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246A - 각도 조절형 요추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등받이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형 요추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246A
KR20010016246A KR1020000071080A KR20000071080A KR20010016246A KR 20010016246 A KR20010016246 A KR 20010016246A KR 1020000071080 A KR1020000071080 A KR 1020000071080A KR 20000071080 A KR20000071080 A KR 20000071080A KR 20010016246 A KR20010016246 A KR 20010016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frame
angle adjusting
angle
meta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식
Original Assignee
신태식
주식회사 광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식, 주식회사 광진산업 filed Critical 신태식
Priority to KR102000007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6246A/ko
Publication of KR20010016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2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추 보호기능을 추가한 자동차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등받이의 기존제품은 하나의 차종에 한 종류의 등받이만 있어서 인종 및 체형의 다양함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요추 보호장치가 없어서 장시간 운전 및 탑승시 요추 통증 및 요추에 무리를 주어 안전운행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등받이에 요추 보호장치를 추가하여 다양한 인종 및 체형에 따른 가장 적합한 요추 받침대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각도 조절형 요추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등받이{Angel control type lumbar suppor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내부에 장착되어지는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추보호기능을 하도록 한 자동차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등받이는 하나의 차종에 대해 한 개의 등받이 규격만 있을 뿐만 아니라, 요추부위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등받이 전체가 앞뒤로 각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다양한 인종 및 체형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한 결과 잠재 크레임의 대상이 되어왔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운전 및 탑승시 요추에 무리를 주어 요추통증 유발 및 안전운행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실개소 57-34850(1982. 2. 24공개)에 기재된 럼버서포트는 토글클램프 방식으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인체의 요추부위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등받이 프레임 전체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써, 요추부위만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지 못한 결과 요추보호기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 등받이에 각도가 조절되는 요추 받침대를 추가하여 다양한 인종 및 체형에 따른 가장 적합한 요추 받침대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요추 보호 및 안전운행에 기여함은 물론 자동차 의장부문의 품질 고급화를 통하여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부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각도 조절 핸들 1': 스위치 2: 커버
3: 프레임 4-1: 워엄 4-2: 워엄기어
5: 쿠션장치 6: 요추 각도 조절 금속띠 7: 모터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부품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전·후로 휘어짐이 가능한 다수 개의 얇은 금속판재를 리벳으로 접합시킨 프레임(3)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3)의 하즉 중앙 부위에 워엄(4-1) 및 워엄기어(4-2)가 설치되며, 상기 워엄(4-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각도조절핸들(1) 또는 모터(7) 및 스위치(1')가 설치되며, 상기 워엄기어(4-2)가장자리 일측에 전·후로 휘어짐이 가능한 요추각도조절금속띠(6)의 일측이 리벳으로 결합되며, 상기 요추각도조절금속띠(6)의 상측부위(C부)는 상기 프레임(3)과 다수 곳을 리벳으로 결합되며, 상기 요추각도조절금속띠(6)의 하측부위(B부)는 인체가 시트에 앉았을 때 인체의 요추부위에 해당하는 곳으로서, 상기 요추각도조절핸들(1) 내지 모터(7)를 회전시킬 때 상기 요추각도조절금속띠(6)의 하측 부위(B부)가 인장력을 받아서 앞·뒤로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과는 리벳으로 체결되지 않게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프레임(3)은 쿠션장치(5)에 평면으로 설치되며, 상기 쿠션장치는 커버(2)에 의해 씌워지게 된다. 또한 도면에 따라 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요추받침대각도조절핸들(1)을 좌측으로 돌리면, 워엄(4-1)은 좌회전하게되고 따라서 워엄기어(4-2)는 우회전하게 되며, 이때 워엄기어(4-2)에 리벳으로 고정되어있는 요추각도조절금속띠(6)는 도2에서와 같이 ①의 위치에서 ②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요추각도조절금속띠(6)는 프레임(3)의 C부와는 리벳으로 고정되어있고, 프레임(3)의 B부와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요추각도조절금속띠(6)는 아래로 강한 인장력을 받게 되며 프레임(3) 및 요추각도조절금속띠(6)는 전. 후로 휘어짐이 가능한 얇은 금속판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인장력이 B부에 위치한 프레임(3)을 앞으로 밀게되어 목적물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요추받침대각도조절핸들(1)을 우측으로 돌리면, 위에서 상술한 반대의 작용이 이루어져 B부에 위치한 프레임(3)을 뒤로 밀게 되어 목적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요추받침대각도조절핸들(1)대신 차량 시거잭에서 공급되는 12V직류전기를 이용한 소형DC모터(7) 및 스위치(1')로 교체하여 스위치(1')를 켜면 12V소형DC모터(7)가 좌.우측으로 회전함으로써 요추받침대각도조절핸들(1)을 손으로 돌리는 효과를 가져오며 동일한 목적물은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인종 및 체형에 가장 적합한 요추 받침대 각도를 설정하여 줌으로써 요추 보호 및 안전운행에 기여함은 물론 자동차 의장부문의 품질 고급화를 통하여 수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요추부위받침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받침대각도조절핸들(1)을 손으로 돌리는 구조 또는 차량시거잭에서 공급되는 12V직류전기 및 모터(7), 스위치(1)가 설치되고, 요추각도조절금속띠(6)에 인장력을 가할수 있도록 장치된 워엄(4-1) 및 워엄기어(4-2)가 설치되고, 상기 부품들이 서로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틀을 잡아주는 프레임(3)이 설치되고, 프레임(3) 및 요추각도조절금속띠(6)는 전·후로 휘어짐이 가능한 얇은 금속판재가 구비되며, 상기 요추받침대각도조절핸들(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리면 워엄(4-1)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워엄기어(4-2)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워엄기어(4-2)에 고정되어 있는 요추각도조절금속띠(6)는 상하운동을 하게되며, 상기 요추각도조절금속띠(6)의 등부위(C부) 다섯 곳은 프레임(3)과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장력을 받지 못하여 앞으로 또는 뒤로 움직이지 않게되며, 상기 요추각도조절금속띠(6)과 프레임(3)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요추부위(B부)가 인장력을 받아 서 앞으로 또는 뒤로 나오게 되는 것이 특징인 요추부위받침대의 각도가 조절되는 자동차용 등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요추받침대각도조절이 핸들(1)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등받이.
  3. 제1항에 있어서 요추받침대각도조절이 스위치(1)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자동차용 등받이.
KR1020000071080A 2000-11-22 2000-11-22 각도 조절형 요추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등받이 KR20010016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080A KR20010016246A (ko) 2000-11-22 2000-11-22 각도 조절형 요추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080A KR20010016246A (ko) 2000-11-22 2000-11-22 각도 조절형 요추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등받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072U Division KR200207972Y1 (ko) 1999-12-03 1999-12-03 각도 조절형 요추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246A true KR20010016246A (ko) 2001-03-05

Family

ID=1970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080A KR20010016246A (ko) 2000-11-22 2000-11-22 각도 조절형 요추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62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0271A (en) Adjustable lumbar support
EP0322535A1 (en) Adjustable lumbar support
JP2000517200A (ja) 座席用背中サポート構造
JPH02237509A (ja) 摩擦ヒンジ上に装着された前方に回転可能なマクラ付き頭受け
KR20060033708A (ko) 조절가능한 서포트 시스템을 가지는 시트
FR2664544A1 (fr) Bloc de commande centralise pour siege de vehicule.
US5078449A (en) Lumbar support device
JP4301014B2 (ja) シートバックのサイドサポート構造
KR200207972Y1 (ko) 각도 조절형 요추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등받이
KR20010016246A (ko) 각도 조절형 요추받침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등받이
JP2006218012A (ja) シートバックの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H08197989A (ja) シートのリフター構造
JPH08126548A (ja) 車両用シート
CN217074134U (zh) 一种汽车座椅三节腿托
JPS6225386B2 (ko)
KR102415251B1 (ko) 푸시형 작동블록을 구비한 차량용 럼버서포트
KR0123746Y1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 받침판 조절장치
JPH0228978Y2 (ko)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JPS6147523B2 (ko)
JP2586210Y2 (ja) 車両用シートの腰椎支持装置
KR960007779Y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KR0119229Y1 (ko) 자동차용 전방시트
KR10038761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KR0134178Y1 (ko) 파워식 흉부지지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