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303A -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서의 점도 이동률 조절 - Google Patents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서의 점도 이동률 조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303A
KR20010020303A KR1019997009907A KR19997009907A KR20010020303A KR 20010020303 A KR20010020303 A KR 20010020303A KR 1019997009907 A KR1019997009907 A KR 1019997009907A KR 19997009907 A KR19997009907 A KR 19997009907A KR 20010020303 A KR20010020303 A KR 20010020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sity
cst
combination
detergent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252B1 (ko
Inventor
로날드 제이. 뮈어
레오나드 매튜스
테오 아이. 엘리아데스
Original Assignee
요셉 제이. 웨이터
씨케이 위트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셉 제이. 웨이터, 씨케이 위트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요셉 제이. 웨이터
Publication of KR2001002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5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of unknown or incompletely defined constitution
    • C10M159/12Reaction products
    • C10M159/20Reaction mixtures having an excess of neutralising base, e.g. so-called overbasic or highly basic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5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of unknown or incompletely defined constit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5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of unknown or incompletely defined constitution
    • C10M159/12Reaction products
    • C10M159/20Reaction mixtures having an excess of neutralising base, e.g. so-called overbasic or highly basic products
    • C10M159/22Reaction mixtures having an excess of neutralising base, e.g. so-called overbasic or highly basic products containing phenol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5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of unknown or incompletely defined constitution
    • C10M159/12Reaction products
    • C10M159/20Reaction mixtures having an excess of neutralising base, e.g. so-called overbasic or highly basic products
    • C10M159/24Reaction mixtures having an excess of neutralising base, e.g. so-called overbasic or highly basic products containing sulfonic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a compound of unknown or incompletely defined constitution and a non-macromolecular compound,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07/028Overbased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07/125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eight up to twenty-nine carbon atoms, i.e.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2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07/129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having hydrocarbon chains of thirty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40Fatty vegetable or animal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40Fatty vegetable or animal oils
    • C10M2207/404Fatty vegetable or animal oils obtained from genetically modified spec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04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sulfur-to-oxygen bonds, i.e. sulfones, sulfoxides
    • C10M2219/046Overbasedsulfonic acid sal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점도의 증가 또는 이동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히 승온에서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서 일어난다. 점도 이동률은 친유성 기 및 또한 2차 히드록실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의 첨가량을 첨가하므로써 조절된다.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0 중량% 양의 조절제를 첨가하면 약 37 ℃ 내지 82 ℃의 승온에서 약 4주 동안 저장된 세정제에서 약 10 % 이하로 최소한의 점도 이동률이 생긴다. 점도 이동률 조절제의 정도는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 첨가되는 첨가제의 양에 비례한다. 바람직한 점도 이동률 조절제에는 디노닐 페놀과 같은 알킬화된 페놀, 카놀라유 및 호호바유와 같은 식물성유 및 12-히드록시 스테아르산과 같은 카르복실산이 있다. 점도 이동률 조절제가 극히 오버베이스된 칼슘 술포네이트에 대해 특히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서의 점도 이동률 조절 {Viscosity Drift Control in Overbased Detergents}
오버베이스된 세정제는 윤활유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오버베이스된 세정제는 윤활유 중에 혼입하기 전에 수송되고 저장된다. 종종 저장 및 수송 상태는 세정제를 주위 온도 보다 상당히 높은 온도에 장기간 동안 노출시킨다. 일부 오버베이스된 세정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리고 승온하에 점도가 증가한다. 이 점도의 증가 또는 이동에 의해 세정제는 초기 특정화된 점도를 갖는 표준 규격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어떤 경우에는 저장된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의 점도가 윤활유 중에 배합하고 사용하는데 적절하지 않을 정도로 증가하게 된다. 윤활유 분야는, 미국 특허 제5,011,618호 (Papke et al.) 및 제4,387,033호 (Lenack el al.)에 논의된 바와 같이 취급 및 여과성 문제 때문에 점도가 높은 오버베이스된 세정제를 배제하였다.
오버베이스된 칼슘 술포네이트 세정제는 일반적으로 100 ℃에서 약 200 내지 250 cSt 이하의 점도를 갖도록 요구되지만, 승온하에 몇주 동안 저장된 후 점도는 100 ℃ 이상에서 400 cSt 까지 이동된다. 증가되거나 높은 점도의 오버베이스된 칼슘 술포네이트는 윤활유에 배합하고 사용하는데 부적절하게 된다. 오버베이스된 세정제 분야에서는 점도 이동률 조절제 또는 조절계가 요구되고 있다.
특정 성능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특정 알킬 페놀 및 식물성 오일을 마무리처리된 배합 윤활유에 첨가하는 것은 윤활유 분야에 알려져 있지만,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 첨가할 때 이러한 첨가제의 제한된 양의 첨가제는, 마무리 처리된 윤활유에 세정제를 배합하기 전에 장기간 저장시 점도 이동률을 효과적으로 조절시킨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점도 이동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의 변화 (증가)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점도 이동률 조절"은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의 변화 (증가)를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서 점도 이동률 조절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 대한 점도 이동률 조절계는 친유성 기 및 2차 히드록실 관능기를 갖는 첨가량의 화합물을 첨가하므로써 달성된다. 이 점도 이동률 조절 첨가제 또는 제제가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 첨가량으로 첨가될 때, 점도는 승온에서 몇주 동안 지난 후 거의 변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 증가된 상태로 남아있는 반면, 제제가 첨가되지 않은 경우 점도는 상업적으로 허용불가능한 정도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제에 의해 오버베이스된 생성물이 표준 규격으로 유지된다.
오버베이스된 세정제 중에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0 중량%의 양의 점도 이동률 조절제가 효과적이다. 이 첨가량의 점도 이동률 조절제는 점도 이동률을 약 35 ℃ 이상의 승온에서 4주가 지남에 따라 초기 점도보다 10 % 이하로 증가율을 감소시켰다.
점도 이동률 조절제는 일반적으로 (1) 식물성유, (2) 카르복실산 및 (3) 알킬 페놀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설명>
광범위한 일면에서 본 발명의 점도 이동률 조절제는 친유성 기 및 2차 히드록실 관능기를 모두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2차 히드록실 관능기로는 OH,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소 결합과 같은 OH-HO 수소 결합 (예를 들어, 식물성 오일) 및 이 관능기의 에스테르 형태의 OH를 들 수 있다. 조절제 또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중간 정도의 분자량 (MW)을 갖는다. 점도 이동률 조절제는 분자량이 약 150 내지 1,000 또는 그 이상이고 실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280 내지 1,000이다.
일반적으로 3개 군의 화합물이 본 발명에 따른 점도 이동률 조절제의 상기 정의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점도 이동률 조절제의 군에는 친유성 기 및 다른 2차 히드록실 관능기를 갖는, (1) 식물성유, (2) 카르복실산 및 (3) 알킬 페놀이 포함된다. 적절한 식물성유에는 카놀라유, 호호바유, 해바라기유, 평지씨유, 아마씨유 및 야자씨유 등이 포함된다. 카놀라유 및 호호바유와 같은 식물성유가 바람직하다. 알킬 페놀에는 모노, 디, 선형 및 분지쇄 알킬 페놀이 포함된다. 알킬 페놀의 알킬기는 탄소수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20일 수 있다. 유용한 알킬 페놀에는 헵틸 페놀, 옥틸 페놀, 도데실 페놀, 노닐 페놀 및 시클로헥실 페놀이 있다. 용어 "알킬 페놀" 또는 "알킬 페놀계"는 본 명세서에 하나 이상의 알킬 페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디노닐 페놀이 바람직한 알킬 페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카르복실산에는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라우롤레산, 미리스톨레산, 팔미톨레산, 올레산, 가돌레산, 에루크산, 리시놀레산, 리놀레산 및 리놀레산이 포함된다. 12-히드록시 스테아르산이 바람직한 카르복실산이다. 상기 유용한 화합물은 친유성 기를 함유하고 또한 2차 히드록실 관능기도 함유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0 중량% 양의 점도 이동률 조절제가 효과적이다. 점도 이동률 조절 효과는 세정제에 첨가되는 제제의 양에 비례한다. 본 발명의 조절제의 첨가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점도 이동률은 4주가 지난 후 약 10 % 이하이다. 즉, 오버베이스된 세정제 및 조절제의 배합물의 초기 점도는 4주가 지난 후 약 10 % 이하로 증가하거나 이동한다. 0.1 내지 5 중량%의 조절제가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 첨가되고 세정제가 4주 동안 46 ℃ 내지 49 ℃에서 저장된 경우 조절된 점도 이동률은 100 ℃에서 약 5 내지 25 cSt이다.
일반적으로, 약 4주 동안 특히, 약 35 ℃ 이상의 승온에서 저장된 세정제는 점도 이동률이 적어도 약 30 %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조절제가 0.1 내지 5 중량%의 첨가량으로 세정제에 첨가되는 경우, 점도 이동률은 일반적으로 상기 승온에서 4주 경과후 약 10 % 내지 15 %로 감소된다. 어떤 경우, 본 발명의 점도 조절제는 약 35 ℃ 이상의 승온에서 4주 경과후 점도 이동률을 약 10 % 이하로 감소시킨다.
가장 바람직하고 가장 효과적인 점도 이동률 조절제 중 하나는 알킬 페놀, 특히 디노닐 페놀 (DNP)인 것으로 밝혀졌다. 세정제가 약 37 ℃ 내지 82 ℃의 승온에서 약 4주 동안 저장된 경우, 세정제 중의 0.5 중량%의 DNP는 점도 이동률을 약 10 %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고,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입증되고 있다. 윤활유 분야에서는 상업용 윤활유에 신규 화합물을 도입하는 것이 꺼려진다는 점에서 매우 보수적이다. 알킬 페놀은, 이들이 상업적으로 유용한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인 페네이트와 유사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디노닐 페놀과 같은 알킬 페놀의 사용은 역성능 특성을 야기할 수 있는 윤활유 배합물에 구조적으로 불확실한 화합물을 도입하지 않는 것으로 윤활유 분야에서 인식되고 있다. 더욱이, 0.5 중량%의 DNP만이 매우 효과적이지만, DNP는 최소한의 사용 필요조건 및 저가, 뿐만 아니라 그의 구조적 허용성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 이동률 조절제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과정에 의해 제조되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카놀라유는 특히 유용한 제제이고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며 값싸기 때문에 다른 바람직한 점도 이동률 조절제이다.
오버베이스된 세정제 생성물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과정으로 제조되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유용한 적절한 세정제에는 I 및 II족 금속 술폰네이트, 페네이트 및 카르복실레이트가 포함된다. 오버베이스된 칼슘 술포네이트 및 페네이트가 점도 이동률 조절에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극도로 오버베이스된 술포네이트 및 페네이트는 점도를 증가시키고, 본 발명의 이동률 조절제는 이들 극도로 오버베이스된 생성물에 특히 유용하다. 극도로 오버베이스된 술포네이트 및 페네이트는 약 200, 바람직하게는 400을 초과하는 과량의 TBN을 갖는 것이다.
<실시예 1-3>
오버베이스된 칼슘 술포네이트 (TBN 400)의 시료를, 37.8 ℃ (100 ℉)에서 310 내지 700 SUS의 석유를 술폰화하고, 분자량이 430 내지 560인 합성된 디알킬 벤젠 알킬레이트를 술폰화하여 제조한 술폰산 0 내지 30 %와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술폰산 조성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과정에 따라 수산화칼슘, 용매, 알콜 및 오일의 존재하에 카르보네이트시켜 오버베이스시켰다. 생성물 칼슘 술포네이트는 초기 점도가 100 ℃에서 331 cSt이었고, 디노닐 페놀 (실시예 1), 카놀라유 (실시예 2) 및 호호바유 (실시예 3)로 처리하고, 약 46 ℃ 내지 약 49 ℃에서 몇주 동안 유지시키고 이 기간 동안 점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디노닐 페놀첨가량 (중량%) 점도 (cSt, 100 ℃)
초기 1주 2주 3주 4주
0 331 cSt 377 cSt 402 cSt 424 cSt 446 cSt
0.25 275 cSt 280 cSt 289 cSt 294 cSt 300 cSt
0.50 257 cSt 262 cSt 268 cSt 276 cSt 280 cSt
1.00 238 cSt 245 cSt 250 cSt 256 cSt 259 cSt
2 226 cSt 231 cSt 236 cSt 241 cSt 246 cSt
3 210 cSt 210 cSt 212 cSt 214 cSt 216 cSt
<실시예 2>
카놀라유첨가량 (중량%) 점도 (cSt, 100 ℃)
초기 1주 2주 3주 4주
0.50 255 cSt 262 cSt 273 cSt 285 cSt 311 cSt
1.00 237 cSt 242 cSt 249 cSt 255 cSt 261 cSt
2 212 cSt 213 cSt 217 cSt 222 cSt 227 cSt
5 166 cSt 166 cSt 167 cSt 178 cSt 170 cSt
<실시예 3>
호호바유첨가량 (중량%) 점도 (cSt, 100 ℃)
초기 1주 2주 3주 4주
5.00 142 cSt 147 cSt 150 cSt 154 cSt 155 cSt
실시예 1 내지 3의 결과는, 디노닐 페놀 및 식물성유인 카놀라 및 호호바유가 4주의 연장된 기간이 지남에 따라 46 ℃ 내지 49 ℃의 승온에서 상당한 점도 이동률 조절을 제공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0.2 내지 5 %의 조절제 (즉, 디노닐 페놀, 카놀라유 및 호호바유)를 사용하면 약 46 ℃ 내지 약 49 ℃의 승온하에 4주 후의 점도 이동률은 100 ℃에서 약 5 내지 25 cSt 이하이었다. 실시예 1 및 2는 또한, 점도 이동률 조절이 첨가된 제제의 양에 비례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4>
405 TBN을 갖는 오버베이스된 술폰화칼슘을 다양한 조절제를 첨가하여 71 ℃ 내지 82 ℃에서 저장하고, 점도를 몇주에 걸쳐 측정하였다.
첨가제첨가량 (중량%) 100 ℃에서의 점도 (cSt)
초기 1주 2주 3주 4주
없음 268 289 320 360 405
0.5 % 디노닐 페놀 254 255 266 272 279
1.0 % 디노닐 페놀 235 245 246 253 257
2.0 % 디노닐 페놀 233 231 236 243 246
2.0 % 카놀라유 170 180 180 187 193
2.0 % %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266 261 274 288 295
2.0 % 호호바유 170 180 180 187 192
5.0 % 호호바유 167 171 174 177 178
실시예 4의 결과는, 본 발명의 범주내의 다양한 점도 이동률 조절제가 71 ℃ 내지 82 ℃의 승온에서 4주 동안 세정제를 저장한 경우 약 10 % 이하로 점도 이동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5>
대조
405 TBN을 갖는 오버베이스된 술폰화칼슘을 본 발명의 범주 또는 정의내에 있지 않은 다양한 화합물의 첨가량과 배합하여 71 ℃ 내지 82 ℃에서 저장하고, 점도를 몇주에 걸쳐 측정하였다.
첨가제첨가량 (중량%) 100 ℃에서의 점도 (cSt)
초기 1주 2주 3주 4주
없음 268 289 320 360 405
2 % 물 230 265 310 355 402
2 % Co-530 (에톡실화 페놀) 220 265 297 330 385
1.0 % 로다민 (Rhodamine) T 226 242 280 320 362
실시예 5는, 본 발명의 범주 및 정의내에 들지 않는 다양한 화합물이 점도 이동률 조절제로서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6>
디노닐 페놀 (DNP)
하기 표 6A 및 6B (점도 대 온도)에는, 디노닐 페놀 (DNP)과 함께 또는 없이 405 TBN을 갖는 오버베이스된 술폰화칼슘의 점도에 대해 각각 나타내는데, 이 두 경우에서 세정제는 동일한 특정 온도에서 4주 동안 저장하였다
DNP 없는 400 TBN 오버베이스된 칼슘 술포네이트
점도 (cSt, 100 ℃)
온도 37.8 ℃ 48.9 ℃ 65.6 ℃ 82.2 ℃
초기 193 cSt 193 cSt 193 cSt 193 cSt
1주 194 cSt 203 cSt 207 cSt 209 cSt
2주 196 cSt 201 cSt 216 cSt 216 cSt
3주 203 cSt 220 cSt 232 cSt 236 cSt
4주 207 cSt 228 cSt 251 cSt 265 cSt
0.5 % DNP를 갖는 동일한 400 TBN 오버베이스된 칼슘 술포네이트
점도 (cSt, 100 ℃)
온도 37.8 ℃ 48.9 ℃ 65.6 ℃ 82.2 ℃
초기 181 cSt 181 cSt 181 cSt 181 cSt
1주 183 cSt 186 cSt 184 cSt 188 cSt
2주 178 cSt 182 cSt 186 cSt 189 cSt
3주 181 cSt 186 cSt 191 cSt 195 cSt
4주 187 cSt 189 cSt 193 cSt 201 cSt
표 6A 및 6B의 결과는, 0.5 %의 DNP 이동률 조절제를 사용하므로써 400 TBN 칼슘 술포네이트 세정제의 점도가 승온에서 시험하였지만 4주에 걸쳐 비교적 안정하다는 것을 명백히 입증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버베이스된 칼슘 술포네이트 세정제를 0.5 % DNP와 함께 및 DNP 없이 약 37 ℃ 내지 82 ℃의 온도에서 4주 동안 저장한 경우, DNP가 점도 이동률을 약 10 % 이하로 조절한다는 것을 또한 입증하였다.
본 발명은 특정 알킬 페놀, 식물성유 및 카르복실산에 대해 입증하였지만, 친유성 기 및 2차 히드록실 관능기를 갖는 이러한 모든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든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2)

  1. 오버베이스된 세정제 및 세정제용 점도 이동률 조절제를 포함하며, 상기 점도 조절 이동률 조절제가 친유성 기 및 2차 히드록실 관능기를 포함하고, 첨가량으로 존재하므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정제의 점도 이동률이 감소되는 배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세정제가 술포네이트, 페네이트 및 카르복실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세정제가 오버베이스된 칼슘 술포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세정제가 오버베이스된 칼슘 페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조절제가 알킬 페놀을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알킬 페놀이 디노닐 페놀을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조절제가 식물성유를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식물성유가 카놀라유를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9. 제7항에 있어서, 식물성유가 호호바유를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조절제가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카르복실산이 히드록시 스테아르산을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12. 제1항에 있어서, 약 46 ℃ 내지 약 49 ℃에서 약 4주 동안 저장된 배합물에서 점도 이동률이 100 ℃에서 약 5 내지 25 cSt인 배합물.
  13. 제1항에 있어서, 조절제가 약 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배합물.
  14. 제1항에 있어서, 조절제가 약 0.2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배합물.
  15. 제1항에 있어서, 점도 이동률이 4주에 걸쳐 약 10 % 이하인 배합물.
  16. 오버베이스된 세정제 및 세정제용 점도 이동률 조절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이동률 조절제가 친유성 기 및 2차 히드록실 관능기를 갖는 알킬 페놀을 포함하고, 첨가량으로 존재하므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정제의 점도 이동률이 감소되는 배합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알킬 페놀이 디노닐 페놀을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조절제가 약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배합물.
  19. 제18항에 있어서, 4주 동안 저장된 세정제의 점도 이동률이 약 10 % 이하인 배합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세정제가 약 37 ℃ 내지 82 ℃의 온도에서 저장된 배합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세정제가 디노닐 페놀을 포함하는 것인 배합물,
  22. 제21항에 있어서, 디노닐 페놀이 약 0.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배합물.
KR1019997009907A 1998-02-26 1999-02-25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서의 점도 이동률 조절을 위한 배합물 KR100641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28498A 1998-02-26 1998-02-26
US9/031,284 1998-02-26
US09/031,284 1998-02-26
PCT/US1999/004153 WO1999043771A1 (en) 1998-02-26 1999-02-25 Viscosity drift control in overbased deterg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303A true KR20010020303A (ko) 2001-03-15
KR100641252B1 KR100641252B1 (ko) 2006-11-02

Family

ID=2185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907A KR100641252B1 (ko) 1998-02-26 1999-02-25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서의 점도 이동률 조절을 위한 배합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39084B1 (ko)
EP (1) EP0991739B1 (ko)
JP (1) JP4442933B2 (ko)
KR (1) KR100641252B1 (ko)
AU (1) AU3312399A (ko)
BR (1) BR9904841A (ko)
CA (1) CA2288205C (ko)
DE (1) DE69925790T2 (ko)
WO (1) WO1999043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2933B2 (ja) 1998-02-26 2010-03-31 ケムチュラ・コーポレーション 過塩基化洗浄剤の粘度変化制御
US20050124510A1 (en) * 2003-12-09 2005-06-09 Costello Michael T. Low sediment friction modifiers
EP1721958A1 (en) * 2005-05-10 2006-11-15 Infineum International Limited Detergent
US20090305924A1 (en) * 2006-08-07 2009-12-10 Alexandra Mayhew Method of Lubric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119101B2 (en) 2014-04-28 2018-11-06 Ecolab Usa Inc. Method of minimizing enzyme based aerosol mist using a pressure spray system
US20160374334A1 (en) * 2015-06-29 2016-12-29 Lamberti Spa Method for reducing spray drift
JP7191394B2 (ja) * 2020-08-31 2022-12-19 丸山化成株式会社 エンジンオイル添加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8325A (en) * 1955-04-22 1959-08-12 Bataafsche Petroleum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on-gelling solutions of oil-soluble basic salts of organic acids in oils
US3480550A (en) * 1967-01-17 1969-11-25 Shell Oil Co Lubricant containing mixture of low and high molecular weight sulfonates
BE792976A (fr) * 1972-12-19 1973-04-16 Labofina Sa Lubrifiants pour moteurs diesel marins.
US4104180A (en) * 1975-05-23 1978-08-01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roduction of overbased metal phenates
GB2033923B (en) * 1978-10-13 1982-12-22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Diesel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GB2082619A (en) * 1980-08-29 1982-03-10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Basic calcium sulphonate
JPH07103390B2 (ja) * 1982-05-14 1995-11-08 エクソン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ヂニアリング コムパニー 潤滑油添加剤
US4863624A (en) * 1987-09-09 1989-09-05 Exxon Chemical Patents Inc. Dispersant additives mixtures for oleaginous compositions
GB8714922D0 (en) * 1987-06-25 1987-07-29 Shell Int Research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4873008A (en) * 1987-08-21 1989-10-10 International Lubricants, Inc. Jojoba oil and jojoba oil derivative lubricant compositions
US5011618A (en) * 1989-09-05 1991-04-30 Texaco Inc. Process for producing an overbased sulfonate
US5126062A (en) * 1991-01-15 1992-06-30 Nch Corporation Calcium sulfonate greas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505867A (en) * 1994-07-06 1996-04-09 Ritter; Clyde G. Fuel and Lubrication oil additive
GB9416838D0 (en) * 1994-08-19 1994-10-12 Bp Chemicals Additives Overbased metal salts, their preparation and use
WO1999004153A1 (en) 1997-07-15 1999-01-28 New Power Concepts Llc Cantilevered crankshaft stirling cycle machine
JP4442933B2 (ja) 1998-02-26 2010-03-31 ケムチュラ・コーポレーション 過塩基化洗浄剤の粘度変化制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42933B2 (ja) 2010-03-31
AU3312399A (en) 1999-09-15
EP0991739B1 (en) 2005-06-15
JP2001525011A (ja) 2001-12-04
BR9904841A (pt) 2000-07-18
DE69925790D1 (de) 2005-07-21
EP0991739A1 (en) 2000-04-12
DE69925790T2 (de) 2005-12-01
CA2288205A1 (en) 1999-09-02
CA2288205C (en) 2009-05-26
US6239084B1 (en) 2001-05-29
WO1999043771A1 (en) 1999-09-02
KR100641252B1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9178A (en) Cold-rolling lube oil for metallic materials
US5451334A (en) Environment-friendly basic oil for formulating hydraulic fluids
RU2554873C2 (ru) Смазывающие вещества, содержащие лигносульфонат,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JP7101198B2 (ja) ポリアミン官能基、酸性官能基およびホウ素官能基を含む化合物、ならびにその潤滑剤添加物としての使用
US9493722B2 (en) Marine lubricant
US10618865B2 (en) Organometallic salt composition,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a lubricant additive composition
CN102344848B (zh) 一种轴承防锈油组合物
KR100641252B1 (ko) 오버베이스된 세정제에서의 점도 이동률 조절을 위한 배합물
US4891161A (en) Cold rolling mill lubricant
DE69827625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rdalkalimetall-Salzen mit hoher Basizität, insbesondere von einem an einem Ring gebundenen Hydrocarbylsalicylat-carboxylat
CN115011396B (zh) 用于润滑油的液体抗氧化剂组合物及润滑油
US2614076A (en) Grease compositions
US4876020A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AU2003200515B2 (en) Viscosity drift control in overbased detergents
US5023016A (en) Thermally stable sulfonate compositions
US4895674A (en) Thermally stable sulfonate compositions
CA2467809A1 (en) Blends of three base oils and lubricating compositions based on them
US2711374A (en) Corrosion inhibiting composition
RU2700711C1 (ru) Пластичная смазка
US3250709A (en) Mixed salt lubricants containing asphalt to eliminate haze
KR950010600B1 (ko) 방부성 및 유화분산성이 우수한 박판 냉각 압연유
RU2249031C1 (ru) Пластичная смазк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US3691075A (en) Process for preparing barium-containing dispersion
RU1807074C (ru) Металлоплакирующа присадка к смазочным маслам
US3437594A (en) Alkaline earth metal carboxylate disper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