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924A - 화상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924A
KR20010015924A KR1020007013185A KR20007013185A KR20010015924A KR 20010015924 A KR20010015924 A KR 20010015924A KR 1020007013185 A KR1020007013185 A KR 1020007013185A KR 20007013185 A KR20007013185 A KR 20007013185A KR 20010015924 A KR20010015924 A KR 20010015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pixels
coefficient
thinning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4269B1 (ko
Inventor
야마우치도시유키
다츠카와고우지
야마자키고우이치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1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06T3/4023Decimation- or insertion-based scaling, e.g. pixel or line deci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by the use of local operators
    • G06T5/30Erosion or dilatation, e.g. thi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H04N1/3935Enlarging or reducing with modification of image resolution, i.e. determining the values of picture elements at new relative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방향, 수직방향의 지연수단(11,12, 13)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다수 화소 블록에서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그 상관에 따른 계수를 결정하는 계수결정수단(2)과, 그 계수에 따라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에서 연산하는 연산수단(3)을 가지고, 상기 연산수단의 미리 정해진 연산식에 의해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화소 블록마다 솎아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및 처리방법{IMAGE PROCESSING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최근, 멀티미디어 관련기기를 중심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 DVD 라는 디지털 화상·영상 기기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또한,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라는 도트 매트릭스 타입의 장치가 확산되고 있다. 그래서,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와 표시장치의 화소수가 다른 경우,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표시장치의 화소수에 맞추는 처리, 즉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 변환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고유의 화소수를 소지하는 표시 디바이스에 영상신호를 표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화소를 솎아내 영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일본국 특개평 5-276436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방법이나 화소마다의 상관을 검출하여 솎아냄 화소를 결정하는 수법이나 평균치 축소법 등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이하, 종래의 화상처리에 있어서의 솎아냄법에 관해 도5, 도6에 그 블록부를 도시한다.
도5에 있어서, 지연회로(51)는 입력신호에 대해 지연을 행하여 화상 판별회로(52)에 상기 지연된 화소를 입력한다. 화상 판별회로(52)에 있어서 인접하는 주목(注目) 화소의 상관차를 구해 그 차가 작은 화소를 솎아냄 화소로 결정한다. 또한 화소가 문자부분인지 자연화(自然畵)부분인지의 판별을 행하여, 상관의 농도차가 작은 경우는 자연화라고 판단하여 선형 보간회로(53)에, 상관의 농도차가 큰 경우는 문자부분이라고 판단하여 적응 솎아냄 회로(54)에 입력하고, 양 처리에 의해 솎아진 신호는 화상 재편성 회로(55)에 의해 화상으로서 재편성되어, 표시 디바이스의 각 화소에 보내져 표시된다.
또한, 도6은 평균치 축소법을 이용한 블록도로, 지연회로(61)는 입력신호에 대해 지연을 행하여 연산회로(62)에 상기 지연된 화소를 입력한다. 연산회로(62)는 솎아냄 화소와 인접하는 화소를 평균하여 솎아냄 펄스의 타이밍에서 화소를 골라내고, 그 솎아냄 처리후의 신호를 화상 재편성 회로(63)에 입력한다. 화상 재편성 회로(63)는 솎아냄 처리후의 영상신호를 화상으로서 재편성하여 표시 디바이스의 각 화소에 대응한 타이밍에서 표시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입력한다. 화상 재편성 회로(63)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표시 디바이스의 각 화소에 보내져 표시된다.
도7A, 7B는 단위 정보량(화소)을 기준으로 구성되고, 8행8열의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백과 흑으로 구성된 화상이 입력된 경우이고, 솎아냄 처리전의 8 ×8의 화소(도7A)와, 이를 도6의 시스템에 의해 솎아냄 처리한 후의 6 ×6의 화소(도7B)를 나타낸 것이다. 8 ×8 화소의 b, c열과 f, g열 그리고 b, c행과 제f, g행을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행렬로 하여,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에 의해 생성된 화소B, F에 평균치 축소를 행한다. 이 도면에서「H」라고 표시된 것이 처리후도「H」라고 읽고, 정보의 누락없이 처리되어 있지만 평균치 축소를 행한 부분에 계조가 발생한다. 이것은 단순히 b, c열과 f, g열, b, c행과 제f, g행의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를 더해 그 합을 2분의 1하여 화소를 생성하는 것으로, 솎아냄에 의한 축소를 행하기 때문이다.
도8A, 8B는 솎아냄 처리전의 4 ×4의 화소(도8A)를 도6의 평균치 축소법을 이용한 시스템에 의해 솎아냄 처리한 후의 3 ×3의 화소(도8B)를 나타낸 것이다. 도8A, 8B의 경우는, b, c열과 b, c행의 솎아냄 화소와 인접하는 화소는 각각 백과 흑으로 구성되어 있고, 평균치 축소를 행하는 것으로 원래의 흑의 선은 표현할 수 없어, 잘 보이지 않는 회색선으로 되어 원화(原畵)에 비해 흐린 화상이 생성된다. 또한 후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도4A, 4B의 솎아냄 처리후보다도 희미한 선으로 된다. 이것은 일반적인 컴퓨터의 출력화면 등으로 표현되는 라인이나 텍스트 등이 잘 보이지 않는다.
다음에, 자연화의 경우의 솎아냄을 종래의 수법을 이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9A, 9B는 도6의 평균치 축소법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력영상신호가 자연화의 경우의 솎아냄 처리를 행한 것이다. 도9A, 9B는 자연화와 같은 계조가 있는 입력영상신호로서 a, b, c, d, e, f, g, h, i, j, k로 순서대로 배열된 솎아냄 처리전의 신호를, 도6의 평균치 축소법을 이용한 시스템에 의해 5화소(도9A)를 4화소(도9B)로 솎아냄 처리한 후의 a, B, d, e, f, G, i, j, k의 신호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수치는 신호 레벨의 기준으로서 기재하고 있다. 도9A, 9B에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 b, c에서 평균치 축소를 하면, (l0 + 20)/2로 솎아낸 화소 B가 신호 레벨 15로 생성된다. 이것은 계단상으로 작게 휘도변화가 있는 입력신호 부분에서의 솎아냄을 행하고 있고, 다소의 직선성은 잃어버리지만, 솎아냄 처리후의 출력신호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레벨은 아니다. 다음에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 g, h에서 평균치 축소를 행하면, (60 + 40) /2로 솎아냄 화소 G가 신호 레벨 50로 생성된다. 이는 계단상의 정점 부분에서 솎아내져, 이 입력신호의 정점이 없어지는 것이다. 요컨대, 솎아냄 처리후의 출력파형에 있어서 에지가 없어져 희미하게 느끼게 되고, 최종 표시화면은 잘보이지 않는 화상이 되어 버린다. 이것은 솎아내는 비율이 커지면 더욱 현저해진다. 여기서 수평방향의 솎아냄을 예로 하고 있는데, 수직방향에 대해서도 솎아냄의 방향이 다를뿐이고 모두 같은 동작으로 처리후의 출력신호도 같아진다.
그러나, 종래의 도5에 나타나있는 솎아냄법을 이용하여 자연화를 솎아내면 화상판별회로(52)가 오판단될 가능성이 있고, 화상판별회로(52)가 오판단을 하여 문자부분이라고 판단되면 대상물의 윤곽의 직선이나, 커브를 그리는 부분에서 불규칙한 선으로 되어 원화에 있어서의 대상물의 윤곽보다 매우 부자연스러운 표시화상이 된다. 그리고 컴퓨터의 텍스트 화면과 같이 문자 등으로 구성되는 화상의 솎아냄의 경우도 자연화의 솎아냄과 동일한 것을 말할 수 있다. 또한 문자 등을 솎아내는 회로구성이 복잡하고, 자연화와 문자부분의 판별에 의해 솎아냄법을 바꾸는 등, 솎아냄에 사용하는 연산량이 많다고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6의 평균치 축소법에 있어서도, 문자나 도형화상 등과 같은 연속된 선이 계속되는 곳에 계조부분이 생기기도 하여 잘 보이지 않는 표시화상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는 솎아내야할 화소를 지시하는 솎아냄 지시수단과, 상기 솎아냄 지시수단이 지시하는 솎아내야할 화소와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관에 따라 계수를 결정하는 계수결정수단과,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의 데이터,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의 데이터, 및 상기 계수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계수에 따라 소정의 연산식을 이용하여 보정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처리방법은 솎아내야할 화소를 지시하는 스텝과,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와 상기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와의 상관을 검출하는 스텝과, 검출된 상관에 따라 계수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의 데이터, 상기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의 데이터, 및 결정된 상기 계수에 따라 소정의 연산식을 이용하여 보정화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화소 a, b, c, d의 순으로 배열된 4화소 블록에 대해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에 의해 생성되는 화소B를, 상기 계수α와 각 화소의 신호 레벨을 이용한 연산식 0.5 ×(Sb+Sc)+α×(Sb-Sa)+α×(Sc-Sd)를 바꿔쓴 식(1+ 2α)×(Sb+ Sc)/ 2-Sa ×α-Sd ×α에 의해 구하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화소 a, B, d의 순으로 배열된 3화소 블록으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2치화상이나 자연화의 솎아냄 화면 작성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여 그 상관에 따른 계수를 생성하고, 계산량이 적은 소정의 수식을 이용하여 화소에의 신호 레벨 보정치를 산출하기 때문에, 원화에 가까운 선명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간단한 소규모의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계수결정수단이 출력하는 계수α가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2개의 신호 레벨의 차 혹은 농담의 차를 검출하여 결정되고, 2화소간의 신호 레벨의 차 혹은 농담의 차가 미리 판별 기준치로서 설정되는 값보다 큰 경우는 미리 설정되는 계수α를 출력하고, 2화소간의 신호 레벨의 차 혹은 농담의 차가 미리 판별 기준치로서 설정되는 값보다 작은 경우는, 계수α를 0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치 화상의 솎아냄 화면 작성에 있어서, 원화에 가까운 선명한 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계수결정수단이 출력하는 계수α가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2개의 신호 레벨의 차 혹은 농담의 차를 검출하여 결정되고, 2화소간의 신호 레벨의 차 혹은 농담의 차가 미리 판별 기준치로서 설정된 복수의 값으로 랭크됨으로써, 미리 설정되는 계수α를 다수중에서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연화의 솎아냄 화면작성에 있어서, 원화에 가까운 선명한 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이 입력신호인 수평, 수직 동기 신호 및 화소 클록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의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임의의 축소율에 따른 일정간격으로, 1화소폭 혹은 1라인폭의 솎아냄 펄스를 상기 연산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솎아냄 화면작성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솎아냄 펄스를 발생시키고, 솎아내야할 화소를 지시하여 솎아냄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원화에 가까운 선명한 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는 수평방향에 대해 1화소마다 지연하는 지연수단과, 수평방향의 축소의 비율에 맞추어 솎아냄 펄스를 발생하는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을 가지고, 상기 지연수단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연속하는 복수화소에서 상기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으로 지시되는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그 상관에 따른 계수를 결정하는 계수결정수단과, 그 계수에 따라 솎아내야할 화소와 그에 인접하는 화소에서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가지고, 상기 연산수단의 미리 정해진 연산식에 의해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여 수평방향의 화소마다 솎아내는 축소를 행한다. 계속해서 수직방향에 대해 1라인마다 지연시키는 지연수단과, 수직방향의 축소의 비율에 맞추어 솎아냄 펄스를 발생하는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을 가지고, 상기 지연수단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연속하는 복수화소에서 상기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으로 지시되는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그 상관에 따른 계수를 결정하는 계수결정수단과, 그 계수에 따라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에서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가지고, 상기 연산수단의 미리 정해진 연산식에 의해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여 수직방향의 화소마다 솎아냄 축소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솎아냄 화면작성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그 상관에 따른 계수를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에 의해 생성된 화소로의 신호 레벨 보정에 이용하여 솎아냄을 행하므로, 원화에 가까운 선명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처리방법은 솎아내야할 화소를 지시하는 스텝과,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와 상기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와의 상관을 검출하는 스텝과, 검출된 상관에 따라 계수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의 데이터, 상기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의 데이터, 및 결정된 상기 계수에 따라 소정의 연산식을 이용하여 보정화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2치 화면이나 자연화에 있어서도, 신호 레벨을 보정하여 솎아내므로, 원화에 가까운 선명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치화면이나 자연화에 있어서도, 신호 레벨을 보정하여 솎아내므로, 종래보다 원화에 가까운 선명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의 해상도 변환에 있어서의 솎아냄 수단에 특징을 가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의 블록도,
도2A,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를 이용하여 8 ×8의 화소로부터 6 ×6의 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A,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를 이용하여 4 ×4의 화소로부터 3 ×3의 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A,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를 이용하여 4 ×4의 화소로부터 3 ×3의 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종래의 솎아냄법을 이용한 화상처리장치의 블록도,
도6은 종래의 평균치 축소법을 이용한 화상처리장치의 블록도,
도7A, 7B는 종래의 평균치 축소법을 이용한 화상처리장치에서의 8 ×8로부터 6 ×6의 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A, 8B는 종래의 평균치 축소법을 이용한 화상처리장치에서의 4 ×4로부터 3 ×3의 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A, 9B는 종래의 평균치 축소법을 이용한 화상처리장치에 계조가 있는 신호입력시에 5화소로부터 4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A, 10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에 계조가 있는 신호입력시에 5화소로부터 4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A, 1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에서 문자 등의 신호입력시에 3화소로부터 2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A, 1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에서 상관검출을 무시하여 문자 등의 신호입력시에 3화소로부터 2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A, 1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에서 계조가 있는 문자 등의 신호입력시에 3개의 계수를 이용한 3화소로부터 2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A, 1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에서 계조가 있는 문자 등의 신호입력시에 2개의 계수를 이용한 3화소로부터 2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5A, 1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장치에서 계조가 있는 문자 등의 신호입력시에 이용하는 2개의 계수값을 바꾼 경우의 3화소로부터 2화소로의 솎아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은 본 화상처리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솎아내는 경우나 수직방향으로 솎아내는 경우도 그 구성은 같고,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다를뿐이다. 도1에 있어서 11, 12, 13은 지연회로이고 플립플롭 등으로 구성되어, 입력화상 데이터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솎아내는 경우에는 1화소마다 지연되고, 수직방향으로 솎아내는 경우는 1라인마다 지연되어, 다음단의 회로로 지연된 신호를 보낸다. 화상 데이터(Sd)는 지연회로(11)로 입력되고, 지연회로(11)에서 지연되어 신호(Sc)는 지연회로(12)로 입력된다. 지연회로(12)에서 지연되어 신호(Sb)는 지연회로(13)로 입력되고, 지연회로(13)에서는 지연된 신호(Sa)가 출력된다.
계수결정회로(2)는 레지스터, 셀렉터, 콤퍼레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계수결정회로(2)는 지연회로(12)에서 지연된 신호(Sb)와, 지연회로(11)에서 지연된 신호(Sc)를 수취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그 상관의 신호 레벨의 차나 농도차에 따른 계수 α를 결정하여 연산회로(3)로 공급하고 있다.
연산회로(3)는 셀렉터, 레지스터, 가산기 등으로 구성된다. 연산회로(3)는 계수결정회로(2)로부터 입력되는 계수 α와 화상 데이터의 원신호(Sd)와 지연회로(11, 12, 1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Sc, Sb, Sa)와 솎아냄 펄스 발생회로(5)로부터 입력되는 솎아냄 펄스를 입력하고, 보정신호를 출력한다. 즉 연산회로(3)는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에 따라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하고, 솎아냄 처리된 신호를 화상 재편성 회로(4)에 공급한다.
화상 재편성 회로(4)는 화소가 솎아내진 위치를 연산회로(3)로부터 공급되는 보정된 신호로 보간하는 회로이고, 보간된 화상 데이터 Sout는 표시 디바이스로 보내져 표시된다.
솎아냄 펄스 발생회로(5)에는 수평, 수직 동기신호 및 화소 클록 신호가 입력된다. 솎아냄 펄스 발생회로(5)는 수평방향으로의 솎아냄의 경우는 수평 동기신호를 기준으로서, 화상의 수평방향에서의 임의의 축소율에 따른 일정간격으로 1화소폭의 펄스를 출력한다. 예컨대 수평방향으로 솎아냄 처리를 이용하여 화상을 4/5로 축소하기 위해서는 솎아냄 펄스 발생회로에서는 5화소에 1회 연속하는 펄스를 출력한다. 수직방향으로 솎아내는 경우는 수직 동기신호를 기준으로서, 화상의 수직방향에서의 임의의 축소율에 따른 일정간격으로 1라인폭의 펄스를 출력한다. 예를들면 수직방향으로 솎아냄 처리를 이용하여 화상을 4/5로 축소하기 위해서는 솎아냄 펄스 발생회로에서 5라인에 1회의 연속하는 펄스를 출력한다.
연산회로(3)에서 화면의 축소를 행하는 경우, 신호 레벨 보정식 S=(1+ 2α) ×(Sb + Sc) / 2 - Sa ×α- Sd ×α의 식을 이용하여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한다. 이 신호 레벨 보정은 입력신호의 수평방향, 수직방향으로 화소가 a, b, c, d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는 4 ×4화소를 a, B, d의 순으로 배열되는 3 ×3의 화소로 솎아내는 것이다. 이 예에서 신호 레벨 보정식의 각 값은 각각 Sa = a, Sb = b, Sc = c, Sd = d, S = B이다. 여기서 b의 화소를 솎아냄 화소, c의 화소를 솎아냄 화소b에 인접하는 화소, 그리고 보정된 화소를 B로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계수결정회로(2)는 입력신호(Sb, Sc)의 신호 레벨의 차나 농담의 차 등의 상관을 검출하여, 그 상관관계로부터 계수 α를 결정한다. 연산회로(3)는 계수 α 및 4개의 화소 a, b, c, d에서 상기 신호 레벨 보정식 B=(1+ 2α) ×(b + c)/2-a ×α- d ×α에 의해 연산한다. 이렇게 하여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에 의해 신호 레벨 보정된 화소 B의 생성을 행한다. 예컨대, 솎아냄 화소 b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c의 상관의 농담차가 거의 같은 경우는 계수 α는 0으로 되고, 신호 레벨 보정식S는 단순히 B=(b + c)/2로 되며, 솎아냄은 단순히 평균치 축소로 된다.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 상관의 농담차가 거의 같다고 하는 것은 그 평균치가 출력되어도 화질열화는 거의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의 농담차가 같지 않을 때는 농도차의 검출을 몇단계로 나누어 그 차에 따른 계수 α를 계수결정회로(2)가 출력한다. 또한, 그 상관의 농도차의 검출에는 어느정도 폭을 가지게 한다.
도2A∼도4B는 도1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력영상신호가 컴퓨터의 텍스트 화면과 같이 배경이 백이고 문자 등이 흑으로 구성되어 있는 화상의 솎아냄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솎아냄 처리전의 입력영상신호는 백과 흑의 2색의 신호밖에 입력되지 않는다.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가 각각 같은 색, 요컨대 농담차가 없던지 혹은 매우 적은 경우에는 계수 α에 O를 입력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가 각각 다른 색, 즉 농담차가 큰 경우에는 계수α에 0.5를 입력하도록 설정하여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화소가 흑색일 때의 색신호의 값을 0으로 하고, 백일 때를 1로 한다.
도2A, 2B의 솎아냄 처리는 도1의 시스템에 단위 정보량(화소)을 기준으로 구성되어, 8행 8열의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백과 흑으로 구성된 화상을 처리하는 예이다. 구체적으로는 솎아냄 처리전의 8 ×8의 화소가 도1의 시스템에 의해 솎아냄 처리되어, 6 ×6의 화소로 되는 예이다. 이 도면에서「H」라고 표시된 것이 처리후도「H」라고 읽고, 정보의 누락없이 처리된다. 이러한 처리는 8 ×8화소의 b열과 f열을 솎아냄 열로 하고, c열과 g열을 각각 솎아냄 열에 인접하는 열로 하고, 그리고 b행과 f행을 솎아냄 행으로 하며, c행과 g행을 각각 솎아냄 행에 인접하는 행으로 하여,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신호 레벨 보정식 S에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 행렬의 화소를 대입하고, 생성된 화소에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하고 있다. 또한 계수결정회로(2)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함으로써, 신호 레벨 보정에 사용하는 계수 α를 구하고 있다. 도2A, 2B의 경우,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는 각각 백과 흑으로 구성되어 농담차가 크기 때문에, 계수 α는 0.5로서 계산을 한 결과이다. 또한 솎아냄 화소와 인접하는 화소의 농담차가 없는 경우는 계수 α가 0으로 되어 단순히 평균치 축소를 행한다.
여기서 도2A, 2B에서 예컨대 b행 c열의 화소를 화소 bc라고 부르기로 한다. 솎아냄을 하는 장소는 도2A의 b열c열f열g열b행c행f행g행이다.
우선 열에 주목한다. a행의 경우에는 도1의 시스템에 a행의 열 a, b, c, d의 순으로 화소가 입력되어 지연회로(11, 12, 13)에서 지연된다. 즉 Sa = aa, Sb = ab, Sc = ac, Sd = ad이다. 지연회로(12)의 입력과 출력에 화소 ac, ab가 나타났을 때, 솎아냄 펄스 발생회로에서 솎아냄 펄스가 발생되어 연산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 계수결정회로(2)에 있어서 화소 ac, ab간의 상관의 농담차가 구해져, 계수 α가 결정된다. 결정된 계수 α는 연산회로(3)에서 사용된다. 도2A의 화소 ab는 흑, 화소 ac는 백이므로 화소 ac, ab의 상관의 농담차는 최대이고, 계수 α에는 0.5가 설정된다. 화소가 흑색일 때의 색신호의 값을 0으로 하고, 백일 때를 1로 하므로, α= 0.5, Sa=1, Sb=0, Sc=1, Sd=1이다. 연산회로(3)는 신호 레벨 보정식 S에 의해 연산하고, S=(1+ 2 ×0.5) ×(0+1)/2-1 ×0.5- 1 ×0.5 = 0이 된다. 화상 재편성 회로(4)에 있어서, 화소 ab, ac가 솎아내진 위치에 연산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값이 0으로서 즉 흑색이 보간된다.
다음에 c행의 경우에는 Sa=ca, Sb=cb, Sc=cc, Sd=cd이다. 화소 cb, cc는 모두 흑이므로 화소 cb, cc의 상관의 농담은 동일하고, 계수결정회로(2)에 있어서 계수 α에는 0이 설정된다. 화소가 흑색일 때 색신호의 값은 O, 백일 때 1이므로, Sa=1, Sb=O, Sc=O, Sd=O이다. 연산회로(3)는 신호 레벨 보정식 S에 의해 연산하고, (1+2 ×0) ×(0+0)/2-1×0-0×0= 0으로 된다. 이 결과는 평균치 축소를 행했을 때와 같은 값이다. 화상 재편성 회로(4)에 있어서, 화소 cb, cc가 솎아내진 위치에 연산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값 O 즉 흑색이 보간된다. f, g열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행에 대해 주목한다. 도1의 시스템에 a행의 열 a, b, c, d, 다음에 b행의 열 a, b, c, d, 의 순으로 화소가 입력되고, 지연회로11, 12, 13에서 1라인분씩 지연된다. b열의 경우에는 Sa=ab, Sb=bb, Sc=cb, Sd=db이다. 지연회로(12)의 입력과 출력에 화소 cb, bb가 나타났을 때, 솎아냄 펄스 발생회로에서 솎아냄 펄스가 발생되어 연산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 계수결정회로(2)에 있어서 화소 bb, cb 상관의 농담차가 구해져 계수 α가 결정된다. 결정된 계수 α는 연산회로(3)에서 사용된다. 도2A의 화소 bb, cb는 모두 흑이므로 화소 bb, cb의 상관의 농담은 동일하고, 계수α에는 0이 설정된다. 색신호의 값은 도2A에서 ab=0, bb=0, cb=0, db= 0이다. 연산회로(3)는 신호 레벨 보정식 S에 의해 연산하고, (1+2 ×0)×(0+0)/2-0 ×0-0 ×0= 0으로 된다. 화상 재편성 회로(4)에 있어서, 화소 bb, cb가 솎아내진 위치에는 연산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값 0, 즉 흑색이 보간된다.
다음에 c열의 경우에는 Sa=ac, Sb=bc, Sc=cc, Sd=dc이다. 화소 bc는 백, 화소 cc는 흑이므로 화소 bc, cc의 상관의 농담차는 최대이고, 계수α에는 0.5가 설정된다. 색신호의 값은 도2A에서 Sa=1, Sb=1, Sc=0, Sd=1이다. 연산회로(3)는 신호 레벨 보정식S에 의해 연산되고, S=(1+2 × 0.5) x (1+0)/2-1 ×0.5-1 ×0.5= 0으로 된다. 화상 재편성 회로(4)에 있어서, 화소 bc, cc가 솎아내진 위치에는 연산결과로부터 얻어지는 값 0, 즉 흑색이 보간된다. f, g행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보간처리되어 표시 디바이스의 총화소수와 같은 화소수로 솎아내진 화상 재편성 회로(4)의 화상 데이터는 표시 디바이스에서 표시된다.
도3A, 3B는 솎아냄 처리전의 4 ×4의 화소와, 이를 도1의 시스템에 의해 솎아냄 처리한 후의 3 ×3의 화소를 표시한 것이다. 도3A에서는 b열 및 b행을 솎아냄 화소로 하고, c열 및 c행을 솎아냄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로 하여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한다. 솎아냄 화소 b열과 이에 인접하는 화소 c열 즉 ab, ac, bb, bc, cb, cc, db, dc는 모두 흑색이고, 신호 레벨 보정에 이용하는 계수는 α= O으로 되어 단순히 평균치 축소를 행하고 있다. 연산식 S는 (1+2 ×0) ×(0+0)/2-0 ×0-0×0= 0이고, 솎아내진 후에는 연산결과로부터 얻어지는 O(흑색)이 보간된다. 또한, b, c행에 관해서는 화소 ba, ca, bd, cd는 모두 백색이고, 화소 bb, bc, cb, cc는 모두 흑색이다. 신호 레벨 보정에 이용하는 계수는 α= O으로 되어, 단순히 평균치 축소를 행하고 있다. 이상에서 도3A, 3B의 예에서는 솎아냄 처리전의 4 ×4의 화소를 도6의 종래의 평균치 축소법을 이용한 회로에 입력해도 결과는 같아진다.
도4A, 4B는 솎아냄 처리전의 4 ×4의 화소와, 이를 도1의 시스템에 의해 솎아냄 처리한 후의 3 ×3의 화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4A에서는 b, c 열의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는 각각 백과 흑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호 레벨 보정에 이용하는 계수는 α= 0.5로 결정된다. 연산식 S는 (1+ 2 ×0.5) ×(1+0)/2-1 ×0.5-1 ×0.5=0이다. 따라서 흑색이 보간된다. 또한 b, c 행의 솎아냄 화소와 인접하는 화소는 각각 동색이므로, 연산후도 같은 색이 보간된다. 이로부터 솎아냄 처리후의 3 ×3의 화소는 도4B와 같이 되고, 도3B의 솎아냄 처리후와 동일한 화상이 된다. 또한, 도4A의 예에서는 솎아냄 처리전의 4 ×4의 화소를 도6의 종래의 평균치 축소법을 이용한 회로에 입력하면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도8B와 같이 되어 결과가 다르다.
다음에, 자연화의 경우의 솎아냄을 본 발명을 이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1OA, 10B는 도1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력영상신호가 자연화인 경우의 솎아냄 처리를 행한 것이다. 도1에서 계수결정회로(2)는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가 없는, 혹은 대단히 적은 경우에는 계수 α에 0를 입력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가 큰 경우에는, 계수 α에 0.5를 입력하도록 설정하여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10A, 10B의 세로축은 신호 레벨, 가로축은 화소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가령 도10A, 10B 중의 신호 레벨의 수치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10이상의 레벨차가 있는 경우에, 농담차가 큰 것으로 판별하여 계수 α로서 0.5를 설정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10미만의 레벨차인 경우에는 농담차가 작은 것으로 판별하여 계수 α로서 0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10A, 10B는 자연화와 같은 계조가 있는 입력영상신호로서 a, b, c, d, e, f, g, h, i, j, k로 순서대로 배열된 솎아냄 처리전의 신호와 이를 도1의 시스템에 의해 5화소를 4화소로 솎아냄 처리한 후의 a, B, d, e, f, G, i, j, k의 신호파형을 표시한 것으로, 수치는 신호 레벨의 기준으로서 기재하고 있다. 도10A, 10B에서는 솎아냄 화소 b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 c에서의 레벨차가 10이므로, 농담차가 큰 것으로 판별하여 신호 레벨 보정의 계수가 0.5로 설정된다. 신호 레벨 보정식 S는 B=(1+ 2 ×O.5) ×(Sb+Sc)/2-0.5 ×Sa-0.5 ×Sd의 계산식으로 되어, 각 화소의 신호 레벨을 대입하면, S=(1+2× 0.5) ×(10+20)/2-0.5 ×0-0.5 ×30= 15로 되어, 솎아냄 화소B가 신호 레벨(15)로 생성된다. 이 값은 평균치 축소의 솎아냄과 같은 결과이고, 마찬가지로 이 부분에서 계단상으로 작고 휘도변화가 있는 입력신호부분에서의 솎아냄을 행하고 있고, 다소의 직선성은 잃어버렸지만, 솎아냄 처리후의 출력신호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레벨은 아니다.
다음에 솎아냄 화소g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h에서의 레벨차가 10이므로 농담차가 큰 것으로 판별하여, 신호 레벨 보정의 계수가 0.5로 설정되고, S=(l+2 ×0.5) ×(Sg+Sh)/2-0.5 ×Sf-0.5 ×Si의 계산식이 되어, 각 화소의 신호 레벨을 대입하면, G=(1+2 ×0.5) ×(60+40)/2-0.5 ×50-0.5 ×20= 65로 되어, 솎아냄 화소 G가 신호 레벨(65)로 생성된다. 이는 계단상의 정점 부분에서 솎아냄이 행해져도, 파형의 정점부분은 유지 또는 약간 에지 강조가 행해진다. 요컨대, 솎아냄 처리후의 출력파형에 있어서도 에지 부분의 열화는 없고, 선명한 느낌으로 되어, 최종 표시화면에서 매우 잘 보이는 화상이 된다.
여기서 수평방향의 솎아냄을 예로 들고 있는데, 수직방향에 대해서도 솎아냄의 방향이 다를뿐이고 모두 같은 동작으로 처리후의 출력신호도 동일하게 된다. 또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에서 레벨차가 있어 농담차가 크다고 판별된 신호 레벨 보정의 계수α를, 이상의 설명에서 0.5로 하고 있지만, 이 계수α를 0.4로 설정하면, 솎아냄 화소 G의 신호 레벨은 G=(1+2×0.4) ×(60+40)/2-0.4 ×50-0.4 ×20= 62로 되고, 계수α를 0.3으로 설정하면, 솎아냄 화소 G의 신호 레벨은 G=(1+2 ×0.3) ×(60+40)/2-0.3 ×50-0.3 ×20= 59로 된다. 이와 같이, 계수α를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에 의해 적당한 값을 선택함으로써, 솎아내진 화질의 미묘한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문자나 도면 등의 영상에서 미묘한 계조가 없는 영상신호의 경우는 상술과 같이 계수α는 0.5가 가장 알맞다.
도11A, 11B와 도12A, 12B는 문자나 도면과 같은 미묘한 계조가 없는 입력영상신호로서, a, b, c, d, e, f, g, h, i, j로순서대로 배열된 솎아냄 처리전의 신호를, 도1의 시스템에 의해 3화소를 2화소로 솎아냄 처리한 후의 a, B, d, E, g, H, j의 신호파형을 표시한 것이고, 수치는 신호 레벨의 기준으로서 기재하고 있다.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는 도11A, 11B, 도12A, 12B 모두 b, c와 e, f와 h, i이고, 각각의 솎아냄 후의 화소를 B와 E와 H로 하고있다. B는(1+2α) ×(Sb+Sc)/2-α×Sa-α×Sd에서 구해지고, E는(1+2α) ×(Se+Sf)/2-α×Sd-α×Sg에서 구해지며, H는(1+2α) ×(Sh+Si) /2-α× Sg-α×sj에서 구해진다.
도11A, 11B에서는 도1에서의 시스템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가 없던지 혹은 매우 적은 경우에는 계수 α에 O을 입력하고, 반대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가 큰 경우에는 계수α에 0.5를 입력하도록 설정하여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는 가령 도11A, 11B중의 수치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10이상의 레벨차가 있는 경우에, 농담차가 큰 것으로 판별하여, 계수 α로서 O.5를 설정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10미만의 레벨차인 경우에는 농담차가 작은 것으로 판별하여, 계수α로서 O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12A, 12B에서는 도1에서의 시스템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상관을 무시하고, 전체 계수 α를 0.5로 설정하는 것으로 했다. 도11A, 11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를 검출하여 그 값으로부터 계수 α를 결정한 경우는 처리전의 신호와 처리후의 신호에서 3개의 산의 높이가 같고, 솎아내어 신호를 축소한 것이므로, 각 산의 간격과 산의 폭이 바꿔있을 뿐이다. 그런데 도12A, 12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를 무시하고 계수α를 고정으로 한 경우는, 처리전의 신호와 처리후의 신호에서 3개의 산중 E의 산이 신호 레벨이 2배로 되어 있어, 도11A, 11B의 처리후의 파형과는 크게 다르다. 이 처리후의 신호를 표시장치로 표시하면, 도12A, 12B의 E와 같은 곳에서 휘도 편차가 발생하여 잘 보이지 않는 영상으로 되어 버린다. 도11A, 11B와 같이,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상관을 검출하고, 그 상관에 따른 계수를 결정함으로써 화질열화가 적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13A, 13B와 도14A, 14B는 문자나 도면같은 영상신호에 있어서, 다소의 계조를 가지는 입력영상신호로서 a, b, c, d, e, f, g, h, i, j로 순서대로 배열된 솎아냄 처리전의 신호를 도1의 시스템에 의해 3화소를 2화소로 솎아냄 처리한 후의 a, B, d, E, g, H, j의 신호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수치는 신호 레벨의 기준으로서 기재하고 있다.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는 도11A, 11B, 도12A, 12B와 동일하게 b, c와 e, f와 h, i이고, 각각의 솎아냄 후의 화소를 B와 E와 H로 하고 있다. B는 (l+2α) ×(Sb+Sc) /2-α×Sa-α×Sd에서 구해지고, E는 (1+2α) ×(Se+Sf)/2-α×Sd-α×Sg에서 구해지며, H는 (1+2α) ×(Sh+Si)/2-α×Sg-α×Sj에서 구해진다.
도13A, 13B에서는 도1에서의 시스템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가 없거나 혹은 매우 적은 경우에는 계수α에 O를 입력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가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계수α에 0.2를 입력하며,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가 큰 경우에는 계수α에 0.5를 입력하도록 설정하여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한다. 여기서는 가령 도13A, 13B중의 수치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30이상의 레벨차가 있는 경우에, 농담차가 큰 것으로 판별하여, 계수α로서 0.5를 설정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10이상의 레벨차가 있어 30미만의 레벨차인 경우에는 농담차가 중간정도로 판별하여, 계수α로서 0.2를 설정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10미만의 레벨차인 경우에는 농담차가 작은 것으로 판별하여, 계수α로서 O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14A, 14B에서는 도1에서의 시스템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가 없거나 혹은 매우 적은 경우에는 계수α에 O을 입력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가 큰 경우에는 계수α에 0.5를 입력하도록 설정하여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는 가령 도14A, 14B중의 수치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10이상의 레벨차가 있는 경우에 농담차가 큰 것으로 판별하여, 계수α로서 0.5를 설정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10미만의 레벨차인 경우에는 농담차가 작은 것으로 판별하여, 계수α로서 O을 설정하기로 한다.
도15A, 1.5B에서는 도1에서의 시스템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가 없거나 혹은 매우 적은 경우에는 계수α에 O을 입력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가 큰 경우에는 계수α에 O.2를 입력하도록 설정하여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는 가령 도14A, 14B중의 수치에 있어서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10이상의 레벨차가 있는 경우에, 농담차가 큰 것으로 판별하여, 계수α로서 0.2를 설정하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10미만의 레벨차인 경우에는 농담차가 작은 것으로 판별하여, 계수α로서 0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14A, 14B와 도15A, 15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를 검출하고, 그 농담차가 있는지 없는지의 값으로부터 계수α를 결정한 경우는 처리전의 신호와 처리후의 신호에서 3개의 산의 높이에 조금 편차가 있어, 이 처리후 신호를 표시장치로 표시하면, 휘도 편차가 조금 발생된다. 농담차가 있는 경우의 계수α를 최적화함으로써, 편차를 억제해 휘도 편차를 감소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2치에 의한 계수α의 설정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도13A, 13B와 같이,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간의 농담차 레벨을 복수로 랭크매기고, 계수α를 복수(2개보다 많이)의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는 처리전의 신호와 처리후의 신호에서 3개의 산이 높이가 거의 동일해지고, 솎아냄 신호를 축소하기 때문에 각 산의 간격과 산의 폭이 바뀐 것 뿐이고, 이 처리후의 신호를 표시장치로 표시하면 휘도 편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농담차의 판별을 다수 랭크로 나누어 그 결과로서 얻어지는 계수α를 복수(2개보다 많이) 설정함으로써, 화질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하드 웨어로 화상처리장치를 실현하는 예를 기술하였는데,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로부터 생성되는 화소에 대해 신호 레벨 보정을 행함으로써, 텍스트 화상이나 자연화에 있어서도 정보의 누락이나 화질의 열화가 적고, 또한 종래의 솎아냄법을 이용한 회로와 비교해 연산식이 하나밖에 없으므로, 작은 규모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여, 그 상관에 따른 계수를 신호 레벨 보정에 이용하므로, 원화에 가까운 선명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솎아내면, 2치화상뿐만아니라 자연화에 있어서도 층조성이나 문자의 첨예도를 잃어버리는 것을 개선할 수 있고, 간편한 구성으로 원화에 가까운 선명한 화상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산량이 적어 하드웨어화되기 쉽다.

Claims (16)

  1. 솎아내야할 화소를 지시하는 솎아냄 지시수단과,
    상기 솎아냄 지시수단이 지시하는 솎아내야할 화소와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관에 따라 계수를 결정하는 계수결정수단과,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의 데이터,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의 데이터, 및 상기 계수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계수에 따라, 소정의 연산식을 이용하여 보정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각 화소 블록마다 수평방향의 화소에 대해서는 1화소마다 지연을 행하고, 수직방향의 화소에 대해서는 1라인마다 지연을 행하는 지연수단과,
    수평방향의 축소율 및 수직방향의 축소율에 따라 솎아내야할 화소를 지시하는 솎아냄 지시수단과,
    상기 지연수단이 지연시킨 화소내에서 상기 솎아냄 지시수단이 지시하는 솎아내야할 화소와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관에 따라 상기 계수를 결정하는 계수결정수단과,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 데이터,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 데이터 및 상기 계수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계수에 따라 소정의 연산식을 이용하여 보정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 블록은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으로 화소 a, b, c, d의 순으로 배열된 4화소 블록이고, 상기 각 화소의 신호 레벨을 각각 Sa, Sb, Sc, Sd로 하고, 상기 계수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계수를 α로 하고,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를 b,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를 c로 하고,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화소를 B로 하고, 상기 연산식이 B= (1+ 2α)×(Sb+ Sc)/ 2-Sa ×α-Sd ×α이고, 상기 4화소 블록을 화소 a, B, d의 순으로 배열한 3화소 블록으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 블록은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으로 화소 a, b, c, d의 순으로 배열된 중의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a, b, c로 이루어지는 3화소 블록이고 상기 각 화소의 신호 레벨을 각각 Sa, Sb, Sc, Sd로 하고, 상기 계수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계수를 α로 하고,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를 b,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를 c로 하고, 상기 연산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화소를 B로 하고, 상기 연산식이 B= (1+ 2α)×(Sb+ Sc)/ 2-Sa ×α-Sd ×α이고, 상기 3화소 블록을 화소 a, B순으로 배열된 2화소 블록으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결정수단은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와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의 2화소간의 레벨차를 검출하고, 검출한 레벨차에 따라 미리 판별 기준치로서 설정된 다수의 기준치로 랭크매겨진 다수의 계수α중에서 선택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솎아냄 지시수단은 수평방향의 축소율 및 수직방향의 축소율에 따라, 솎아내야할 화소를 지시하기 위한 솎아냄 펄스를 발생하는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은 수평방향에의 솎아냄 경우는 수평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화상의 수평방향에서의 상기 축소율에 따른 일정간격으로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를 지시하기 위한 솎아냄 펄스를 출력하고,
    수직방향에의 솎아냄의 경우는 수직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화상의 수직방향에서의 상기 축소율에 따른 일정간격으로 상기 솎아내야할 화소를 지시하기 위한 솎아냄 펄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지연수단은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1 지연수단과, 상기 제1 지연수단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제2 지연수단과, 상기 제2 지연수단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제3 지연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수결정수단은 상기 제1 지연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2 지연수단의 출력을 입력하고,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화상 데이터, 상기 제1 지연수단의 출력, 상기 제2 지연수단의 출력, 상기 제3 지연수단의 출력, 상기 계수결정수단의 출력, 및 상기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의 출력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9. 솎아냄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그 상관에 따른 계수를 발생시키고,
    미리 정해진 수식에 상기 계수를 대입하여 신호 레벨을 산출하고,
    솎아냄 처리시의 화소 신호 레벨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0. 화상 데이터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화소로 이루어지는 각 화소 블록마다, 수평방향의 화소에 대해서는 1화소마다 지연하는 지연수단과, 수직방향의 화소에 대해서는 1라인마다 지연을 행하는 지연수단과,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축소 비율에 맞추어 솎아냄 펄스를 발생하는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과,
    상기 지연수단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연속하는 복수 화소 블록에서 상기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으로 지시되는 솎아내야할 화소와 그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그 상관에 따른 계수를 결정하는 계수결정수단과,
    그 계수에 따라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에서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가지고,
    상기 연산수단의 미리 정해진 연산식에 의해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화소 블록마다 솎아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를 α,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으로 화소 a, b, c, d의 순으로 배열된 4화소 블록에 있어서,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솎아내야할 화소 b와 그에 인접하는 화소c에 의해 생성되는 화소 B를 (1+2α) ×(b+c) /2-a ×α- d ×α의 식에 의해 구하고, 화소 a, B, d의 순으로 배열된 3화소 블록으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결정수단에서 출력하는 계수α는 솎아내야할 화소와 그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2개의 신호 레벨의 차 혹은 농담차를 검출하여 결정되고, 2화소간의 신호 레벨차 혹은 농담차가 미리 판별기준치로서 설정되는 값보다 큰 경우는 미리 설정되는 계수α를 출력하고, 2화소간의 신호 레벨차 혹은 농담차가 미리 판별 기준치로서 설정되는 값보다 작은 경우는 계수α를 0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결정수단에 있어서 출력하는 계수 α는, 솎아내야할 화소와 그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2개의 신호 레벨차 혹은 농담차를 검출하여 결정되고, 2화소간의 신호 레벨차 혹은 농담차가 미리 판별 기준치로서 설정된 복수의 값으로 랭크가 매겨짐으로써 미리 설정되는 계수 α를 복수중에서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수평방향에 대해 1화소마다 지연하는 지연수단과,
    수평방향의 축소 비율에 맞추어 솎아냄 펄스를 발생하는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과,
    상기 지연수단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연속하는 복수 화소에서 상기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으로 지시되는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그 상관에 따른 계수를 결정하는 계수결정수단과,
    그 계수에 따라 솎아내야할 화소와 그에 인접하는 화소에서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의 미리 정해진 연산식에 의해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여 수평방향의 화소마다 솎아냄 축소를 행하고, 계속해서 수직방향에 대해 1라인마다 지연하는 지연수단과,
    수직방향의 축소 비율에 맞추어 솎아냄 펄스를 발생하는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과,
    상기 지연수단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연속하는 복수 화소에서 상기 솎아냄 펄스 발생수단으로 지시되는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고, 그 상관에 따른 계수를 결정하는 계수결정수단과,
    그 계수에 따라 솎아내야할 화소와 이에 인접하는 화소에서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가지고,
    상기 연산수단의 미리 정해진 연산식에 의해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여 수직방향의 화소마다 솎아냄 축소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5. 솎아내야할 화소를 지시하는 스텝과,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와 상기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는 스텝과,
    검출된 상관에 따라 계수를 결정하는 스텝과,
    적어도, 상기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의 데이터, 상기 솎아내도록 지시된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의 데이터 및 결정된 상기 계수에 따라, 소정의 연산식을 이용하여 보정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복수화소로 이루어지는 각 화소 블록마다, 수평방향의 화소에 대해서는 1화소마다 지연하고, 수직방향의 화소에 대해서는 1라인마다 지연하는 스텝과,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의 소정 축소비율에 맞추어 솎아냄 펄스를 발생하는 스텝과,
    상기 솎아냄 펄스로 지시되는 솎아내야할 화소와 그에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을 검출하는 스텝과,
    검출된 상관에 따른 계수를 결정하는 스텝과,
    적어도 결정된 계수, 솎아내야할 화소, 및 솎아내야할 화소에 인접하는 화소에 따라 미리 정해진 연산식을 이용하여 보정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KR10-2000-7013185A 1999-03-24 1999-03-24 화상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0384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1511 WO2000057631A1 (fr) 1999-03-24 1999-03-24 Dispositif de traitement d'images et procede de traitement assoc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924A true KR20010015924A (ko) 2001-02-26
KR100384269B1 KR100384269B1 (ko) 2003-05-16

Family

ID=1423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185A KR100384269B1 (ko) 1999-03-24 1999-03-24 화상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75418B1 (ko)
EP (1) EP1083736A4 (ko)
JP (1) JP4258976B2 (ko)
KR (1) KR100384269B1 (ko)
CN (1) CN1190063C (ko)
WO (1) WO20000576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625B1 (ko) * 2006-03-30 2008-03-2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정보 송신 장치, 화상 정보 수신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5337B2 (en) * 2001-02-02 2004-05-11 Shih-Jong J. Lee Robust method for automatic reading of skewed, rotated or partially obscured characters
KR100510685B1 (ko) * 2003-04-22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역방향 매핑에서 에일리어싱 제거 장치
KR100657343B1 (ko) * 2005-10-19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JP5589585B2 (ja) * 2009-07-07 2014-09-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108423A1 (en) * 2020-10-02 2022-04-07 Google Llc Conditional Axial Transformer Layers for High-Fidelity Image Trans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0944A (ja) * 1985-06-07 1986-12-11 Photo Composing Mach Mfg Co Ltd 文字処理方式
JP2687417B2 (ja) * 1988-04-22 1997-12-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における自動線密度切換方式
US5224179A (en) * 1988-12-20 1993-06-29 At&T Bell Laboratories Image skeletonization method
US5272763A (en) * 1990-03-02 1993-1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inspecting wiring pattern formed on a board
JP2749985B2 (ja) * 1990-08-31 1998-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H04127774A (ja) * 1990-09-19 1992-04-28 Murata Mach Ltd 画像縮小方法
JP2543267B2 (ja) * 1990-11-21 1996-10-16 松下電送株式会社 画像縮小装置と画像表示装置
JPH05276436A (ja) 1992-03-27 1993-10-22 Nec Home Electron Ltd 画像縮小装置
JP2759309B2 (ja) * 1993-04-21 1998-05-28 株式会社松村エレクトロニクス 指紋照合方法
US5420937A (en) * 1993-09-01 1995-05-30 The Phoenix Group, Inc. Fingerprint information extraction by twin tracker border line analysis
JP3348318B2 (ja) * 1993-11-25 2002-11-2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3271109B2 (ja) * 1993-12-03 2002-04-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3582540B2 (ja) 1995-04-14 2004-10-2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解像度変換装置および解像度変換方法
KR0174454B1 (ko) * 1995-06-30 1999-03-20 배순훈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에서의 에지 검출, 세선화 방법 및 장치
DE19625863C2 (de) * 1996-06-27 2002-06-27 Siemens Ag Verfahren zur Bildrekonstruktion für einen im Spiralbetrieb arbeitenden Computertomographen
JP4105257B2 (ja) * 1997-07-30 2008-06-25 ソニー株式会社 記憶装置および記憶方法
US6058219A (en) * 1997-10-10 2000-05-02 Autodesk, Inc. Method of skeletonizing a binary image using compressed run length da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625B1 (ko) * 2006-03-30 2008-03-2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정보 송신 장치, 화상 정보 수신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1453A (zh) 2001-06-27
WO2000057631A1 (fr) 2000-09-28
US6775418B1 (en) 2004-08-10
EP1083736A4 (en) 2006-11-02
KR100384269B1 (ko) 2003-05-16
JP4258976B2 (ja) 2009-04-30
CN1190063C (zh) 2005-02-16
EP1083736A1 (en) 200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6970B2 (ja)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77142B2 (ja)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5219165B2 (ja) ラスタ画像のスケーリング方法およびスケーリング回路
US20020057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aling images
KR100258919B1 (ko) 디더링행렬을 구현하는 디더링회로 및 그 방법
EP0994457A2 (en) Apparatus and method of gray scale video signal processing for matrix display apparatus
KR20070055366A (ko) 화상 표시 장치, 화상 표시 방법, 화상 표시 방법의프로그램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4918926B2 (ja)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81189A (ja)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11073B2 (ja) 階調補正装置
KR100384269B1 (ko) 화상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US6124844A (en) Force field halftoning
CN113068011B (zh) 图像传感器、图像处理方法及系统
US6259480B1 (en) Sequential scanning converter
JP2006319793A (ja) 画像信号処理回路、表示装置及び画像信号処理方法
JP200813982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1262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lution improvement in digital capturing
JP4308280B2 (ja) 階調補正装置
US7142223B2 (en) Mixed 2D and 3D de-interlacer
JP2002118737A (ja) 画像変換装置及び画像変換方法
JP2007147727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224859B1 (ko) 엣지에 근거한 영상신호의 수직 보간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JP4312944B2 (ja) 画像処理装置
US2023016976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3142699B2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