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901A -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901A
KR20080014901A KR1020077030739A KR20077030739A KR20080014901A KR 20080014901 A KR20080014901 A KR 20080014901A KR 1020077030739 A KR1020077030739 A KR 1020077030739A KR 20077030739 A KR20077030739 A KR 20077030739A KR 20080014901 A KR20080014901 A KR 20080014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cable
around
wrapp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머트 세이거쉬미트
아드리안 웨치터
볼커 그로나우어
Original Assignee
베.엘. 고레 운트 어쏘시에이트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엘. 고레 운트 어쏘시에이트 게엠바하 filed Critical 베.엘. 고레 운트 어쏘시에이트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8001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92Flat or ribbon cables incorporated in a cable of non-fla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01B11/10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 H01B11/1091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with screen grounding means, e.g. dra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적층된 복수의 서브케이블 조립체(20, 120, 220, 320, 620, 720)을 갖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 710)를 개시한다. 각각의 서브케이블 조립체(20, 120, 220, 320, 620, 720)는 절연체(40a, 40b) 내에 둘러싸이며, 제 1 피치 거리(a)만큼 서로 분리된 복수의 동평면의 전기 신호 전도체(30, 130, 230, 330, 730)을 구비하며, 제 1 피치 거리(a)는 0.1mm 내지 10mm 사이이다.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 710)의 특징적인 임피던스는 50 O 내지 200 O의 범위에 있다.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 7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절연체(40a, 340a, 640a, 740a, 40b, 640b, 740b)는 하부 절연체(40b, 340b, 640b, 740b)에 적층된 상부 절연체(40a, 340a, 640a, 740a)를 포함하며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로 제조된다.

Description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FLAT CABLE TUBING}
본 발명은 전기신호 라인 케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휴렛 팩카드 컴퍼니(Hewlett-Packard Company)에 양도된 유럽 특허 출원 EP-A-0 735 544(Cartier 등)호로부터 전기신호 라인이 공지되어 있다. 본 특허 출원은 변환기와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사이의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변환기 케이블을 갖는 초음파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출원에서의 변환기 케이블의 제 3 실시예는 얇은 스트립의 나동선(bare copper)를 포함하는 차폐 전도체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3개 층의 압출 리본형 조립체를 이용한다. 리본형 조립체와 차폐 전도체의 적층은 변환기 케이블의 소정 길이를 형성하도록 리본형 재킷으로 압출된다.
암페놀 코포레이션(Amphenol Corporation)에 양도된 US-A-4 847 443호는 맞물린 관계로 함께 적층된 복수의 대체로 편평한 전기신호 라인 세그먼트로부터 형성된 전기신호 라인 케이블의 또다른 예를 교시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케이블의 전기신호 라인 세그먼트 각각은 접지 전도체에 의해 양측부 상에 둘러싸인 적 어도 하나의 신호 전도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접지 전도체는 인접한 신호 전도체 사이의 누화(cross-talk)를 방해하는 접지면을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전도체를 배치하는 절연 물질은 별개의 신호 전도체 위에 압출된다.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쳐링 컴퍼니(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에 양도된 유럽 특허 EP-B-0 605 600(Springer 등)은 리본형 케이블 및 이를 제조하는 적층 방법을 교시한다. 제조된 리본형 케이블은 미소공성의 폴리프로필렌인 절연체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균일하게 이격된 가요성의 전도체를 포함한다.
W.L.Gore & Associate에 양도된 미국 특허 US-A-4 847 443호(Crawley 등)는 ePTFE(expaned polytetrafluoroethylene)로 이루어진 절연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도체를 갖는 멀티 전도체 플랫 리본형 케이블을 교시한다.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A-91/09406호(Ritchie 등)는 적층된 막 사이에 포일 스트립을 고정하는 접착제에 의해 대향하는 층의 절연막 사이에 적층된 길다란 전기 전도성 금속 포일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전기 배선을 교시한다.
지멘스(Siemens)에 양도된 독일 특허 출원 DE-A-24 24 442호는 절연막 사이에 적층된 복수의 편평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를 교시한다.
일리노이즈주 팔라틴의 스퀘어 디 컴퍼니(Square D Company)에 양도된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A-80/00389호(Clarke)는 프로그램가능한 제어기를 사용하는 입력/출력 데이터 케이블을 교시한다. 이 케이블은 접지 전도체, 로직 레벨 전압 전도체 및 복수의 신호 트랙을 갖는다. 전도체는 방해에 대한 높은 면역력 및 낮은 유도 손실을 제공하도록 특정 방식으로 2개 또는 3개의 층의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 상에 배치된다. 이 층들은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서로 접착된다.
델라웨어주 네와크의 더블유 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 인코포레이션(W.L.Gore & Associate Inc.)는 주석 도금된 구리의 편복된 차폐체 및 PVC의 재킷 튜브 내에 봉입된 132 소형의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부품 번호 02-07605로 둥근 케이블을 판매한다.
당해기술에서는 경량이고 적절한 성능 특성을 제공하며 종단의 복잡성을 저감하는 복수의 리본형 케이블을 갖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를 개발할 필요성이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신호 케이블 조립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임피던스 및 낮은 전기 용량을 갖는 복수의 리본형 케이블을 갖는 신호 케이블 조립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케이블 조립체의 종단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동축 케이블의 유사한 조립체에 비해 경량인 복수의 리본형 케이블을 갖는 신호 케이블 조립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원통형 스페이서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동심형 어레이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리본형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된다. 제 1 동심형 어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또다른 리본형 케이블 둘레에 배치된 분리식 동심 요소는, 분리식 동심 요소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또다른 동심형 어레이 내에 배치된다.
분리식 동심 요소는 유전 스페이서, 전도 평면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역할은 다양하다. 이것은 신호 격리를 개선하고 동심형 어레이 사이의 누화를 저감하는데 이용된다. 유전 스페이서는 임피던스를 증대시켜서 전기 용량을 저감하는데 이용된다. 전도 평면은 상이한 동심형 어레이 내의 리본 케이블 사이의 누화를 더욱 감소하도록 접지 평면으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본형 케이블 내의 모든 전도체가 AC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분리식 동심 요소로서 리본 케이블을 사용한다. 본 구성은 케이블을 굽히는 동안 분리식 동심 요소와 리본 케이블 사이의 마찰정전적 전하의 발생이 제거된다는 점에서 금속 접지면의 사용에 비해 이점을 갖는다. 공지된 바와 같이, 마찰정전적 전하는 유전 절연체에 대해 전도성 금속 물질을 문지를 때 발생된다. 마찰정전적 전하는 조립체 상에서 이송되는 신호의 품질을 강등시키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내의 신호 소음을 발생시킨다. 분리식 동심 요소로서 리본형 케이블을 사용하면, 동심형 어레이 중 하나 내의 리본형 케이블의 동일 또는 유사한 유전 절연물질에 대해 분리식 동심 요소라 문지르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본 실시예에서 발생된 마찰정전적 전하가 없으므로,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의 신호 이송 능력이 강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심형 어레이의 적어도 몇 개의 리본형 케이블은 복수의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이들 중 몇몇은 AC 접지 전위에 접속가능하고 다른 것은 신호에 접속가능하다. 신호 이송 전도체와 동일한 리본형 케이블 내의 AC 접지 전위에 적어도 몇 개의 전도체를 연결하는 것은 AC 접지 이송 전도체가 서로로부터 신호 이송 전도체를 차폐함으로써, 동일한 리본형 케이블 내의 신호 이송 전도체 사이의 누화를 저감하는 것이다. 용어 "AC 접지"는 교류 신호를 이송하는 게 아니라, AC 접지 이송 전도체가 0볼트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아닐 수 있는 불변의 전압 레벨이다.
몇 가지의 동심형 어레이에서, 3개 이상의 리본 케이블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것은 서로에 대해 동일한 동심형 어레이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케이블의 가요성에 기여하는 더 좁은 리본형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의 가요성을 개선한다.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내의 리본형 케이블은 원통형 스페이서 둘레에 그리고 제 1 동심형 어레이뿐만 아니라 후속의 다른 동심형 어레이 내에 제공된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케이블을 짜거나 또는 감싸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리본형 케이블은 모든 동심형 어레이 내에서 동일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인접한 동심형 어레이 내에서 반대로 제공될 수 있다.
인접한 동심형 어레이 내에 리본형 케이블에 반대 방식으로 분리식 동심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리본형 케이블의 안정선을 유지하도록 분리식 동심 요소의 능력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외부 차폐체는 외부 신호로부터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내의 전도체를 차폐하기 위한 전자기식 차폐페로서 작용하도록 또다른 동심형 어레이 둘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바인더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내의 리본형 케이블을 소정 위치에 보유하도록 또다른 동심형 케이블과 외부 차폐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재킷은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외부 주위에 배치된다.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는 2개의 동심형 어레이 이상일 수 있다. 동심형 어레이 각각은 또다른 동심형 분리 요소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는 조립체의 종방향 강도를 개선하도록 응력 완화부 또는 강도 부재를 제 1 동심형 어레이 내에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절연된 와이어 신호 또는 신호 동축 케이블은 조립체를 따라 예컨대 전력 또는 또다른 신호를 이송할 수 있는 원통형 스페이서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절연된 와이어에 의해 발생된 임의의 전자기장으로부터 제 1 동심형 어레이 내의 신호 이송 전도체를 차폐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 1 동심형 어레이와 상기 절연된 와이어 사이에 내측 원통형 차폐체를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적으로, 원통형 스페이서는 중공형 튜브를 형성한다.
리본형 케이블의 절연체 물질은 퍼플루오르알콕시, 플루오르에틸렌 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메틸펜텐, 전밀도(full density)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으로 구성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발포성 또는 압출성 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리본형 케이블은 ePTFE로 형성되고 서로 소결되는 상부 및 하부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신호 라인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전기신호 라인 케이블 내의 리본형 케이블의 제조를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리본형 케이블의 제조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기 신호 케이블의 단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전기 신호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전기 신호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전기 신호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전기 신호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전기 신호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전기 신호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원통형 스페이서(90) 둘레에 나선형으로 둘러싸인 복수의 리본형 케이블(20)을 포함하는 전기신호 라인(10)을 도시한다. 리본형 케이블(20)의 각 층 또는 발렌스(valence)는 분리식 스페이서(50)에 의해 분리된다. 도 1에서, 케이블 서브조립체(20)의 4개의 발렌스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예로서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각각의 리본형 케이블(20)은 평면 내에 배치되며 상부 절연층(40a)과 하부 절연층(40b)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의 개별적인 신호 전도체(30)를 포함한다. 상부 절연층(40a)과 하부 절연층(40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적층된다. 개별적인 신호 전도체(30)는 구리, 니켈 도금 구리, 주석 도금 구리, 은 도금 구리, 주석 도금 합금, 은 도금 합금 또는 구리 합금 등의 임의의 전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별적인 신호 전도체(30)는 둥근 구리선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플랫 전도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개별적인 신호 전도체(30)의 개수는 본 발명을 제한할 의도는 아니다. 개별적인 신호 전도체(30)의 축은 0.1 내지 1mm의 범위에 있는 제 1 피치 거리(ª )에 의해 평면 내에서 분리된다. 상부 절연층(40a)과 하부 절연층(40b)은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터, 퍼플루오르알콕시, 플루오르에틸렌-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또는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등의 임의의 절연 유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US-A-3 953 556호, US-A-4 187 390호 및 US-A-4 443 65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ePTFE이 사용된다.
분리식 스페이서(50)는, 예컨대 금속 포일, 금속 끈, 전도성 테이프, 금속화된 직물 또는 유전 스페이서로 이루어지며, 구리, 주석, 은, 알루미늄 또는 그의 합금이 이용된다. 유전 스페이서는 폴리에틸렌, 퍼플루오르알콕시, 플루오르에틸렌-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또는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등의 절연 유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리식 스페이서(50)는 독일 함부르크 내의 스타텍스 컴퍼니(Statex company)에 의해 공급되는 Kassel 타입의 구리 코팅된 폴리아미드 직물로 이루어졌고, 대략 0.1mm의 두께 및 약 9mm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식 스페이서(50)는 ePTFE로 이루어졌다. 유전 물질층 및 전도 물질층을 포함하는 분리식 스페이서(50)도 고려가능하다.
제 1 차폐 수단(60)은 리본형 케이블(20)의 어레이 둘레에 감싸진다. 그 다음, 절연층(65)은 공지된 와이어 랩핑 기술을 이용하여 제 1 차폐 수단(60) 둘레에 감싸진다. 절연층(65)은, 예컨대 PTFE, FEP, ePTFE 또는 폴리에스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절연층(65)은 W.L. Gore & Associates로부터 입수가능한 소결된 GORE-TEX(등록상표) 테이프로 형성된다.
제 2 차폐 수단(70)은 절연층(65)을 둘러싼다. 제 1 차폐 수단(60)과 제 2 차폐 수단(70)은 구리, 알루미늄, 주석 도금 구리, 은 도금 구리, 니켈 도금 구리 또는 알루미늄 처리된 폴리에스터 등의 금속 또는 금속화된 중합체로 형성된 끈, 포일 또는 와이어 차폐체이다.
재킷(80)은 제 2 차폐 수단(70) 위에 위치된다. 재킷(80)은 폴리에틸렌, 폴 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펜텐 등의 실리콘 또는 폴리올레핀; 불소화 에틸렌/프로필렌(FEP) 등의 불소화 중합체; 퍼플루오르(알콕시)알킬란스 등의 불소화 알콕시폴리머, 예컨대 TFE와 퍼플루오르프로필비닐 에테르(PFA)의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트(PVC)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또는 ePTFE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재킷(80)은 PVC로 형성된다.
원통형 스페이서(90)는 ePTFE, PTFE,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물질로 형성된다. 원통형 스페이서(90)는 중실형일 수 있거나 또는 냉각 유체, 전기 제어 또는 전원선, 가스 등을 이송하도록 중공 내부를 가질 수 있다. 원통형 스페이서(90)는 끈형 또는 가닥형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 스페이서(90)는 응력 완화부 및/또는 강도 부재를 내장할 수 있다. 용어 "원통형"은 원통형 스페이서(90)가 정확하게 원통형일 필요를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리본형 케이블(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정도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이 필요한 것이다.
리본형 케이블(20)의 제조는 상부 절연층(140a)과 하부 절연층(140b)이 ePTFE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위해 도 2에 도시한다. 본 방법은 US-A-3082292(Gore)에 개시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동일 참조번호는 100 단위씩 증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도 1)에서의 리본형 케이블(20)의 구성요소에 사용된 바와 같은 리본형 케이블(20)(120)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복수의 개별적인 신호 전도체(130), 상기한 복수의 개별적인 신호 전도체(130) 위에 위치된 상부 절연체(140a), 및 상기한 복수의 개별적인 신호 전도체(130) 아래에 위치된 하부 절연체(140b)는 상부 절연체(140a)와 하부 절연체(140b) 사이를 접착 하기에 충분한 적층 온도, 예컨대 327℃ 내지 410℃ 사이에서 2개의 반대 회전 압력 롤러(200a, 200b) 사이에서 공동으로 통과되었다. 이에 의해 리본형 케이블(120)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추 압력 롤러(200a)는 다수의 상부 주변 홈(210a)을 구비하며, 각각은 압력 롤러(200a)의 원주를 따라 서로 떨어져 정렬된 상부 주변 리브(200a)에 의해 분리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압력 롤러(200b)는 다수의 하부 주변 홈(200b)을 구비하며, 각각은 압력 롤러(200b)의 원주를 따라 서로 떨어져 정렬된 하부 주변 리브(200b)에 의해 분리된다. 인접한 상부 주변 리브(200a)와 함께 상부 압력 롤러(200a)의 상부 주변 홈(210a) 각각은 개별적인 신호 전도체(130) 중 하나를 위한 통로 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부 압력 롤러(200b)의 인접한 하부 주변 리브(220b)를 갖는 하부 주변 홈(210b) 중 하나와 정렬한다. 2개의 압력 롤러(200a, 200b)와 주변 홈(210a, 210b) 사이의 거리는, 단일 전도체(130), 상부 절연체(140a) 및 하부 절연체(140b)가 상부 주변 홈(210a) 중 하나와 하부 주변 홈(210b) 중 하나를 구성하는 한 쌍 사이에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방식으로 그들의 치수에 의해 설계된다. 상부 주변 리브(220a)와 하부 주변 리브(220b)는 서로로부터 작은 분리부를 가져서 리본형 케이블(120) 내의 중간 지대(240)를 형성하는 이들 위치에서 상부 절연체(140a)와 하부 절연체(140b)가 서로 확고하게 가압된다.
상부 절연체(140a) 대 하부 절연체(140b) 대 개별적인 신호 전도체(130)의 접착을 개선하고 리본형 케이블(120) 내에 서로를 갖기 위해, 리본형 케이블(120)은 소결 장치를 통해 이끌렸고, 리본형 케이블(120)의 중간 지대(240) 내에서 밀접 한 결합을 성취하도록 리본형 케이블(120)이 가열된다. PTFE로 이루어진 상부 절연체(140a)와 하부 절연체(140b)를 이용하면, 327℃ 내지 410℃ 범위에 있는 소결 온도로 사용된다.
염욕로(salt bath)를 포함하는 소결 오븐(250)의 형태인 소결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예에서는, 리본형 케이블(120)은 소결 오븐(250)을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시험
2.0m 또는 2.5m 길이의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에 대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조립체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케이블 내의 모든 리본형 케이블을 인쇄 회로 기판에서 종결하였다. 케이블 내의 모든 접지 전도체를 공통의 AC 접지에서 서로 접속하였다.
임피던스, 전기 용량 및 감쇠의 측정을 단일 신호 전도체 상에서 수행하였다. 다른 모든 신호 전도체를 개방하였다. 다른 시험을 위해, 신호 전도체를 저항기로 종결하였다.
케이블 조립체의 일 단부를 확고하게 파지하고 케이블 조립체의 다른 단부에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케이블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를 측정함으로써 비틀림 시험을 수행하였다.
하기의 예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블 구성을 도시한다. 사용된 리본형 케이블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얼바인 내의 Phelps Dodge로부터 입수가능한 PD 135 합금으로 제조된 16, 24 또는 32 개별적인 전도체를 가졌다. 예 1 내지 4 및 6에서, AWG 4201의 전도체를 사용하였고, 전도체는 0.254mm 이격되었다. 예 5에서, AWG 4001의 전도체는 0.3556mm 이격된 것을 사용하였다. 리본형 케이블을 30°내지 35°의 각도로 제공하였다.
ePTFE로 형성된 제 2 절연층과 제 1 절연층 사이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개별적인 전도체를 적층하였다. 예 1 내지 4 및 6에서, 절연층은 0.0762mm의 두께를 가졌다. 예 5에서, 절연층은 0.1016mm의 두께를 가졌다.
사용된 바인더는 ePTFE로 형성하였고 0.08mm 두께의 테이프로 형성하였다. 0.12mm의 평균 총 층두께를 제공하도록 서로에 대해 봉입하였다. 바인더는 플랫 케이블과는 반대방향으로 30°내지 38°의 각도로 봉입하였다.
예 1 내지 7에서 사용된 외부 차폐체를 AWG 4401의 주석 도금 구리선으로 형성하였다. 예 8에서, AWG 4401의 은 도금 구리선을 사용하였다.
외부 재킷을 압출형 PVC로 형성하였고 0.76mm의 두께를 가졌다.
예 1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48 요소 케이블(10)을 도 4 및 도 5에 도시한다. 스페이서(400)를 PVC층을 압출한 직조된 Kevlar yarn으로 형성하였다. 이것은 1.5±0.1mm의 공칭 내경을 가졌다. 제 1 플랫 케이블(410)을 스페이서(400) 둘레에 제 1 방향으로 감쌌다. 제 2 플랫 케이블(420)을 제 1 리본형 케이블(410) 둘레에 감쌌다. eTPFE로 이루어지며 0.12mm의 두께를 갖는 제 1 바인더(430)를 제 2 플랫 케이블(42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3 플랫 케이블(440)을 제 2 플랫 케이블(420)과 같이 제 1 바인더(430) 둘레에 감쌌다. 제 4 플랫 케이블(450)을 제 3 플랫 케이블(440) 둘레에 감쌌다. 제 2 바인더(460)를 제 4 플랫 케이블(450)의 반대방향으로 제 4 플랫 케이블(450) 둘레에 감쌌다. 제 5 플랫 케이블(470)을 제 2 바인더(460)의 반대방향으로 제 1 플랫 케이블(410)과 제 2 플랫 케이블(420)과 같이 제 2 바인더(460) 둘레에 감쌌다. 제 3 바인더(480)를 제 5 플랫 케이블(470) 둘레에 감쌌다. 외부 차폐체(485)를 외부 차폐체(485) 위로 압출된 재킷(490)과 제 5 플랫 케이블(480) 위에 배치하였다. 외부 차폐체(485)를 6 picks/inch에서 16 보빈(bobbins) 및 13 단부(ends)를 이용하여 19°의 브레이딩 각도(braiding angle)로 와이어를 브레이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본 예에서, 제 1 플랫 케이블(410), 제 2 플랫 케이블(420), 제 3 플랫 케이블(440), 제 4 플랫 케이블(450)을 16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제 5 플랫 케이블(470)을 32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케이블은 5.5mm의 공칭 외경을 가졌다.
예 2
본 발명에 따른 96 요소 케이블(10)을 도 6에 도시한다. 스페이서(500)를 PVC층을 압출하는 직조형 Kevlar yarn으로 형성하였다. 이것은 1.5±0.1mm의 공칭 내경을 가졌다. 제 1 플랫 케이블(510)을 스페이서(500) 둘레에 감쌌다. 제 2 플랫 케이블(520)을 제 1 리본형 케이블(51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1 바인더(530)를 제 2 플랫 케이블(52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3 플랫 케이블(540)을 제 1 바인더(53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4 플랫 케이블(545)을 제 3 플랫 케이블(54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5 플랫 케이블(550)을 제 4 플랫 케이블(545)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2 바인더(560)를 제 5 플랫 케이블(55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6 플랫 케이블(565)을 제 2 바인더(56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3 바인더(567)를 제 6 플랫 케이블(565)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7 플랫 케이블(670)을 제 3 바인더(567)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8 플랫 케이블(573)을 제 7 플랫 케이블(57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9 플랫 케이블(576)을 제 8 플랫 케이블(573)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4 바인더(580)를 제 9 플랫 케이블(576)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외부 차폐체(585)를 외부 차폐체(585) 위로 압출되는 재킷(590) 및 제 4 바인더(580) 위에 배치하였다. 외부 차폐체(585)를 4.5 picks/inch에서 16 보빈 및 26 단부를 이용하여 19.5°의 브레이딩 각도로 와이어를 브레이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본 예에서, 제 1 플랫 케이블(510), 제 2 플랫 케이블(520), 제 3 플랫 케이블(540)을 16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제 4 플랫 케이블(545)과 제 5 플랫 케이블(550)을 24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제 6 플랫 케이블(565), 제 7 플랫 케이블(570), 제 8 플랫 케이블(573) 및 제 9 플랫 케이 블(576)을 32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케이블(40)은 6.9mm의 공칭 외경을 가졌다.
예 3
본 발명에 따른 128 요소 케이블(10)을 도 7에 도시한다. 스페이서(600)를 PVC층을 압출하는 직조형 Kevlar yarn으로 형성하였다. 이것은 1.5±0.1mm의 공칭 내경을 가졌다. 제 1 플랫 케이블(610)을 스페이서(600) 둘레에 감쌌다. 제 2 플랫 케이블(620)을 제 1 리본형 케이블(61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ePTFE로 형성된 제 1 바인더(630)를 제 2 플랫 케이블(62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3 플랫 케이블(640)을 제 1 바인더(63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4 플랫 케이블(650)을 제 3 플랫 케이블(64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2 바인더(660)를 제 4 플랫 케이블(650) 둘레에 감쌌다. 제 5 플랫 케이블(670)을 제 2 바인더(66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6 플랫 케이블(675)을 제 5 플랫 케이블(670) 둘레에 감쌌다. 제 3 바인더(667)를 제 6 플랫 케이블(675) 둘레에 감쌌다. 제 4 바인더(682)를 제 7 플랫 케이블(68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8 플랫 케이블(684)과 제 9 플랫 케이블(686)을 제 4 바인더(682) 둘레에 동일한 원통형 방식으로 나란히 서로에 인접하게 감쌌다. 제 10 플랫 케이블(688)과 제 11 플랫 케이블(690)을 제 8 플랫 케이블(684)과 제 9 플랫 케이블(686) 둘레에 서로에 인접하게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12 플랫 케이블(692)과 제 13 플랫 케이블(694)을 제 10 플랫 케이블(688)과 제 11 플랫 케이블(690) 둘레에 동일방향으 로 감쌌다. 제 5 바인더(696)를 제 12 플랫 케이블(692)과 제 13 플랫 케이블(694)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외부 차폐체(697)를 외부 차폐체(697) 위로 압출되는 재킷(698) 및 제 5 바인더(696) 위에 배치하였다. 외부 차폐체(697)를 4 picks/inch에서 16 보빈 및 26 단부를 이용하여 20°의 브레이딩 각도로 와이어를 브레이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본 예에서, 제 1 플랫 케이블(610), 제 2 플랫 케이블(620), 제 8 플랫 케이블(684), 제 10 플랫 케이블(688) 및 제 12 플랫 케이블(692)을 16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제 3 플랫 케이블(640), 제 4 플랫 케이블(650), 제 5 플랫 케이블(670), 제 6 플랫 케이블(675) 및 제 11 플랫 케이블(690)을 24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제 7 플랫 케이블(680)과 제 13 플랫 케이블(694)을 32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작동시에 제 7 플랫 케이블(680)을 개별적인 전도체를 접지에 위치하도록 설계하였다.
예 4
본 발명에 따른 196 요소 케이블(10)을 도 8에 도시한다. 스페이서(700)를 PVC층을 압출하는 직조형 Kevlar yarn으로 형성하였다. 이것은 1.5±0.1mm의 공칭 내경을 가졌다. 제 1 플랫 케이블(710)을 스페이서(700) 둘레에 감쌌다. 제 2 플랫 케이블(720)을 제 1 리본형 케이블(71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1 바인더(730)를 제 2 플랫 케이블(72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3 플랫 케이 블(740)을 제 1 바인더(73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4 플랫 케이블(750)을 제 3 플랫 케이블(740) 둘레에 감쌌다. 제 2 바인더(770)를 제 4 플랫 케이블(75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5 플랫 케이블(780)을 제 2 바인더(77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6 플랫 케이블(790)을 제 5 플랫 케이블(78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3 바인더(800)를 제 6 플랫 케이블(79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7 플랫 케이블(810)을 제 3 바인더(80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8 플랫 케이블(820)을 제 7 플랫 케이블(810) 둘레에 감쌌다. 다음 층에서, 2개의 플랫 케이블, 제 9 플랫 케이블(830) 및 제 10 플랫 케이블(835)을 서로 인접하게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그 후, 제 11 플랫 케이블(840)과 제 12 플랫 케이블(845)을 서로에 인접한 동일층 내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4 바인더(850)를 제 11 플랫 케이블(840)과 제 12 플랫 케이블(845)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그 후, 제 13 플랫 케이블(860)과 제 14 플랫 케이블(865)을 서로에 인접하게 제 4 바인더(85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15 플랫 케이블(870)과 제 16 플랫 케이블(875)을 제 13 플랫 케이블(860)과 제 14 플랫 케이블(865) 둘레에 서로 인접하게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5 바인더(880)를 제 15 플랫 케이블(870)과 제 16 플랫 케이블(875)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외부 차폐체(885)를 외부 차폐체(885) 위로 압출되는 재킷(890) 및 제 5 바인더(880) 위에 배치하였다. 외부 차폐체(885)를 4 picks/inch에서 16 보빈 및 26 단부를 이용하여 22.5°의 브레이딩 각도로 와이어를 브레이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본 예에서, 제 1 플랫 케이블(710), 제 2 플랫 케이블(720), 제 3 플랫 케이블(740), 제 4 플랫 케이블(750), 제 9 플랫 케이블(830), 제 11 플랫 케이블(840), 제 13 플랫 케이블(860) 및 제 15 플랫 케이블(870)을 16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제 5 플랫 케이블(780), 제 6 플랫 케이블(790), 제 7 플랫 케이블(810), 제 8 플랫 케이블(820), 제 10 플랫 케이블(835), 제 12 플랫 케이블(845), 제 14 플랫 케이블(865) 및 제 16 플랫 케이블(875)을 32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예 5
본 발명에 따른 196 요소 케이블(10)을 도 9에 도시한다. 스페이서(1000)를 PVC층을 압출하는 직조형 Kevlar yarn으로 형성하였다. 이것은 2.1±0.1mm의 공칭 내경을 가졌다. 제 1 플랫 케이블(1010)을 스페이서(1000) 둘레에 감쌌다. 제 2 플랫 케이블(1020)을 제 1 플랫 케이블(101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1 바인더(1030)를 제 2 플랫 케이블(102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3 플랫 케이블(1040)을 제 1 바인더(103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4 플랫 케이블(1050)을 제 3 플랫 케이블(1040) 둘레에 감쌌다. 제 2 바인더(1060)를 제 4 플랫 케이블(105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5 플랫 케이블(1070)을 제 1 플랫 케이블(1010)과 제 2 플랫 케이블(1020)과 같이 제 2 바인더(106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6 플랫 케이블(1080)을 제 5 플랫 케이블(1070) 둘레에 감쌌다. 제 7 플랫 케이블(1090)을 제 6 플랫 케이블(108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 다. 제 3 바인더(1100)를 제 7 플랫 케이블(109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8 플랫 케이블(1110)을 제 3 바인더(110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9 플랫 케이블(1120)을 제 8 플랫 케이블(111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10 플랫 케이블(1130)을 제 9 플랫 케이블(112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4 바인더(1140)를 제 10 플랫 케이블(113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다음 층에서, 2개의 플랫 케이블, 제 11 플랫 케이블(1150) 및 제 12 플랫 케이블(1155)를 서로에 인접하게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그 후, 제 13 플랫 케이블(1160)과 제 14 플랫 케이블(1165)을 서로에 인접하게 동일 층 내에서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그 다음, 제 16 플랫 케이블(1175)에 인접한 제 15 플랫 케이블(1170)을 제 13 플랫 케이블(1160)과 제 14 플랫 케이블(1165)을 포함하는 층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5 바인더(1180)를 제 15 플랫 케이블(1170)과 제 16 플랫 케이블(1175)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외부 차폐체(1185)를 외부 차폐체(1185) 위로 압출되는 재킷(1190) 및 제 5 바인더(1180) 위에 배치하였다. 외부 차폐체(1185)를 4.5 picks/inch에서 24 보빈 및 26 단부를 이용하여 21.5°의 브레이딩 각도로 와이어를 브레이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본 예에서, 제 1 플랫 케이블(1010), 제 2 플랫 케이블(1020), 제 3 플랫 케이블(1040), 제 4 플랫 케이블(1050), 제 5 플랫 케이블(1070), 제 11 플랫 케이블(1150), 제 13 플랫 케이블(1160) 및 제 15 플랫 케이블(1170)을 16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제 6 플랫 케이블(1080), 제 7 플랫 케이블(1090), 제 8 플랫 케이블(1110), 제 9 플랫 케이블(1120), 제 10 플랫 케이블(1130), 제 12 플랫 케이블(1155), 제 14 플랫 케이블(1165) 및 제 16 플랫 케이블(1175)을 32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예 6
본 발명에 따른 192 요소를 포함하는 케이블(10)의 또다른 예를 도 10에 도시한다.
스페이서(1200)는 직조형 Kevlar yarn으로 형성하며 0.6±0.1mm의 공칭 외경을 가졌다. 8개의 리드(1203)를 스페이서(1200) 둘레에 배치하였다. 리드는 AWG 3601의 주석 도금 구리 전도체로 형성하며 폴리에스터 절연을 가졌다. 제 1 바인더(1025)를 리드 둘레에 배치하였다. 제 1 플랫 케이블(1210)을 제 1 바인더(1205)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2 플랫 케이블(1220)을 제 1 플랫 케이블(121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2 바인더(1230)를 제 2 플랫 케이블(122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3 플랫 케이블(1240)을 제 2 바인더(123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4 플랫 케이블(1250)을 제 3 플랫 케이블(1240)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3 바인더(1270)를 제 5 플랫 케이블(126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6 플랫 케이블(1280)을 제 3 바인더(127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7 플랫 케이블(1290)을 제 6 플랫 케이블(128)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8 플랫 케이블(1300)을 제 7 플랫 케이블(129) 둘레에 감쌌다. 제 4 바인더(1310)를 제 8 플랫 케이블(1300) 둘레에 반 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9 플랫 케이블(1320)을 제 4 바인더(131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5 바인더(1330)를 제 9 플랫 케이블(132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다음 층에서, 2개의 플랫 케이블, 제 10 플랫 케이블(1340) 및 제 11 플랫 케이블(1345)을 서로에 인접하게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그 후, 제 12 플랫 케이블(1350)과 제 13 플랫 케이블(1355)을 서로에 인접한 동일층 내에서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6 바인더(1360)를 제 12 플랫 케이블(1350)과 제 13 플랫 케이블(1355)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그 후, 제 14 플랫 케이블(1370)과 제 15 플랫 케이블(1375)을 서로에 인접한 제 6 바인더(136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16 플랫 케이블(1380)과 제 17 플랫 케이블(1385)을 제 14 플랫 케이블(1370)과 제 15 플랫 케이블(1375) 둘레에 서로 인접하게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17 플랫 케이블(1390)을 제 16 플랫 케이블(1380)과 제 17 플랫 케이블(1385)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외부 차폐체(1395)를 외부 차폐체(1395) 위로 압출되는 재킷(1397) 및 제 7 바인더(1390) 위에 배치하였다. 외부 차폐체(1395)를 5 picks/inch에서 16 보빈 및 26 단부를 이용하여 29.5°의 브레이딩 각도로 와이어를 브레이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본 예에서, 제 1 플랫 케이블(1210), 제 2 플랫 케이블(1220), 제 10 플랫 케이블(1340), 제 12 플랫 케이블(1350), 제 14 플랫 케이블(1370) 및 제 16 플랫 케이블(1380)을 16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제 3 플랫 케이블(1240), 제 4 플랫 케이블(1250), 제 5 플랫 케이블(1260) 및 제 6 플랫 케이블(1280)을 24 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제 7 플랫 케이블(1290), 제 8 플랫 케이블(1300), 제 9 플랫 케이블(1320), 제 11 플랫 케이블(1345), 제 13 플랫 케이블(1355), 제 15 플랫 케이블(1375) 및 제 17 플랫 케이블(1385)을 32개의 개별적인 전도체로 제조하였다.
예 7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600 요소 케이블(10)을 도 11에 도시한다.
스페이서(1400)는 PVC 층을 압출한 직조형 Kevlar yarn으로 형성하였다. 이것은 1.5±0.1mm의 공칭 외경을 가졌다. 제 1 층(1420)에서, 16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스페이서 둘레에 감쌌고, 제 2 층(1420)에서, 또다른 16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제 1 플랫 케이블 둘레에 동일방향으로 감쌌다. 제 3 층(1430)은 제 2 층(1420) 내의 플랫 케이블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바인더를 갖는다. 제 4 층(1440), 제 5 층(1450) 및 제 6 층(1460)은 서로 위의 한 층에 동일방향이지만 제 3 층(1430)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24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각각 구성한다. 제 7 층(1470)은 제 6 층(146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바인더를 포함한다. 제 8 층(1480), 제 9 층(1490), 제 10 층(1500) 및 제 11 층(1510)은 다른 층에 대해 한 층에서 동일방향이지만 제 7 층(1470) 내의 바인더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32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포함한다. 제 12 층(1520)은 제 11 층(151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바인더를 포함한다. 제 13 층(1530)은 제 12 층(1520) 둘레에 서로에 인접한 반대방향으로 감싼 24 전도체 플랫 케이블 및 16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포함한다. 제 14 층(1540)과 제 15 층(1550) 각각은 다른 층에 대해 한 층에서 서로에 인접한 동일방향으로 감싼 32 전도체 플랫 케이블 및 16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포함한다. 제 16 층(1560)은 제 15 층(155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바인더이다. 제 17 층(1570)과 제 18 층(1580) 각각은 다른 층에 대해 한 층에서 서로 인접한 동일방향이지만 제 16 층 내의 바인더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32 전도체 플랫 케이블 및 24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포함한다. 제 19 층(1590)은 제 18 층(1580) 둘레에 서로에 인접하게 감싼 2개의 32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포함한다. 제 19 층(1590) 둘레에, 제 20 층(1600) 내의 바인더를 반대방향으로 감쌌다. 제 21 층(1610), 제 22 층(1620) 및 제 23 층(1630) 각각은 서로의 상부에 대해 서로 인접한 동일방향이지만 제 20 층(1600) 내의 바인더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2개의 32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포함한다. 제 24 층(1640)은 제 23 층(163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바인더를 포함한다. 제 25 층(1650)과 제 26 층(1660) 각각은 서로에 대하 한 층에서 서로 인접한 동일방향이지만 제 24 층(1640) 내의 바인더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3개의 32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포함한다. 제 27 층(1670)은 제 26 층(166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바인더를 가졌다. 제 28 층(1680)과 제 29 층(1690) 각각은 다른 층에 대해 한 층에서 서로 인접한 동일방향이지만 제 26 층(1660) 내의 바인더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32 전도체 플랫 케이블 및 2개의 24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가졌다. 제 30 층(1700)은 제 29 층(169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바인더를 포함한다. 제 31 층(1710)과 제 32 층(1720) 각각은 다른 층의 상부에 대해 한 층에서 서로 인접한 동일방향이지만 제 30 층(1700) 내의 바인더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단 일의 32 전도체 플랫 케이블 및 2개의 24 전도체 플랫 케이블을 가졌다. 제 33 층(1730)은 제 32 층(1720) 둘레에 반대방향으로 감싼 바인더이다.
외부 차폐체(1740)를 외부 차폐체(1740) 위로 압출되는 재킷(1750) 및 제 33 층 위쳉 배치하였다. 외부 차폐체(1740)를 3.5 picks/inch에서 24 보빈 및 39 단부를 이용하여 21.8°의 각도로 와이어를 브레이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비교예
AWG 4001의 PD135 합금으로 형성된 전도체를 갖는 마이크로 동축 케이블로부터 비교 결과를 얻었다. 본 케이블은 명칭 J14B059-A로 W.L. Gore & Associates GmbH로부터 입수가능하다.
결과
예 번호 임피던스 (Ω) 전기 용량 (pF/ft) 삽입 손실 @ 10 MHz (dB/Assembly) 전도체 저항 (Ω/m) 중량 (g/m) 비틀림률 (mNm) 시간지체 (ns/2.5m)
비교예 49 32.0 4.3 99.2 +10/-10
3 120-128 11.6-13.9 -1.5 7.2-8.0 57.4 +50/-10 12.0-13.3
4 113-124 11.0-13.7 -1.5 7.6-8.2 68.3
표 1
표 1에서의 결과 범위는 케이블 내의 다른 층에 대해 측정을 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전기신호 라인(10)은 중심선(2000) 둘레의 단일 케이블 내에서 함께 배열된다.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중심선(2000) 둘레에 신호 라인(10)을 배열한다. 각각의 신호 라인(10)은 반도체 물질로 개별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신호 라인 10 CW Doppler 적용 사이의 누화를 저감하기에 효과적이다. 변형적으로, 반도체 물질(2001)은 멀리 코어 구성 둘레에 감싸질 수 있다. 변형적으로, 반도체층(2001)은 탄화된 ePTFE 또는 ePTFE의 혼성물 및 알루미늄 또는 PTFE 및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브레이드된 차폐체(2002)는 복수의 신호 라인(10) 둘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PVC 2003로 제조된 재킷(jacket)은 브레이드된 차폐체(2002) 둘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신호 라인(10)을 이용하면, 하나 보다는 많은 신호 라인(10)은 본 발명의 적용에서 특징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하나의 큰 신호 라인에 비해 복수의 보다 작은 신호 라인(10)을 제공하면, 케이블의 높은 가요성 및 순응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케이블은 또한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단일 코드로 인해 우수한 굽힘 수명을 증명한다. 또한, 반도체층(2001)의 사용으로 인해, 케이블 내에 발생되는 마찰 전기가 없다.
또다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동심형 어레이 내에 바인더 및 리본형 케이블의 교호적인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고려가능하다. 바인더 및 리본형 케이블은 반대방향으로 감싸진다. 리본형 케이블은 각각의 동심형 어레이 내에 약간 다른 각도로 감싸짐으로써, 전도체는 전기신호 라인 조립체 전체에 비해 서로 평행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술하였지만, 본원에 개시된 신규한 교시 및 이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당업자는 알 것이다. 따라서, 모든 변경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25)

  1. 복수의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신호라인은,
    원통형 스페이서;
    상기 원통형 스페이서 둘레에 동심형의 어레이로 배치된 복수의 리본형 케이블; 및
    각각의 상기 리본형 케이블 사이에 배치된 분리형 동심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은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형 케이블은 복수의 전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형 케이블은 상기 원통형 스페이서 둘레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 둘레에 외부 차폐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 각각의 둘레에 별개로 반도체 층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 둘레에 집합적으로 외부 차폐체(outer shield)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 케이블 둘레에 재킷(jacket)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형 어레이 내에 응력 완화부(strain relief)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스페이서는 강도 부재(strength me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스페이서는 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스페이서는 고형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스페이서는 연선된 물질(stranded materia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스페이서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절연 와이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형 케이블의 절연체는 퍼플루오르알콕시, 플루오르에틸렌 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메틸펜텐으로 구성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형 케이블의 절연체는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형 케이블의 절연체는 전밀도(full density)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형 케이블의 절연체는 압출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형 케이블의 절연체는 발포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의 전기 용량은 22 pF/ft(72.2 pF/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의 전기 용량은 15 pF/ft(49.3 pF/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형 케이블 중 하나 내의 전도체를 따라 통과하는 신호의 시간지체는 5.5 ns/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신호라인 둘레에 별개로 반도체 층을 배치하고, 상기 반도체 층은 ePTF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신호라인 둘레에 별개로 반도체 층을 배치하고, 상기 반도체 층은 ePTFE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신호라인 둘레에 별개로 반도체 층을 배치하고, 상기 반도체 층은 PTFE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KR1020077030739A 2005-06-02 2006-06-02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KR20080014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44,089 US20060131061A1 (en) 1997-09-19 2005-06-02 Flat cable tubing
US11/144,089 2005-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901A true KR20080014901A (ko) 2008-02-14

Family

ID=3680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739A KR20080014901A (ko) 2005-06-02 2006-06-02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31061A1 (ko)
EP (1) EP1889264A1 (ko)
JP (1) JP2008543006A (ko)
KR (1) KR20080014901A (ko)
CN (1) CN101223610A (ko)
WO (1) WO20061287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24Y1 (ko) * 2008-11-26 2009-07-08 권정태 음성신호전달용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4675B2 (en) * 2007-06-28 2014-10-21 W. L. Gore & Associates, Inc. Catheter
US8285362B2 (en) 2007-06-28 2012-10-09 W. L. Gore & Associates, Inc. Catheter with deflectable imaging device
US8852112B2 (en) 2007-06-28 2014-10-07 W. L. Gore & Associates, Inc. Catheter with deflectable imaging device and bendable electrical conductor
US7897872B2 (en) * 2008-03-04 2011-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irally wound electrical cable for enhanced magnetic field cancellation and controlled impedance
CA2835552A1 (en) * 2008-05-30 2009-12-0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Real time ultrasound catheter probe
DE102010046446B4 (de) * 2010-09-24 2013-05-16 Kathrein-Werke Kg Intermodulationsfeste biegsame Welle
WO2015009468A1 (en) * 2013-07-19 2015-01-2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able with polymer composite core
EP3236480A1 (de) * 2015-11-06 2017-10-25 LEONI Kabel GmbH Kab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bels sowie bandleitungs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ndleitungselements
WO2017156529A1 (en) * 2016-03-11 2017-09-14 Flex-Cable Bendable shielded bus bar
US10790777B2 (en) * 2017-08-17 2020-09-29 Tesla, Inc. Flexible solar roofing modules
US10862420B2 (en) 2018-02-20 2020-12-08 Tesla, Inc. Inter-tile support for solar roof tiles
TW202003216A (zh) 2018-05-25 2020-01-16 美商山姆科技公司 具有電氣導電塗佈的電纜
EP3751322B1 (en) * 2019-06-10 2022-12-21 Sterlite Technologies Limited High density optical fibre ribbon stack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2292A (en) * 1957-09-30 1963-03-19 Gore & Ass Multiconductor wiring strip
SE392582B (sv) * 1970-05-21 1977-04-04 Gore & Ass Forfarande vid framstellning av ett porost material, genom expandering och streckning av en tetrafluoretenpolymer framstelld i ett pastabildande strengsprutningsforfarande
US3953556A (en) * 1973-01-12 1976-04-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Method of preparing uranium nitride or uranium carbonitride bodies
DE3020622C2 (de) * 1980-05-30 1985-05-15 W.L. Gore & Associates, Inc., Newark, Del. Bandkab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3209579A1 (de) * 1982-03-16 1983-09-29 W. L. Gore & Co. GmbH, 8835 Pleinfeld Rundkabel
DE8322828U1 (de) * 1983-08-08 1984-01-19 Monette Kabel- U. Elektrowerk Gmbh, 3550 Marburg Kabel zum Transport elektrischer Energie und/oder zur Weiterleitung von Signalen
US4719319A (en) * 1986-03-11 1988-01-12 Amp Incorporated Spiral configuration ribbon coaxial cable
US4761519A (en) * 1987-01-29 1988-08-02 Precision Interconnect Corporation Highly flexible, shielded, multi-conductor electrical cable
US4847443A (en) * 1988-06-23 1989-07-11 Amphenol Corporation Round transmission line cable
JP2594734Y2 (ja) * 1992-10-19 1999-05-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付きフラットケーブル
US5552565A (en) * 1995-03-31 1996-09-03 Hewlett-Packard Company Multiconductor shielded transducer cable
FR2745117B1 (fr) * 1996-02-21 2000-10-13 Whitaker Corp Cable flexible et souple a helices espacees
US6117083A (en) * 1996-02-21 2000-09-12 The Whitaker Corporation Ultrasound imaging probe assembly
EP0912982A1 (en) * 1997-02-27 1999-05-06 W.L. GORE & ASSOCIATES GmbH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lines made by a laminations process
US20050016753A1 (en) * 1997-09-19 2005-01-27 Helmut Seigerschmidt Flat cable tubing
EP0962945A1 (en) * 1998-05-11 1999-12-08 W.L. GORE & ASSOCIATES GmbH Electrical signal line cable assembly
EP1246207A1 (en) * 2001-03-29 2002-10-02 W.L. GORE & ASSOCIATES GmbH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cable assembly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24Y1 (ko) * 2008-11-26 2009-07-08 권정태 음성신호전달용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31061A1 (en) 2006-06-22
JP2008543006A (ja) 2008-11-27
EP1889264A1 (en) 2008-02-20
CN101223610A (zh) 2008-07-16
WO2006128724A8 (en) 2008-01-31
WO2006128724A1 (en)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4901A (ko) 전기신호 케이블 조립체
US10347398B2 (e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hielded electrical cables
CN102870169B (zh) 屏蔽电缆的连接器布置方式
US9837189B2 (en) Nested shielded ribbon cables
US5025115A (en) Insulated power cables
KR20130122732A (ko) 고밀도 차폐 전기 케이블 및 기타 차폐 케이블, 시스템 및 방법
JP2012531016A (ja) 遮蔽された電気ケーブル
EP2951840B1 (en) Cable having a sparse shield
EP0962945A1 (en) Electrical signal line cable assembly
EP0961298B1 (en) Electrical signal bundle
JP3677157B2 (ja) 電気信号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US20050016753A1 (en) Flat cable tubing
US11373783B1 (en) Hybrid cables for use with sensitive detectors
EP1246207A1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cable assembly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