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661A - 전기 신호선 케이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기 신호선 케이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661A
KR20010021661A KR1020007000219A KR20007000219A KR20010021661A KR 20010021661 A KR20010021661 A KR 20010021661A KR 1020007000219 A KR1020007000219 A KR 1020007000219A KR 20007000219 A KR20007000219 A KR 20007000219A KR 20010021661 A KR20010021661 A KR 20010021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ignal
signal cable
cable assembly
assembly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프만헤이케
Original Assignee
해리슨 로버트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리슨 로버트,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해리슨 로버트
Publication of KR2001002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66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92Flat or ribbon cables incorporated in a cable of non-flat configuration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축(15)을 중심으로 원통형으로 배열된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를 구비하는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에 관한 것이다.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는 플랫 케이블 절연체(120)내에 인입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 절연체(120)에 의해 서로 피치 거리(a)를 갖고 격리된 다수의 전기 신호 컨덕터를 갖는 다수의 플랫 케이블(45)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45)은 중심축(15)에 대해 원통형으로 브레이드되거나 원통형으로 서핑되며, 격리 실드(50, 70)에 의해 서로 격리된다. 상기 플랫 케이블 절연체(120)는 하부 절연체(120b)에 적층된 상부 절연체(120a)로부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며,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으로부터 만들어진다.

Description

전기 신호선 케이블 어셈블리{ELECTRICAL SIGNAL LINE CABLE ASSEMBLY}
전기 신호선은 예를 들면, 휴렛패커드(Hewlett-Packard Company)에 양도된 카티어(Cartier) 등에 의한 유럽 특허 출원 EP-A-0 735 544에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 출원에는 변환기 및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간의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변환기 케이블을 구비하는 초음파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출원에서 변환기 케이블의 제3 실시예에서는 껍질을 씌우지 않은 엷은 구리 조각을 포함하는 실드 컨덕터에 의해 서로 격리된 압출성형 리본 어셈블리가 이용된다. 적층된 리본 어셈블리 및 실드 컨덕터는 희망하는 길이의 변환기 케이블을 형성하기 위해 리본 재킷으로 압출성형된다.
암페놀(Amphenol Corporation)에 양도된 바스코니(Basconi)에 의한 US-A-4 847 443에는 통상적으로 서로 결합 관계로 적층된 다수의 함께 평평한 전기 신호선 세그먼트로 형성된 전기 신호선 케이블의 다른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 케이블의 각 전기 신호선 세그먼트는 접지 컨덕터로 어느 한쪽이 둘러싸여진 적어도 하나의 신호 컨덕터를 포함한다. 이 다수의 접지 컨덕터는 인접한 신호 컨덕터 간의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는 접지 평면을 효율적으로 형성한다. 이 컨덕터가 배열된 절연 재료는 개별 신호 컨덕터 위에 압출성형된다.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에 양도된 스프링거(Springer) 등에 의한 유럽 특허 EP-B-0 605 600에는 리본 케이블 및 리본 케이블을 제조하는 적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제조된 리본 케이블은 미공성 폴리프로필렌인 절연체로 둘러싸이고 고르게 간격이 형성된 다수의 탄성적인 컨덕터를 포함한다.
W.L.Gore & Associates에 양도된 크롤레이(Crawley)에 의한 미국 특허 US-A-4 847 443에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를 포함하는 절연체 내에 배열된 다수의 전기컨덕터를 구비하는 평평한 다중 컨덕터 리본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릿치(Ritchie) 등에 의한 PCT 특허 출원 WO-A-91/09406에는 적층막 간의 점착성 안전 박 조각에 의해 절연막의 대향층 간에 적층된 전기적으로 연장된 전도성 금속 박 조각이 포함된 전기 배선이 개시되어 있다.
Siemens에 양도된 독일 특허 출원 DE-A-24 442에는 절연막 간에 적층된 다수의 플랫(flat)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Palatine, Illinois의 Square D company에 양도된 클라케(Clarke)에 의한 PCT 특허 출원 WO-A-80/00389에는 프로그램 가능 컨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이 케이블은 접지 컨덕터, 로직 레벨 전압 컨덕터 및 다수의 신호 트랙을 구비한다. 이 컨덕터는 간섭 및 저전도성 손실에 높은 면역성을 주는 특정 방법으로 2층 또는 3층의 탄력적인 플라스틱 재료 상에 배열된다. 이 층은 적층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접착된다.
Phoenix,Arizona의 W.L.Gore & Associates는 주석 도금된 구리의 브레이드(braid) 실드 및 PVC 재킷 튜브 내에 밀봉된 132 소형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파트 넘버 02-07605의 원통형 케이블을 판매한다.
본 발명은 전기 신호선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에 이용된 플랫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에 적합한 다수의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서브케이블 어셈블리의 제조에 이용된 소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의 탄성 라이프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전기 신호선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게 마감질될 수 있는 전기 신호선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다루기 위해 초음파 프로브 같이 손으로 쥘 수 있는 센서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경량의 전기 신호선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탄성을 갖는 전기 신호선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셈블리 내의 개별 신호 컨덕터 간의 크로스 토크가 초음파 프로브 같은 고감도 적용에 적합할 만큼 충분히 낮은 전기 신호선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가 중심축 주위에 원통형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가 다수의 플랫 케이블을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플랫 케이블이 플랫 케이블 절연체에 의해 서로 피치 거리 내에 격리되어 봉해진 다수의 전기 신호 컨덕터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어셈블리 중심축 주위의 플랫 케이블을 원통형으로 배열함으로써 상기 어셈블리가 다양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굽어져 초음파 프로브 같은 임의의 센서 장치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또, 상기 어셈블리 내의 임의의 압력이 어떤 세로 평면에 집중되기보다는 어셈블리 전체에 분배되기 때문에 상기 플랫 케이블의 원통형 배열은 고탄력 수명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통형으로 짜여지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핑되고 감싸진다. 상기 어셈블리내의 신호 컨덕터가 자기장의 간섭으로부터 보호드되도록 하기 위해 외부 실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에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통형으로 배열되고, 이 경우 원통형 실드를 분리시킴으로써 서로가 격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이 제한된 수의 신호 컨덕터를 포함하는 상기 어셈블리 내 다수의 플랫 케이블은 어셈블리 내에 이동 자유도를 갖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의 탄성 라이프 및 취급이 개선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 원통형 실드를 격리시키는 것은 상기 서브케이블 어셈블리를 서로 실드시켜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별 신호 컨덕터의 신호에 의해 발생된 스트레이(stray) 전자기장이 추가된 서브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별 신호 컨덕터의 신호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데 이용된다. 또, 상기 원통형 실드를 격리시키는 것은 기준 임피던스 전위로 작용한다.
관형의 스페이서(spacer)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 내에 배열되어 상기 플랫 케이블이 원통형으로 배열되는 것에 대해 필터 또는 안정 장치(stabilizer)로 작용한다.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는 고형 물질, 스트랜드(strand)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빈 튜브형태이다. 상기 후자의 경우,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 내부를 통해 유체 또는 추가적인 전기 도선, 예를 들면 제어 신호 또는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 내부 원통형 실드는 관형의 스페이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 간에 배열되어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 내부를 통해 추가적인 전기 도선이 전송될 때, 전자기장의 간섭을 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기준 접지 전위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원통형 실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의 외부측의 하나와 외부 접지 실드 간에 배열되며, 제1 절연층에 의해 상기 외부 접지 실드와 격리된다. 또, 제2 절연층은 상기 외부 접지 실드 및 재킷 간에 배열된다. 이들 실드, 절연층 및 외부 재킷은 기계적인 손상 및 외부 간섭 전자기장으로부터 상기 어셈블리 내부를 보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어셈블리의 플랫 케이블은 서로 적층된 하부 절연체에 부착된 상부 절연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절연체는 접착제에 의해 하부 절연체에 접착되고, 상기 접착제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접착제군에서 선택된다. 또, 불소가 첨가된 에틸렌/프로필렌 및 퍼플루오로알콕시 같은 불소가 첨가된 공중합체, 에폭시 수지 접착제, 아미노 수지 접착제, 석탄산 수지 접착제 또는 실리콘 접착제로부터 만들어진 접착 촉진제 코팅이 층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퍼플루오로알콕시, 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절연 재료군으로 형성된다. 플루오로중합체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 절연체 및 하부 절연체가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팽창 PTFE는 매우 낮은 유전 상수를 갖고 있으며 경량이다. 이것은 상기 어셈블리의 전기적 특성이 매우 양호하도록 하며, 또한 ePTFE 유전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 어셈블리가 케이블의 취급이 용이할만큼 경량이 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 ePTFE로부터 만들어진 상기 케이블의 탄성 라이프 특성은 양호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유전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된 어셈블리는 또한 양호한 탄성 라이프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어셈블리는 압출 중합체 또는 발포 중합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중심축(15)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인 원통형은 어셈블리가 기하학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 차원이 거의 원통형인 어셈블리(10)가 포함된다. 이러한 어셈블리(10)는 외부 힘이 어셈블리(10)의 표면에 압력을 가할 때 및 타원형 단면을 갖는 어셈블리(10)를 형성하기 위해 어셈블리(10)의 일측에 "스쿼시(squash)"할 때 형성될 수 있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어셈블리(10)는 옵션으로 어셈블리(10)의 중심 코어를 형성하기 위한 관형의 스페이서(20)를 포함한다.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는 제1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에 배치되고 원통형으로 배열된 내부 원통형 실드(30)로 둘러싸여있다. 상기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의 구조는 후술될 것이다.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는 투과성 ePTFE, PTFE,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퍼션(persion)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는 고형일 수 있거나 또는 냉각 유체, 전기 제어선, 전기 전력선, 가스 등을 전송하는 빈 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는 브레이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는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 내에 배치되며, 원통형 실드(50)에 의해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와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는 제1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어떤 추가적인 서브케이블 어셈블리가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서브케이블 어셈블리가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에 대해 배치되고, 원통형 실드에 의해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와 격리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외부 원통형 실드(70)는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 중 가장 바깥쪽 것 중의 하나에 대해 배치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외부 원통형 실드(70)는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에 대해 배치된다. 제1 절연층(80)은 외부 원통형 실드(70)에 대해 배열되고, 외부 실드(90)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 실드(90)는 접지되고, 어셈블리(10) 내에서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를 전자기장의 간섭으로부터 실드한다. 제2 절연층(100)은 외부 접지 실드(90)에 대해 배열되고, 상기 어셈블리(10)는 재킷(110) 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절연층(80) 및 제2 절연층(100)은 예를 들면, PTFE, ePTFE, FEP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절연층(80) 및 제2 절연층(100)은 W.L.Gore & Associates에서 구입 가능한 소결 GORE-TEX테이프로 만들어지며, 공지된 와이어 랩핑(wire-wrapping) 기술을 이용하여 어셈블리(10)에 대해 랩핑된다.
상기 내부 원통형 실드(30) 및 격리용 원통형 실드(50)는 예를 들면, 구리, 알루미늄, 주석 도금 구리, 은 도금 구리, 니켈 도금 구리, 합금 또는 알루미늄이 입혀진 폴리에스테르같은 금속화된 조직 같은 금속 또는 금속화된 중합체로 만들어진 브레이드, 호일(foil), 서프(surfed), 직물 또는 와이어 실드이다. 이후, 어떤 내부 원통형 실드(30) 및 격리용 원통형 실드(50)도 존재하지 않는 본 발명의 추후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외부 접지 실드(90)는 예를 들면, 구리, 알루미늄, 주석 도금 구리, 은 도금 구리, 니켈 도금 구리, 합금 또는 알루미늄이 입혀진 폴리에스테르같은 금속화된 조직 같은 금속 또는 금속화된 중합체로 만들어진 브레이드, 호일 또는 와이어 실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접지 실드(90)는 약 35°브레이딩 각을 갖는 구리 브레이드로 만들어진다. 다른 적용시 상기 외부 접지 실드(9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재킷(110)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펜텐같은 실리콘 또는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다. 즉, 불소가 첨가된 에틸렌/프로필렌(FEP) 같은 불소가 첨가된 중합체 ; 퍼플루오로(알콕시)알킬렌, 예를 들면 TFE 및 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PFA)의 공중합체 ; 폴리우레탄(PU),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실리콘,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팽창 PTF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재킷(10)은 PVC로 만들어졌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재킷은 실리콘으로 보강된 sPTFE로 만들어진다.
도 1a의 정밀 검사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및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함께 브레이드된 다수의 플랫 케이블(45)로 만들어진다. 브레이딩 기술은 공지되어 있고, 적합한 장치는 스페인 맨래자(Manresa)의 Ratera, 독일 앨팰드[Alfeld(Leine)]의 SPIRKA Maschinenbau GmbH, 미국 신킹 스프링의 Magnatech International,Inc 및 독일 우퍼털(Wuppertal)의 Steeger GmbH & Co로부터 이용 가능하다.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및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는 각각 두 개의 층 "42a, 42b" 및 "62a, 62b"으로 구성된다. 상기 두 개의 층 "42a, 42b" 및 "62a, 62b" 각각은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 주위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랩핑 및 서핑된 하나 또는 다수의 플랫 케이블(45)로 구성된다. 대향 방향으로 플랫 케이블(45)을 서핑하는 것은 다른 플랫 케이블(45)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 간의 크로스 토크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층(42a, 62a) 중 제1 층이 제1 방향으로 래핑되고, 상기 층(42b, 62b) 중 제2 층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으로 래핑된다. 래핑 기술은 공지되어 있고, 적당한 장치가 영국 래체스터의 Ridgeway & Co, 덴마크의 로블론(Roblon), 프랑스의 이노케이블(Innocable) 또는 독일의 스토버거(Stoberger)로부터 이용 가능하다.
도 2는 플랫 케이블(45)의 단면도로서, 상기 플랫 케이블(45)은 평행한 평면에 배열된 평행인 면을 따라 배열되고, 상부 절연층(120a) 및 하부 절연층 (120b)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예에서, 16개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는 0.35㎜의 피치 거리를 두고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상이한 피치 거리를 갖는 다수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연층(120a) 및 하부 절연층(120b)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적층될 것이다. 상기 플랫 케이블(45)이 본 예에서는 적층되는 것처럼 도시되지만,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FEP계 또는 폴리에스테르층 내에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 포말화되거나 또는 고형 폴리에틸렌이 이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 절연층(120a) 및 하부 절연층 (120b)은 폴리에스테르 접착제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같은 열가소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함께 고착될 수 있다.
상기 개별 신호 컨덕터(130)는 구리, 니켈 도금 구리, 주석 도금 구리, 은 도금 구리, 주석 도금 합금, 은 도금 합금 또는 구리 합금같은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개별 신호 컨덕터(130)는 래커(lacquer)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개별 신호 컨덕터는 라운드 합금 와이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평한 컨덕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개별 신호 컨덕터(130)의 수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개별 신호 컨덕터(130)의 축은 0,1 내지 1㎜의 범위를 갖는 제1 피치 거리로 격리되어 있다. 상기 상부 절연층(120a) 및 하부 절연층(120b)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퍼플루오로알콕시, 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같은 절연 유전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US-A-3 953 556, US-A-4 187 390 또는 US-A-4 443 657에 설명된 것과 같은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부 절연층(120a) 및 하부 절연층(120b)이 팽창 PTFE로 만들어지는 실시예에 대한 플랫 케이블(45)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방법은 본질적으로 고어(Gore)의 US-A-3082292에 개시된 바와 동일하다. 다수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 상기 개별 신호 컨덕터(130) 위에 위치한 상부 절연체(120a) 및 상기 개별 신호 컨덕터(130) 아래에 위치한 하부 절연체(120b)가 상부 절연체(120a) 및 하부 절연체(120b) 간의 결합을 달성하기 위한 적합한 적층 온도, 예를 들면 327℃ 내지 410℃에서 두 개의 가열된 역 회전 압연 롤러(400a, 400b)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상기 플랫 케이블(45)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압연 롤러(400a)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정열된 상부 주변 리브(420a)에 의해 각각 격리된 다수의 상부 주변 홈(410a)이 구비된 상부 압연 롤러(400a)가 제공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압연 롤러(400b)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정열된 하부 주변 리브(420b)에 의해 각각 격리된 다수의 하부 주변 홈(410b)이 구비된 하부 압연 롤러(400b)가 제공된다. 상기 인접한 상부 주변 리브(420a)와 함께 상기 상부 압연 롤러(400a)의 각 상부 주변 홈(410a)은 상기 하부 압연 롤러(400b)의 인접한 하부 주변 리브(420b)를 구비한 하부 주변 홈(410b)의 홈과 정열되어 전기 신호 컨덕터(130) 중의 하나를 위한 통로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두 개의 압연 롤러(400a, 400b) 및 주변 홈(410a, 410b) 간의 거리(a)는 단일 컨덕터(410), 상부 절연체(120a) 및 하부 절연체(120b)가 상부 주변 홈(410a) 중의 하나 및 하부 주변 홈(410b) 중의 하나로 구성된 쌍 간을 끊임없이 통과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들의 치수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상부 주변 리브(420a) 및 하부 주변 리브(420b)는 서로 매우 좁게 격리되어 상부 절연체(120a) 및 하부 절연체(120b)가 이 위치에서 플랫 케이블(45)의 중간 영역(440)을 형성하도록 공고히 가압된다.
상기 개별 신호 컨덕터(130)에 대한 하부 절연체(120b)와 상부 절연체(120a)의 접착 및 플랫 케이블(45)내의 서로에 대한 접착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45)은 자신이 가열되는 소결 장치로 인도되어 플랫 케이블(45)의 중간 영역(140)에서 공고한 결합을 달성하게 된다. PTFE로 만들어진 상부 절연체(120a) 및 하부 절연체(120b)를 이용하면, 327℃ 내지 410℃ 범위의 소결 온가가 이루어진다. 도 4에는 식염조를 포함하는 소결 오븐(150) 형태의 소결 장치의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간단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45)은 소결 오븐(150)을 통해 끊임없이 통과된다.
탄성 라이프 측정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테스트될 1미터의 긴 샘플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가 이동 가능 연결 장치(520)에 부착되고 500g의 중량(540)에 매달린다. 상기 이동 가능 연결 장치(520)는 도 5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90°의 각도로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의 30㎝ 길이의 제1 앤드(end : 525)를 진동할 수 있다. 상기 휨 반경은 50㎜였다. 상기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의 제1 앤드(end : 525)가 진동, 즉 0에서부터 직립 위치인 90°, 반대의 제로 위치, -90°위치 및 이후 반대의 제로 위치로 진동한 사이클 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사이클 카운터(530)가 이용된다. 정지대(510a, 510b)는 상기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의 다른 쪽 끝부분이 진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내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의 옴 저항 측정이 하나의 플랫 케이블(45) 내 16개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서로 병렬로 접속시킴으로써 수행되었다. 각 플랫 케이블(45)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었다. 각각이 16개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갖는 8개의 플랫 케이블(45)을 포함하는 상기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의 총 옴 저항은 사이클 측정 초기에 측정되었고, 옴 저항이 10%만큼 증가될 때까지 사이클 수의 측정이이루어졌다. 최대 180000 사이클이 측정되었지만, 이후 측정의 마지막에 얻어진 결과를 플로팅(plotting)함으로써 이루어졌고, 10%만큼의 옴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로 되는 사이클 수는 그래프 상의 커브를 플로팅함으로써 계산되었다. 상기 측정은 22±2℃에서 이루어졌으며, 또 시험의 상세한 설명은 German National Standard DIN 0472 603 test F에 개시되어 있다.
제 1실시예
본 실시예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었다.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는 폴리우레탄 튜브로 만들어지며, 4.0㎜의 외부 직경을 갖는다. 상기 내부 원통형 실드(30 : 외부 직경 4.4㎜), 상기 격리용 원통형 실드(50 : 외부 직경 6.0㎜) 및 외부 원통형 실드(70 : 외부 직경 7.6㎜)는 KASSEL이라는 상표명으로 독일 브레맨(Bremen)의 Statex company에 의해 제공된 구리 도금 폴리아미드 직물로 만들어졌다. 제1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 외부 직경 5.6㎜) 및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 : 외부 직경 7.2㎜)는 켈리포니아 어비네(irvine)의 Fhelps Dodge에서 구입 가능하고, 1.3의 유전 상수를 갖는 ePTFE 간에 0.35㎜의 피치 거리를 갖는 PD 135 합금으로 만들어진 AWG 4007의 16개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플랫 케이블(45)로 만들어졌다. 이들은 20 내지 22°의 브레이딩 각으로 브레이드되었다. 제1 절연체(80 : 외부 직경 7.7㎜) 및 제2 절연체(100 : 외부 직경 8.2㎜)는 W.L.Gore & Associates로부터 이용 가능한 ePTFE GORE-TEX 바이더로 구성되었다. 상기 외부 실드(90)는 10picks/인치(2.54㎝)에서 8개의 앤드를 갖는 36 보빈을 이용하여 대략 40°의 브레이딩 각으로 구성된 브레이드 베어 합금 와이어(braided bare alloy wire)로 만들어졌다. 상기 재킷(110)은 PVC로 만들어졌으며, 10.0㎜의 외부 직경을 갖고 있다.
전기 신호 케이블 어레이에 수행된 탄성 라이프는 시험은 옴 저항이 단 6000 및 60000 사이클 후 10%만큼 증가되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극도로 가파른 브레이딩 각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었다.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는 W.L.Gore & Associates로부터 구입 가능한 eFTFE 조인트 밀폐제 필터(JSF) 튜브로 구성되며, 4.0㎜의 외부 직경을 갖는다. 상기 내부 원통형 실드(30 : 외부 직경 4.4㎜), 상기 격리용 원통형 실드(50 : 외부 직경 6.0㎜) 및 외부 원통형 실드(70 : 외부 직경 7.6㎜)는 KASSEL이라는 상표명으로 독일 브레맨의 Statex company에 의해 제공된 구리 도금 폴리아미드 직물로 만들어졌다. 제1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 외부 직경 5.6㎜) 및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 : 외부 직경 7.2㎜)는 1.3의 유전 상수를 갖는 ePTFE 간에 적층된 0.35㎜의 피치 거리를 갖는 PD 135 합금으로 만들어진 AWG 4207의 32개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플랫 케이블(45)로 만들어졌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의 제1 층(42a, 62a)는 플랫 케이블(45) 중의 하나로부터 형성되었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의 제2 층(42b, 62b)는 플랫 케이블(45)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형성되었다. 이들은 40°의 래핑각에서 래핑되었다. 제1 절연체(80 : 외부 직경 7.7㎜) 및 제2 절연체(100 : 외부 직경 8.2㎜)는 W.L.Gore & Associates로부터 이용가능한 ePTFE GORE-TEX 바이더로 구성되었다. 상기 외부 실드(90)는 40°의 브레이딩 각을 갖는 브레이드 베어 합금 와이어로 만들어졌다. 상기 재킷(110)은 아리조나 포닉스(Phoenix)의 W.L.Gore & Associates로부터 구입 가능한 상표명 SILKORE의 실리콘 보강 ePTFE로 만들어졌으며, 10.5㎜의 외부 직경을 갖고 있다.
전기 신호 케이블 어레이에 수행된 탄성 라이프는 시험은 옴 저항이 25000 및 110000 사이클 후 10%만큼 증가되었음을 보여주었으며, 상기 개별 신호 컨덕터(130) 및 외부 실드(90) 중 하나 간의 커패시턴스는 57㎊/m였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었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제1 서브케이블 어셈블리와 동일한 제1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를 구비하고, 외부 직경은 5.6㎜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되고 추가적인 원통형 격리 실드(50')에 의개 격리된 AWG 4207의 48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45)을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 60")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의 첫번째의 외부 직경은 7.4㎜이며, 상기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의 두번째의 외부 직경은 9.0㎜이다. 상기 추가적인 원통형 격리 실드(50')의 외부 직경은 7.8㎜이다.
상기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 60")을 적용한 결과, 상기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의 어떤 외부 층의 외부 직경은 다음과 같이 변화된다. 상기 외부 원통형 실드(70)는 9.4㎜의 외부 직경을 갖고, 제1 절연체(80)는 9.5㎜의 외부 직경을 갖고, 상기 제2 절연체(100)는 9.9㎜의 외부 직경을 갖는 한편, 상기 외부 실드(90)는 9.9㎜의 외부 직경을 갖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재킷(110)은 11.4㎜의 외부 직경을 갖게 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256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구비한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가 형성된다.
제4 실시예
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었다.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는 W.L.Gore & Associates로부터 구입 가능한 eFTFE 조인트 밀폐제 필터(JSF50)로 구성되며, 4.0㎜의 외부 직경을 갖는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내부 원통형 실드(30), 격리용 원통형 실드(50) 및 외부 원통형 실드(70)가 없다. 제1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및 두 개의 제2 서브케이블 어셈블리(60', 60")는 1.3의 유전 상수를 갖는 ePTFE 간에 적층된 0.35㎜의 피치 거리를 갖는 PD 135 합금으로 만들어진 AWG 4207의 PD 135 합금으로 만들어진 16개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플랫 케이블(45)로 만들어졌다. 이들은 대략 40°의 브레이딩 각으로 브레이드되었다. 상기 서브케이블 어셈블리 40', 60', 60"는 각각 5.2㎜, 6.4㎜ 및 7.6㎜의 외부 직경을 갖고 있다. 상기 외부 실드(90)는 8.0㎜의 외부 직경을 갖고 있고, Fhelps Dodge in Irvine,California로부터 구입 가능한 AWG 4001의 브레이드된 PD 135 합금 와이어로 만들어졌으며, 대략 35°의 브레이딩 각을 갖는 10picks/인치(2.54㎝)에서 8개의 앤드를 갖는 36 보빈을 이용하여 브레이드되었다. 상기 재킷(110)은 아리조나 포닉스의 W.L.Gore & Associates에 의해 SILKORE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벽 두께가 대략 1㎜인 보강 ePTFE로 만들어졌고, 10.5㎜의 외부 직경을 갖고 있다. 상기 서브케이블 어셈블리 40', 60', 60"는 외부 실드와 함께 재킷(110) 내로 끌어넣어진 코어를 형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개별 신호 컨덕터(130)간의 접지는 접지 컨덕터(130)로서 모든 제2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이용함으로써 얻어지게 된다.
전기 신호 케이블 어레이에 수행된 탄성 라이프는 시험은 옴 저항이 탄성 라이프 시험이 중지된 포인트에서 180000 사이클 후 거의 10%보다 적게 증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제5 실시예
본 실시예는 PD135 합금으로부터 만들어진 AWG4207(직경 0.07㎜)의 개별 신호 컨덕터로부터 만들어진 플랫 케이블(45)이 20°의 각에서 브레이드되고, 관형의 스페이서(20)가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6 실시예
본 실시예는 플랫 케이블(45)이 20°의 각에서 브레이드되고, PD135 합금으로부터 만들어진 AWG4007(직경 0.08㎜)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가 이용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전기 신호 케이블 어레이(10)에 수행된 탄성 라이프는 시험은 옴 저항이 탄성 라이프 시험이 중지된 포인트에서 240000 사이클 후 거의 10%보다 적게 증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제7 실시예
본 실시예는 플랫 케이블(45)이 브레이드 대신 20°의 각에서 서핑되거나 또는 래핑되었고, PD135 합금으로부터 만들어진 AWG4007(직경 0.08㎜)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가 이용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폴리우레탄 튜브가 관형의 스페이서(20)로서 이용되었다.
전기 신호 케이블 어레이(10)에 수행된 탄성 라이프는 시험은 옴 저항이 탄성 라이프 시험이 중지된 포인트에서 240000 사이클 후 거의 10%보다 적게 증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제8 실시예
본 실시예는 PD135 합금으로부터 만들어진 AWG4207(직경 0.07㎜)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가 이용되었고, 관형의 스페이서(20)로서 폴리우레탄 튜브가 이용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전기 신호 케이블 어레이에 수행된 탄성 라이프는 시험은 옴 저항이 탄성 라이프 시험이 중지된 포인트에서 180000 사이클 후 거의 10%보다 적게 증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제9 실시예
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었다.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는 W.L.Gore & Associates로부터 구입 가능한 eFTFE 조인트 밀폐제 필터(JSF)로 구성되었다. 세1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는 1.3의 유전 상수를 갖는 ePTFE 간에 적층된 0.35㎜의 피치 거리를 갖는 PD 135 합금으로 만들어진 AWG 4007의 16개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플랫 케이블(45), 표시된 L1, L2, L3 및 L4로 구성되었다. 상기 외부 원통형 실드(70)는 독일 브레맨의 Statex company로부터 구입 가능한 KASSEL 유형의 호일로 만들어졌다. 상기 제1 절연층(80)은 독일 푸츠브런(Putzbrunn)의 W.L.Gore & Associates로부터 구입 가능한 ePTFE GORE-TEX 바인더로 만들어졌다.
제10 실시예
본 실시예는 폴리우레탄 튜브가 관형의 스페이서(20)로서 이용되었고, 재킷이 PVC로 구성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전기 신호 케이블 어레이에 수행된 탄성 라이프는 시험은 옴 저항이 탄성 라이프 시험이 중지된 포인트에서 180000 사이클 후 거의 10%보다 적게 증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제11 실시예
본 실시예는 개별 신호 컨덕터가 AWG 4007의 와이어로 구성되었고, 재킷이 PVC로 구성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전기 신호 케이블 어레이에 수행된 탄성 라이프는 시험은 옴 저항이 탄성 라이프 시험이 중지된 포인트에서 180000 사이클 후 거의 10%보다 적게 증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상이한 유전 재료를 이용한 추가적인 실시예
상술되었지만 상이한 상수를 갖는 상이한 유전 재료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실시예가 수행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치 거리가 0.35㎜일 때 상부 절연층(120a) 및 하부 절연층(120b)의 상이한 두께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아래의 표 1은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의 임피던스가 80Ω이 되도록 설계된 경우를 나타낸다. 표 2는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의 임피던스가 50Ω이 되도록 설계된 경우를 나타낸다.
유전 상수 유전 재료 AWG 사이즈 컨덕터130 절연층 120a, 120b 중하나의 두께(mm)
1.4 ePTFE, foamed PE,foamed FEP/PFA 4207 0.1
2.1 FEP,PFA,PE 42 0.16
3.5 Polyester 42 0.3
1.4 ePTFE, foamed PE,foamed FEP/PFA 4007 0.122
2.1 FEP,PFA,PE 40 0.193
3.5 Polyester 40 0.363
1.4 ePTFE, foamed PE,foamed FEP/PFA 3807 0.1255
2.1 FEP,PFA,PE 38 0.24
3.5 Polyester 38 0.44
1.4 ePTFE, foamed PE,foamed FEP/PFA 4407 0.076
2.1 FEP,PFA,PE 44 0.116
3.5 Polyester 44 0.22
유전 상수 유전 재료 AWG 사이즈 컨덕터130 절연층 120a, 120b 중하나의 두께(mm)
1.4 ePTFE, foamed PE,foamed FEP/PFA 4207 0.05
2.1 FEP,PFA,PE 42 0.066
3.5 Polyester 42 0.11
1.4 ePTFE, foamed PE,foamed FEP/PFA 4007 0.053
2.1 FEP,PFA,PE 40 0.078
3.5 Polyester 40 0.128
1.4 ePTFE, foamed PE,foamed FEP/PFA 3807 0.07
2.1 FEP,PFA,PE 38 0.1
3.5 Polyester 38 0.165
1.4 ePTFE, foamed PE,foamed FEP/PFA 4407 0.033
2.1 44 0.048
3.5 Polyester 44 0.08
실험 결과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의 임피던스 및 커패시턴스가 측정되었다. 신호를 전송하는 개별 신호 컨덕터(130) 및 함께 결합된 격리용 원통형 실드(30, 50, 70) 간의 감쇠가 측정되었고, 또한 신호를 전송하는 개별 신호 컨덕터(130) 및 접지 컨덕터로 작용하는 개별 신호 컨덕터(130) 간의 감쇠도 측정되었다.
실시예 1 2 4 5 8 9
임피던스(Ω) 97 91 125 100 93 140
커패시턴스(㎊/m) 52.4 57 38 46 59 39
감쇠(dB/m)신호-실드 -0.73 -1 -0.87 -0.81 -0.73
감쇠(dB/m) 접지-실드 -20.3 0 -0.5 -0.57
크로스 토크(dB/m)
또한, 크로스 토크도 측정되었고 아래의 표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에서 S는 신호를 전송하는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나타내고, G는 동일한 플랫 케이블(45)에서 접지 컨덕터로 작용하는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나타낸다. x는 측정 장치 상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격리시키는 개별 신호 컨덕터(130)를 나타낸다. 표에서 마지막 6가지 입력은 상이한 층의 플랫 케이블(45)에서 개별 신호 컨덕터(130) 간에 수행된 크로스 토크 측정값이다. 이들 입력 중 첫번째 세 개는격리용 원통형 실드가 접지 전위인 상이한 플랫 케이블 층(L1-L2;L1-L3;L1-L4)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 간의 크로스 토크를 나타낸다. 이들 입력 중 마지막 세 개는몇 개의 개별 신호 컨덕터(130)가 접지 컨덕터로 작용한 상이한 플랫 케이블 층(L1-L2;L1-L3;L1-L4)의 개별 컨덕터(130) 간의 크로스 토크를 나타낸다. 제1, 2, 5, 8 및 9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격리용 원통형 실드는 접지 전위였다.
측정 포인트 실시예 번호
1 2 4 5 8 9
S-S -20.3 -20.4 -19.9 -20.5 -16.8
SxS -24.5 -19.2
SxxS -26.4 -21.6
SxxxS -26.8 -23.1
GSSG -16.9 -22.2 -19.7
GSGS -38.6 -32 -35.4
SS:L1-L2 -51.4 -53.5 -46.6 -51.8 -41.2
SS:L1-L3 -48.8 -45.6 -51.1 -43.6 -36.1
SS:L1-L4 -49.5 -52
SS:L1-L2 -50.1 -42.2 -52.7 -53.6 -48
SS:L1-L3 -51.5 -42 -42.7
SS:L1-L4 -43 -50

Claims (24)

  1.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에 있어서,
    중심축(15)을 중심으로 원통형으로 배열되고, 다수의 플랫 케이블(45)을 각각 갖는 다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랫 케이블(45)은 플랫 케이블 절연체(120)내에 인입되고, 상기 플랫 케이블 절연체(120)에 의해 서로 피치 거리(a)만큼 격리된 다수의 전기 신호 컨덕터(130)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는 격리용 원통형 실드(50, 70)에 의해 서로 격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45)은 중심축(15)에 대해 원통형으로 브레이드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45)은 중심축(15)에 대해 원통형으로 서핑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에 대해 외부 실드(90)가 배열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의 내부에는 관형의 스페이서(20)가 배열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는 고형 재료로 구성되는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는 빈 튜브 형태인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는 스트랜드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의 스페이서(2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 간에 내부 원통형 실드(30)가 배열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 내에 내부 원통형 실드(30)가 배열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케이블 어셈블리(40, 60) 중 외부 어셈블리 및 상기 외부 실드(90) 간에 외부 원통형 실드(70)가 배열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원통형 실드(70)는 제1 절연층(80)에 의해 상기 접지 실드(90)로부터 격리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지 실드(90) 및 재킷(110) 간에 제2 절연층(100)이 배열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 절연체(120)는 하부 절연체(120b)에 부착된 상부 절연체(120a)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 절연체(120)는 하부 절연체(120b)에 적층된 상부 절연체(120a)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 절연체(120)는 접착제에 의해 하부 절연체(120b)에 접착된 상부 절연체(120a)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또는 불소가 첨가된 에틸레/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접착제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 절연체(120)는 접착 촉진제에 의해 하부 절연체(120b)에 부착된 상부 절연체(120a)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촉진제는 불소가 첨가된 에틸레/프로필렌 및 퍼플루오로알콕시를 포함하는 불소가 첨가된 공중합체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연체(120a) 및 하부 절연체(120b)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콕시, 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절연 재료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연체(120a) 및 하부 절연체(120b)는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 절연체(120)는 압출성형된 중합체로 구성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 절연체(120)는 포말화된 중합체로 구성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24.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10)의 외부에는 재킷(110)이 배열된 것인 전기 신호 케이블 어셈블리.
KR1020007000219A 1998-05-11 1999-05-10 전기 신호선 케이블 어셈블리 KR200100216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108529.3 1998-05-11
EP98108529A EP0962945A1 (en) 1998-05-11 1998-05-11 Electrical signal line cable assembly
PCT/EP1999/003180 WO1999059164A1 (en) 1998-05-11 1999-05-10 Electrical signal line cabl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661A true KR20010021661A (ko) 2001-03-15

Family

ID=82319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219A KR20010021661A (ko) 1998-05-11 1999-05-10 전기 신호선 케이블 어셈블리
KR1020007000220A KR20010021662A (ko) 1998-05-11 1999-05-10 전기 신호선 케이블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220A KR20010021662A (ko) 1998-05-11 1999-05-10 전기 신호선 케이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4) EP0962945A1 (ko)
JP (4) JP2002515632A (ko)
KR (2) KR20010021661A (ko)
CN (2) CN1266531A (ko)
AU (4) AU3828199A (ko)
WO (4) WO1999059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1061A1 (en) * 1997-09-19 2006-06-22 Helmut Seigerschmidt Flat cable tubing
EP1246207A1 (en) * 2001-03-29 2002-10-02 W.L. GORE & ASSOCIATES GmbH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cable assembly therefor
US6713673B2 (en) * 2002-06-27 2004-03-30 Capativa Tech, Inc. Structure of speaker signal line
CN100362598C (zh) * 2004-09-08 2008-01-16 张淑卿 音频信号传导线
WO2008100513A1 (en) * 2007-02-12 2008-08-21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Cabl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DE102007050402B3 (de) * 2007-10-19 2009-06-04 Geo. Gleistein & Sohn Gmbh Seil mit darin aufgenommenem elektrischen Leiter
JP5351642B2 (ja) * 2009-02-27 2013-11-27 日立電線株式会社 ケーブル
US20110288388A1 (en) * 2009-11-20 2011-11-24 Medtronic Minimed, Inc. Multi-conductor lead configurations useful with medic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8866017B2 (en) 2011-03-04 2014-10-21 Junkosha, Inc. Transmission cable
TW201401300A (zh) * 2012-06-26 2014-01-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多芯纜線
CH707152A8 (de) 2012-10-26 2014-07-15 Huber+Suhner Ag Mikrowellenkabel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und Anwendung eines solchen Mikrowellenkabels.
EP2932509B1 (en) * 2012-12-17 2016-1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ame retardant twin axial cable
CN103549976A (zh) * 2013-11-11 2014-02-05 深圳市开立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探头、医用内镜及其加工方法
JP5779811B2 (ja) * 2013-11-20 2015-09-16 株式会社潤工社 複合ケーブル
KR101513531B1 (ko) * 2014-02-04 2015-04-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압출선재 및 그 제조방법
JP7055596B2 (ja) * 2017-04-10 2022-04-18 日本発條株式会社 導電性接触子ホルダおよび導電性接触子ユニット
US20200234854A1 (en) * 2019-01-22 2020-07-23 Kyzen Corporation Cabling apparatus for high resistance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23653A1 (de) * 1975-05-28 1976-12-09 Licentia Gmbh Kabel
DE2709129A1 (de) * 1977-02-28 1978-08-31 Siemens Ag Elektrische flachbandleitung mit verseilten adern
DE3141636A1 (de) * 1981-10-16 1983-05-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Konfektionierbare schaltleitung mit einer vielzahl von schaltdraehten
DE3209579A1 (de) * 1982-03-16 1983-09-29 W. L. Gore & Co. GmbH, 8835 Pleinfeld Rundka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140599A (en) 1999-11-29
WO1999059162A1 (en) 1999-11-18
JP2002515632A (ja) 2002-05-28
EP0995200A1 (en) 2000-04-26
EP0995201A1 (en) 2000-04-26
WO1999059165A1 (en) 1999-11-18
CN1266530A (zh) 2000-09-13
AU4039599A (en) 1999-11-29
CN1266531A (zh) 2000-09-13
JP2002515630A (ja) 2002-05-28
KR20010021662A (ko) 2001-03-15
JP2002515629A (ja) 2002-05-28
WO1999059163A1 (en) 1999-11-18
JP2002515631A (ja) 2002-05-28
WO1999059164A1 (en) 1999-11-18
EP0995202A1 (en) 2000-04-26
AU4259199A (en) 1999-11-29
AU3828199A (en) 1999-11-29
EP0962945A1 (en) 1999-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1661A (ko) 전기 신호선 케이블 어셈블리
KR101614579B1 (ko) 다심 케이블
JP4159731B2 (ja) 電気ケーブル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9837189B2 (en) Nested shielded ribbon cables
US5132491A (en) Shielded jacketed coaxial cable
US5025115A (en) Insulated power cables
KR20080014901A (ko)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EP0518968A1 (en) ELECTRIC CABLE WITH CONDUCTIVE SHEATH.
EP0961298B1 (en) Electrical signal bundle
EP1122569A1 (en) Quad cable
JP3677157B2 (ja) 電気信号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US6211459B1 (en) Shielded bulk cable
US20050016753A1 (en) Flat cable tubing
EP1246207A1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cable assembly therefor
WO1998038651A1 (en)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lines made by a laminations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