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821A - 홈 가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가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821A
KR20010016821A KR1019990031973A KR19990031973A KR20010016821A KR 20010016821 A KR20010016821 A KR 20010016821A KR 1019990031973 A KR1019990031973 A KR 1019990031973A KR 19990031973 A KR19990031973 A KR 19990031973A KR 20010016821 A KR20010016821 A KR 20010016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adio frequency
unit
senso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487B1 (ko
Inventor
심이섭
Original Assignee
심이섭
비경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이섭, 비경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심이섭
Priority to KR101999003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487B1/ko
Priority to KR2019990015869U priority patent/KR200171071Y1/ko
Publication of KR2001001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xic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이나 기타 공공 건물등에 외부 침입자를 사전에 경계하고, 침입시에는 비상상황을 통보하는 홈 가드 시스템을 비접촉식 카드로 간단히 경계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한 홈 가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접촉으로 시스템을 경계/해제시키는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암호신호에 해당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와; 상기 시스템과 분리되어 외부로부터 실내로 침입하는 외부 침입자의 유무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 또는 센서부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외부 침입 감지신호 또는 경계/해제 신호 인가를 판단하여 이 판단된 상태에 따른 비상전화 통보 신호 및 시스템 경계/해제 작동신호로 제어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긴급연락 전화, 음성경보 및 비상상태를 프린터 하는 비상연락부로 구성하게 된다.

Description

홈 가드 시스템{HOME GUARD SYSTEM}
본 발명은 홈 가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이나 기타 공공 건물등에 외부 침입자를 사전에 경계하고, 침입시에는 비상상황을 통보하는 홈 가드 시스템을 비접촉식 카드로 간단히 경계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한 홈 가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가드 시스템(일명: 가정 방범 장치)은 일반 가정이나 기타 공공 건물 또는 특별히 보안이나 안전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외부침입자로 부터 내부 침입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여 침입자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홈 가드 시스템은 주 제어장치를 실내에 설치하고 외부 침입자가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는 장소인 현관문, 창문등에는 비접촉식 센서(적외선 센서) 혹은 접촉식 센서(접점스위치)등을 설치해 놓게 된다.
그러므로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센서가 설치된 지점으로 침입을 하게 되면, 상기 센서들은 작동하면서 신호를 유선으로 주 제어장치인 가드 시스템에 송신하게 된다.
상기 가드 시스템에서는 센서신호를 수신하여 자체 내의 중앙처리장치(cpu)에 기설정된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상기 수신된 신호를 판단 제어하고, 이때 외부 침입자로 판단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기 설정되어 있는 긴급 연락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비상 호출신호를 출력하여 내부에 외부 침입자가 침입했음을 경보하거나 혹은 자체 경보기를 작동시켜 비상 상황을 경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침입자를 경계하고 침입을 사전에 방지하게 되는 홈 가드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입, 출입시 또는 외출시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홈 가드 시스템의 작동(경계)과 해제(경계해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부 침입자가 어떤 경로를 통해서 침입을 하였을 경우, 상기 침입자는 상기 홈 가드 시스템을 용이하게 경계해제를 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홈 가드 시스템은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무용지물이 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이나 공공건물 내에 외부 침입자를 경계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홈 가드 시스템의 경계 및 해제를 비접촉식 카드(RF-CARD) 혹은 접속식 카드로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어떤 경로를 통해서 외부침입자가 침입하더라도 홈 가드 시스템을 용이하게 경계 및 해제시킬 수 없도록 하여 홈 가드 시스템의 제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홈 가드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 홈 가드 시스템의 전체 상세 블럭도.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접촉으로 시스템을 경계/해제시키는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암호신호에 해당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와; 상기 시스템과 분리되어 외부로부터 실내로 침입하는 외부 침입자의 유무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 또는 센서부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신호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외부 침입 감지신호 또는 경계/해제 신호 인가를 판단하여 이 판단된 상태에 따른 비상전화 통보 신호 및 시스템 경계/해제 작동신호로 제어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긴급연락 전화, 음성경보 및 비상상태를 프린터 하는 비상연락부로 구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홈 가드 시스템은 경계시 비접촉식 무선 주파수 카드로 작동시켜 센서부를 통해서 외부침입자를 경계하고, 센서부를 통해서 외부 침입자 감지시 기설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연락처에 비상 전화통보, 침입 비상경보 및 침입상황을 프린터 하도록 하며, 이어서 시스템 경계 해제시 역시 비접촉식 무선 주파수 카드로 경계를 해제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 외에는 용이하게 경계/해제를 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시스템의 제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 홈 가드 시스템의 개략 블럭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 홈 가드 시스템의 전체 상세 블럭도로서, 비접촉으로 시스템을 경계/해제시키는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암호신호에 해당하는 무선 주파수(RADID FREQUENCY)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10)와; 상기 시스템과 분리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실내로 침입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되어 광신호(적외선)를 이용하여 외부 침입자의 유무를 감지하되 외부 침입자 감지시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무선 주파수(UHF)를 송출하는 센서부(20)와;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10) 또는 센서부(20)로 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신호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외부 침입 감지신호 또는 경계/해제 신호 인가를 판단하여 이 판단된 상태에 따른 비상전화 통보 신호 및 시스템 경계/해제 작동신호로 제어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에서 제어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비상전화, 음성경보 및 비상상태를 프린터 하는 비상연락부(40)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센서부(20)는 별도의 자체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밧데리(BAT)와; 상기 밧데리(BAT)의 전압상태를 감시하는 전압 감시부(21)와; 적외선을 송,수신하면서 외부침입자의 침입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22)와; 상기 전압감시부(21)로 부터 현재 전압상태(정상, 저전압)에 대한 신호와, 상기 센서(22)로 부터 침입 감지신호를 각각 받아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그에 해당하는 제어된 무선 주파수(UHF)를 송출하는 중앙처리장치(23)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정전시 전압을 보상하는 밧데리(BAT) 및 전체 구동전압 공급상태를 감시하는 전원 감시부(31)와;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10)로 부터 비접촉으로 입력되는 무선 주파수를 검출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 검출부(32)와; 상기 센서부(20)로 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33-1),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부(33-1)에서 수신 무선 주파수신호를 양방향으로 전송하는 연산증폭기(OP-AMP1)(OP-AMP2)로 구성된 양방향 송수신 선로(33-2)로 구성되는 센서 수신부(33)와; 상기 전원 감시부(31), 무선 주파수 카드 검출부(32), 센서 수신부(33)로 부터 각각 입력신호를 받아 기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작동 제어하면서 밧데리 저전압, 외부 침입 감지신호 또는 경계/해제 신호 인가를 판단하여 이 판단된 상태에 따른 밧데리 교환신호, 침입 비상 통보 신호 및 시스템 경계 / 해제 작동신호로 출력하는 중앙처리부(34)와; 상기 중앙처리부(34)에서 제어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그에 해당하는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5)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35)에는 현재 경계 상태를 표시하는 경계램프(ARM), 경계 상태의 해제를 표시하는 해제램프(DISARM), 창문, 정문 그 밖에 경계를 요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외부 침입자를 감지하는 센서램프(Sen1-Sen6), 상기 센서들의 저전압 상태 표시 및 자체 밧데리 교환시기를 표시하는 전압램프(Low1-Low6), 제어부(30)의 기능에 따른 메뉴를 설정하는 입력 스위치(PB1)로 표시된다.
상기 비상연락부(40)는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긴급연락처에 비상을 알리는 비상전화기(41), 음성으로 비상상태를 경보하는 음성경보기(42) 및 비상상태를 문자로 표시하는 프린터(43)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어부(30)를 실내 적당한 장소에 설치하고, 이어서 제어부(30)에 비상시 비상호출, 경보 및 상황을 알려 주는 비상전화기
(41), 음성경보기(42), 프린터(43)를 접속하며, 상기 제어부(30)와 분리되고 외부 침입자 감지시 소정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20)의 센서(22)들을 침입이 용이한 장소에 분산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를 완료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시스템이 정상적인 경계/해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30)의 중앙처리장치(34)에 표시부(35)에 구비된 기능에 따른 매뉴를 선택하여 설정하게 되는 입력스위치(PB1)를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1분)동안 눌러, 시스템 설정 등록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10)를 등록하게 되고, 센서(22)를 등록 설정하게 된다.
이때 센서(22)등록 설정은 상기 입력스위치(PB1)를 상기 소정의 시간(1분) 눌러가면서 상기 표시부(35)의 센서램프(Sen1-Sen6)의 깜빡임을 확인하면서 순차적으로 상기 센서램프(Sen1-Sen6)작동 매뉴를 설정하게 되고, 동작전압에 대하여는 임의로 기설정된 소정의 저전압이 인가될 때 전압램프(Low1-Low6)가 작동되도록 설정하여 놓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30)의 중앙처리장치(34)에 표시부(35)에 구비된 입력스위치(PB1)를 기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눌러서 시스템의 경계/해제 대기 모드를 설정하여 놓게 되고, 이 모드는 경계에서 해제 또는 해제에서 경계로 전환되는 상태이며, 상기 등록된 무선 주파수 카드(10)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제에서 경계시, 경계에서 해제시 표시부(35)에서는 경보램프
(ARM), 해제 램프(DISARM)를 깜빡이게 되며, 이 상태에서 등록된 무선 주파수 카드(10)를 비접촉시키게 되면 시스템을 경계 또는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무선 주파수 카드(10)와 센서부(20)동작에 대하여 제어부(30)의 중앙처리장치(34)에 설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무선 주파수 카드(10)를 제어부(30)의 무선 주파수 카드 검출부(32)에 비접촉시키게 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4)에서는 무선 주파수 카드 검출부(32)로 부터 무선 주파수 카드(10)의 신호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34)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34)에서는 제어부(30)가 해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경계상태로 설정되고, 반면에 경계상태인 경우에는 해제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해제인 상태인 경우, 제어부(30)의 중앙처리장치(34)에서는 바로 경계상태로 작동을 하면서 표시부(35)를 통해서 경계램프(ARM)를 점등시켜 현재 경계작동 중임을 표시해 주게 되고, 이어서 상기 센서부(20)의 센서(22)들로 부터 외부 침입에 대한 감지신호와 센서(22)들로 부터 전압감시부(21)를 통해서 감시된 전압에 대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23)를 통해서 소정의 무선 주파수 데이타로 제어부(30)에 송출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센서부(20)로 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센서 수신부(33)를 통해서 수신하게 되고, 중앙처리장치(34)에서는 센서 수신부(33)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단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외부 침입이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센서(22)의 전압이 저전압이 아닌 경우에는 아무런 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되지만, 상기 외부침입이나 센서(22)의 전압이 저전압으로 판단되면 먼저 외부 침입신호인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4)에서는 비상연락부(4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비상전화기(41)를 통해서 외부침입이 발생됨을 연락처에 통보하는 가하면, 음성경보기(42)를 제어하여 외부침입자가 있음을 외부로 경보하고, 프린터(43)로 침입상황을 인쇄하여 놓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센서(22)의 전압이 저전압인 경우 상기 표시부(35)를 통해서 상기 해당 센서(22)에 저전압 상태 즉 밧데리 교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계작동 중 경계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가지고 있는 무선 주파수 카드(10)를 상기 제어부(30)에 비접촉시키게 되면, 상기 제어부(30)의 중앙처리장치(34)에서는 무선 주파수 카드 검출부(32)를 통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10)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여 이 검출된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10)가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하게 되고, 이때 무선 주파수 카드(10)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경계를 계속유지는 물론 오히려 외부침입자로 판단하여 비상연락부(40)를 작동시키게 되지만 반면에 무선 주파수카드(10)가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즉시 경계작동을 중지하고 바로 해제 작동으로 전환함과 아울러 표시부(35)를 통해서 해제 램프(DISARM)를 점등시켜 현재 경계가 해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홈 가드 시스템을 사용자가 입,출입시 수동으로 경계 및 해제시키지 않고, 비접촉시 무선 주파수 카드로 간단히 경계/해제를 시키도록 함으로써, 가령 경계 상태에서 어떤 경로를 통해 내부에 외부 침입자가 침입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경계를 해제시킬 수 없게 되므로, 경계를 보다 철저히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비접촉으로 시스템을 경계/해제시키는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암호신호에 해당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와; 상기 시스템과 분리되어 외부로부터 실내로 침입하는 외부 침입자의 유무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 또는 센서부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신호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외부 침입 감지신호 또는 경계/해제 신호 인가를 판단하여 이 판단된 상태에 따른 비상전화 통보 신호 및 시스템 경계/해제 작동신호로 제어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긴급연락 전화, 음성경보 및 비상상태를 프린터 하는 비상연락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가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별도의 자체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의 전압상태를 감시하는 전압감시부와; 적외선을 송,수신하면서 외부침입자의 침입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전압감시부로 부터 현재 전압상태에 대한 신호와, 상기 센서로 부터 침입 감지신호를 각각 받아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그에 해당하는 제어된 무선 주파수를 송출하는 중앙처리장치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가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전시 전압을 보상하는 밧데리 및 전체 구동전압 공급상태를 감시하는 전원 감시부와; 상기 무선 주파수 카드로부터 비접촉으로 입력되는 무선 주파수를 검출하는 무선 주파수 카드 검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상기 무선 주파수 수신부에서 수신 무선 주파수신호를 양방향으로 전송하는 연산증폭기로 구성된 양방향 송수신 선로로 구성되는 센서 수신부와; 상기 전원 감시부, 무선 주파수 카드 검출부, 센서 수신부로부터 각각 입력신호를 받아 기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작동 제어하면서 밧데리 저전압, 외부 침입 감지신호 또는 경계/해제 신호 인가를 판단하여 이 판단된 상태에 따른 밧데리 교환신호, 침입 비상 통보 신호 및 시스템 경계 / 해제 작동신호로 출력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제어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그에 해당하는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가드 시스템.
KR1019990031973A 1999-08-04 1999-08-04 홈 가드 시스템 KR10032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973A KR100322487B1 (ko) 1999-08-04 1999-08-04 홈 가드 시스템
KR2019990015869U KR200171071Y1 (ko) 1999-08-04 1999-08-04 홈 가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973A KR100322487B1 (ko) 1999-08-04 1999-08-04 홈 가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869U Division KR200171071Y1 (ko) 1999-08-04 1999-08-04 홈 가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821A true KR20010016821A (ko) 2001-03-05
KR100322487B1 KR100322487B1 (ko) 2002-02-07

Family

ID=196061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869U KR200171071Y1 (ko) 1999-08-04 1999-08-04 홈 가드 시스템
KR1019990031973A KR100322487B1 (ko) 1999-08-04 1999-08-04 홈 가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869U KR200171071Y1 (ko) 1999-08-04 1999-08-04 홈 가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10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814B1 (ko) 2006-11-29 2008-02-27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협력 방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071Y1 (ko) 2000-03-15
KR100322487B1 (ko) 200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6595B2 (en) Temporary security bypass method and apparatus
US9087444B2 (en) Alarm device
US10510242B2 (en) Security system automatic bypass reset
KR20070015736A (ko) 긴급 상황을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경보 장치
JP5030497B2 (ja) 警備システム
KR200171071Y1 (ko) 홈 가드 시스템
JP4102940B2 (ja) 防犯システム
US6480109B1 (en) Alarm lockout apparatus
JP2004310495A (ja) 防犯警報システム
JP3097616B2 (ja) 侵入監視装置、侵入センサ点検方法及び侵入監視システム
KR200214026Y1 (ko) 긴급상황 자동관제시스템
JP4530696B2 (ja) 警備システム
JP2000182169A (ja) 監視・警備用送信端末装置
JP3739176B2 (ja) 警備用セット操作装置
KR200324125Y1 (ko) 무선센서를 이용한 원격 감시 장치
JP2004094799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954470B2 (ja) ビル管理装置
NL1008011C2 (nl) Draadloze brandbeveiligingsinrichting.
JP2005157656A (ja) 防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防犯システム
JPH10255173A (ja) 熱線センサを用いた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装置
JPH09231490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JPH1145378A (ja) 動作記憶機能を有した防犯センサー及びこれを用いた防犯監視システム
KR20010075884A (ko)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긴급상황 감시/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523396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H06315014A (ja) 送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