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832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832A
KR20180092832A KR1020180006601A KR20180006601A KR20180092832A KR 20180092832 A KR20180092832 A KR 20180092832A KR 1020180006601 A KR1020180006601 A KR 1020180006601A KR 20180006601 A KR20180006601 A KR 20180006601A KR 20180092832 A KR20180092832 A KR 2018009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insulator
connector
fpc
clos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973B1 (ko
Inventor
후미히토 이케가미
이사오 마츠우라
아츠후미 무라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저배화한 상태라도 박형화한 접속 대상물의 보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10)는, 측연부에 돌출 설치한 계합부(63)를 가지는 접속 대상물(60)을 삽입 및 발거 가능한 삽입 홈(21)과, 접속 대상물(60)이 삽입 홈(21)에 삽입되었을 때에 계합부(63)와 계합하는 발지부(27)를 가지는 인슐레이터(20)와, 접속 대상물(60)을 가압하는 폐쇄 위치와, 접속 대상물(60)을 가압하지 않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가동 가능한 액추에이터(50)를 구비하고, 액추에이터(50)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60)의 계합부(63)와 맞닿는 돌기부(56)를 가진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기기 등에 이용되는 FPC(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용 커넥터 또는 FFC(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는, 감합한 FPC 또는 FFC와 커넥터가 부주의하게 빠지지 않도록, 보지력(保持力)(발거력(拔去力))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FPC의 단말 부분의 양 측연부(側緣部)에 설치된 위치 결정 계지판(係止板)이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록판과 계합(engaging)한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6-129124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에서는, FPC 또는 FFC의 보지력을 얻기 위하여, 인슐레이터와 FPC 또는 FFC의 걸림 마진을 크게 하는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커넥터의 소형·저배화(低背化)가 현저한 작금에는, 충분한 걸림 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게다가, FPC 또는 FFC 등의 접속 대상물 자체도 박형화(薄型化)가 진행되고 있고, 인슐레이터와 계지하는 부분의 강성이 저하하여 휘기 쉬워져 걸림 마진이 안정적이지 않은, 즉 보지력이 저하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러한 관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적은, 저배화한 상태라도 박형화한 접속 대상물의 보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는,
측연부에 돌출 설치한 계합부를 가지는 접속 대상물을 삽입 및 발거 가능한 삽입 홈과,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 발지부(拔止部)
를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압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압하지 않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가동(可動) 가능한 액추에이터
를 구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계합부와 맞닿는 돌기부를 가진다.
제 2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에서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계합부를 상기 액추에이터의 닫힘 방향으로 내리누른다.
제 3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에서는,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계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탑재면보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닫힘 방향측에 상기 계합부를 수용 가능한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를 가진다.
제 4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에서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계합부의 상면과 상기 발지부의 상면이, 대략 동일한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돌기부의 선단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발지부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닫힘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5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에서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시(斷面視)에 있어서, 상기 닫힘 방향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배화한 상태라도 박형화한 접속 대상물의 보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및 FPC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및 FPC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화살선을 따르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 화살선을 따르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FPC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FPC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도 6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FPC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도 1의 Ⅸ-Ⅸ 화살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 10은, FPC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FPC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9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변형례에 관련된 커넥터의 도 6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10)는, 일례로서,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인 FPC(60)(접속 대상물)와 접속되는 것으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인슐레이터에 장착된 금속제의 콘택트를 통하여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이면, 임의의 커넥터여도 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10)는 FPC 대신에 FFC와 접속되어도 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10) 및 FPC(60)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10) 및 FPC(60)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10)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10)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화살선을 따르는 커넥터(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 화살선을 따르는 커넥터(1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FPC(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도 3에 나타내는 대로, 큰 구성 요소로서 인슐레이터(20), 콘택트(30), 고정 금구(40) 및 액추에이터(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대로, 커넥터(10)는 회로 기판(CB) 상에 장착된다. 커넥터(10)는, FPC(60)와 회로 기판(CB)을 콘택트(3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이면서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다. 인슐레이터(20)의 상면의 전부(前部)에는 FPC(6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홈(21)이 오목 설치되어 있다. 삽입 홈(21)의 전면(前面) 및 전부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삽입 홈(21)의 후부는,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까지 이르러 있다(도 5 참조). 삽입 홈(21)의 후부의 바닥면은, FPC(60), 특히, 그 선단의 바닥면이 탑재되는 탑재면(21a)을 구성한다. 인슐레이터(20)의 후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장착 홈(22)이 형성된다(도 4 참조). 복수의 장착 홈(22)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도록 형성된다. 인슐레이터(20)의 후면을 따르는 장착 홈(22)의 표면 형상은, 상하 방향으로 긴 변을 가지고, 좌우 방향으로 짧은 변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 형상이다. 장착 홈(22)의 긴 변 및 짧은 변의 길이는, 후술과 같이 콘택트(30)를 장착 홈(22) 내에 압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 대응하는 콘택트(30)의 후면의 상하폭 및 좌우폭보다 약간 크다. 각 장착 홈(22)의 후부는, 인슐레이터(20)의 후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각 장착 홈(22)의 전부는, 삽입 홈(21)의 바닥면에 오목 설치되어 있다. 인슐레이터(20)의 하단부에는, 장착 홈(22)의 바닥면과 하방으로 연속하도록 바닥벽(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10)가 회로 기판(CB) 상에 장착된 경우, 바닥벽(23)은, 장착 홈(22)의 바닥면과 회로 기판(CB)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 측부에는 한 쌍의 측벽(24)이 형성된다. 좌우의 측벽(24)의 내측면의 전단(前端) 상부에는, 폐쇄 위치 보지 돌기(25)가 돌출 설치된다.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 측부 근방에는, 좌우의 측벽(24)의 바로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구 고정 홈(26)이 형성된다. 금구 고정 홈(26)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금구 고정 홈(26)의 전부의 상하 양면도 개방되어 있다. 금구 고정 홈(26)의 후부의 상하 양면 및 좌우 양면은 인슐레이터(20)에 의해 막혀 있다. 금구 고정 홈(26)의 후단은, 인슐레이터(20)의 후단면에까지 이르러 있다(도 4 참조).
금구 고정 홈(26)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전단부에는, 발지부(27)가 각각 상향으로 형성된다(도 3 참조). 발지부(27)의 전면(27a)과 후면(27b)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구성된다. 발지부(27)의 상면(27c)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에 의해 구성된다. 발지부(27)는,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발지부(27)의 후방에는, 인슐레이터(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8)이, 발지부(27)와 인접하여 형성된다. 관통 구멍(28)은, 후술하는 FPC(60)의 계합부(63)를 수용한다. 관통 구멍(28)의 형상 및 크기는, 계합부(63)를 수용 가능하면, 임의의 형상 및 크기여도 된다.
복수의 콘택트(30)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구리, 또는 티탄구리)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順送)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시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도 5 참조). 콘택트(30)는, 그 표면에 베이스가 되는 베이스 도금이 형성되고, 베이스 도금의 상면의 일부에 표층 도금이 적층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30)는, 측면시 대략 コ자형이다. 콘택트(30)는, 선단에 접촉 돌기부(32)를 가지는 접촉 아암(31)과, 접촉 아암(31)을 지지하는 아암 지지부(33)와, 접촉 아암(31)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하면의 선단 근방에 지지 오목부(35)를 가지는 누름 아암(34)을 가진다. 콘택트(30)는, 후단에 돌출 설치한 실장부(36)를 가진다. 후술하는 대로, 콘택트(30)의 실장부(36)는, 납땜에 의해 회로 기판(CB) 상의 회로 패턴과 접속된다.
각 콘택트(30)는, 각 장착 홈(22)에 장착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지지된다. 즉, 각 콘택트(30)는, 인슐레이터(20)의 각 장착 홈(22)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압입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콘택트(30)를 장착 홈(22)에 압입하면, 아암 지지부(33)가 인슐레이터(20)의 바닥벽(23)의 상면에 지지된다. 접촉 아암(31)(접촉 돌기부(32))은 삽입 홈(21) 내에 위치한다. 누름 아암(34)의 상면에 돌출 설치한 계지 돌기(37)는, 대응하는 장착 홈(22)의 상면에 들어간다(도 5 참조). 이상에 의해, 콘택트(30)는 장착 홈(22)에 대하여 고정 상태가 된다. 콘택트(30)가 장착 홈(22)에 대하여 고정 상태가 되면, 콘택트(30)의 표면은, 장착 홈(22)의 내면에 대하여 근접 또는 맞닿는다. 실장부(36)는, 인슐레이터(20)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한다. 실장부(36)의 하면은 인슐레이터(20)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좌우 한 쌍의 고정 금구(40)는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품이고,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 단부에 장착된다(도 3 참조). 고정 금구(40)의 상면에는, 액추에이터(50)를 지지하는 지지부(41)가 형성된다. 고정 금구(40)의 하단부에는, 측방, 즉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대략 L자 형상의 실장부(42)가 돌출 설치된다. 고정 금구(4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고정된다.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 부재인 회전식의 액추에이터(50)는,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금속제의 성형형(成形型)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한 것이다. 좌우 양 측부에는 측부 아암(51)이 각각 설치된다. 액추에이터(50)의 하단부 근방에는, 액추에이터(50)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52)이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된다. 각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52)의 바로 아래에는, 각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52)의 하단을 막는 회전 중심축(53)이 형성된다(도 5 참조). 소정의 이웃하는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52)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하단부에는, 캠부(54)가 설치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액추에이터(50)의 측부 아암(51)의 선단에는, 폐쇄 위치 보지 돌기(55)가 외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다(도 3 참조). 측부 아암(51)의 내측에는, 돌기부(56)가 액추에이터(5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된다.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액추에이터(50)를 대략 직교시킨 상태에서, 대응하는 콘택트(30)의 누름 아암(34)이 각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52)에 삽입된다. 지지 오목부(35)는 회전 중심축(53)에 계합한다(도 5 참조). 좌우의 측부 아암(51)의 기단부(基端部)는, 좌우의 고정 금구(40)의 지지부(41)에 탑재된다. 이상에 의해, 액추에이터(50)는 콘택트(30) 및 고정 금구(40)에 대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41)에 의해 측부 아암(51)의 기단부가 지지되면, 각 콘택트(30)의 지지 오목부(35)와 대응하는 회전 중심축(53)과의 계합 관계가 유지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50)는 인슐레이터(20)(FPC(60)의 삽입 탈락 방향)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다. 특히, 액추에이터(50)는 회전 중심축(53)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커넥터(10)는, 전후 방향과 대략 평행한 회로 기판(CB)(도 1의 가상선 참조)의 상면(회로 형성면)에 대하여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콘택트(30)의 실장부(36)는, 회로 기판(CB) 상의 회로 패턴(도시 생략)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탑재된다. 좌우의 고정 금구(40)의 실장부(42)는, 회로 기판(CB) 상의 접지 패턴(도시 생략)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탑재된다. 리플로우 로(爐) 등에 있어서 각 땜납 페이스트를 가열 용융함으로써, 각 실장부(36)는 상기 회로 패턴에 납땜된다. 각 실장부(42)는 상기 접지 패턴에 납땜된다. 그 결과, 커넥터(10)의 회로 기판(CB)으로의 실장이 완료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60)는, 복수의 박막재를 서로 접착하여 구성한 적층 구조이다. FPC(60)는, 연장 방향(전후 방향)의 선단부를 구성하고 또한 다른 부분에 비해 단단한 단부 보강 부재(61)와, 연장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고 또한 단부 보강 부재(61)의 하면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회로 패턴(62)과, 연장 방향의 선단부에 있어서, 측연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계합부(63)를 구비한다. 계합부(63)는,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한 쌍 형성된다. 계합부(63)의 상면(63a)은, 단부 보강 부재(61)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연속하여 형성된다.
FPC(60)(접속 대상물)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액추에이터(50)를 개방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액추에이터(50)를 개방 위치까지 회전시킨 후에, 삽입 홈(21)에 대하여 FPC(60)의 후단부를 앞쪽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삽입한다. 액추에이터(50)를 폐쇄 위치까지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측부 아암(51)의 고정 금구(40)측의 면이 지지부(41)에 접촉한다. 액추에이터(50)의 폐쇄 위치 보지 돌기(55)는, 인슐레이터(20)의 폐쇄 위치 보지 돌기(25)와 계합한다.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5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폐쇄 위치에서 보지된다. 이 때, 액추에이터(50)의 각 캠부(54)는, FPC(60)의 상면에 대하여 면 접촉하여, FPC(6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FPC(60)의 회로 패턴(62)은, 각 콘택트(30)의 접촉 아암(31)을 하방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접촉 돌기부(32)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한다(도 7 참조).
FPC(60)를 삽입하여 액추에이터(50)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0)와 FPC(60)와의 계합의 모습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FPC(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도 6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FPC(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도 1의 Ⅸ-Ⅸ 화살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 10은, FPC(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FPC(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9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FPC(60)가 인슐레이터(20)의 삽입 홈(21)에 삽입되면, FPC(60)의 계합부(63)는, 인슐레이터(20)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28) 내에 각각 수용된다(도 8 참조). 관통 구멍(28)은, FPC(60)의 탑재면(21a)보다 닫힘 방향측에 계합부(63)를 수용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인슐레이터(20)의 발지부(27)는 FPC(60)의 발거 방향측, 즉 전측으로부터 계합부(63)와 대향한다. 발지부(27)는 계합부(63)와 계합한다. 액추에이터(50)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계합부(63)의 상면(63a)과 발지부(27)의 상면(27c)은, 대략 동일한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된다.
액추에이터(5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액추에이터(50)의 돌기부(56)가 FPC(60)의 계합부(63)와 맞닿는다. 특히, 돌기부(56)는, 액추에이터(50)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계합부(63)를 액추에이터(50)의 닫힘 방향으로 내리누른다(도 10 및 도 11 참조). 즉, 돌기부(56)는, 인슐레이터(20)의 삽입 홈(21)에 삽입된 FPC(60)의 계합부(63)의 삽입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대로, 돌기부(56)의 좌우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은, 닫힘 방향측, 즉 하방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된다. 특히, 돌기부(56)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사다리꼴이다. 돌기부(56)의 선단, 즉 최하부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발지부(27)의 상면(27c)보다 닫힘 방향측(하방)에 위치한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대로, 폐쇄 위치에 있어서, 돌기부(56)의 최하부는 관통 구멍(28) 내에 수용된다.
액추에이터(50)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계합부(63)의 상면(63a)은, 돌기부(56)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내리눌려진 만큼, 발지부(27)의 상면(27c)보다 하방에 위치한다(도 10 및 도 11 참조). 계합부(63)는, 돌기부(56)에 의한 닫힘 방향으로의 내리누름에 의해 휘어, 외측을 향할수록 발지부(27)의 상면(27c)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간한다.
이상과 같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10)는, 저배화한 상태라도 박형화한 FPC(60)의 보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FPC(60)의 박형화에 따라 계합부(63)의 강성이 저하하여, 휘기 쉬워진 경우라도, 돌기부(56)와 계합부(63)와의 맞닿음에 의해, 걸림 마진이 안정적이다. 돌기부(56)에 의한 계합부(63)의 닫힘 방향으로의 내리누름에 의해, 계합부(63)는 하방으로 휜다. 이에 의해, 계합부(63)와 발지부(27)와의 걸림 마진이 늘어난다. 이와 같이, 커넥터(10)는, 계합부(63)도 포함시켜 탑재면(21a)에 평탄하게 FPC(60)를 탑재한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보지력을 얻을 수 있다.
커넥터(1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하방에 관통 구멍(28)을 설치하여 걸림 마진을 증대시키고 있기 때문에, 발지부(27)의 바닥벽(23)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증대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커넥터(10)는, FPC(60)의 삽입 시에, FPC(60)와 발지부(27)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FPC(60)의 삽입성을 유지할 수 있다.
FPC(60)의 삽입 시에 계합부(63)의 상면(63a)과 발지부(27)의 상면(27c)이 대략 동일한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돌기부(56)의 최하부가, 폐쇄 위치에 있어서, 발지부(27)의 상면(27c)보다 닫힘 방향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돌기부(56)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계합부(63)를 확실하게 휘게 한다. 따라서, 커넥터(10)는, 바닥벽(23)으로부터의 발지부(27)의 돌출량을 불필요하게 증대시키지 않고, 계합부(63)와 발지부(27)와의 걸림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보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상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의 기술(記述)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 가지의 변경은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대로, 돌기부(56)의 액추에이터(5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은 테이퍼 형상, 특히 대략 사다리꼴인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부(56)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반원형 등, FPC(60)의 계합부(63)를 닫힘 방향으로 내리누를 수 있는 형상이면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돌기부(56)는 대략 사다리꼴 이외의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돌기부(56)는, 계합부(63)를 닫힘 방향으로 내리누르는 양이 외측을 향할수록 커지는 단면 형상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돌기부(56)의 단면 형상은, 액추에이터(50)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 설치량이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할수록 증대하도록, 직선 형상의 경사면을 닫힘 방향측에 가지는 삼각형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돌기부(56)의 단면 형상에 의해, 돌기부(56)는, 좌우 방향의 단면시에 있어서, 내측으로부터 외측까지 대략 균일하게 계합부(63)를 가압한다. 따라서, 커넥터(10)는, 계합부(63)의 일부에 극도의 가압을 가하지 않고, 보다 자연스럽게 계합부(63)를 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변형례에 관련된 커넥터(10)의 도 6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커넥터(10)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50)의 돌기부(56)와 대응하는 위치에, 인슐레이터(20)의 관통 구멍(28)을 가지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에 나타내는 대로, 커넥터(10)는, 관통 구멍(28) 대신에 오목부(29)를 가져도 된다. 오목부(29)의 형상 및 크기는, 계합부(63)를 수용 가능하면, 임의의 형상 및 크기여도 된다. 오목부(29)는, 돌기부(56)에 의한 계합부(63)의 닫힘 방향으로의 압입이 가능하면, 임의의 깊이로 오목 설치되어도 된다.
커넥터(10)는, 관통 구멍(28) 및 오목부(29)의 어느 것도 갖지 않고, 계합부(63)보다 외측에는 인슐레이터(20)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인슐레이터(20)의 측벽(24) 및 금구 고정 홈(26)을 생략하여, 당해 구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슐레이터(20)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즉, FPC(60)의 측연부보다 외측에는, 인슐레이터(20)의 발지부(27)만이 존재하도록, 인슐레이터(20)가 형성되어도 된다.
돌기부(56)의 최하부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발지부(27)의 상면(27c)보다 닫힘 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부(56)의 최하부는, 계합부(63)를 내리눌러 발지부(27)와의 걸림 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돌기부(56)의 최하부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발지부(27)의 상면(27c)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해도 된다. 이 경우, 돌기부(56)는, FPC(60)가 삽입되어 액추에이터(50)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발지부(27)의 상면(27c)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는 계합부(63)의 상면(63a)을 내리누르도록 구성된다.
인슐레이터(20)의 발지부(27)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전면(27a) 및 후면(27b), 및 전후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상면(27c)에 의해,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지부(27)는, 전면(27a)의 상연부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는 전측 경사면 및 후면(27b)의 상연부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는 후측 경사면을 가져도 된다. 전측 경사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을 향하는 경사면이다. 후측 경사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을 향하는 경사면이다.
10 : 커넥터
20 : 인슐레이터
21 : 삽입 홈
21a : 탑재면
22 : 장착 홈
23 : 바닥벽
24 : 측벽
25 : 폐쇄 위치 보지 돌기
26 : 금구 고정 홈
27 : 발지부
27a : 전면
27b : 후면
27c : 상면
28 : 관통 구멍
29 : 오목부
30 : 콘택트
31 : 접촉 아암
32 : 접촉 돌기부
33 : 아암 지지부
34 : 누름 아암
35 : 지지 오목부
36 : 실장부
37 : 계지 돌기
40 : 고정 금구
41 : 지지부
42 : 실장부
50 : 액추에이터
51 : 측부 아암
52 :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
53 : 회전 중심축
54 : 캠부
55 : 폐쇄 위치 보지 돌기
56 : 돌기부
60 : FPC(접속 대상물)
61 : 단부 보강 부재
62 : 회로 패턴
63 : 계합부
63a : 상면
CB : 회로 기판

Claims (5)

  1. 측연부에 돌출 설치한 계합부를 가지는 접속 대상물을 삽입 및 발거 가능한 삽입 홈과,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 발지부
    를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압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압하지 않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가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를 구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계합부와 맞닿는 돌기부를 가지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계합부를 상기 액추에이터의 닫힘 방향으로 내리누르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계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탑재면보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닫힘 방향측에 상기 계합부를 수용 가능한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를 가지는,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계합부의 상면과 상기 발지부의 상면이, 대략 동일한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돌기부의 선단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발지부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닫힘 방향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5.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시에 있어서, 상기 닫힘 방향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되는, 커넥터.
KR1020180006601A 2017-02-09 2018-01-18 커넥터 KR102143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22446 2017-02-09
JP2017022446A JP6881996B2 (ja) 2017-02-09 2017-02-09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832A true KR20180092832A (ko) 2018-08-20
KR102143973B1 KR102143973B1 (ko) 2020-08-12

Family

ID=6312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601A KR102143973B1 (ko) 2017-02-09 2018-01-18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81996B2 (ko)
KR (1) KR102143973B1 (ko)
CN (1) CN10841801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138B1 (ko) 2018-09-28 2020-02-10 현대자동차(주) 커넥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620A (ko) * 2001-06-07 2002-12-1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속되는 대상물의 위치를 신뢰성 있게 수정하는 기능을갖춘 커넥터
JP2008053123A (ja) * 2006-08-25 2008-03-06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JP2008171706A (ja) * 2007-01-12 2008-07-24 D D K Ltd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に使用される抜去部品
JP2011181335A (ja) * 2010-03-01 2011-09-15 Molex Inc コネクタ、及び、平型電線と当該平型電線が接続されるコネクタとを有する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KR20130100699A (ko) * 2012-03-01 2013-09-1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JP2016100253A (ja) * 2014-11-25 2016-05-30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6129124A (ja) 2015-01-09 2016-07-1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6635B2 (ja) * 2009-06-02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16695B2 (ja) * 2010-03-03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45006B1 (ja) * 2011-09-26 2012-06-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620A (ko) * 2001-06-07 2002-12-1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속되는 대상물의 위치를 신뢰성 있게 수정하는 기능을갖춘 커넥터
JP2008053123A (ja) * 2006-08-25 2008-03-06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JP2008171706A (ja) * 2007-01-12 2008-07-24 D D K Ltd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に使用される抜去部品
JP2011181335A (ja) * 2010-03-01 2011-09-15 Molex Inc コネクタ、及び、平型電線と当該平型電線が接続されるコネクタとを有する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KR20130100699A (ko) * 2012-03-01 2013-09-1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JP2016100253A (ja) * 2014-11-25 2016-05-30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6129124A (ja) 2015-01-09 2016-07-1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138B1 (ko) 2018-09-28 2020-02-10 현대자동차(주) 커넥터
US10873152B2 (en) 2018-09-28 2020-12-22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29232A (ja) 2018-08-16
CN108418011A (zh) 2018-08-17
CN108418011B (zh) 2020-05-05
JP6881996B2 (ja) 2021-06-02
KR102143973B1 (ko)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510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192219B2 (en) Connector for plate-shaped object
US8128429B2 (en) FPC U-shaped nail
JP4863317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008302B1 (ko) 편평한 단자용 커넥터
KR20160117228A (ko) 커넥터
KR101624397B1 (ko) 커넥터
JP373215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JP6462634B2 (ja) コネクタ
JP7473613B2 (ja) 金具、金具付き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TWI354412B (ko)
KR100716512B1 (ko)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KR100742599B1 (ko)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JPWO2018012243A1 (ja) コネクタ
EP1170825A2 (en) Electrical connector
US6729915B2 (en)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method of assembling it
US20140113462A1 (en) Connector
KR20180092832A (ko) 커넥터
JP7038597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9755339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flat circuit body
JP600263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JP2020194637A (ja) コネクタ、及び、基板付きコネクタ
US20180076543A1 (en) Connector
JP201910229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