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026A -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026A
KR20010015026A KR1020000032934A KR20000032934A KR20010015026A KR 20010015026 A KR20010015026 A KR 20010015026A KR 1020000032934 A KR1020000032934 A KR 1020000032934A KR 20000032934 A KR20000032934 A KR 20000032934A KR 20010015026 A KR20010015026 A KR 20010015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urface
rotating shaft
gate
bushing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덴하우젠에크하르트
비트만권터
뢰스너토마스
베젬머아힘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1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02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2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slidably-mounted valve members; having valve members movable longitudinally of conduit
    • F02D9/16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slidably-mounted valve members; having valve members movable longitudinally of conduit the members being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17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in relation to the intake system
    • F02M26/21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in relation to the intake system with EGR valves located at or near the connection to the intak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Sliding Valv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환장치(1)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층상급기운전과 균질급기운전 사이에서 내연기관의 공기주입안내를 변환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환장치(1)는 하나의 제 1 게이트(40)를 이용하여 폐쇄가능하게 하우징본체(2)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주입관(3)과,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게이트(41)를 이용하여 폐쇄가능하게 하우징본체(2)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주입관(4)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 및 제 2 게이트(40, 41)는 하나의 동일한 회전축(10)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동시에, 회전축(10)은 제 1 게이트(40)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제 1 평탄면(11a)을 구비하고, 제 2 게이트(41)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제 2 평탄면(12a)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평탄면(12a)은 제 1 평탄면(11a)과 관계해서 정의된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변환장치{Change over device}
본 발명은 층상급기(stratified charge)운전과 균질급기(homogenoeous charge)운전 사이에서 공기 또는 내연기관의 배기가스흐름을 변환하기 위한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직접분사-미래형 모터제어시스템을 위한 하나의 새로운 도전"이라는 MTZ 모터기술 잡지 58, (1997) 9, 458쪽 이하의 잡지 기사로 부터 직접 연료분사를 하는 내연기관의 경우, 특히, 가솔린-직접분사는 내연기관의 저부하영역에서 이른바 층상급기운전을 가능하도록 하며, 내연기관의 고부하영역에서는 이른바 균질급기운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엔진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층상급기운전에 있어서 층상이 심하게 형성된 실린더급기와 심한 공기과잉으로 내연기관이 가능한 연료소비를 낮추도록 운전하게 된다. 착화싯점 바로 전에 연료를 지연 분사하므로서 연소실은 두 영역으로 분할되는 이상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연소가능한 공기/연료-혼합운(mixture cloud)이 공기와 잔류가스로 된 절연층과 서로 층을 이루게 된다. 이를 통해서, 내연기관은 급기교환의 손실을 피하는 동시에 계속해서 중단되지 않는 상태로 운전된다. 모터의 부하의 증가와 그리고 이와 비례해서 분사량이 증가하면 층상급기운은 점차적으로 농도가 진해지며, 배기가스의 상태가 악화된다. 따라서, 상부 부하영역에서 내연기관은 균질하게 실린더에 급기되는 균질급기운전으로 운전하게 된다. 연료가 양질로 혼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흡입과정 동안에 이미 분사가 이루어진다.
층상급기운전에서 균질급기운전으로, 또는, 이와반대로 균질급기운전에서 층상급기운전으로 변환될 경우에, 층상급기운전이 되는 경우 하나의 배기가스의 귀환유동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소공기에는 귀환유동된 하나의 배기가스의 설정량이 첨가되게 되고, 이와 반대로, 균질급기운전의 경우에는 귀환 유동되는 배기가스가 전혀 첨가되지 않거나, 또는, 극미량만이 첨가되게 된다.
주요 청구항의 주안점을 가진 본 발명의 변환장치는 장점, 즉, 동일한 하나의 회전축위에 평탄면으로서 제 1 과 제 2 주입관용 게이트를 실현하므로서 특히 견고하고 마찰에 강하며,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회전축은 완전 예비조립되는 구조물로서 하우징본체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서, 플랩(flap)의 형태로 이루어진 게이트를 조립되는 회전축에서의 부가적인 고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서, 특히 간단하며 경제성있는 조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평탄면은 회전축을 조립할 경우에 이미 정확히 정의된 각도와 일치하도록, 예를 들어서, 수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분리되어 조립된 플랩으로 게이트, 즉, 예를 들어서, 조립되는 회전축에서 용접, 클램핑 또는 모티싱(mortising)되는 게이트는 이와같이 정확한 각도상의 간격을 맞추는 것에 매우 비싼 비용이 소요되게 한다.
종속항에서 실시되고 있는 방법을 통해서 주요청구항에서 제시하고 있는 변환장치의 유리한 개선이 가능해 진다.
각각의 두 평탄면은 중심스텍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유는 횡단면을 열린상태에서 가능한 크게 유지하기 위해서다. 평탄면 사이에는 수용-보어에 밀착되어 접해있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좁은 영역은 간단한 방법으로서 제 1 과 제 2 주입관을 서로 상대적으로 밀폐하고 있다.
회전축은 예를 들어서, 부싱위에 장치된 복귀스프링을 이용하므로서 정의된 기준위치에서 정지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회전축을 구동하지 못할 경우에는 변환장치는 정의된 스위칭상태에서, 예를 들어서, 균질급기운전을 위한 스위칭상태에서 위치하게 되므로서, 내연기관은 적어도 감소된 출력으로 운전하게 될 수 있다. 회전축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부싱은 하나의 편심으로 장치된 핀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핀에 하나의 바(bar)가 작동하게 된다. 회전축이 부싱에 인접한 단부에서 뿐만 아니라 마주보는 단부에 밀폐부를 이용하여 밀폐하고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회전축이 수용-보어에서 축방향의 간격을 가지고 고정되므로서, 가공여유가 상쇄되며, 회전축은 하우징본체에서 단지 미소한 마찰을 가진 상태로 회전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축방향의 간격에도 불구하고 회전축은 정의된 축의 위치에 안전하게 위치하기 위해서 복귀스프링은 축방향의 압축스프링의 부가적인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서, 원형스프링으로서 되어 있는 복귀스프링으로서 회전축이 받침대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누루기 위해서다.
변환장치는 내연기관의 각각의 실린더를 위해서 유리하게 각각 세개의 주입관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와동시에 제 1 주입관과 제 3 주입관은 각각 순수한 연소공기를 안내하는데에 사용되며, 제 2 주입관은 귀환된 배기가스와 순수한 연소공기로 된 혼합물을 주입하는데에 사용하고 있다. 제 1 주입관과 제 2 주입관은 회전축에서 이루어진 게이트를 통해서 교환 반복적으로 폐쇄가능하다. 이와동시에, 변환장치에서 하나의 연결관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유는 배기가스가 유동되는 제 2 주입관을 또다른 하나의 주입관과 연결함으로서, 귀환 배기가스가 순수한 연소공기에 첨가되기 위해서다. 변환장치에서 직접 연결관이 형성되므로서 견고한 구조물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를 도면에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으며,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변환장치를 하부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환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선 III-III를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환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선 V-V를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환장치에서 사용되는 회전축에 대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변환장치 2 : 하우징헤드
3 : 제 1 주입관 4 : 제 2 주입관
5 : 제 3 주입관 40 : 제 1 게이트
42 : 제 2 게이트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변환장치를 하부에서 도시하고 있으며, 도 2에서는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변환장치는 일반적으로 참조부호(1)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층상급기운전과 균질급기운전 사이의 내연기관의 공기유동 및 배기가스 유동을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확실히 규칙적으로 다수의 실린더, 예를 들어서, 4개의 실린더가 구비되어 있는 내연기관의 영역에서의 변환장치(1)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도 1 과 도 2의 좌측과 우측으로 동일한 방법으로서 형성된 영역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영역은 인접한 실린더가 장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변환장치(1)는 실시예에서, 즉, 층상급기운전의 경우 내연기관의 하부 부하영역에서 내연기관에 장치된 실린더로 연소공기가 유동하도록 사용되고 있으며, 연소공기는 귀환유동하는 배기가스와 섞이게 된다. 내연기관의 부하가 클 경우에 대해서 균질급기운전의 경우 본 발명의 변환장치(1)는 연소공기를 귀환유동하는 배기가스에 전혀 첨가하지 않거나 또는 극미량만을 첨가하도록 작동하고 있다.
변환장치(1)는 중간 플랜지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2에서의 정면(6)으로 고정구멍(7, 8)을 통해서 관통하고 있는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직접 내연기관의 실린더헤드에 고정될 수 있다. 변환장치(1)의 마주 보고있는 정면과 종래의 방법으로 형성된 흡입모드 또는 흡입을 위한 흡입관, 분배기 그리고 연소공기의 필터 그리고 귀환 배기가스의 안내를 위해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헤드(2)는 제 1 주입관(3), 제 2 주입관(4) 및 제 3 주입관(5)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주입관(3)과 제 3 주입관(5)을 통해서 각각 순수한 연소공기가 대응되는 각각의 실린더로 안내된다. 이에 반해, 제 2 주입관(4)을 통해서 대응되는 각각의 내연기관의 실린더로 귀환가스와 순수 연소공기의 혼합물이 안내된다. 실린더헤드에 플랜지식 연결되어 있는 변환장치(1)로 귀환하는 배기가스가 연결관(9)을 통해서 제 2 주입관(4)으로 유동된다. 이렇게 귀환되는 배기가스에 순수한 연소공기를 첨가시키기 위해서 제 3 주입관(5)에서 부터 하나의 연결관(9)이 분리되며, 이 연결관(9)은 하우징본체(2)에 있는 도 2의 인접한 우측 실린더의 제 2 주입관(4)으로 진행된다. 도 2에서는 인접한 좌측 실린더의 제 3 주입관(5)과 연결된 연결관(9)이 제 2 주입관(4)으로 안내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관찰을 뚜렸히 하기 위해서 도 3에서는 도 2의 선 III-III에 따른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와동시에, 연결관(9)은 제 2 주입관(4)과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면 좌측에는 제 2 주입관(4)에 인접한 실린더의 제 3 주입관(5)에서 부터 순수한 연소공기가 공급되며, 연소공기는 귀환 배기가스와 함께 배기가스-공기 혼합물로 섞이게 된다. 연결관(9)은 변환장치(1)의 하우징본체(2)에 장착되므로서 변환장치(1)는 특히 견고한 구조물을 형성할수 있다.
하우징본체(1)는 제 1 주입관(3)과 제 2 주입관(4)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용-보어(33)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용-보어(33)에는 도 6에서 가장 잘 관찰 가능한 회전축(10)이 장착된다. 회전축(10)은 제 1 주입관(3)의 영역에서 제 1 평탄면(11a)과 제 3 평탄면(11b)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 2 주입관(4)의 영역에서는 제 2 평탄면(12a)과 제 4 평탄면(12b)을 구비하고 있다. 평탄면(11a, 11b)은 그밖에 실린더형으로 구성되어 회전축(11)에서 평탄한 중심스텍(13)의 각각 양측면을 예를 들어서 평삭가공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평탄면(12a, 12b)은 각각 평탄한 중심스텍(14)의 양측면에 이루어져 있다. 평탄면(11, 12)은 실시예에서 90도로 서로 직각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평탄면(11a)의 영역과 제 3 평탄면(11b) 영역에서 제 1 게이트(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게이트(40)에 의해서 제 1 주입구(3)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이에 대해서 제 2 평탄면(12a)과 제 4 평탄면(12b)의 영역에서 게이트(41)를 이용하여 제 2 주립관(4)이 열리거나 폐쇄되도록 하고 있다. 한쪽으로는 평탄면(11a, 11b), 다른 쪽으로는 평탄면(12a, 12b) 사이에 예를 들어서, 실린더형 영역(3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영역(39)은 제 1 주입관(3)과 제 2 주입관(4)을 서로 마주보며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10)은 도 2와 3에서 도시된 제 1 회전위치에서 또는 90도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회전위치에서 장치됨에 따라서, 제 1 주입관(3)이 개방되는 동시에 제 2 주입관(4)이 폐쇄되며 이와 반대로 제 1 주입관(3)이 폐쇄되는 동시에 제 2 주입관(4)이 개방된다.
이와동시에 도 2와 3에서 도시된 제 1 회전위치는 내연기관의 균질급기운전에 해당된다. 내연기관의 균질급기운전에서 부터 층상급기운전으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회전축(10)은 90도로 자신의 제 2 회전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도 2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균질급기운전에 해당하는 회전축(10)의 제 1 회전위치의 경우 제 1 주입관(3)이 개방되므로서 단지 평탄한 중심스텍(13)만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 제 2 주입관(4)은 폐쇄되고 그리고 평탄면(12)은 관찰측면을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배기가스-공기 혼합물이 제 2 주입관(4)을 통해서 내연기관에 속해있는 실린더로 도달할 수 없게 된다.
내연기관의 층상급기운전에서는 제 1 주입관(3)이 폐쇄되며, 내연기관의 실린더로 이르게 되는 순수한 연소공기는 제 1 주입관(3) 뿐만 아니라 제 3 주입관(5)으로 더이상 주입되지 않게 된다. 부가적으로 제 2 주입관(4)을 통해서 하나의 배기가스-공기 혼합물은 내연기관의 해당 실린더에 도달하게 된다.
하우징본체(2)는 도 2 상부의 자신의 단부에서 제 1 실린더형 돌기(15)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리고 자신의 하단부에서는 하나의 제 2 실린더형 돌기(16)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의 실린더형 실린더몸체(2) 돌기(16)의 아래의 조립상태는 회전축(10)에 고정되어 있는 부싱(17)이 하우징본체(2)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부싱(17)은 하나의 실린더형 단면(18)과 하나의 칼라단면(19)을 구비하고 있다. 칼라단면(19)과 하우징본체(2)의 하부 돌기(16)사이의 실린더형 단면(18)에 실시예에서 원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귀스프링(20)이 장치되어 있다. 복귀스프링(20)에 마주보고 있는 제 2 단부(23)에서는 도 6에서 인식 가능한 부싱(17)의 칼라영역(19) 사이의 실린더형 단면(18)에 실시예에서 원형스프링식 복귀스프링(20)이 장치되어 있다. 복귀스프링(20)의 제 1 단부(22)는 하우징본체(2)의 받침대(21)과 접하게 된다. 마주 보고있는 복귀스프링(20)의 제 2 단부(23)는 도 6에서 인식 가능한 부싱(17)의 칼라영역(19)의 틈새(14)에 고정된다. 회전축(10)이 회전될 경우에, 그리고, 회전축(10)과 회전 고정되도록 결합된 부싱(17)이 회전되는 경우에 복귀스프링(20)은 예비압축되며, 회전축(10)은 작동력이 감소될 경우에 도 2와 3에 도시된 기본위치로 귀환 회전되도록 작용하며, 이때의 기준위치는 90도로 교차된 두개의 제 1 회전위치가 된다.
회전축(10)이 작동되기 위해서 회전축(10)과 회전고정되어 연결된 부싱(17)에서 하나의 편심 장치되어 있는 핀(25)이 구비되어 있다. 핀(25)에서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바를 작동시키는데, 이유는 내연기관의 전체 실린더의 전체적인 회전축(10)이 바의 이동을 통해서 동시에 회전되기 위해서다. 바의 작용은 예를 들어서 공압적으로 저압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바는 예를 들어서 전자기적으로 또는 전기모터식으로 조정된다. 부싱(17)과 관계하고 있는 구조물은 도 1로 부터 잘 인식할 수 있다.
회전축(12)에서 평탄면(11a, 11b, 12a, 12b)은 도 6에서 잘 도시되어 있는 회전축(10)의 전면도로 부터 잘 인식할 수 있다. 더나아가서 도면은 부싱(17)과 그리고 복귀스프링(20)의 위치를 잘 고정시키고 있다. 또한 도 6의 회전축(10)에서 하나의 제 1 밀폐링(26)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밀폐링(26)은 제 2 평탄면(12a)와 제 4 평탄면(12b), 그리고, 부싱(17)이 장치되어 있으며, 이 밀폐링(26)은 외부를 향해서 제 2 주입관(4)을 밀봉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제 1 밀폐링(26)은 예를 들어서 테프론 또는 퍼플루어 엘라스토머로 되어 있다. 회전축(10)의 마주보는 단부에서는 제 2 밀폐링(27)이 제 1 주입관(3)을 밀폐하기 위해서 구비되어 있으며, 제 2 밀폐링(27)은 이와동시에 베어링의 역할을 한다. 밀폐링(27)은 하나의 듀로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적당하며, 특히, 리톤이 적당하다. 또다른 밀폐는 폐쇄플랩(28)에 의해서 이루어 진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변환장치(1)는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밖에 하우징본체(2), 연결관(9), 부싱(17)과 그리고 복귀스프링(20)을 관찰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선 V-V에 따른 단면, 즉 회전축(10)의 축방향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 회전축(10)과 이와 관련된 구조물을 더욱 양호한 상태로 관찰할 수 있다.
홈(29)으로 제 2 밀폐링(27)이 장착되고 있으며, 폐쇄판(30)을 이용하여 홈에 고정된다. 폐쇄판(30)은 실시예에서 제 1 나사(31)을 이용하여 고정되는데, 제 1 나사는 회전축(10)의 제 1 나사보어(32)로 나사식 장착된다. 덮히고 또한 밀폐를 위해서 이미 기술된 폐쇄 플랩(28)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폐쇄플랩(28)은 하우징본체(2)에서 주입관(3, 4, 5)에 대하여 횡으로 진행되는 수용보어(33)을 폐쇄하고 있으며, 이 수용보어(33)은 회전축(10)을 수용하고 있다.
제 1 밀폐링(26)은 회전축(10)의 견인부(34)와 하우징본체(2)의 견인부(34)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부싱(17)은 제 2 나사(36)과 그리고 밀폐판(37)의 중간층을 이용하여 회전축(10)에 회전 고정된다. 이에 대해서 제 2 나사(36)는 회전축(10)의 제 2 나사보어(38)에 나사 장착된다.
조립을 할 경우에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맨처음 제 2 밀폐링(27)은 밀폐판(30)과 나사(31)를 이용하여 회전축(10)에 예비조립되며 그리고 제 1 밀폐링(10)은 회전축(10)에 삽입된다. 이어서 회전축(10)은 도 5의 상부로 부터 수용부(33)로 안내된다. 부싱(17)에는 복귀스프링(20)이 장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부싱(17)은 제 2 나사(36)를 이용하여 회전축(10)에 고정된다.
만약 부싱(17)을 회전축(10)과 결합한 후에 하나의 축방향의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축방향의 간격은 틈새(42)을 의미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회전축(10)의 회전운동의 원할함이 과잉의 마찰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도록 보장하게 된다. 이와동시에 회전축(10)은 정의된 축방향의 위치에 존재하기 위해서, 복귀스프링(20)에 압축스프링의 부가적인 기능이 전달된다. 복귀스프링(20)은 하우징본체(2)과 부싱(17)의 칼라단면(19)에 장치된다. 부싱(17)에 작용하고 있는 복귀스프링(17)은 회전축(10)을 축방향으로 받침대로서 작용하고 있는 하우징본체(2)의 견인부(35)에 대해서 누르게 된다.
회전축(10)을 이용하여 공기주입이 매우 신속하게 층상급기운전과 균질급기운전 사이에서 변환된다. 게이트용 회전축(10)에서 분리된 예를 들어서 플랩으로 되어 있는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대신 게이트(40, 41)는 단순한 방법으로서 평탄면(11a, 11b, 12a과 12b)으로서 회전축(10)에서 작동하게 되며, 특히 조립에 유리하도록 그리고 마찰에 강한 형태가 나오게 된다. 정비를 위해 회전축(10)은 아무런 문제없이 분리된다. 한편으로는 평탄면(11a, 11b)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평탄면(12a, 12b) 사이에 각도설정는 회전축(10)이 가공되는 경우에도 정확히 설정가능하다. 따라서 조정은 조립되는 경우에 필요하지 않다. 더나아가서 본 발명의 해결점은 부하능력이 높으며 그리고 마찰작용이 미소함으로서 나타나게 된다. 특히 회전축(10)은 수용-보어(33)에서 클램핑되지 않는다. 더나아가서 균질급기운전과 층상급기운전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동일한 하나의 회전축위에 평탄면으로서 제 1 과 제 2 주입관용 게이트를 실현하므로서 특히 견고하고 마찰에 강하며, 조립이 용이한 변환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4)

  1. 하우징본체(2)를 통해서 안내되며 그 횡단면을 제 1 게이트(40)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는 제 1 주입관(3)과, 하우징본체(2)을 통해서 안내되며 그 횡단면을 제 2 게이트(41)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는 제 2 주입관(4)을 포함하는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40)와 제 2 게이트(41)는 하나의 회전축(10)상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0)은 제 1 게이트(40)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제 1 평탄면(11a)과, 상기 회전축(10)상에서 상기 제 1 평탄면(11a)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각도로 형성된 제 2 평탄면(12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0)은 하우징본체(2)의 수용-보어(33)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0)상의 제 1 평탄면(11a)과 제 2 평탄면(12a) 사이에는 상기 수용-보어(33)와 밀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주입관(3)과 제 2 주입관(4)을 서로 마주보며 밀폐하는 영역(3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탄면(12a)은 제 1 평탄면(11a)에 대해 90도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0)은 제 1 게이트(40) 영역에 제 3 평탄면(11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평탄면(11a)과 제 3 평탄면(11b)은 중심스텍(13)의 평탄한 양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0)은 제 2 게이트(41)의 영역에서 제 2 평탄면(12a)과 제 4 평탄면(12b)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평탄면(12a)과 제 4 평탄면(12b)은 중심스텍(14)의 평탄한 양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0)은 복귀스프링(20)에 의해 기본 설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스프링(20)은 원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원형스프링은 회전축(10) 단부에서 회전불가 상태로 장착된 부싱에 장착되며,
    상기 복귀스프링(20)의 일 단부(23)는 부싱(17)에 고정되고, 복귀스프링(20)의 다른 단부(22)는 하우징본체(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17)은 나사결합부(36)에 의해 회전축(1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17)은 핀(25)을 편심되게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핀의 바가 회전축(10)이 작동할 수 있도록 작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17)에 인접한 단부 뿐만 아니라 회전축의 대향 단부에서도 밀폐부(26, 2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11. 제 7 항 내지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0)은 부싱(17)을 통해서 축방향 간격이 형성된 상태로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부싱(17)에 작용하고 있는 복귀스프링(20)은 축방향의 받침대에 대해서 상기 회전축(10)을 누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12. 제 1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장치(1)는 층상급기운전과 균질급기운전 사이에서 내연기관에 공기 또는 배기가스주입의 변환을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급기운전에 해당하는 회전축(10)의 제 1 회전위치에서는 상기 제 1 주입관(3)은 폐쇄되고 상기 제 2 주입관(4)은 개방되며,
    균질운전에 해당하는 회전축(10)의 제 2 회전위치에서는 제 2 주입관(4)이 폐쇄되고 상기 제 1 주입관(3)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은 다수의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내연기관의 각 실린더에 대해 하우징본체(2)에는 각각 하나의 제 1 주입관(3) 및 제 2 주입관(4)과 각각 하나의 회전축(10)이 제공되고,
    상기 회전축(10)은 각각 하나의 제 1 게이트(40)와 제 2 게이트(4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내연기관의 각 실린더에 대해 하우징본체(2)에 제 3 주입관(5)이 부가적으로 제공되고,
    인접한 실린더의 상기 제 3 주입관(5)과 제 2 주입관(4) 사이에 하나의 연결관(9)이 제공되며,
    상기 연결관(9)은 제 2 게이트(41)의 유동유입방향으로 제 2 주입관(4)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장치.
KR1020000032934A 1999-06-17 2000-06-15 변환장치 KR200100150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7673A DE19927673A1 (de) 1999-06-17 1999-06-17 Umschalteinrichtung
DE19927673.0 1999-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026A true KR20010015026A (ko) 2001-02-26

Family

ID=791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934A KR20010015026A (ko) 1999-06-17 2000-06-15 변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1032728A (ko)
KR (1) KR20010015026A (ko)
DE (1) DE19927673A1 (ko)
FR (1) FR2795152A1 (ko)
IT (1) IT1317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479A (ko) * 2002-05-30 200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지알 밸브
DE10244799B4 (de) 2002-09-26 2005-04-21 Daimlerchrysler Ag Abgasrückführung
JP2005282520A (ja) * 2004-03-30 2005-10-13 Aisan Ind Co Ltd 排気流路バルブ
US7213547B2 (en) 2004-12-14 2007-05-0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Valve
DE102008003177A1 (de) * 2008-01-04 2009-07-0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bgasrückführventil für ein Kraftfahrzeug
JP2013217238A (ja) * 2012-04-06 2013-10-24 Denso Corp 吸気制御モジュール
KR101846651B1 (ko) * 2016-03-22 2018-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스 분배성을 향상한 egr 유량분배밸브 및 이를 적용한 배기가스재순환시스템
CN113039353B (zh) * 2018-09-10 2023-09-29 G.W.力士克有限公司 阀组件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44299C3 (de) * 1975-10-03 1980-02-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Elektrisch betatigbares Schaltventil fur strömende Fluide
EP0480393B1 (de) * 1990-10-11 1995-12-27 Wolfram Willeke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zylindrischen Schieber
EP0686793A1 (en) * 1994-06-10 1995-12-13 Fuji Oozx Inc. Valve device for controlling a high temperature fluid
EP0702175B1 (en) * 1994-09-16 1998-06-10 Fuji Oozx Inc. Pressure fluid control valve device
DE19631337B4 (de) * 1996-08-02 2007-03-01 Audi Ag Vorrichtung zur Abgasrückführung an einer Brennkraftmaschine
SE521713C2 (sv) * 1998-11-09 2003-12-02 Stt Emtec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ett EGR-system, samt dylik ven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27673A1 (de) 2000-12-21
JP2001032728A (ja) 2001-02-06
IT1317961B1 (it) 2003-07-21
ITMI20001270A0 (it) 2000-06-08
FR2795152A1 (fr) 2000-12-22
ITMI20001270A1 (it) 200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6864B2 (ja) 内燃機関用吸気装置
JP4706775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8171913B2 (en) Intak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472886B2 (en) Fluid control valve
KR20010015026A (ko) 변환장치
US6349925B1 (en) Carburetor for two-stroke engine
CN1944999B (zh) 内燃机的涡流系统进气歧管
US200900843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urbulence in a combustion engine
US20070063164A1 (en) Valve open and close apparatus
JP4029014B2 (ja) 直接噴射式内燃機関用のフランジ形中間系
US6155229A (en) Charge motion control valve in upper intake manifold
KR20010072105A (ko) 포트 시스템, 특히 내연 기관용 매니폴드
CN107642442B (zh) 层状扫气式发动机的吸入管
US6442935B1 (en) Driving system for machinery, such as a motor, compressor etc.
US7059299B2 (en) Multi-stage sliding air throttle valve assembly and cylinder assembly engine including same
KR100257949B1 (ko) 2 행정 멀티-실린더 내연기관
US6823838B2 (en) Switching assembly for closing intake lines of an air intake device and intake device incorporating same
KR19980070539A (ko) 과급기용 모듈러 바이패스 시스템
JP5633488B2 (ja) 流体制御弁
CN220415533U (zh) 一种新型进气混合阀
US8291873B2 (en) Valve arrangement for a combustion engine
CN214533328U (zh) 发动机进气管的涡流比调节装置
KR100287689B1 (ko) 직접분사식엔진
CN117927365A (zh) 一种内燃发动机
RU2076224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