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868A -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868A
KR20010014868A KR1020000023950A KR20000023950A KR20010014868A KR 20010014868 A KR20010014868 A KR 20010014868A KR 1020000023950 A KR1020000023950 A KR 1020000023950A KR 20000023950 A KR20000023950 A KR 20000023950A KR 20010014868 A KR20010014868 A KR 20010014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udden
low speed
speed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해
Original Assignee
최진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26707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73332A/ko
Application filed by 최진해 filed Critical 최진해
Priority to KR1020000023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4868A/ko
Publication of KR20010014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8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시동 및 운전중에 발생하는 급발진 상황에 대해 다중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만 엔진이 시동되도록 제어하는 엔진시동제어수단, 상기 엔진 시동 후 소정 엔진회전수 이상의 급발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키도록 연료 및 공기 공급량을 제한하는 급발진감응수단, 상기 저속으로 제어된 엔진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발진 상황을 경보하는 엔진저속유지수단, 상기 엔진저속유지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속으로 유지된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엔진시동 제어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차단수단, 외부동력 및 운전자의 가속에 따른 상기 엔진의 가속을 감지하여 상기 급발진감응수단 및 전원차단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외부동력감지수단, 및 상기 엔진의 시동시점부터 일정시간동안 상기 급발진감응수단 및 전원차단수단을 제어하는 급발진 감응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FOR PREVENTING A VEHICLE FROM RAPID STARTING}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자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사고는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급발진은 자동변속차량이 운전자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정지 또는 서행 상태에서 예기치 않는 속도 및 방향으로 급출발하는 현상으로서, 최근에 차량이 운전자의 의지와는 무관하거나 운전자의 통제를 벗어나 급속하게 발진하여 피해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러한 급발진 사고는 통상적으로 차량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엔진의 시동을 걸거나, 엔진의 시동이 유지되는 정지 상태에서 시프트레버(Shift lever)(또는 선택레버)를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시점에서 엔진의 회전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차량이 고속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거나 전후진을 반복하여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급발진 사고는 매우 순간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는데, 경우에 따라서 제동장치를 구동하여도 급출발하는 차량의 속도를 제동시킬 수 없으며, 심지어 제동장치 마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그 일 예로서, 급발진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만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급발진 고장의 상황에 근본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은 되지 못한다.
또한, 자동차의 엔진시동초기에 급발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착안하여 시동 초기에 최대 15초까지 스로틀 밸브에 과도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 공기 차단 장치('1999년 6월 2일자 스포츠조선 정보란' 참조)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 방법은 15초동안의 안전을 위하여 급발진과 관계없이 시동을 걸때마다 스로틀 밸브에 공기 흐름을 막아 매연 등 유해 물질을 배출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편, 엔진 회전수(rpm)가 갑자기 급상승하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차를 멈추게 하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으나, 주행중 엔진 회전수 급상승은 빈번히 일어나므로 이 방법도 바람직한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즉, 퀵스타트(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급가속하는 기술)후 어떤 돌발상황으로 브레이크페달을 발로 밟는 순간, 순간적으로 엔진회전이 최고 3500rpm까지 올라가거나, 또는 급경사지에서 엔진 브레이크를 걸었을 때 운전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엔진 회전수가 공회전에서 2500rpm이상 급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고장에 의한 급발진 상태가 아니므로 자동차가 제어되서는 않된다. 이 때, 고속 주행중인 자동차가 갑자기 멈추면 뒤따라오는 차량에 의해 사고로 이어지므로 급발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없다.
실제로 아파트 단지 내에서 주행중 급발진 사고(1999년 6월 7일 MBC아침뉴스)를 당한 춘천의 L씨, 또는 탤런트 K씨의 BMW와 같은 고급 승용차가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로 인사 사고를 낸 것으로 발표된 바 있어, 급발진 문제는 브레이크의 제동만으로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할 수 없으며, 급발진은 시동초기 뿐만 아니라 운전 중에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기존의 방법들은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는 것임이 명확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엔진시동 후 급발진 상황에 관한 엔진회전수 이상이 감지되면 급가속중인 엔진을 자동으로 저속으로 낮추어주며, 외부동력에 의한 회전수 상승과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과속시킨 상태일때는 급발진 제어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결함에 의한 엔진 회전수가 급상승하는 급발진 상태일때는 이를 즉시 감지하여 자동으로 엔진회전수를 감속시켜 저속으로 유지시키며, 뒷차량에 고장 발생으로 저속주행임을 알리는 경보와 정지등을 자동적으로 발생시키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의 상세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상세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의 상세 회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의 상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엔진 시동 제어부
200 : 급발진 감응부
300 : 엔진 저속 유지부
400 : 전원 차단부
500 : 외부 동력 감지부
600 : 급발진 감응 제어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는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만 엔진이 시동되도록 제어하는 엔진시동제어수단, 상기 엔진 시동 후 소정 엔진회전수 이상의 급발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키도록 연료 및 공기 공급량을 제한하는 급발진감응수단, 상기 저속으로 제어된 엔진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발진 상황을 경보하는 엔진저속유지수단, 상기 엔진저속유지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속으로 유지된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엔진시동 제어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차단수단, 외부동력 및 운전자의 가속에 따른 상기 엔진의 가속을 감지하여 상기 급발진감응수단 및 전원차단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외부동력감지수단, 및 상기 엔진의 시동시점부터 일정시간동안 상기 급발진감응수단 및 전원차단수단을 제어하는 급발진 감응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엔진 시동 후 소정 엔진회전수 이상의 급발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키도록 연료 및 공기 공급량을 제한하는 급발진감응수단, 상기 저속으로 제어된 엔진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급발진 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하는 엔진저속유지수단, 운전자가 가속시킴에 따른 상기 엔진의 가속을 감지하여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외부동력감지수단, 및 상기 엔진의 시동시점부터 일정시간동안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을 제어하는 급발진 감응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주행 중 소정 엔진회전수 이상의 급발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키도록 연료 및 공기 공급량을 제한하는 급발진 감응수단; 상기 저속으로 제어된 엔진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급발진 상황을 경보함과 동시에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하는 엔진 저속유지수단; 및 운전자가 가속시킴에 따른 상기 엔진의 가속을 감지하여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외부동력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럭도로서,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만 엔진이 시동되도록 제어하는 엔진시동 제어부(100)와, 상기 엔진 시동 후 소정 엔진회전수 이상의 급발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키도록 연료 및 공기 공급량을 제한하는 급발진 감응부(200)와, 상기 저속으로 제어된 엔진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발진 상황을 경보하는 엔진 저속유지부(300)와, 상기 엔진 저속 유지부(30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속으로 유지된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엔진시동 제어부(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차단부(400)와, 외부동력 및 운전자가 가속시킴에 따른 상기 엔진의 가속을 감지하여 상기 급발진 감응부(200)와 전원차단부(4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외부동력 감지부(500)와, 상기 엔진의 시동시점부터 일정시간동안 상기 급발진 감응부(200)와 전원차단부(400)를 제어하는 급발진 감응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급발진 방지를 위한 전자제어장치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로이다.
먼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엔진시동 제어부(100)의 제 3 계전기(L3)의 접점(14,16)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연료공급장치(PS) 및 고압발생장치(IG)의 (+)전압이 차단되어 있어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이어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스위치의 (+)단자에 연결된 제 9,10 다이오드(D10,D9)에 의해 제 3 계전기(L3)를 ON시켜 접점(14,16)은 도통되고, 상기 접점(14,16)에 의해 연료공급장치와 고압발생장치의 (-)단자가 ON되어 시동이 걸리게 된다. 여기서, 제 9 다이오드(D9)는 브레이크 페달을 놓았을 때 제 3 계전기(L3)를 ON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용이다.
다음으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 즉, 고장에 의한 급발진으로 엔진 회전수(rpm)가 급상승하면 엔진의 회전수 감지단자(P)에서 검출된 회전수 감지 전압이 급발진 감응부(200)의 제 1 가변저항(VR1)에 의해 조정되어 제 1 콘덴서 (C1)와 제 1 다이오드(D1)를 통해 제 2 콘덴서(C2)가 충전되며 상기 충전된 제 2 콘덴서(C2)의 전압은 제 1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 컷오프전압값은×VCC전압(VCC 전압은 점화스위치 온전압)으로 결정되며 일정값의 엔진 회전수에 의해 설정된 전압값에 따라 제 1, 2 트랜지스터(Q1,Q2)가 ON, OFF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변저항(VR1)은 운전자의 의지와는 무관한 급발진 상태의 엔진 회전수라고 볼 수 있는 최소의 엔진 회전수를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이 설정된 기준값을 엔진회전수 정보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계전기(Relay)는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의 전기신호를 비롯하여 온도, 빛 등 여러 가지 입력신호에 의해 전기회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공지된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가 급발진 상태의 엔진 회전수 감지 전압에 의해 ON 되면, 제 1 계전기(L1)를 ON시키고 상기 제 1 계전기(L1)의 접점(1,2) 및 제 2 다이오드(D2)에 의해 제 1 계전기(L1)는 계속 ON상태가 되고, 상기 제 2 다이오드(D2) 라인과 제 3 다이오드(D3) 라인 사이의 일단에 연결된 제 5 다이오드(D5)를 통해 급발진 경고용 버저(BZ)가 울리게 되며 상기 제 3 다이오드 (D3)에 연결된 브레이크등의 좌우등이 점등되어 급발진이 발생되었음을 경고한다.
이와 동시에 제 1 계전기(L1)의 접점(3,5)이 도통됨에 따라 연료조절장치의 솔레노이드밸브(SB)의 (+)단자에 전압이 걸리게 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SB)는 ON되어 밸브가 닫히게 되므로 저속회전(≒1000rpm)에 필요한 미량의 연료만 공급하여 기설정된 저속회전 1300∼1500rpm를 유지한다(공회전 상태의 엔진회전수는 750±100rpm). 이처럼 엔진이 저속 유지된 상태에서 접점(4)라인에 연결된 제 6 저항 (R6)을 통해 엔진저속유지부(300)의 타이머B는 제 6 콘덴서(C6)의 방전 시간동안 제 5 계전기(L5)를 ON시킨다. 이어 상기 제 6 콘덴서(C6)의 방전시간 1∼2분 후 제 5 계전기(L5)는 OFF되어 접점(6,7)을 통해 제 4 다이오드(D4)에 (+)전압을 공급하여 전원차단부(400)의 제 3, 4 트랜지스터(Q3,Q4)를 구동시키고 제 2 계전기(L2)를 ON시켜 접점(10,11)을 단락시키므로, 고압발생장치(IG) 및 연료공급장치(PS)의 (+)전압이 차단되어 엔진이 정지된다.
여기서, 상기 급발진 감응부(200)와 동일하게 전원차단부(400)에서 VR2, C3,D4,C4는 엔진 회전수의 급상승 감지수단으로 이용되는데, 급발진 감응부(200)의 고장으로 동작되지 않을 때 타이머B에 의한 지연없이 바로 급발진 상황이 발생하면, 전원차단부(400)에 의해 엔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운전자가 급가속한 급발진 상황은 운전자가 엔진을 시동한 후 가속페달을 밟아서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것이므로, 이 때는 외부동력 감지부 (500)의 가속페달 스위치인 제 1 스위치(SW1)가 ON되어 상기 제 1 스위치(SW1)에 직렬연결된 포토커플러(PhoTo coupler; PT)가 ON된다.
이어 상기 포토커플러(PT)는 상기 제 1 스위치(SW1)의 ON에 따른 신호를 전압으로 검출하여 급발진 감응부(200) 및 전원차단부(400)에 전압을 공급한다. 즉 상기 포토커플러(PT)에 연결된 제 11, 12 다이오드(D11,D12)는 어스되어 제 1 트랜지스터(Q1)와 제 3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 전압을 소멸시켜 Q1,Q2,Q3,Q4,L1,L2를 OFF 상태로 유지시키므로 자동차는 정상 주행의 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회전수의 급상승이 외부동력(운전자의 가속)일 때는 급발진 감응부(200) 및 전원차단부(400)를 동작시키지 않으므로, 엔진을 저속으로 유지시키거나 가속중인 엔진을 정지시키지 않게 되어 정상 주행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상 주행동안 급발진이 발생하면 운전자는 가속페달을 놓거나 브레이크를 밟아 운전상태를 정지시키게 되는데, 엔진이 정지하지 않은 급발진 상황이 지속되면 급발진 감응부(200)와 전원차단부(400)에 의해 즉시 급발진을 해제시키게 된다. 다시말하면, 주행시 급발진이 발생하게 되면 엔진회전수가 급상승하므로 상기 두 번째의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데, 엔진회전수가 급상승하면 엔진회전수의 감지전압에 의해 급발진 감응부(200)와 엔진저속유지부(300)가 동작되어 엔진을 일정시간동안 저속유지시킨 다음, 전원차단부(400)에 의해 엔진을 정지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자동차 급발진 사고는 주로 엔진 시동 초기에 발생하므로 급발진 감응 제어부(600)에 의해 필요한 일정 시간동안만 급발진 제어를 동작하게 할 수도 있고 제 2 스위치(SW2)에 의해 급발진 동작을 지속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시동시점 즉, 브레이크를 밟고 엔진 스타트키를 ON시켜야만 엔진시동이 가능하도록한 것인데, 엔진 시동초기라 함은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엔진 시동을 건 뒤부터 일정시간을 의미하는 것이며, 급발진이란 시동을 걸기전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시동을 건 후부터 고장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며, 주로 시동 후부터 수분 이내에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타이머A 로 설정해 놓은 수 분동안만 제 4 계전기(L4)에 의해 전원을 제한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며, 상기 공급된 전원을 급발진 감응부(200) 및 전원차단부(400)의 동작전원으로 사용하여 급발진을 위한 제어회로 동작을 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엔진저속유지부(300)의 타이머B는 급발진감응부(200)의 제 1 계전기 (L1)에 의해 저속으로 유지되는 상황을 시간으로 검사하여 소정 시간후에는 타이머 B의 전압에 의해 제 5 계전기(L5)의 접점(6,7)에 의해 제 2 계전기(L2)를 ON시키므로 고압발생장치(IG)와 연료공급장치(PS)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고, 따라서 엔진은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급발진감응제어부(600)는 엔진시동에 따른 점화스위치 온단자의 ON에 의해 제 4 계전기(L4)를 ON시켜 급발진 감응부(200)의 제 2 트랜지스터(Q2) 및 전원차단부(400)의 제 4 트랜지스터(Q4)를 구동시켜 급발진 제어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며, 타이머 A에 의해 10∼15분 정도 동작하도록 하거나 계속동작되도록 하고, 타이머A의 시간조절은 저항(R), 콘덴서(C)와 MOSFET를 이용한다. 또한 타이머A의 계속되는 동작 유무는 제 2 스위치(SW2)의 ON/OFF로 결정되며, 타이머A의 리셋 전압은 스타트모터(St)단자에서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을 시동하여 차량의 시동을 거는 상태에서 엔진의 회전수 변화를 검출하여 급발진을 방지하고,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가속페달을 밟는 순간이나 차량이 서행으로 주행하고 있는 순간 또는 정지 상태에서 주행하기 위하여 시프트레버를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순간에도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이를 급발진상황일때만 감지하여 엔진을 일정 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시키고 결국에는 엔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급발진 상황 경보용 버저를 부착하여 급발진 상태를 인지하여 엔진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작동할 때 경보를 발생시켜 급발진 동작 사실을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상세 회로도로서, 엔진 저속유지부(300)에 지연회로를 부가하였고, 외부동력감지부(500)에 스로틀포지션감지부(Throttle position sensor)를 부가하였으며, 급발진 감응 제어부(600)는 제 2 타이머의 리셋전압을 점화스위치 온단자로 이용하였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엔진시동제어부(100)는 브레이크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브레이크가 동작되었을 경우에만 점화스위치의 온단자(ON) 전원에 의하여 연료공급장치(PS) 및 고압발생장치(IG)가 동작되어 엔진이 시동되도록 제어하는데,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제 3 계전기(L3)의 접점(16,17) 및 접점(14,15)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연료공급장치 및 고압발생장치의 (+)단자가 차단되어 있어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이어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스위치의 (+)단자에 연결된 제 9, 10 다이오드(D9,D10)에 의해 제 3 계전기(L3)가 ON되므로 접점(14,16)이 도통되고, 이어 접점(14,16)에 의해 연료공급장치(PS)와 고압발생장치(IG)가 ON되어 시동이 걸리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9 다이오드(D9)는 브레이크 페달을 놓았을 때 제 3 계전기(L3)를 ON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로 이용된다.
다음으로, 고장에 의한 급발진으로 엔진 회전수가 급상승하는 경우, 급발진 감응부(200)는 엔진의 회전수(rpm) 감지단자(P)의 회전수감지전압을 제 1 가변저항 (VR1)으로 조정하고 제 1 콘덴서(C1) 및 제 1 다이오드(D1)에 의해 제 2 콘덴서 (C2)가 충전되며 상기 충전된 제 2 콘덴서(C2) 전압은 제 1, 2 트랜지스터(Q1,Q2)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 컷오프전압값은×VCC전압으로 결정되며, 상기 일정값의 엔진 회전수에 의해 설정된 전압값에 따라 제 1, 2 트랜지스터(Q1,Q2)가 선택적으로 ON/OFF된다.
그리고 상기 엔진회전수가 급상승하는 급발진상태가 발생하면, 엔진회전수 감지전압에 의해 ON된 제 1, 2 트랜지스터(Q1,Q2)는 제 1 계전기(L1)를 ON시키고 상기 제 1 계전기(L1)의 접점(1,3)이 도통되어 연료조절장치(SB)및 공기조절장치 (SA)에 동작전압을 공급하게 되며, 공급된 동작전압에 의해 연료를 최소 공급량으로 제어하고 상기 최소 연료공급량에 적합한 공기량으로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킨다. 이 때, 공회전시의 엔진 회전수는 750±100rpm이고, 저속회전시의 엔진 회전수는 1000rpm이므로 미량의 연료 공급과 연료량에 적합한 공기량으로 엔진 회전수를 설정해 놓은 저속회전수 1300∼1500rpm으로 유지한다.
이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저속으로 엔진회전을 감속시킨 후, 상기 엔진 저속유지부(300)는 상기 엔진 회전수의 급상승으로 급발진이 발생하였음을 경보하고 저속으로 유지된 엔진을 일정시간동안 유지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 1 계전기(L1)의 접점(1)라인에 접속되는 접점(2)에 연결된 좌우정지등이 점등되어 급발진이 발생되었음을 경보함과 동시에 지연회로에 의해 제 6 계전기(L6)의 접점(5,6)을 도통시키고 상기 접점(5,6)에 연결된 제 5 계전기(L5)의 접점(11,12)을 통해 급발진 경보용 버저(buzzer)가 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계전기(L1)가 ON됨에 따라 접점(2)라인에 좌우정지등과 공통 연결된 지연회로가 구동되어 저속으로 감속된 엔진회전을 타이머B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유지하게 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연회로가 구동됨에 따라 제 6 계전기(L6)가 ON되고 상기 제 6 계전기(L6)의 접점(5,6)을 도통시켜 제 5 계전기(L5)의 접점 (11,12)에 의해 경보용 부저가 울리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접점(6)라인에 연결된 제 2 다이오드(D2)에 의해 제 1 계전기(L1)는 계속 ON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접점(11)라인에 연결된 제 6 다이오드(D6)에 의해 타이머B의 제 5 콘덴서(C5)와 제 8 저항 (R8)에 의해 설정된 시간 1∼2분 후 제 5 트랜지스터(Q5)를 턴온시키어 제 5 계전기(L5)를 ON시킨다.
이어 상술한 바와 같이, 급발진 상황이 발생하여 소정시간(1∼2분)동안 저속으로 유지된 상기 엔진을 상기 전원차단부(400)를 통해 완전히 정지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타이머B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된 후, 제 5계전기(L5)를 ON시킴에 따라 상기 제 5 계전기(L5)의 접점(11,13)이 도통되어 상기 접점(13)라인에 연결된 제 2 계전기(L2)를 ON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 2 계전기(L2)의 접점(9,10)이 단락되므로 점화스위치의 ON단자에 의해 연료공급장치(PS) 및 고압발생장치(IG)로 공급되던 전원이 소멸되고 동시에 접점(7,8)이 도통되므로 제8다이오드(D8)에 의해 브레이크 좌우 정지등이 점등되어 엔진이 정지되었음을 경보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차단부(400)의 제 2 가변저항 (VR2), C3, D4, C4, R4, Q3, Q4는 급발진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회전수 감지수단 및 제 2 계전기(L2)의 구동용으로 이용되는데 급발진 감응부(200)의 고장으로 동작되지 않을 때, 급발진 발생시 엔진을 저속으로 유지시킬 필요없이 바로 급발진에 따른 엔진회전수 급상승을 정지시키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급가속한 급발진 상황은 운전자가 가속페달 스위치 즉, 제 1 스위치(SW1)를 밟아 ON시키므로서 상기 제 1 스위치(SW1)에 연결된 제 11,12 다이오드(D11,D12)가 제 1 스위치(SW1)에 의해 어스됨에 따라 가속페달을 밟아 급상승한 엔진회전수 감지 전류는 제 1 스위치(SW1)의 접지단으로 흐르게 되어 제 1 트랜지스터(Q1)와 제 3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 전압을 소멸시킨다. 결국, 급발진 감응부(200)의 제 1 계전기 (L1) 및 제 2 급발진 감응부 (400)의 제 2 계전기(L2)가 OFF상태로 유지되므로 자동차는 정상 주행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내리막길과 같은 급경사지에서 엔진 브레이크를 걸었을 때, 엔진 회전수가 급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는 엔진 실린더내의 연료연소에 의한 에너지로 엔진 회전수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스로틀포지션(Throttle position)의 공기 흡입 장치는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 흡입 장치에 스로틀포지션 각도 센서(VR3)를 구비하여 그 변하는 각도에 따라 스로틀포지션 각도 센서(VR3)로 필요한 각도의 전압을 검출한다(운전자가 가속시킬 때 엔진 회전수는 각도에 비례함). 여기서, 스로틀포지션센서를 제 3 가변저항(VR3)이라 한다.
이어 검출된 전압이 설정된 검출전압 이하일 때는 외부동력 감지부(500)의 스로틀포지션 각도 센서(VR3) 라인에 연결된 제 7, 8 트랜지스터(Q7,Q8) 및 제 7 계전기(L7)가 OFF됨에 따라 접점(20,21)과 병렬 접속된 제 1 스위치(SW1)에 의해 급발진 감응부(200) 및 전원차단부(400)를 OFF시켜 엔진이 제어되지 않는다.
이처럼 엔진 가속이 엔진 브레이크상태(외부동력)일 경우에는 스로틀포지션각도 센서에서 스로틀 밸브각(Throttle valve angle)을 전압으로 검출하여 그 전압변화에 따라 외부동력 유무를 판별하고 엔진가속이 운전자의 가속과 외부동력일 때는 병렬연결된 제 1 스위치(SW1)를 이용하여 엔진을 제어하지 않는다.
또한 주행중 급발진이 발생하면 운전자는 가속페달을 놓거나 브레이크를 밟아 즉시 감지하므로 엔진회전수 급상승을 저하시키거나, 엔진 회전수 급상승에 따른 엔진 회전수 감지전압을 검출하여 급발진 감응부(200) 및 전원차단부(400)에 의해 즉시 급발진을 해제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자동차 급발진 사고는 주로 엔진 시동 초기에 발생하는데 급발진 감응 제어부(600)는 이러한 엔진시동시 발생되는 급발진을 설정시간동안만 제어하거나 계속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브레이크를 밟고 엔진 스타트키를 ON시켜 엔진을 시동시키게 되는데, 급발진은 시동을 건 후부터 수 분 이내에 다량 발생하게 됨에 따라 엔진 시동시점부터 일정시간동안 급발진 감응부(200)와 전원차단부(400)를 동작하게 하여야 한다.
즉, 엔진시동에 따라 점화스위치의 온(ON)단자가 ON되어 타이머A를 구동시키고, 설정된 시간동안 제 6 트랜지스터(Q6)를 통해 제 4 계전기(L4)를 ON시킨다. 이어 상기 제 4 계전기(L4)가 ON됨에 따라 접점(18,19)가 도통되어 스위치온(Switch ON)상태인 제 2 스위치(SW2)를 통해 급발진 감응부(200)의 제 1 계전기(L1)와 전원차단부(400)의 제 2 계전기(L2)를 ON시킨다.
그리고 타이머A로 설정해 놓은 수 분(10∼15분)동안만 제 4 계전기(L4)를 통해 동작전원을 제한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며, 상기 전원을 급발진 감응부(200) 및 전원차단부(400)의 동작전원으로 사용하여 급발진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타이머A의 조절은 10분∼15분 정도 동작하도록 하며, 타이머A의 시간조절은 R9및 C9로 하였고, 타이머A의 동작은 점화스위치 ON직후부터이며 타이머 동작의 계속 유무는 제 2 스위치(SW2)의 ON/OFF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급발진 방지를 위한 전자제어장치의 상세 회로도로서, 브레이크 페달과 상관없이 엔진 시동후의 급발진을 한 번의 제어 동작만으로 소정시간동안 엔진가속을 감속시키고 급발진 상황을 경보함과 동시에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엔진 시동 후 소정 엔진회전수 이상의 급발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키도록 연료 및 공기 공급량을 제한하는 급발진 감응부(200')와, 상기 저속으로 제어된 엔진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급발진 상황을 경보함과 동시에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엔진저속유지부(300')와, 운전자가 가속시킴에 따른 상기 엔진의 가속을 감지하여 상기 급발진 감응부(200')의 동작을 패스시키는 외부동력 감지부(500')와, 상기 엔진의 시동시점부터 일정시간동안 상기 급발진 감응부 (200')를 제어하는 급발진 감응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엔진시동 후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고장에 의한 급발진으로 엔진 회전수가 급상승하는 경우, 급발진 감응부(200')는 엔진의 회전수(rpm) 감지단자(P)의 회전수감지전압을 제 1 가변저항(VR1)으로 조정하고 제1콘덴서(C1)와 제1다이오드(D1)에 의해 제2콘덴서(C2)가 충전되며 상기 충전된 제2콘덴서(C2)전압은 제 1, 2 트랜지스터(Q1,Q2)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 컷오프전압값은×VCC전압으로 결정되며, 상기 일정값의 엔진 회전수에 의해 설정된 전압값에 따라 제 1, 2 트랜지스터(Q1,Q2)가 선택적으로 ON/OFF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엔진회전수가 급상승하는 급발진상태가 발생하면, 엔진회전수 감지전압에 의해 ON된 제 1, 2 트랜지스터(Q1,Q2)는 제 1 계전기(L1)를 ON시키고 상기 제 1 계전기(L1)의 접점(1,2) 및 접점(3,4)는 동시에 도통되어 연료조절장치(SB)및 공기조절장치(SA)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공급된 동작전원에 의해 연료를 최소 공급량으로 제어하고 상기 최소 연료공급량에 적합한 공기량으로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킨다. 이 때, 공회전시의 엔진 회전수는 750±100rpm이고, 저속회전시의 엔진 회전수는 1000rpm이므로 미량의 연료 공급과 연료량에 적합한 공기량으로 엔진 회전수를 설정해 놓은 저속회전수 1300∼1500rpm로 유지한다.
이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저속으로 엔진회전을 감속시킨 후, 상기 엔진저속 유지부(300')는 상기 엔진 회전수의 급상승으로 급발진이 발생하였음을 경보하고 저속으로 유지된 엔진을 일정시간동안 유지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 1 계전기(L1)의 접점(2)라인에 연결된 좌우정지등이 점등되어 급발진이 발생되었음을 경보함과 동시에 제 6 계전기(L6)의 접점(5,6)을 도통시키고 상기 접점(5,6)에 연결된 제 5 계전기(L5)의 접점(11,12)를 통해 급발진 경보용 버저(BZ)가 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계전기(L1)가 ON됨에 따라 접점(2)라인에 좌우정지등과 공통 연결된 지연회로가 구동되어 저속으로 감속된 엔진회전을 타이머B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유지하게 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연회로가 구동됨에 따라 제 6 계전기(L6)가 ON되고 상기 제 6 계전기(L6)의 접점 (5,6)을 도통시켜 제 5 계전기(L5)의 접점(11,12)에 의해 경보용 부저(BZ)가 울리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접점(6)라인에 연결된 제 2 다이오드(D2)에의해 제 1 계전기(L1)는 계속 ON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접점(11)라인에 연결된 제 6 다이오드 (D6)에 의해 타이머B의 제5콘덴서(C5) 및 제8저항(R8)에 의해 설정된 시간 1∼2분 후 제 5 트랜지스터(Q5)를 턴온시키어 제 5 계전기(L5)를 ON시킨다. 또한, 상기 제 5 계전기(L5)가 ON됨에 따라 접점(9,10)이 단락되므로, 점화스위치 온(ON) 단자와연료공급장치(PS)의 연결을 차단시켜 연료공급을 중지하므로써 엔진을 완전히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급가속한 급발진 상황은 운전자가 가속페달감지용 제 1 스위치(SW1)를 밟아 ON시키므로서 상기 제 1 스위치(SW1)에 연결된 제 11 다이오드(D11)가 제 1 스위치(SW1)에 의해 어스됨에 따라 가속페달을 밟아 급상승한 엔진회전수 감지 전류는 제 1 스위치(SW1)의 접지단으로 흐르게 되어 제 1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 전압을 소멸시킨다. 결국, 급발진 감응부(200')의 제 1 계전기(L1)가 OFF상태로 유지되므로 자동차는 정상 주행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내리막길과 같은 급경사지에서 엔진 브레이크를 걸었을 때, 엔진 회전수가 급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는 공기흡입장치에 스로틀포지션 각도 센서(제 3 가변저항; VR3)를 구비하여 그 개방 각도에 따라 스로틀포지션 각도 센서(VR3)로 필요한 각도의 전압을 검출한다(가속시킨 엔진 회전수는 각도에 비례함).
이어 검출된 전압이 설정된 검출전압 이하일 때는 외부동력감지부(500')의 스로틀포지션 각도 센서(VR3)에 연결된 제 7 계전기(L7)가 OFF됨에 따라 접점 (20,21)과 병렬 접속된 제 1 스위치(SW1)에 의해 급발진 감응부(200')를 OFF시켜 엔진이 제어되지 않는다. 이처럼 엔진 가속이 외부동력(운전자의 조작, 엔진 브레이크)일 경우에는 스로틀포지션센서에서 스로틀 밸브각을 전압으로 검출하여 그 전압변화에 따라 외부동력 유무를 판별하고 엔진가속이 외부동력일 때는 병렬연결된 제 1 스위치(SW1)를 이용하여 엔진을 제어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급발진은 시동을 건 후부터 수 분 이내에 다량 발생하게 됨에 따라 엔진 시동 후 일정시간동안 급발진 감응부(200')를 동작하게 하거나 계속 동작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타이머A로 설정해 놓은 수 분(10∼15)동안만 제 4 계전기(L4)를 통해 동작전원을 제한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며, 상기 전원을 급발진 감응부(200')의 동작전원으로 사용하여 급발진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타이머A의 조절은 10분 내지 15분 정도 동작하도록 하며, 타이머A의 시간조절은 R9및 C9로 하였고, 타이머A의 동작은 점화스위치 ON직후부터이며 타이머 동작의 계속 유무는 제 2 스위치(SW2)의 ON/OFF로 이루어진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의 상세회로도로서, 주행 중 소정 엔진회전수 이상의 급발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키도록 연료 및 공기 공급량을 제한하는 급발진 감응부 (200"), 상기 저속으로 제어된 엔진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급발진 상황을 경보함과 동시에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하는 엔진 저속유지부(300"), 운전자가 가속시킴에 따른 상기 엔진의 가속을 감지하여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외부동력 감지부(500")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 3 실시예는 자동차의 시동초기뿐만 아니라, 주행 중 일시정지상태나 신호등 대기상태에서 엔진의 갑작스런 급상승으로 인해 발생되는 급발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시동후 소정 시간동안 급발진 감응을 제어하는 동작을 제외한 급발진 감응, 엔진저속유지, 전원차단 동작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자동차와 수동변속기 자동차에 관계없이 모든 자동차에 급발진 방지 장치로 적용할 수 있는데, 주행중 급발진이 발생하면 엔진회전수 급상승 시점에서 즉시 감지하여 엔진을 0.1초내로 저속으로 다운시키며, 저속 상태에서 2∼3초동안 급발진이 해제되지 않으면 급발진 경보가 울리게 되고, 차량을 갓길에 주차할 수 있도록 저속상태로 약 2분 정도 유지시킨 다음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또한 주행중 급발진이 발생하면 즉시 0.1초내 엔진을 저속으로 다운시키며, 저속상태에서 급발진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원래의 자동차 상태로 환원되거나, 주행중 급발진이 발생하면 저속유지됨없이 즉시 엔진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급발진 상황이 발생할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엔진에 연료와 공기를 미량 공급하여 엔진이 저속회전 후 정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급발진 상황을 경보하므로써, 운전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주위에 급발진 상황을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으며, 엔진가속이 외부동력, 운전자의 작동 및 차량의 고장 등 모든 급발진 상황에 의한 엔진회전수 급상승을 감지하여 엔진을 정지시키므로써 급발진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자동차의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만 엔진이 시동되도록 제어하는 엔진시동 제어수단;
    상기 엔진 시동 후 소정 엔진회전수 이상의 급발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키도록 연료 및 공기 공급량을 제한하는 급발진 감응수단;
    상기 저속으로 제어된 엔진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발진 상황을 경보하는 엔진 저속유지수단;
    상기 엔진 저속유지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속으로 유지된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엔진시동 제어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전원차단수단;
    외부동력 및 운전자의 가속에 따른 상기 엔진의 가속을 감지하여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 및 전원차단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외부동력 감지수단; 및
    상기 엔진의 시동시점부터 일정시간동안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 및 전원차단수단을 제어하는 급발진 감응 제어수단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시동 제어수단은,
    브레이크, 점화스위치 및 계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계전기를 통해 상기 브레이크가 동작될 경우에만 상기 점화스위치의 온단자 전원에 의해 상기 엔진을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급발진 감응수단은,
    상기 엔진의 회전수 급상승에 따른 전압을 검출하여 소정전압으로 조정하는 가변저항;
    상기 가변저항으로 조정된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트랜지스터와 계전기; 및
    상기 계전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연료조절장치와 공기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검출된 엔진 회전수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연료조절장치와 공기조절장치를 제어하므로써 연료를 최소 공급량으로 제어하여 상기 연료에 적합한 공기량으로 상기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으로 감속된 엔진의 회전수는 1300∼150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저속유지수단은,
    상기 저속으로 감속된 엔진을 소정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상기 지연된 저속 엔진을 1∼2분동안 유지시키는 제 1 타이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수단은,
    상기 엔진의 회전수 급상승에 따른 전압을 소정전압으로 조정하는 가변저항; 및
    상기 가변저항으로 조정된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트랜지스터와 계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 이상의 전압으로 검출되면 상기 엔진시동 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동력 감지수단은,
    가속페달의 작동을 감지하는 가속페달감지부; 및
    상기 엔진의 가속에 의한 스로틀밸브 각도를 감지하는 스로틀포지션감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속페달감지부와 스로틀포지션감지부는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감지부는 상기 가속페달의 작동을 감지하여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 및 전원차단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포지션감지부는,
    공기 흡입밸브 개방 각도에 따른 전압을 검출하는 스로틀포지션센서; 및
    상기 검출된 전압이 설정된 값이하일 경우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 및 전원차단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계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 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 감응 제어수단은,
    제 2 스위치; 및 제 2 타이머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스위치의 온/오프 선택에 의해 상기 제 2 타이머가 동작되므로써 상기 엔진의 시동시점부터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 및 전원차단수단의 동작시간을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이머의 시간조절은 콘덴서와 저항을 이용하며, 상기 제 2 타이머에 의해 상기 급발진 감응 제어수단은 10∼15분동안 동작되거나 계속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감지부는,
    상기 제 1 스위치의 ON신호를 검출하는 포토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13. 자동차의 전자제어 장치에 있어서,
    엔진 시동 후 소정 엔진회전수 이상의 급발진 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키도록 연료 및 공기 공급량을 제한하는 급발진 감응수단;
    상기 저속으로 제어된 엔진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급발진 상황을 경보함과 동시에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하는 엔진 저속유지수단;
    운전자가 가속시킴에 따른 상기 엔진의 가속을 감지하여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외부동력 감지수단; 및
    상기 엔진의 시동시점부터 일정시간동안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을 제어하는 급발진 감응 제어수단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저속유지수단은 상기 저속으로 유지된 엔진을 1∼2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 감응 제어수단은 스위치 및 타이머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선택에 의해 상기 타이머가 동작되므로써, 상기 엔진의 시동시점부터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을 수 분(10∼15)동안 제어하거나 계속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16.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에 있어서,
    주행 중 소정 엔진 회전수 이상의 급발진 상태를 판별하여 엔진을 저속으로 감속시키도록 연료 및 공기 공급량을 제한하는 급발진 감응수단;
    상기 저속으로 제어된 엔진을 설정된 시간동안 저속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급발진 상황을 경보함과 동시에 상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하는 엔진 저속유지수단; 및
    운전자가 가속시킴에 따른 상기 엔진의 가속을 감지하여 상기 급발진 감응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외부동력 감지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KR1020000023950A 1999-07-02 2000-05-04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KR20010014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950A KR20010014868A (ko) 1999-07-02 2000-05-04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707A KR19990073332A (ko) 1999-07-02 1999-07-02 자동차급발진에관한다중방지장치
KR1019990026707 1999-07-02
KR1020000023950A KR20010014868A (ko) 1999-07-02 2000-05-04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868A true KR20010014868A (ko) 2001-02-26

Family

ID=2663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950A KR20010014868A (ko) 1999-07-02 2000-05-04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48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264A (ko) * 2001-10-19 2003-05-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방법
KR100726547B1 (ko) * 2005-12-12 2007-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동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1441U (ja) * 1982-12-10 1984-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装置
JPS6283734U (ko) * 1985-11-18 1987-05-28
KR19990073332A (ko) * 1999-07-02 1999-10-05 최진해 자동차급발진에관한다중방지장치
KR100320376B1 (ko) * 1999-06-22 2002-01-12 신현오 자동차의 안전 출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1441U (ja) * 1982-12-10 1984-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装置
JPS6283734U (ko) * 1985-11-18 1987-05-28
KR100320376B1 (ko) * 1999-06-22 2002-01-12 신현오 자동차의 안전 출발 방법 및 장치
KR19990073332A (ko) * 1999-07-02 1999-10-05 최진해 자동차급발진에관한다중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264A (ko) * 2001-10-19 2003-05-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방법
KR100726547B1 (ko) * 2005-12-12 2007-06-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동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9239A (ko) 차량 급발진 방지 제어 시스템
KR20010014868A (ko) 자동차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
JP2940174B2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KR100314548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583534B2 (ja) 車両用定速走行装置
KR200171223Y1 (ko) 자동차급발진에관한다중방지장치
KR100334645B1 (ko) 자동차 급발진에 관한 다중 방지 장치
KR19990073332A (ko) 자동차급발진에관한다중방지장치
KR100507467B1 (ko) 디젤 차량의 가속 페달 센서 고장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319492B1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방법
KR200189647Y1 (ko) 자동차 급발진에 관한 다중 방지 장치
KR100783864B1 (ko) 경사로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의 안전차단장치
KR100475982B1 (ko) 트럭의 동력인출장치 작동 경고장치
JP3727471B2 (ja) 警報装置
JP7249479B2 (ja) 急発進防止装置のセーフティモードの一時解除方法
KR19980044999U (ko) 자동차용 스톱램프 점등시스템
JPH0640512Y2 (ja) 定速走行装置
JPH11151949A (ja) At(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搭載車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0149158B1 (ko) 자동차의 시동꺼짐 방지장치
KR200192972Y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JP2002187479A (ja) エンジンストップ警告装置
KR100254443B1 (ko) 주행 도로에 따른 차량 과속방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13806Y1 (ko) 배기 브레이크 작동장치
KR100391215B1 (ko)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엔진 브레이크 작동시 제동등작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475796B1 (ko) 엔진의흡기부압을이용한비상경고등의자동점등장치및점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