A (ko)
KR (1) KR20010024103A (ko)
CN (1) CN1104572C (ko)
DE (2) DE19740967A1 (ko)
WO (1) WO1999014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7891A1 (de) * 2004-02-17 2005-09-01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ettenglied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DE102005013430A1 (de) * 2005-03-21 2006-09-28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ettenglied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2001228U1 (de) * 2012-02-08 2012-04-03 Tsubaki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vorrichtung für große Verdrehwinkel
DE202016104470U1 (de) 2016-08-12 2017-11-14 Igus Gmbh Verbindungsvorrichtung und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411975U1 (ko) 1984-04-17 1987-10-15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De
JP2507194Y2 (ja) * 1991-07-31 1996-08-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ブルドラグチェ―ンの内部仕切構造
US5724803A (en) * 1995-05-04 1998-03-10 Hubbell Incorporated Power supply chain with roller bar carrier
DE19547215A1 (de) * 1995-11-14 1997-05-15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Regal für Kettenglieder einer Energieführungsk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07758D1 (de) 2003-05-08
EP1015793B1 (de) 2003-04-02
WO1999014517A1 (de) 1999-03-25
DE19740967A1 (de) 1999-04-01
CN1104572C (zh) 2003-04-02
EP1015793A1 (de) 2000-07-05
CN1270662A (zh) 2000-10-18
JP2001516860A (ja) 2001-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323B1 (ko) 접속 장치
US6637279B2 (en) Sensor assembly
KR20070012613A (ko) 뼈 분리기
JP7088844B2 (ja) ドアホルダ
KR920018366A (ko) 2개의 프로파일부를 분리 가능하게 접속하는 클램핑장치
US10907705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installation on a driveshaft
GB2278964A (en) Track-mounted lighting fixture
ITMI940451U1 (it) Assieme di vincolo a tassello con regolazione della posizione per elementi di ferramenta in particolare guide per cassetti
KR20010024103A (ko) 회전 가능한 지지 바디를 갖춘 라인들을 안내하는 안내장치 및 안내부재
US7648286B2 (en) Shutter assembly
JP2002022094A (ja) リニアユニット
US4351420A (en) Sliding guide for a floating caliper disc brake
JP2661697B2 (ja) 旋回継手
AU719642B2 (en) Tension reducer of a retractor for an automobile safety seat belt
EP1179111B1 (en) Hinge arm mounting
EP0843122B1 (en) Coupling
GB2034175A (en) Windscreen wiper connecting member
PT87129B (pt) Mecanismo para controlo remoto
EP1132289A2 (en) Guide for bicycle control element
US20060067082A1 (en) Lens fix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74864A (ko) 다목적 차량과 같은 차량의 외부 후사경을 지지하기 위한 유지 힌지 부품 및 상기 유형의 유지 힌지 부품을 포함한 다목적 차량용 외부 후사경
WO2000023664A3 (en) Headwall for drain pipe
JP4215831B2 (ja) 光導波体を別の光導波体に解離可能に接続するためのコネクタ接続装置
FR2878918A1 (fr) Dispositif de liaison autobloquante entre une tige de commande a rotule et une piece plan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au moins un tel dispositif de liaison autobloquante
JPH0868478A (ja) 特に配管用プラスチック製保持要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