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717A - 요리 용기 - Google Patents

요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717A
KR20010014717A KR1020000018928A KR20000018928A KR20010014717A KR 20010014717 A KR20010014717 A KR 20010014717A KR 1020000018928 A KR1020000018928 A KR 1020000018928A KR 20000018928 A KR20000018928 A KR 20000018928A KR 20010014717 A KR20010014717 A KR 20010014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locking member
cooking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2128B1 (ko
Inventor
크레이짜위르겐
Original Assignee
베엠에프 비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에이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엠에프 비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에이지이 filed Critical 베엠에프 비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에이지이
Publication of KR2001001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08Locking devices of the bridge-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1Locking devices using a number of pivotable clamp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oking-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압력 하에서 조리되는 요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용기는 용기 부분(2), 뚜껑(3), 및 압력 밀착 방식으로 용기 부분에 뚜껑을 안전하게 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재(8)로 이루어진다. 상기 잠금 부재(8)는 제1 잠김 위치 및 뚜껑을 개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자재 절약 효과가 있으며, 뚜껑(3)이 압력을 견디면서 상기 용기 부분(2) 위에 덮여지는 요리 용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접촉면(14, 15)이 전단 부하 쌍(shear-load pair)을 형성하고, 축 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접촉면(11)에 내부 압력을 가한 상태 하에서 잠금 부재(8)에 반발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용기 부분(2) 및 상기 뚜껑(3) 위에 있는 잠금 부재(8)를 위하여 제공되어야만 한다.

Description

요리 용기{Cooking Vessel}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내부 압력 하에서 요리되는 요리 용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용기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서 특정되는 형태이다.
발명의 배경
압력 용기는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으며, 많은 압력 용기들을 시장에서 접해볼 수 있다. 일반적인 형태의 요리 용기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공보 DE 33 658 C에서 제시된 바 있다. 상기 요리 용기에서, 뚜껑은 세 개의 잠금 부재에 의하여 용기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잠금 부재들은 중심부에 있는 뚜껑의 로터리 디스크(rotary disk) 위에서 한쪽 끝 말단과 함께 선회축으로 죄여지고, 뚜껑의 테두리 너머에 있는 뚜껑의 가이드(guide)를 지나 신장된다. 상기 용기 부분은 상부쪽으로 돌출된 구멍(eyelet) 또는 용기 부분의 외관을 해치는 주변 홈(surrounding groove)을 제공한다. 상기 로터리 디스크가 선회하는 동안, 잠금 부재들은 나선형으로 움직이고, 상기 구멍 안으로 나아가야만 한다. 그러나 압력이 가해지면서 요리가 되는 동안 상당한 내부 압력이 수집되어, 그 압력이 3 bar에 이르게 된다. 상기 내부 압력은 뚜껑에 가해지고, 그리고 공지된 요리 용기의 경우 내부 압력은 중심 로터리 디스크와 잠김 부재를 나사로 연결함으로써 벤딩 레버(bending lever) 역할을 하는 잠김 부재의 전 구간에서 완전하게 수용되어야만 하여야 한다. 공지된 냄비의 잠금 장치(pot lock)가 현재 안전 요건과는 결코 부합할 수 없다는 것과는 별개로, 잠김 부재 및 걸쇠(fastening)/로터리 스크류(rotary screw)는 어떠한 속도에서도 뚜껑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게 위하여 바람직한 것이어야 한다. 더욱이 그러한 용기에서의 용기 부분은 상차림 용기로써는 적합하지 않다.
최근에, 뚜껑과 용기 부분간의 베이오넷 잠금 장치(bayonet lock)가 상기 용기 부분의 베이오넷 웨브(bayonet web)와 견고하게 접촉되는 상기 뚜껑의 베이오넷 웨브를 가압하는 내부 압력에 의하여 밀폐 압력을 갖는 압력 쿠커(cooker)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은 뚜껑과 용기 부분이 서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만 밀폐되고 개방될 수 있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돌출된 베이오넷 웨브는 용기가 경우에 따라서 상차림용으로 쓰였을 경우 외관을 손상시킨다. 더욱이, 강화된 안전성 기준은 다른 뚜껑의 안전 수단을 개발하도록 요구하였으며, 그러한 안전 수단은 베이오넷 잠금 장치에 대하여 내부 압력으로 적합한 밀폐력 뿐 아니라, 상기 뚜껑 안전 수단은 잠금 부재를 이용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내부 압력에 대하여 뚜껑과 용기 부분의 베이오넷 웨브 내에 수직으로 놓인 요부(凹部: recess)를 따라서 밀려나게 되고, 그리고 용기 부분이 내부 압력을 필요로 하는 한 확실히 뚜껑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추가적인 뚜껑 안전 수단은 더욱 복잡한 베이오넷 잠금 장치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어떠한 베이오넷 잠금 장치도 없는 압력 쿠커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더욱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예로는 독일특허공보 DE 32 32 907 A1 또는 DE 40 26 166 A1이 있다. 공지된 밀폐 또는 잠금 장치는 중심부에 있는 꼭지로부터 슬라이드 컨트롤(slide control)을 지나 방사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요리 냄비(cooking pot)의 플랜지를 댄 가장자리 아래쪽에서 베이오넷 잠금 장치의 방식으로 뚜껑 및 손잡이를 지지해 줄 수 있는 걸쇠(clasp)를 이용한다. 그러나, 상당한 내부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걸쇠는 휘어질 만큼 상당한 힘을 받는다. 그러므로, 상기 걸쇠 및 뚜껑을 지지하는 상기 언급한 모든 것들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재료 절감의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뚜껑이 압력을 견디면서 용기 부분에 덮여지는 내부 압력 하에서 요리할 수 있는 요리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제시된 바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착상 중 선행 기술에 속하는 부분은 포기되며, 즉 접촉면의 주요부가 베이오넷 잠금 장치 없이 요리 용기의 한 부분과 그 밑의 다른 부분을 밀착시키기 위한 것이며, 다시 말해 이동될 수 있는 베이오넷 웨브와 같은 걸쇠(clasp)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고, 그리고 잠금 수단에 있어서 완전히 새로운 부하 분포(load distribution)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잠금 부재는 단순히 전단 부하(shear load)가 걸리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매우 짧은 벤딩 레버(bending lever)를 가지며, 그 부재의 구조는 동일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때 더욱 가볍고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잇점은 종속항에 의하여 더해질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하여, 요부(凹部: recess)에서 전단 부하가 쌍으로(shear-load pair) 걸린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을 서로 다른 면과 가능한 한 밀접하게 접하도록 배치하여 전단 부하가 걸린 접촉면의 배열을 특히 구조적으로 단순화시킨다.
청구항 3에 의하여, 상기 요부가 뚜껑에 배치되는 경우 용기 부분의 외관이 보기 좋아진다.
청구항 4에 따라 측정한 결과 벤딩 레버가 더 짧아진다.
청구항 5는 잠금 부재의 특히 바람직한 이동 방향을 기재한 것이다.
청구항 6 및 7은 전단 부하 쌍의 접촉면 배열에 대한 첫 번째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재한 것이다.
청구항 8은 마개형 뚜껑 또는 마개 기능을 갖는 뚜껑에 특히 바람직한 접촉면의 배열에 대한 또 다른 구체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부재는 비교적 작게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뚜껑의 외부 표면에 청구항 9의 상기 부재를 박아 넣을 수 있어서 더러움을 덜 타고, 더러워진 경우에는 더욱 쉽게 세척이 가능하므로, 상기 뚜껑은 대체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이룰 수 있다.
잠금 부재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청구항 10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이중 벽을 갖는 뚜껑의 내부 공간에 잠김 부재를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첨부된 도면을 인용함으로써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요리 용기의 개략적인 원근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구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한 구역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요리 용기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와 유사한 구역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요리 용기의 또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내부 압력 하에서 요리를 할 수 있는 압력 쿠커(1)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쿠커는 용기 부분(2) 및 뚜껑(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부분(2)은 기본적인 요리 냄비(pot)로 설계되고,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에나멜이 입혀진 강철(enameled steel)로 이루어지며, 표준 열-분포 바닥(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그리고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베이오넷 잠금 장치를 갖춘 요리 용기에서 기본이 되고 베이오넷 형태의 잠금 장치 역할을 하면서 사용되는 손잡이(handle grip)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냄비의 손잡이와 같이 설계될 수 있는 손잡이(4: handle)를 제공한다. 뚜껑이 없이, 요리 용기(1)는 일반 요리 냄비 및/또는 상차림용 용기로써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뚜껑(3)에는 중심 부분에 꼭지(5: knob)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꼭지(5)에는 압력 쿠커에서 기본이 되는 요리 밸브(6)가 들어가 있고, 그리고 같은 거리로 주변에 분포된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복수 개(예를 들어, 6개)의 잠금 부재(8)를 이동시키는 공지된 슬라이드 컨트롤(slide control) 중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부재(8)는 가늘고 긴 판의 형태로 설계되고, 상기 뚜껑(3)의 표면 위에 배치되거나 그 안에 박는 형태(countersink)로 배치되고, 그리고 잠금 부재(8) 내의 연장된 구멍(10)을 따라서 밀려지는 핀(9)의 작용으로 양방향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컨트롤(7)에 의하여 방사상 이동 운동을 한다.
도 2에서 뚜렷한 점은, 뚜껑(3)이 하부 쪽으로 구부러진 테두리 부분(3a)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테두리 부분(3a)은 빈 모서리(free edge)와 함께 외부 쪽으로 플랜지를 붙인(flanged) 또는 구부러진 용기 부분(2)의 용기 테두리(2a)와 꽉 죄여진다. 상기 잠금 부재(8)는 상기 뚜껑(3) 및 상기 테두리 부분(3a)의 윤곽을 형성하지만, 빈 모서리 앞부분에서는 실질적으로 일직선의 맞물림 부분(11)을 갖고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L-형태 구조를 이루면서 휘어진다. 상기 맞물림 부분(11)은 상기 뚜껑 테두리(3a)의 빈 모서리로부터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 상기 뚜껑 테두리(3a)를 지나 신장되도록 형성된 요부(12: 凹部)를 통하여 신장된다. 상기 요부(12)는 맞물림 부분(11)의 면적과 정확히 들어맞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부(12)는 삽입된 봉입 부분(seal)과 함께, 상기 용기 테두리(2a)와 실질적으로 수평적으로 뻗어 있는 가장자리(13)보다 하부에서 일직선을 이루면서 상기 뚜껑 테두리(3a)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잠금 부재(8)가 링크 컨트롤(7: link control)에 의하여 안쪽으로 방사상으로 밀려가는 경우, 상기 맞물림 부분(11)은 용기 테두리(2a)의 모서리(14) 밑에서 상기 뚜껑(3)의 요부(12)를 지나 신장되고, 그리고 상기 용기 부분(2)의 내부가 그러한 상태 하에서 압력을 받는 경우, 상기 뚜껑(3)은 상기 뚜껑 테두리(3a)의 요부(12)의 하부 모서리(15)가 상기 맞물림 부분(11)에 오게되기 때문에 들어 올려지게 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용기 부분(2)의 용기 테두리(2a)의 모서리(14)에 맞대어 있는 상기 맞물림 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두 모서리(14), (15) 부분은 맞물림 부분(11)으로 상당히 큰 반발력을 유도하는 한 쌍의 전단 부하를 갖는 접촉면을 형성하여, 접합부로 제공된다.
이상적으로, 상기 뚜껑 테두리(3a)는 용기 테두리(2a)와 매우 단단히 들어맞아 두 접촉면(14), (15)이 직접적으로 서로 접하여 있으며, 그로 인하여 상기 맞물림 부위(11) 상의 접촉면들이 상기 맞물림 부위 상에 압력을 가하는 모든 거친 굴곡 운동으로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된다. 그러나, 두 접촉면(14), (15) 사이의 맞물림 부분(11)의 세로 또는 축 방향으로 작은 간격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별 문제는 없으며, 그 이유는 발생되는 굴곡 운동이 조절 가능하기 때문이다. 주된 문제는 잠금 부재가 대개 전단 부하(shear load)가 걸린다는 점이다.
맞물림 부분(11)의 구간 및 이동 경로는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부분(11)이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뚜껑을 열기 위한 제2 위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 테두리(3a)의 요부(12) 안에 존재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잠금 부재(8)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뚜껑(3)의 벽과 함께 이중 벽을 갖는 뚜껑(3) 내에 수용되었을 때 손상으로부터 더욱 향상적으로 보호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예를 들어, 상기 뚜껑의 벽은 하부 쉘(shell)로써 이용되고 또 다른 상부 쉘에 의하여 싸여진다. 그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잠금 부재(8)를 외부 표면 내로 더 이상 박아 넣을 필요가 없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 장치와 함께 마개형 뚜껑을 갖는 압력 쿠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도 1 및 2에서 나타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 부분은 동일한 부재 번호를 가지며, 다시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의 마개형 뚜껑(103)은 이중 벽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리고 용기 부분(2)의 상단 안쪽 부분과 평행을 이루면서 실질적으로 신장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중 벽으로 이루어진 뚜껑(103)의 하부 쉘(103b)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형성되는 테두리 부분(103a)을 포함한다. 하부 쉘(103b) 및 상부 쉘(103c)은 공동(116: 空洞)을 형성하며, 그 사이로는 적어도 하나의 막대기 같은 잠금 부재(108)가 뻗어 있다. 상기 잠금 부재(108)는 벽 통로(110: wall passage)에 의하여 지탱되고, 그리고 중심 꼭지(5)를 거쳐 상기 슬라이드 컨트롤(7)에 의하여 양방향 화살표 (A)의 지시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뚜껑(3)의 테두리 부분(103a)은 차례로 상기 용기 부분(2)의 적어도 축 방향으로 잠금 부재(108)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요부(112: 凹部)를 포함한다. 용기 부분(2)에 있는 요부(117)의 상부 모서리(114)가 잠금 부재(108)를 위한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뚜껑 테두리(103)의 요부(112)의 하부 모서리(115)가 잠금 부재(8)를 위한 다른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용기 부분(2)의 상부에 있는 요부(117)를 포함하며, 상기 요부(117)는 뚜껑(103)이 덮인 상태에서 요부(112)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두 접촉면(114), (115)은 맞물림 부분(111)의 축 방향으로 직접 맞닿아 있는 위치에서 전단 부하 쌍을 형성하며, 그것은 상기 뚜껑(103)이 내부 압력에 의하여 부하가 걸렸을 경우 잠금 부재(8) 안으로 반발력을 유도한다.
도 4는 뚜껑(203)의 또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뚜껑은 마개형 뚜껑과 풋-오버형 뚜껑(put-over lid)을 결합시킨 구조를 갖는다. 상기 뚜껑(203)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며, 외부 쉘(203c) 및 내부 쉘(203b)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 공간(216)에는 적어도 하나의 막대기 같은 잠금 부재(208)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잠금 부재(208)는 양방향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중심 꼭지(5)로부터 표준 슬라이드 컨트롤(7)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어링(bearing)에 의하여 뚜껑 내부 공간(216)에서 지지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잠금 부재(208)는 상기 뚜껑(203)의 내부 쉘(203b)의 위쪽으로 향한 내부 테두리(203d)에 있는 제1 요부(212a)를 지나 신장되고, 상기 용기 부분(2)의 요부(217)를 지나 신장되고, 그리고 상기 뚜껑(203)의 외부 쉘(203c)의 아래쪽으로 향한 외부 테두리(203a)에 있는 제2 요부(212b)를 지나 신장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3)의 내부 테두리(203d) 위에 있는 요부(212a)의 하부 모서리(214a) 및 상기 용기 부분(2)의 요부(217)의 상부 모서리(215)는, 잠금 부재(208)의 맞물림 부분(211) 위의 접합점에서 전단 부하 쌍의 두 개의 접촉면을 형성한다. 전단 부하 쌍의 접촉면의 크기는 뚜껑의 외부 테두리(203a)의 제2 요부(212b), 즉 그 하부 모서리(214b)에 의하여 증가되어, 잠금 부재 상에서 걸리는 놋치 부하에 대하여 염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기에서 기재되고 도시된 구체예의 변형에 있어서, 도면들의 세밀한 부분들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양쪽 뚜껑의 테두리 부분을 관통하면서 신장되는 잠금 부재 없이, 풋-오버 및 마개형 뚜껑을 결합시켜 도 2 및 3에 따른 뚜껑을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어떠한 비드(bead)도 없이, 즉 원통형의 테두리를 갖는 용기 부분을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며, 도 2에 따라 신장되는 잠금 부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용기 부분 내에 요부(凹部)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늘고 긴 판 형태 또는 막대기와 같은 형태를 제외하고도, 상기 잠금 부재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즉 구부러지거나 두 갈래도 나뉘어질 수도 있거나, 네 개의 모서리를 갖는 단면(four-cornered cross-section)을 가질 수도 있다. 잠금 부재의 수는 변할 수도 있으며, 그 운동 방향도 바뀔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용기 부분의 요부의 상부 모서리 및 내부로 플랜지를 붙인(flanged) 뚜껑 테두리의 모서리에 의하여 전단 부하 쌍(shear-load pair)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재료 절감의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뚜껑이 압력을 견디면서 용기 부분에 덮여지는 내부 압력 하에서 요리할 수 있는 요리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접촉면의 주요부가 베이오넷 잠금 장치 없이 요리 용기의 한 부분과 그 밑의 다른 부분이 밀착되고, 이동될 수 있는 베이오넷 웨브와 같은 걸쇠(clasp)를 이용하며, 잠금 수단에 있어서 완전히 새로운 부하 분포(load distribution)가 달성되는 요리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용기 부분(2) 및 뚜껑(3, 103, 203)이 잠금 부재(8, 108, 208)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4, 15, 114, 115, 214a, 214b, 215) 위에서 각각 형성되고, 상기에서 접촉면이 전단 부하 쌍(shear-load pair)을 형성하고, 인접해 있는 접촉면(11, 111, 211)에 내부 압력을 가한 상태 하에서 잠금 부재(8, 108, 208)에 반발력을 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부분과 뚜껑을 단단하게 압력-밀착시키기 위하여 제1 잠금 위치 및 뚜껑을 개방시키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재(8, 108, 208), 용기 부분(2) 및 뚜껑(3, 103, 203)으로 이루어진 내부 압력 하에서 조리되는 요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단 부하 쌍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4, 15, 114, 115, 214a, 214b, 215)이 용기 부분(2) 또는 뚜껑(3, 103, 203) 상의 요부(12, 112, 117, 212a, 217: 凹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12, 112, 212a, 212b)가 뚜껑(3, 103, 203)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들은 잠금 부재(8, 108, 208)에 있는 일직선의 맞물림 부분(11, 111, 211)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8, 108, 208)는 방사 방향 (A)으로 뚜껑(3, 103, 203) 위에서 이동되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부하 쌍의 접촉면(14) 중 하나는 용기 부분(2)의 테두리(2a)에 위치하고, 상기 뚜껑(3)은 외부 쪽으로부터 뚜껑 테두리 부분(3a)으로 상기 용기 테두리(2a) 위에서 꽉 죄여지고, 상기 요부(12: 凹部)는 상기 전단 부하 쌍의 다른 접촉면(15)을 갖는 상기 테두리 부분(3a)에서 제공되고, 그리고 제1 위치에 있는 잠금 부재(8)가 상기 용기의 테두리(2a)의 접촉면(14)과 맞물리는 상기 요부(12)를 지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테두리(2a)는 외부 쪽으로 플랜지를 붙인 부분(flanged portion)을 갖고, 그리고 상기 접촉면(14)은 상기 플랜지를 붙인 부분(2a)의 하부 쪽으로 나 있는 모서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용기.
  8.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3, 203)은 용기 부분(2)을 막을 수 있는 테두리 부분(103a, 203d)을 갖고, 상기 두 접촉면(114, 115, 214a, 215)들은 요부(112, 117, 212a, 217)에 각각 배치되고, 그리고 제1 위치의 상기 잠금 부재(108, 208)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양쪽의 요부(凹部)들을 지나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8)는 가늘고 긴 막대 형태이고, 상기 뚜껑(3)의 외부 표면 안으로 박히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용기.
  10.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03, 203)은 이중 벽 구조이고, 상기 잠금 부재(108, 208)는 뚜껑의 내부 공간(116, 216)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 용기.
KR10-2000-0018928A 1999-04-15 2000-04-11 요리 용기 KR100382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107591A EP1044642B1 (de) 1999-04-15 1999-04-15 Kochgefäss
EP99107591.2 1999-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717A true KR20010014717A (ko) 2001-02-26
KR100382128B1 KR100382128B1 (ko) 2003-05-01

Family

ID=823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928A KR100382128B1 (ko) 1999-04-15 2000-04-11 요리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44642B1 (ko)
JP (1) JP2000308576A (ko)
KR (1) KR100382128B1 (ko)
AT (1) ATE255836T1 (ko)
DE (1) DE59908021D1 (ko)
ES (1) ES2212411T3 (ko)
PT (1) PT1044642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6807B1 (fr) * 2002-03-08 2004-07-16 Seb Sa Appareil de cuisson d'aliments sous pression a dispositif de commande de verouillage/deverouillage rotatif
ES2420845T3 (es) * 2008-02-08 2013-08-27 Gero Vertriebs Gmbh Recipiente para cocer
FR2940600B1 (fr) * 2008-12-30 2011-01-28 Seb Sa Appareil de cuisson d'aliments sous pression a machoires allegees et procede de fabrication
CN110192766A (zh) * 2018-02-24 2019-09-0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
CN110192765A (zh) * 2018-02-24 2019-09-0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658C (de) Gräflich zu Solmsisches Eisenhütten- und emaillirwerk in Lorenzdorf b. Bunzlau Deckel-Verschlufs für papin'sche Töpfe
US1766366A (en) * 1929-05-17 1930-06-24 Dennis M Welch Can cover
CH254203A (de) * 1946-06-18 1948-04-30 Kaeppeli Grimm Balthasar Dampfdruckkochtopf.
DE3232907A1 (de) 1982-09-04 1984-03-08 Boehm, Hans-Georg, Dipl.-Phys. Dr.rer.nat, 6242 Kronberg Dampfdruckkochtopf
US5148938A (en) * 1987-03-04 1992-09-22 Morgan Jr Howard W Pressure vessel
DE4026166A1 (de) 1990-08-17 1992-02-20 Amc Int Alfa Metalcraft Corp Kochgefaess
KR970002073U (ko) * 1995-06-13 1997-01-24 문틀용 경첩 고정구조
KR970012038U (ko) * 1995-09-30 1997-04-25 전기압력밥솥의 뚜겅 개폐장치
KR0126566Y1 (ko) * 1995-10-31 1998-09-15 전주범 전기압력밥솥의 뚜껑개폐 안전장치
KR970020732U (ko) * 1995-11-14 1997-06-18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12411T3 (es) 2004-07-16
EP1044642B1 (de) 2003-12-10
JP2000308576A (ja) 2000-11-07
DE59908021D1 (de) 2004-01-22
KR100382128B1 (ko) 2003-05-01
ATE255836T1 (de) 2003-12-15
EP1044642A1 (de) 2000-10-18
PT1044642E (pt)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2064B2 (en) Electric cooker
US10736457B2 (en) Electric cooker
KR0181712B1 (ko) 조리용기
JP2019048041A (ja) 電気炊飯器
AU554176B2 (en) Steam pressure cooker
MXPA01003157A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abrir un cocedor a presion con un cierre de tipo de asa-bayoneta.
CN103815777A (zh) 具有改进的控制元件的食物压力烹饪器具
CA1173791A (en) Container closure
EP1240860B1 (en) Cooking vessel
KR20010029652A (ko) 로스터 오븐용 힌지 클립
IE912926A1 (en) Cooking pot
KR100382128B1 (ko) 요리 용기
US3971360A (en) Insulated server
JP2521222B2 (ja) 圧力鍋
CA95339S (en) Cover for for a container
KR20190006468A (ko) 전기조리기
CN212546569U (zh) 具有蒸盘的奶锅
KR200423951Y1 (ko) 조리기용 뚜껑
KR20190001201U (ko) 슬로우 쿠킹이 가능한 이중구조 냄비
KR20240076258A (ko) 뚜껑 개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 요리 기구
KR200143751Y1 (ko) 냄비뚜껑
ITMI20010842A1 (it) Dispositivo automatico antiapertura acccidentale di una pentola a pressione
WO2021260734A1 (en) A lid securing mechanism for a utensil
KR200243403Y1 (ko) 보관용기용 캡
KR20240037425A (ko) 불안전 록킹을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압력 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