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189A -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189A
KR20010021189A KR1020000044859A KR20000044859A KR20010021189A KR 20010021189 A KR20010021189 A KR 20010021189A KR 1020000044859 A KR1020000044859 A KR 1020000044859A KR 20000044859 A KR20000044859 A KR 20000044859A KR 20010021189 A KR20010021189 A KR 20010021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retainer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599B1 (ko
Inventor
미우라카즈토
야마네히로시
요코야마히로마사
Original Assignee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무라 마사오
Publication of KR2001002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커넥터(1)용 리테이너(6)는 전기커넥터(1)의 하우징(4)의 삽입공간(2)에 삽입되는 플랫케이블(7)의 끝부를 삽입공간(2)안의 복수의 컨택트(3)에 가압하여 접촉시킨다. 리테이너(6)는 합성수지제의 본체(8)와, 본체(8)에 고정되는 한 쌍의 금속제의 접속암(9A, 9B)을 구비한다. 각 접속암(9A, 9B)는 하우징(4)에 소정의 방향(Y)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된다.

Description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RETAINER FOR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FPC(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라고 불리는 플렉시블기판이나 FFC(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플렉시블한 플랫 케이블을 회로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커넥터에 이용되는 슬라이더라고 불리는 리테이너, 및 이것을 포함하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 이용되는 슬라이드식 리테이너(이하에서는, 간단히 슬라이더라고도 함)로서, 좌우로 연장하는 주체부로부터 삽입볼록부와 한 쌍의 접속암을 연장시키고, 전체를 합성수지로 형성한 것이 여러가지로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6-82783호 공보, 특개평 7-106028호 및 특개평 9-28326호 공보 참조.) 상기 삽입볼록부는 컨텍트군을 유지하는 하우징의 삽입공간안에 FPC기판(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킷 보드)와 함께 꽂혀지고, FPC기판을 컨택트군에 누름접촉시킨다. 한편, 한 쌍의 접속암은 삽입볼록부를 좌우로 끼워 주체부의 양끝에서 하우징의 양측면을 각각 따르도록 연장하고 있고, 하우징과 리테이너를 접속시킨다.
그런데, 최근에는, 커넥터를 소형이면서 또한 낮은 것으로 하는(소위 저배화)요청에 의해, 리테이너도 두께가 얇고 소형의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합성수지의 일체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리테이너를 얇고 소형으로 한 경우에, 특히 접속암의 강도가 저하하고, 변형이나 파손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또, 각 접속암이 하우징의 양측면에 노출하고 있으므로, 외력을 받기 쉽고, 이 때문에 파손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이면서 강도가 있고, 접속암을 하우징내부에 꽂는 레이아웃을 커넷터를 대형화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전기커넥터의 평면도이며, 슬라이드식 리테이너(이하에서는, 슬라이더라고도 함.)를 빼낸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슬라이더를 꽂은 상태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슬라이더의 평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슬라이더, 하우징 및 보강탭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A의 V-V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A의 VI-VI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FPC와 함께 슬라이더를 꽂은 상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접속암이 보강탭에 의해 빠짐방지된 상태를 나타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슬라이드홈안에서 접속암이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상태에 대응해서 삽입공간안에서 삽입볼록부가 경사진 상태를 나타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커넥터 2…삽입공간
3…컨택트 4…하우징
5…삽입볼록부 6…슬라이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을 삽입공간안의 컨택트군에 누름접촉시키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가 합성수지제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금속제의 접속암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암은 하우징에 소정의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접속암을 금속제로 함으로써, 접속암을 얇고,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접속암을 얇고,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접속암을 하우징측면에 노출시키는 일없이 레이아웃을, 커넥터를 대형화하는 일없이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장척의 주체부와, 주체부에서 연장되어 삽입공간에 꽂히는 삽입볼록부를 포함하고, 각 접속암은 본체의 성형시에 주체부에 매설되는 매설부와, 주체부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소정의 슬라이드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소위 인서트성형을 하므로, 접속암과 합성수지제의 본체와의 결합이 강고하게 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각 접속암의 돌출부를 각각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드홈과, 각 슬라이드홈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각 측벽은 대응하는 슬라이드홈에 삽입된 대응하는 돌출부가 하우징의 측방으로 노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각 접속암을 양측에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접속암을 안정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접속암이 빠지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 접속암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속암에 외측으로부터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되는 일도 없이 접속암이 고장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커넥터(1)는, 앞쪽(X)으로 개방하는 삽입공간(2)에 횡측으로 나열된 복수개의 커넥트(3)를 유지하는 하우징(4)과, 하우징(4)의 삽입공간(2)에 끼워지고 빠지는 삽입볼록부(5)를 포함하는 슬라이더(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삽입볼록부(5)는 상기 삽입공간(2)에 소정의 삽입방향(뒤쪽(Y)에 상당)을 따라 플랫케이블로서의 FPC(7)(도 7 및 도 9B참조)와 함께 꽂히고, 삽입방향(Y)의 가장 안측위치에서, 도 3B,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누름부로서의 하면(5b)에 의해, FPC(7)를 복수개의 커넥트(3)에 누름접촉시키는 것이다.
슬라이더(6)는 합성수지제의 본체(8)와, 한 쌍의 좌우대칭의 금속제의 접속암(9A, 9B)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접속암(9A, 9B)은 서로 다른 것으로부터 독립되어 있고, 각 접속암(9A, 9B)의 일부는 본체(8)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본체(8)는 좌우로 연장하는 장척의 주체부(10)와, 이 주체부(10)로부터 연장된 상기 삽입볼록부(5)를 구비하고 있고, 삽입볼록부(5)의 윗면(5a)에는 각 컨택트의 포크형상부인 고정편부(11)(도 7참조)에 대응해서 도입홈(1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3A 및 도 3B참조).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하우징(4)은 삽입공간(2)을 사이에 둔 좌우위치에 앞쪽(X) 및 윗쪽(W)(도 4참조)으로 개방하는 한 쌍의 좌우대칭의 슬라이드홈(13A, 13B)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6)의 각 접속암(9A, 9B)은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3A, 13B)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앞쪽(X) 및 뒤쪽(Y)(즉 삽입볼록부(5)가 끼워지고 빠지는 방향에 상당)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한 동시에, 대응하는 금속제의 보강탭(14A, 14B)에 의해 슬라이드홈(13A, 13B)으로부터의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보강탭(14A, 14B)은 좌우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 접속암(9A, 9B)이 슬라이드홈(13A, 13B)에 수용된 후, 하우징(4)의 윗쪽으로부터 슬라이드홈(13A, 13B)을 가로지르는 양태로 하우징(4)의 소정부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듯이, 각 접속암(9A, 9B)은 록부(19)를 구비하고 있고, 각 록부(19)는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3A, 13B)안에 설치된 결합돌출부(25)와 도 2에 나타내듯이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6)를 하우징(4)에 대해서 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 커넥터의 단면도인 도 7 및 도 9B를 참조해서, 컨택트(3)는 하우징(4)의 하측판부(42)의 윗면에 형성된 수용홈(43)에 수용되는 탄성편부(44)와, 이 탄성편부(44)의 윗쪽에 배치되고, 탄성편부(44)에서 포크형상을 이룬 상술한 고정편부(11)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편부(11)와 탄성편부(44)의 후단부끼리는 주체부(45)에 의해 연결되고, 이 주체부(45)는 상기 하측판부(42)에 박히는 걸림돌기(46)를 보유하고 있고, 주체부(45)는 하우징(4)의 고정구멍(47)에 뒤쪽에서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주체부(45)의 후단상부로부터는 대략 L자형상을 이루는 리드부(4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드부(48)는 본커텍터(1)가 실장되는 기판표면에 납땜된다. 도면부호 49는 삽입된 FPC(7)를 눌러서 접압을 확보하는 산형상의 돌기이다. 또, 도 7 및 도 9B에 있어서, 컨택트(3)의 단면의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 3A, 분해사시도인 도 4, 도 3A의 V-V선의 단면도인 도 5, 및 도 3A의 VI-VI선의 단면도인 도 6을 참조해서, 슬라이더(6)의 각 접속암(9A, 9B)은 본체(8)의 주체부(10)에 매설되는 매설부(15)와, 주체부(10)로부터 돌출해서 삽입볼록부(5)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돌출부(16)를 구비하고, 판금성형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6)는 슬라이드방향(Y)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매설부(15)는 돌출부(16)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며 슬라이드방향(X)을 따라 연장하는 제1부분(21)과, 이 제1부분(21)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드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Z)을 따라 연장하는 제2부분(2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판금성형시에는 전개형상이 대략 L자형인 형상을 이루는 평판의 일편부(상기 제2부분(22)이 되는 부분)를 다른 편부(돌출부(16) 및 매설부(15)의 제1부분(21)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 직각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매설부(15)가 절곡형상으로 연장해서 설치되어 슬라이드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Z)으로 연장하는 부분(상기 제2부분)을 포함하므로, 접속암(9A, 9B)이 본체(8)의 주체부(10)로부터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돌출부(16)는 삽입볼록부(5)의 측면(5b)에 평행(즉, 하우징(4)측면(4a)에 평행)하고, 돌출부(16)의 선단부(17)에는 갈고랑이모양을 이루도록 해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훅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16)의 선단부(17)의 하면은 선단으로 갈 수록 높아지는 경사면(40)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접속암(9A, 9B)의 돌출부(16)의 선단부(17)근방에는 각각 오목부로 이루어진 상술한 록부(19)가 서로 안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록부(19)는 삽입볼록부(5)가 복수의 컨택트(3)에 FPC(7)를 누름접촉시킨 위치에서 하우징(4)의 슬라이드홈(13A, 13B)의 결합돌출부(25)에 결합해서 슬라이더(6)를 하우징(4)에 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슬라이더(6)를 가장 많이 빼낸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내듯이 가장 많이 꽂은 상태까지 변위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접속암(9A, 9B)의 돌출부(16)의 각 선단부(17)가 서로의 간격을 넓히도록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대응하는 결합돌출부(25)를 타넘어서, 도 2에 나타내듯이, 록부(19)가 결합돌출부(25)에 결합한다. 20은 돌출부(16)의 강도향상을 꾀하기 위한 중공의 볼록리브로 이루어진 비드부이다.
각 매설부(15)의 제1부분(21)은 돌출부(16)로부터 연속하는 연직판으로 이루어지고, 제2부분(22)은 대응하는 제1부분(21)의 일부 상부끝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형성되고, 서로 다른 쪽의 매설부(15)측으로 연장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제2부분(22)은 돌기(23)를 보유하고 있고, 이 돌기(23)는 주체부(10)에 형성된 오목부(24)에서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돌기(23)를 각 접속암(9A, 9B)의 인서트성형시에 성형금형내에서 접속암(9A, 9B)이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인서트성형시에 돌출부(16)가 되는 부분과 돌기(23)가 되는 부분의 양쪽에서 접속암(9A, 9B)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성형시의 위치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위치정밀도가 높은 접속암(9A, 9B)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해서, 슬라이드홈(13B)은 하우징(4)의 측면(4a)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앞쪽(X) 및 위쪽(W)으로 개방되어 있고, 앞쪽에서 대응하는 접속암(9B)을 삽입해서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슬라이드홈(13B)의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26, 27) 중, 측면(4a)에서 먼 측의 측벽(26)은 전방부근처의 위치에 슬라이드홈(13B)에 연이어 통하는 보강탭 압입용 제1압입홈(28)을 상하에 형성하고 있고, 또 후방부근처의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부(25)를 형성하고 있다. 제1압입홈(28)은 위쪽으로 개방하고 있다. 또 결합돌출부(25)는 단면이 산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하로 연장하고 있다.
한편, 측면(4a)에 가까운 측의 측벽(27)의 상부에는 제1압입홈(2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출홈(29)이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27)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연장하는 관통홈으로 이루어진 보강탭 압입용 제2압입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홈(30)의 대부분은 하우징(4)의 측면(4a)에 개방하고 있고, 압입홈(30)의 후방부(31)만이 홈의 양 측면을 구획하고 있다.
보강탭(14B)은 판금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앞쪽에서 보면 주걱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보강탭(14B)은 상기 제1 및 제2압입홈(28, 30)에 각각 압입고정되는 고정부로서의 제1 및 제2피압입부(32, 33)와, 이들 제1 및 제2피압입부(32, 33)의 상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34)를 구비하고 있다. 피압입부(33)는 후방으로 연장하는 연장부(35)를 포함하고 있다. 또, 제1피압입부(32)의 후단면에는 압입돌기(36)가 형성되고, 제2피압입부(33)의 연장부(35)의 후단면에는 압입돌기(3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피압입부(33)의 하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하는 다리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38)는 프린트회로기판(51)의 도전부상에 납땜되는 것이고, 납땜을 좋게 하기 위해서 빗살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 연결부(34)의 후측가장자리부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접속암(9B)의 훅부(18)에 결합함으로써, 접속암(9B)이 슬라이드홈(13B)에서 앞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용 결합부(39)를 구성하고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듯이, 접속암(9B)의 돌출부(16)의 하단가장자리가 슬라이드홈(13B)의 홈바닥이 되는 하측판부(50)를 따라 안내되어 슬라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보강탭(14B)은 접속암(9B)이 슬라이드홈(13B)에 앞쪽에서 수용된 상태로, 보강탭(14B)의 제1 및 제2피압입부(32, 33)를 하우징(4)의 제1 및 제2압입홈(28, 30)에 위쪽에서 압입해서 하우징(4)에 장착하여, 접속암(9B)의 빠짐방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라이더(6)에서 접속암(9A, 9B)을 금속제로 함으로써, 접속암(9A, 9B)을 얇고 또한 작게 할 수 있고, 게다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접속암(9A, 9B)을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본체(8)에 인서트성형하고 있으므로, 접속암(9A, 9B)을 본체(8)에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접속암(9A, 9B)을 얇고,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와 같이, 소위 이너록구조의 레이아웃을 커넥터(1)를 대형화하는 일없이 달성할 수 있다. 즉, 접속암(9A, 9B)을 하우징(4)의 측면(4a)에 평행하게 설치된 슬라이드홈(13A, 13B)안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해서, 접속암(9A, 9B)의 하우징(4)의 측방으로의 노출을 방지하고, 또한 하우징(4)의 내부에서 슬라이더(6)의 록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접속암(9A, 9B)을 양측에서 안내할 수 있고, 접속암(9A, 9B)을 안정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접속암(9A, 9B)이 빠지는 일없이, 또, 접속암(9A, 9B)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속암(9A, 9B)에 외측에서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하는 일도 없어 고장나기 어렵다.
또, 강도있는 금속제의 접속암(9A, 9B)을 이용해서, 슬라이더(6)를 하우징(4)에 록하므로, 강고한 록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도 9A에 나타내듯이 접속암(9B(9A))의 돌출부(16)의 선단부(17)하면에 설치한 경사면(40)이 슬라이드홈(13B)의 하측판부(50)를 따르도록, 접속암(9B(9A))을 경사시킬 수 있으므로, 도 9B에 나타내듯이, 삽입공간(2)에서 삽입볼록부(5)의 아래쪽에 구획되는 FPC(7)의 도입공간(41)의 입구를 상대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FPC(7)를 도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듯이, 한 쌍의 접속암(9A, 9B)의 매설부(16)의 제2부분(22)끼리를 서로 연속시켜, 양 접속암(9A, 9B)을 서로 일체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FPC(7)의 하면이 하방의 컨택트와 접압을 확보하는 소위 하접점타입이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FPC(7)의 상면이 위쪽의 컨택트와 접압을 확보하는 소위 상접점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압입홈이 하우징의 위쪽으로 개방하고 있고, 보강탭을 하우징의 위쪽에서 압입고정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압입홈이 하우징의 아래쪽으로 개방하도록 하고, 보강탭을 하우징의 아래쪽에서 압입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슬라이드홈도 하우징의 아래쪽으로 개방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을 하우징(4)의 삽입공간(2)이 위쪽으로 개방하도록 기판에 대해서 레이아웃하고, 슬라이더(6)가 위쪽에서 삽입되고 빠지는 소위 종형 커넥터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시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암을 금속제로 함으로써, 접속암을 얇고,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접속암을 얇고,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접속암을 하우징측면에 노출시키는 일없이 레이아웃을, 커넥터를 대형화하는 일없이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장척의 주체부와, 주체부에서 연장되어 삽입공간에 꽂히는 삽입볼록부를 포함하고, 각 접속암은 본체의 성형시에 주체부에 매설되는 매설부와, 주체부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소정이 슬라이드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소위 인서트성형을 하므로, 접속암과 합성수지제의 본체와의 결합이 강고하게 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각 접속암의 돌출부를 각각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드홈과, 각 슬라이드홈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각 측벽은 대응하는 슬라이드홈에 삽입된 대응하는 돌출부가 하우징의 측방으로 노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각 접속암을 양측에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접속암을 안정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접속암이 빠지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 접속암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속암에 외측으로부터 불필요한 외력이 작용되는 일도 없이 접속암이 고장나기 어렵다.

Claims (16)

  1. 전기커넥터(1)의 하우징(4)의 삽입공간(2)에 삽입되는 플랫케이블(7)의 끝부를 삽입공간(2)안의 복수의 컨택트(3)에 누름접촉시키기 위한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6)에 있어서,
    합성수지제의 본체(8)와,
    상기 본체(8)에 고정되는 한 쌍의 금속제의 접속암(9A, 9B)을 구비하고,
    각 접속암(9A, 9B)은 하우징(4)에 소정의 방향(Y)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8)는 장척의 주체부(10)와, 주체부(10)에서 연장되어 삽입공간(2)에 삽입되는 삽입볼록부(5)를 포함하고,
    각 접속암(9A, 9B)은 본체(8)의 성형시에 주체부(10)에 매설되는 매설부(15)와, 주체부(10)에서 돌출해서 상기 소정의 방향(Y)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부(15)는 상기 소정의 방향(Y)과 교차하는 방향(Z)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암(9A, 9B)은 판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암(9A, 9B)은 서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암(9A, 9B)은 서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돌출부(16)는 삽입공간(2)에 삽입된 삽입볼록부(5)가 플랫케이블(7)의 끝부를 복수의 컨택트(3)에 누름접촉시킨 상태에서, 대응하는 접속암(9A, 9B)을 하우징(4)에 록하는 록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부(19)는 하우징(4)의 대응하는 부분(25)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돌출부(16)는 하우징(4)의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3A, 13B)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고,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3A, 13B)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삽입볼록부(5)의 삽입공간(2)으로의 삽입 및 빠짐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10. 제9항에 있어서, 각 돌출부(16)의 선단부(17)는 훅부(18)를 포함하고,
    각 훅부(18)는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3A, 13B)의 대응하는 결합부(39)에 결합함으로써, 대응하는 접속암(9A, 9B)이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3A, 13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11. 제9항에 있어서, 각 돌출부(16)의 선단부(17)는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면(40)을 포함하고,
    각 경사면(40)이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3A, 13B)의 바닥에 접촉하는 상태로 대응하는 접속암(9A, 9B)이 경사짐으로써, 삽입공간(2)안의 플랫케이블(7)의 도입공간(41)의 입구가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12. 플랫케이블(7)의 끝부를 빼내기가능하게 접속하는 전기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플랫케이블(7)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2)을 구획하는 하우징(4)과,
    상기 삽입공간(2)에 삽입되는 플랫케이블(7)의 끝부를 삽입공간(2)안의 복수의 컨택트(3)에 누름접촉시키기 위한 리테이너(6)를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6)는 합성수지제의 본체(8)와, 상기 본체(8)에 고정되는 한 쌍의 금속제의 접속암(9A, 9B)을 포함하고,
    각 접속암(9A, 9B)은 하우징(4)에 소정의 방향(Y)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8)는 장척의 주체부(10)와, 주체부(10)에서 연장되어 삽입공간(2)에 꽂히는 삽입볼록부(5)를 포함하고,
    각 접속암(9A, 9B)은 본체(8)의 성형시에 주체부(10)에 매설되는 매설부(15)와, 주체부(10)에서 돌출해서 상기 소정의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은 각 접속암(9A, 9B)의 돌출부(16)를 각각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13A, 13B)과,
    각 슬라이드홈(13A, 13B)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측벽(26, 27)을 포함하고,
    각 측벽(26, 27)은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3A, 13B)에 삽입된 대응하는 돌출부(16)가 하우징(4)의 측방으로 노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각 접속암(9A, 9B)의 돌출부(16)는 록부(19)를 포함하고,
    각 슬라이드홈(13A, 13B)에는 대응하는 돌출부(16)의 록부(19)에 결합하는 결합부(25)가 설치되고,
    각 록부(19)는 삽입볼록부(5)가 플랫케이블(7)의 끝부를 복수의 컨택트(3)에 누름접촉시키는 상태에서, 대응하는 접속암(9A, 9B)을 하우징(4)에 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접속암(9A, 9B)의 돌출부(16)는 훅부(18)를 포함하고,
    각 슬라이드홈(13A, 13B)에는 결합부(39)가 설치되고,
    각 돌출부(16)의 훅부(18)가 대응하는 결합부(39)에 결합함으로써, 각 접속암(9A, 9B)이 대응하는 슬라이드홈(13A, 13B)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KR1020000044859A 1999-08-03 2000-08-02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KR100742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20283A JP2001052785A (ja) 1999-08-03 1999-08-03 スライダ及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
JP99-220283 1999-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189A true KR20010021189A (ko) 2001-03-15
KR100742599B1 KR100742599B1 (ko) 2007-07-25

Family

ID=1674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859A KR100742599B1 (ko) 1999-08-03 2000-08-02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15602B1 (ko)
EP (1) EP1075046B1 (ko)
JP (1) JP2001052785A (ko)
KR (1) KR100742599B1 (ko)
CN (1) CN1150664C (ko)
DE (1) DE60036583T2 (ko)
TW (1) TW48078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142B1 (ko) * 2000-12-19 2004-12-2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잠금기능을 가지는 박형 전기 커넥터
KR100699210B1 (ko) * 2004-01-19 2007-03-2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장착 대상물에 고정되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되는 카드와접촉하는 스토퍼를 갖는 카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881A (ja) * 2001-10-15 2003-04-25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3168519A (ja) * 2001-11-30 2003-06-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6475026B1 (en) * 2001-12-10 2002-11-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DE10262045B4 (de) * 2002-10-31 2005-06-02 Fci Verbinder für Flex-Flachbandkabel
TWM281310U (en) * 2005-04-01 2005-11-2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onnector
CN2800515Y (zh) * 2005-04-08 2006-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113500B1 (ko) 2009-09-14 2012-02-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과 플러그 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JP5631102B2 (ja) * 2010-08-10 2014-11-26 矢崎総業株式会社 平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600523B2 (ja) * 2010-08-27 2014-10-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TWI442215B (zh) * 2011-07-06 2014-06-21 Wistron Corp 具有固定一鍵盤機構之功能的電子裝置
JP5668669B2 (ja) * 2011-11-09 2015-02-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6159494B (zh) * 2016-08-29 2019-01-04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背板连接器母端和背板连接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6989A (en) * 1979-06-04 1981-10-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conductor flat cable connector
US4431248A (en) * 1981-01-27 1984-02-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at cable connector
DE3248522A1 (de) * 1982-12-29 1984-07-0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olienkabel fuer die verdrahtung von elektrotechnischen geraeten
US4621885A (en) * 1985-09-20 1986-11-11 Amp Incorporated Ribbo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cover latch
US5021002A (en) * 1989-12-20 1991-06-04 Burndy Corporation Snap-lock electrical connector with quick release
JPH0682783U (ja) 1993-04-27 1994-11-25 日本バーンデイ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7106028A (ja) 1993-10-12 1995-04-21 Kiyousera Elco Kk Fpcコネクタ装置
US5486117A (en) * 1994-08-09 1996-01-23 Molex Incorporated Locking syste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882223A (en) * 1996-02-21 1999-03-16 Japan Aviation D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which is adapted to connect a flat connection object having a signal pattern and a shield pattern opposite to each other
JPH09283236A (ja) 1996-04-09 1997-10-31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H1022009A (ja) * 1996-07-05 1998-01-23 Amp Japan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269029B2 (ja) * 1998-06-16 2002-03-25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TW435851U (en) * 1998-12-24 2001-05-16 Hon Hai Prec Ind Co Ltd Locking device of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142B1 (ko) * 2000-12-19 2004-12-2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잠금기능을 가지는 박형 전기 커넥터
KR100699210B1 (ko) * 2004-01-19 2007-03-2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장착 대상물에 고정되며 카드 커넥터에 삽입되는 카드와접촉하는 스토퍼를 갖는 카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5046A3 (en) 2002-05-22
CN1150664C (zh) 2004-05-19
TW480782B (en) 2002-03-21
EP1075046B1 (en) 2007-10-03
CN1291805A (zh) 2001-04-18
DE60036583D1 (de) 2007-11-15
US6315602B1 (en) 2001-11-13
DE60036583T2 (de) 2008-07-03
KR100742599B1 (ko) 2007-07-25
EP1075046A2 (en) 2001-02-07
JP2001052785A (ja) 200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6127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0742599B1 (ko)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KR20160117228A (ko) 커넥터
US11978973B2 (en) Connector
US11233346B2 (en) Board-to-board connector
JP2010097724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231651B2 (ja) 電気コネクタ
CN111146630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100716512B1 (ko)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JP2017117734A (ja) コネクタ
US6969274B2 (en) Connector small in size and simple in structure
CN109478746B (zh) 连接器
US10965051B2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for easier insertion of a terminal into a housing
EP1467439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20123504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flat-type conductor
EP1170825A2 (en) Electrical connector
US6729915B2 (en)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method of assembling it
US723233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 strengthen member
US20090298345A1 (en) Connector
KR20180092832A (ko) 커넥터
US1168897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at-type condu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074164B2 (ja) コネクタ
JP2001052787A (ja) 接続アーム付きスライ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