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9407A -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9407A
KR20010019407A KR1019990035787A KR19990035787A KR20010019407A KR 20010019407 A KR20010019407 A KR 20010019407A KR 1019990035787 A KR1019990035787 A KR 1019990035787A KR 19990035787 A KR19990035787 A KR 19990035787A KR 20010019407 A KR20010019407 A KR 20010019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rallel
series
serial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도형
Original Assignee
박원배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배,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박원배
Priority to KR101999003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9407A/ko
Publication of KR20010019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40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2Address formation of the next instruction, e.g. by incrementing the instruction coun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장치와 데이터를 직렬로 송수신하도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병렬 데이터 통신은 병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선을 다수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신호선의 설치가 복잡해 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외부의 특정 주문형 집적 회로와 데이터를 직렬로 송수신하도록하여 통신 에러를 방지하도록하고 시스템의 부피도 작아지도록한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특정 주문형 집적 회로와 데이터를 직렬로 송수신하도록하기 때문에, 병렬로 송수신하도록하는 것에 비하여 회로 설계가 간단해진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APPARATUS FOR SERIAL DATA TRANSMITTING/RECEIVING}
본 발명은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장치와 데이터를 직렬로 송수신하도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병렬 데이터 통신은 병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선을 다수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신호선의 설치가 복잡해 진다. 또한, 신호선이 많으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른 통신 에러가 발생될 확률이 커질뿐만 아니라 각각의 신호선이 차지하는 부피에 의해 시스템의 전체 크기가 증대된다. 이와 같이 복잡한 신호선을 구비하는 통신 장치를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 상에 구현하는 경우 배선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특정 장치와 데이터를 직렬로 송수신하도록하여 통신 에러를 방지하도록하고 시스템의 부피도 작아지도록하는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외부와 직렬로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외부로 송신할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로 수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저장부; 외부로부터 직렬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다수의 영역별로 나누어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제공받아 외부로 직렬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저장부
3 : 제어 신호 생성부 4 : 어드레스 생성부
5 : 병렬/직렬 변환부 6 : 직렬/병렬 변환부
7 : 클록 생성부 8 : 송수신부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음과 같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제어부(1), 저장부(듀얼 포트 램(Dual Port Random Access Memory : DPRAM))(2), 및 송수신부(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 FPGA)(8)로 구성된다. 이때, 송수신부(8)는 제어 신호 생성부(3), 어드레스 생성부(4), 병렬/직렬 변환부(5), 직렬/병렬 변환부(6), 및 클록 생성부(7)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저장부(2)는 송수신부(8)내의 병렬/직렬 변환부(5) 및 직렬/병렬 변환부(6)를 통해 다수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 ASIC) 등의 특정 장치와 통신한다. 이때, 특정 장치로는 상술한 주문형 집적 회로 외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전자 장치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저장부(2)를 구성할 경우 듀얼 포트 램 대신에 일반적인 램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데이터의 쓰기 및 읽기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듀얼 포트 램으로 저장부(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드레스 생성부(4)는 병렬/직렬 변환부(5) 및 직렬/병렬 변환부(6)가 데이터를 액세스(access)할 저장부(2)의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클록 생성부(7)는 32.768MHz의 클록을 제공받아 2.048MHz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기본 클록을 만들어 제어 신호 생성부(3), 어드레스 생성부(4), 병렬/직렬 변환부(5), 및 직렬/병렬 변환부(6)로 제공한다. 따라서, 제어 신호 생성부(3), 어드레스 생성부(4), 병렬/직렬 변환부(5), 및 직렬/병렬 변환부(6)는 이 기본 클록에 따라 동기를 맞추어 각각 동작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3)는 저장부(2)에 신호(WE)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저장부(2)는 직렬/병렬 변환부(6)가 외부의 해당 주문형 집적 회로로부터 직렬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병렬로 변환시킨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또한, 제어 신호 생성부(3)는 저장부(2)에 신호(OE)를 제공한다. 이에, 저장부(2)는 기저장된 송신 데이터를 병렬/직렬 변환부(5)가 병렬로 읽어가서 직렬로 변환시켜 외부의 해당 주문형 집적 회로로 제공하도록한다.
이와 같은 어드레스 생성부(4) 및 제어부(1)의 어드레스를 매핑(mapping)하여 저장부(2)를 제 1, 제 2, 제 3 수신 영역, 및 송신 영역으로 각각 나눈다. 이에, 직렬/병렬 변환부(6)가 외부의 각 주문형 집적 회로로부터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제 1, 제 2 수신 영역에 각각 쓰도록하고 이 후, 제어부(1)가 제 1, 제 2 수신 영역의 데이터를 각각 읽어가도록한다. 이때, 저장부(2)는 듀얼 포트 램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어부(1)가 제 1 수신 영역의 수신 데이터를 읽어가는 동안 직렬/병렬 변환부(6)가 제 2 수신 영역에 수신 데이터를 써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와 외부의 주문형 집적 회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가 외부의 특정 주문형 직접 회로에 데이터를 쓰는 경우:
제어부(1)는 저장부(2)의 송신 영역에 데이터를 쓰고 이를 수행했다는 신호(TX_CS)를 제어 신호 생성부(3)로 제공한다. 제어 신호 생성부(3)는 이 신호(TX_CS)를 인지하여 로드 신호(LOAD)를 병렬/직렬 변환부(5)로 제공한다. 병렬/직렬 변환부(5)는 송신 영역을 계속 읽고 있다가 이 신호(LOAD)를 인지하면 읽은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시켜 외부의 특정 주문형 집적 회로로 제공한다. 이후, 제어 신호 생성부(3)는 제어부(1)로 신호(ACK_IRQ)를 제공하여 외부의 특정 주문형 집적 회로로 데이터를 전송했음을 제어부(1)에게 알린다.
제어부(1)가 외부의 특정 주문형 직접 회로에서 데이터를 읽어오는 경우:
직렬/병렬 변환부(6)는 특정 주문형 집적 회로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와서 병렬로 변환하여 저장부(2)의 제 1 수신 영역에 써넣고 제어 신호 생성부(3)에 이를 알린다. 이에, 제어 신호 생성부(3)는 제어부(1)로 신호(ATV_IRQ)를 제공하여 저장부(2)의 제 1 수신 영역에 수신 데이터를 써넣었음을 제어부(1)에게 알린다. 따라서, 제어부(1)는 저장부(2)의 제 1 수신 영역을 액세스하여 직렬/병렬 변환부(6)가 써넣은 데이터를 읽어온다. 이 후, 직렬/병렬 변환부(6)는 제어부(1)가 저장부(2)의 제 1 수신 영역을 액세스하는 동안 이어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병렬로 변환하여 저장부(2)의 제 2 수신 영역에 써넣고 제어 신호 생성부(3)에 이를 알린다. 이에, 제어 신호 생성부(3)는 제어부(1)로 신호(PSV_IRQ)를 제공하여 저장부(2)의 제 2 수신 영역에 수신 데이터를 써넣었음을 제어부(1)에게 알린다. 따라서, 제어부(1)는 저장부(2)의 제 2 수신 영역을 액세스하여 직렬/병렬 변환부(6)가 써넣은 데이터를 읽어온다.
아울러, 직렬/병렬 변환부(6)는 외부의 특정 주문형 집적 회로로부터 1 초마다 수신되는 특정 데이터를 병렬로 변환하여 제 3 수신 영역에 써넣고 제어 신호 생성부(3)에 이를 알린다. 이에 따라, 제어 신호 생성부(3)는 제어부(1)로 신호(SYNC_1S)를 제공하여 저장부(2)의 제 3 수신 영역에 수신 데이터를 써넣었음을 제어부(1)에게 알린다. 따라서, 제어부(1)는 저장부(2)의 제 3 수신 영역을 액세스하여 직렬/병렬 변환부(6)가 써넣은 데이터를 읽어온다.
상술한 제 3 수신 영역은 제 1, 제 2 수신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특정 주문형 집적 회로와 데이터를 직렬로 송수신하도록하여 통신 에러를 방지하도록하고 시스템의 부피도 작아지도록한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특정 주문형 집적 회로와 데이터를 직렬로 송수신하도록하기 때문에, 병렬로 송수신하도록하는 것에 비하여 회로 설계가 간단해진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외부와 직렬로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외부로 송신할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로 수신 데이터를 제공하는 저장부;
    외부로부터 직렬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다수의 영역별로 나누어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제공받아 외부로 직렬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 저장 영역이 다수의 수신 데이터 영역 및 특정 송신 데이터 영역으로 나뉘어 각각 지정되도록 어드레스를 생성시켜 상기 저장부에 지정하는 어드레스 생성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제공받아 직렬로 변환시켜 외부로 출력시키는 병렬/직렬 변환부;
    외부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직렬로 제공받아 병렬로 변환시켜 상기 저장부의 특정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직렬/병렬 변환부를 포함하는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19990035787A 1999-08-27 1999-08-27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20010019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787A KR20010019407A (ko) 1999-08-27 1999-08-27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787A KR20010019407A (ko) 1999-08-27 1999-08-27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407A true KR20010019407A (ko) 2001-03-15

Family

ID=1960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787A KR20010019407A (ko) 1999-08-27 1999-08-27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94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902B1 (ko) * 2001-12-14 2004-03-1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잭 단자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42945B1 (ko) * 2001-12-17 200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24735B1 (ko) * 2002-11-19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코드 동시분할다중접속 이동단말기의 자동 제어 장치및 방법
KR100800717B1 (ko) * 2006-07-25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902B1 (ko) * 2001-12-14 2004-03-1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잭 단자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42945B1 (ko) * 2001-12-17 200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24735B1 (ko) * 2002-11-19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코드 동시분할다중접속 이동단말기의 자동 제어 장치및 방법
KR100800717B1 (ko) * 2006-07-25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US7742540B2 (en) 2006-07-25 2010-06-22 Samsung Electronic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in a wireless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2991A (en) Device with multiplexed and non-multiplexed address and data I/O capability
EP1816570A3 (en) Integrated circuit I/O using a high performance bus interface
KR20040076730A (ko) 고속의 무선 통신에 적합한 하이브리드형 직렬 데이터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88044A (ko) Sdr 및 qdr 변환기와 sdr 및 qdr 변환기를이용한 인터페이스 카드, 마더보드 및 메모리 모듈인터페이스
KR20010019407A (ko)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JP2008041022A (ja) I/o装置、通信装置、サーボモータ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WO2003025740A3 (en) Serial communication device with dynamic filter allocation
KR19980069825A (ko) 동기식 직렬 데이터 전송장치
KR100424850B1 (ko)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ES2070739A2 (es) Dispositivo de conversion de interfaces.
US4644469A (en) Addressing system for electronic computer
US5701440A (en) Multi-processor system provided with bus control module
KR100230375B1 (ko) 직렬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980007173A (ko) 데이타 통신망 정합장치(An apparatus for interfacing data network to an upper layer system)
US77148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obile terminal
KR100612454B1 (ko) I2c 버스 정합 장치 및 방법
US688005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0181485B1 (ko) 데이터 통신용 데이터 버퍼링 장치
KR100387704B1 (ko) 메모리 버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KR100295683B1 (ko) 인터아이씨의 제너럴콜 어크날리지장치및 방법
KR100430652B1 (ko) 전송 속도 변환 장치
CN115328431A (zh) 高速音频和控制集成总线及装置
KR100680525B1 (ko) 광 전송시스템에서의 hdlc포트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248151B1 (ko) 범용 리시버/트랜스미터
KR970068369A (ko) 고수준 데이터 통신제어(hdlc)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