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514A - 연료분사밸브 - Google Patents

연료분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514A
KR20010013514A KR1019997011521A KR19997011521A KR20010013514A KR 20010013514 A KR20010013514 A KR 20010013514A KR 1019997011521 A KR1019997011521 A KR 1019997011521A KR 19997011521 A KR19997011521 A KR 19997011521A KR 20010013514 A KR20010013514 A KR 20010013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rtex
disk
fuel injection
valve
injec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크 솨쯔
권터 단테스
데트레프 노바크
조에르그 하이제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게오르그 뮐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게오르그 뮐러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Publication of KR20010013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51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53Orifice plates
    • F02M61/186Multi-layered orific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02M51/066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 F02M51/067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10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 F02M61/12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guiding or centring means for valve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2Means to impart a whirling motion to fuel upstream or near discharging orif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2Other methods of operation
    • F02B2075/125Direct inj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for spark ignition engines, i.e. not in pre-combustion cha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분사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밸브가 밸브시트(27)의 흐름 방향으로 와류 디스크(30)를 가지며, 상기 와류 디스크가 적어도 하나의 금속재료로 구성되며 와류실(68)로 유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와류 통로(66)를 가지며, 모든 층(60, 61, 62)은 갈바닉 금속증착(다중 층 갈바닉)에 의해 직접적으로 견고하게 접착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와류 디스크(30)의 바로 뒤에 배출구(56)가 있는 분사구 디스크(31)가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는 와류 디스크(30)의 배출구(69)로부터 흘러나오는 연료의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도록 구성된다.
연료분사밸브는 특히, 혼합기가 압축되는 스파크 점화 내연기관의 연소실에 연료를 직접 분사할 목적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연료분사밸브{FUEL INJECTION VALVE}
DE-PS 39 43 005에, 전자기적으로 작동되며 시트영역에 다수의 판 형상의 소자가 설치된 연료분사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자성회로가 여기되면 평판 앵커기능을 하는 편평한 밸브판이, 그것과 연동하는 맞은편의 밸브시트판으로부터 이격되며, 이것들이 공동으로 플레이트 부품을 구성한다. 밸브시트판의 흐름 반대방향으로 와류소자가 배치되며, 이 소자는 밸브시트방향으로 흐르는 연료를 원형으로 회전하게 한다. 리미트판은 밸브시트판의 맞은편에 놓이는 면에서 밸브판의 축 방향 경로를 제한한다. 밸브판은 와류소자에 의해 유격이 큰 상태로 에워싸인다. 즉 밸브판의 일정한 가이드부가 와류소자를 넘겨받는다. 와류소자의 하부 전면에 다수의 접선 홈이 설치되며, 이 홈은 외부둘레로부터 중앙의 와류실에 이른다. 와류소자의 하부 전면을 밸브시트판에 설치함으로써, 와류 통로로써의 홈이 설치된다.
WO 96/11335에 유체방향종단에 와류설비가 있는 여러 개의 판으로 구성된 분무장치가 설치된 연료분사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이 분무장치는 밸브시트홀더에 설치된 판 형상의 가이드소자 및 밸브시트의 흐름 방향으로 밸브시트홀더에 설치되며, 이때 별도의 보조소자가 분무장치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시켜준다. 분무장치는 두 개의 판 내지는 4개의 판으로 설계되며, 각 판은 내부식성의 강철 또는 규소로 제조된다. 판에 개구를 만들 때, 소재에 따라 침식, 천공, 또는 부식과 같은 종래의 가공방법을 사용한다. 분무장치의 각 판은 별도의 증착 공정으로 가공되며, 완전한 분무장치를 만들기 위해서는 필요한 판 개수만큼 동일한 크기의 판을 적층시킨다.
DE-OS 196 07 288에 개구판을 제조할 때 사용되며, 특히 연료분사밸브에 적합한 소위 다중층 갈바닉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다양한 구조의 다중 갈바닉 금속 증착에 의해 단일판이 만들어지는, 이러한 판 제조이론은 본 발명의 공개내용에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와류 디스크를 제조하기 위해서 다수의 평면, 층 내지는 박판에서 마이크로 갈바닉 금속 석출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1의 형태에 따른 연료분사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를 도에 간단하게 나타냈으며, 여기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연료분사밸브 단면도.
도 2는 연료분사밸브에 설치된 다중층 갈바닉-와류 디스크 부감경.
도 3은 도 2의 와류 디스크 Ⅲ-Ⅲ에 따른 흐름방향 밸브종단의 제 1실시예.
도 4는 도 2의 와류 디스크 Ⅳ-Ⅳ에 따른 흐름방향 밸브종단의 제 1실시예.
도 5는 흐름방향 밸브종단의 제 3실시예.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밸브는, 분사연료의 분무도가 높으며 필요한 상황(예, 조립조건, 엔진구성, 실린더형상, 점화플러그위치)에 적응시킬 수 있도록 분무 내지는 분사형상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다중층 갈바닉 와류 디스크를 내연기관의 분사밸브에 분사구 디스크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무엇보다도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방출이 감소되며, 연료소비 역시 줄어든다.
특히 유용하게도, 분사구 디스크에 배출구가 있으며, 이 배출구에 의해 와류 디스크로부터 나오는 회전하는 연료가 흐름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와류가 형성된 이후에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분사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일정한 분사량과 분사각도에 적용되는 분사매개변수는 적절한 분사구 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판을 기하학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설정된다. 와류 디스크에 의해 흐름량이 일정하게 설정되며, 분사구 디스크에 의해 분사체의 분사각(본래의 분사체 내지는 분무체의 개구각도 및 경사진 분사의 경우 밸브 종축에 대한 분무각(γ))이 설정된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한 조치를 통해, 청구항 1의 연료분사밸브를 유용하게 확장 및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유용하게도 분사구 디스크의 배출구를 밸브 종축에 비스듬하게 설치함으로써, 이미 와류상태에 있는 분무체가 경사장치를 통과하며, 이때 배출구를 비대칭으로 설치함으로써, 내연기관 실린더 직접분사를 위해 사용되는 연료분사밸브에, 특히 유용한 특별한 분사 형태와 분무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와류 디스크가 금속재료로 만들어지므로 파손의 염려가 없으며 조립이 용이하다. 다중층 갈바닉을 사용함으로써, 개구영역의 형상(유입구 영역, 강선통로, 강선실, 배출구)을 와류 디스크에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으므로, 형상 구성에 대한 자유도가 매우 높다. 특히 결정축으로 인해 형상구조가 엄격히 제한되는 규소판에 비해(각추대), 유연한 형상부를 제공하므로 매우 유용하다.
금속 증착법은 규소판 제조에 비해, 특히 소재의 다양성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자성 특성과 경도를 가지는 여러 가지 금속을, 와류 디스크 제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갈바닉에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경도를 가지는 여러 가지 금속을 밀폐영역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유용하게도 금속 증착을 위해 세 개의 갈바닉 단계를 수행하여 3층으로된 와류 디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흐름 반대방향의 층은 커버층을 구성하며, 이 층은 중앙의 와류 생성층에 있는 와류실을 완전히 덮는다. 와류 생성층은 적어도 하나의 소재영역으로 구성되며, 이 층의 윤곽 및 기하학적 배치에 의해 와류실과 와류 통로의 형상이 정해진다. 갈바닉 공정에 의해 각각의 층이 증착 또는 접합지점이 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이 시점까지에서, "층"이라는 개념은 단순한 사고 수단으로 이해하기 바란다.
유용하게도 와류 디스크에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여섯 개의 와류 통로가 설치된다. 재료 영역은 와류 통로의 형상에 따라 예컨대 계단 형태 또는 나선 형태와 같은 매우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유용하게도 와류실, 커버층 및 배출구 형상을 탄력적으로 만들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혼합기 농축, 외부점화 내연기관의 연료분사장치용 분사밸브 형태의 전자기식 밸브는, 마그네트 코일(1)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마그네트회로의 내부 극 역할을 하는 관 형상 중공실린더형의 코아(2)를 가진다. 연료분사밸브는 특히 내연기관 연소실에 연료를 직접 분사하는 고압 분사밸브로 적합하다.
예시적으로 나타낸 계단 형상의 합성수지 코일 바디(3)는 마그네트 코일(1)의 권선을 수용하며, 코아(2) 및 마그네트 코일(1)로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L-형 단면의 링 형상의 비자성 중간부품(4)과 함께, 마그네트 코일(1) 영역에서 특히 조밀하고 짧은 분사밸브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코아(2)는 관통하는 종방향 개구(7)를 구비하며, 이 개구는 밸브 종축(8)을 따라 연장된다. 자성 회로의 코아(2)는 연료 유입관의 역할을 하며 종방향 개구(7)는 연료유입통로가 된다. 외부 금속(예컨대 페라이트) 하우징부(14)는 마그네트 코일(1) 상부에서 코아(2)와 견고하게 연결되며, 이 하우징부는 외부면 내지는 외부 전도소자로서, 마그네트 회로를 차단하며 마그네트 코일(1)을 적어도 둘레 방향으로 완전히 감싼다. 코아(2)의 종방향 개구(7)에 유입 방향으로 연료필터(15)가 설치되며, 이 필터가 분사밸브를 막거나 손상을 줄 수 있는 입자를 걸러낸다. 연료필터(15)는 예컨대 압착으로 코아(2)에 고정된다.
코아(2)는 하우징부(14)와 함께 연료분사밸브의 유입측 종단을 구성하며 상부 하우징부(14)는 예컨대 축 방향에서, 흐름방향으로 볼 때 직선으로 마그네트 코일(1) 위로 진행한다. 상부 하우징부(14)에 하부의 관 형상 하우징부(18)가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며, 이 관 형상의 하우징부는, 예컨대 앵커(19)와 봉 형상의 밸브니들(20) 및 길쭉한 밸브시트홀더(21)로 구성된,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밸브부품을 감싸거나 수용한다. 그러나 움직이는 밸브부품은 예컨대 앵커가 설치된 편평한 판 형상일 수도 있다. 두 개의 하우징부(14, 18)는, 예컨대 서로 접촉하는 부분 둘레로의 용접 매듭으로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하부 하우징부(18)와 관 형상의 밸브시트홀더(21)는 나사로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다. 용접, 납땜, 절곡 역시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부(18)와 밸브시트홀더(21)사이에 예컨대 압축링(22)을 사용하여 밀폐한다. 밸브시트홀더(21)는 그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그 내부를 통과하는 개구(24)를 가지며, 이 개구는 밸브 종축(8)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연료분사밸브의 유체흐름 종료를 나타내는 밸브시트홀더(21)의 하부 종단(25)은, 흐름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좁아지는 밸브시트면(27)이 있는 밸브시트소자(26)를 에워싸며, 상기 소자는 판 형상으로서, 통과 개구(24)에 딱 들어맞도록 조립된다. 통과 개구(24)에 예컨대 봉 형상의 원형단면을 가진 밸브 니들(20)이 설치되며, 유체흐름 방향의 밸브 니들 종단에 밸브 폐쇄면(28)이 있다. 예컨대 원추형으로 좁아지는 밸브 폐쇄면(28)은 밸브시트소자(26)에 있는 밸브시트면(27)과 연동한다. 밸브시트면(27)의 흐름방향으로 밸브시트소자(26)의 오목부(54)에 와류 디스크(30)가 설치되며, 이 판은 다중층 갈바닉으로 제조되며, 예컨대 세 개의 연속된 금속층으로 구성된다. 오목부(54)에 와류 디스크(30) 뒤쪽으로 분사구 디스크(31)가 설치된다.
분사밸브는 알다시피 전자기적으로 작동된다. 마그네트 코일(1), 코아(2), 하우징부(14, 18) 및 앵커(19)를 구비하는 전자기 회로는, 밸브 니들(20)의 축 방향 운동 및 그에 따른 코아(2)의 종방향 개구(7)에 설치된 리턴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분사밸브를 개방 내지는 폐쇄한다. 앵커(19)는 밸브 폐쇄면(28)의 반대 방향에 있는 밸브 니들(20)의 종단에, 예컨대 용접 이음매로 연결되며 코아(2) 위에 설치된다. 밸브 종축(8) 방향으로의 앵커(19) 및 밸브 니들(20)의 축 방향운동은, 한편으로는 앵커(19) 방향의 밸브시트홀더(21)의 종단에 있는 가이드 개구(34)와 다른 한편으로는 정교한 가이드 개구(36)가 있는 밸브시트소자(26)의 흐름 반대방향에 설치된 판 형상의 가이드 소자(35)에 의해 유도된다. 앵커(19)는 축 방향 운동을 하는 중간 부품(4)으로 감싸진다.
전자기 회로 대신 예컨대 피에조 스택과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여기되는 액츄에이터를 유사한 연료분사밸브에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압 또는 서보압력을 사용하여 밸브부품의 축 방향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코아(2)의 종방향 개구(7)에 압착삽입 또는 나사 조립된 설정커버(38)는 중심체(39)의 흐름반대 방향의 면을 통해, 설정커버(38)에 작용하는 리턴 스프링(33)의 스프링 장력을 설정하며, 이 스프링의 맞은편은 앵커(19)에 지지된다. 앵커(19)에 하나 이상의 천공과 유사한 흐름통로(40)가 있으며, 이 통로를 통해 연료는, 코아(2)의 종방향 개구(7)로부터, 밸브시트홀더(21)의 가이드 개구(34) 근처에 있으며 흐름통로(40)의 흐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통로(41)를 통과하여, 통과 개구(24)까지 도달한다.
밸브 니들(20)의 행정은 밸브시트소자(26)의 조립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밸브 니들(20)의 종단위치는 마그네트 코일(1)이 여기되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시트소자(26)의 밸브시트면(27)에 있는 밸브폐쇄면(28)에 의해 정해지며, 밸브 니들(20)의 다른 쪽 종단 위치는 마그네트 코일(1)이 여기된 상태에서 코아(2)의 흐름방향 전면에 있는 앵커(19)의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후자의 경계 영역에 있는 부품의 표면은 예컨대 크롬 도금되어 있다.
마그네트 코일(1)의 전기적인 접촉 및 그에 따른 여기는 접점소자(43)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 접점소자는 코일바디(3) 외부에서 합성수지 사출 케이스(44)에 설치된다. 합성수지 사출 케이스(44)는 연료분사 밸브의 또 다른 부품(예를 들어 하우징 부(14, 18))위로 확장된다. 합성수지 사출 케이스(44) 외부로 전기 케이블이 이어지며, 이 케이블을 통해 마그네트 코일(1)에 전류가 공급된다. 합성수지 사출 케이스(44)는, 이 영역에서 중단되는 상부 하우징부(14)를 통해 돌출한다.
가이드 개구(34)의 유체흐름 방향으로 밸브시트홀더(21)의 통과 개구(24)가 예컨대 두 개의 계단이 생성되도록 설계된다. 제 1계단(49)은 예컨대 나사형상의 압력스프링(50)에 대한 접촉면 역할을 한다. 제 2 계단(51)으로 두 개의 판 형상 소자(35, 26)를 수용하기 위한 확장된 공간이 확보된다. 밸브 니들(20) 주위의 압력 스프링(50)은, 계단(49) 맞은편에 있는 스프링 면이 가이드소자(35)를 압박함으로써, 가이드소자(35)에 장력을 제공한다. 밸브시트면(27)의 흐름방향으로 밸브시트소자(26)에 배출구(53)가 설치되며, 이 배출구를 통해 밸브시트면(27)의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연료가 흘러가며, 그 다음 와류 디스크(30)와 분사구 디스크(31)로 유입된다. 분사구 디스크(31)는 밸브시트소자(26)와 예컨대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연결되는 반면, 와류 디스크(30)는, 분사구 디스크(31)가 와류 디스크(30)를 하부로부터 받쳐주므로, 오목부(54)에 장력이 걸린 상태로 내지는 클램핑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낸 와류 디스크(30)의 고정수단은 간단하게 표현하였으며, 이것은 다양한 고정가능성의 하나일 뿐이며, 도 3과 4에서 또 다른 고정수단을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지지소자로써의 역할을 하는 분사구 디스크(31)에 중앙배출구(56)가 구성되며, 이 배출구를 통해 회전하는 연료가 연료분사밸브를 빠져나가므로, 유체흐름에 의도하는 추가의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2는 무한한 가능성의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와류 디스크(30)의 평면도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와류 디스크(30)는, 각 층이 상, 하로 직접 증착되며 접합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일체형 부품이다. 와류 디스크(30)의 층은 연속적으로 갈바닉 증착되며, 따라서 갈바닉 접합으로 인해 하부층과 견고하게 연결된다.
와류 디스크(30)는 세 개의 갈바닉 증착 면, 층 내지는 판으로 구성되며, 이것들은 조립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상, 하로 배치된다. 와류 디스크(30)의 세 층을 그의 기능에 따라 커버층(60), 와류생성층(61) 및 바닥층(62)으로 표현한다. 상부 커버층(60)의 외경은 하부 바닥층(62)의 외경보다 작다. 이러한 방법으로 커버층(60)의 연료가 바깥쪽을 통과하여 흐르며, 중간의 와류생성층(61)에 있는 예컨대 4개의 와류 통로(66)의 바깥쪽 유입영역에 장애 받지 않고 도달할 수 있다. 와류 디스크(30)는 세 개 층 이상이 되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층(60, 61, 62)의 구조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나, 특정한 조립조건에 대해 및 유체유입으로 인해 필요한, 예컨대 커버층(60)위에 제 4의(도에 나타내지 않은) 구조층을 만들어야 한다.
상부 커버층(60)은 폐쇄된 금속층으로 유체통과용의 개구가 없다. 이에 반해 와류생성층(61)은 이 층(61)의 전체 축 방향 두께로 진행하는 복잡한 개구 형상을 가진다. 중간층(61)의 개구 형상은 내부의 예컨대 원형 와류실(68) 및 이 와류실(68)로 유입되는 다수의 와류 통로(66)로 구성된다. 와류실(68)로 와류 통로가 접선 방향으로, 또는 일부는 접선방향으로 및 일부는 방사선으로 유입되므로 연료는 회전추진력을 받게되며, 이 추진력은 하부 바닥층(62) 중앙에 있는 원형의 배출 개구(69)까지 그대로 유지된다. 배출 개구(69)의 직경은 예컨대 바로 그 위에 놓이는 와류실(68)의 개구 너비보다 현저히 작다. 따라서 와류실(68)에서 생성된 회전강도가 더욱 높아진다. 원심력에 의해 연료는 중공원추형상으로 분사된다.
와류실(68)과 와류 통로(66)의 형상은 와류생성층(61)의 소재부(61')에 의해 정해진다. 소재부(61')는 각 각 계단식으로 와류 디스크(30)의 외부 변두리와 일정간격을 두고 구성된다. 4개의 소재부(61')는 각각의 인접한 소재부(61')에 수직이며, 일정거리를 두고 커버층(60)으로 싸인 와류 통로(66)를 구성한다. 와류실(68)을 방사선 방향으로 경계짓는 소재부(61')의 종단(70)은 예컨대 삽 형상으로 둥글게 가공되며, 따라서 소재부(61')의 형상은, 이미 분사될 연료를 와류시키는 역할을 하고, 원형의 와류실(68)을 구성한다. 내부 종단(70) 맞은 편에 있는 소재부(61') 종단(71)의 외부 형상 역시 모서리가 둥글게 가공되며 예컨대 넓어지며, 이로써 접합직경이 정해지고, 이 접합 직경을 가지는 와류 디스크(30)는 간단한 방식으로 예컨대, 오목부(54)의 분리판(72)(도 3 및 4)에 삽입 및 고정된다.
와류 디스크(30)는 갈바닉 증착에 의해 다수의 금속층으로 만들어진다(다중층 갈바닉). 포토리소그래피 갈바닉 공정으로 제조되므로 형상부여를 할 때, 몇 가지로 간단하게 요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판 전체 면에 걸쳐 두께가 일정한 층이 구성된다.
-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양각화로 층에 유체가 통과하는 중공실을 구성하는 수직의 단락면이 있다(가공 기술상의 문제로 가장 이상적인 수직 벽면과는 약 3°정도의 편차가 발생한다).
- 각각의 양각된 금속층이 다층으로 구성되므로 단락면을 원하는 대로 재단 및 덮을 수 있다.
- 단락면이 임의의, 축에 평행한 벽면을 가지는 단면 형상을 가진다.
- 각 각의 금속 증착층이 상, 하로 연결되므로 와류 디스크를 일체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다음절에서는 와류 디스크(30) 제조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천공판재 제조를 위한 갈바닉 금속 증착방법에 관한 상세한 과정은 DE-OS 196 07 288에 설명되어 있다. 감광 리소그래피 공정(UV-포토 리소그래피)을 적용한 다음 마이크로 갈바닉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면이 넓을 경우에도 정교한 구조를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매우 많은 숫자의 대량 가공(일괄 처리성)에 사용할 수 있다. 다수의 와류 디스크(30)를 동시에 웨이퍼 또는 실용품으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방법의 출발점은 예컨대 금속(티탄, 강철), 규소, 유리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되는 편평하고, 안정한 받침판이다. 받침판에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조층을 만들 수 있다. 예컨대 추후 마이크로 갈바닉용의 전도체로써 필요한 갈바닉 시작층(예 TiCuTi, CrCuCr, Ni)을 만들 수 있다. 보조층은 예컨대 분사, 또는 비전류 금속 증착을 사용하여 입혀진다. 이 받침판을 전처리 한 후, 보조층 전체면에 감광수지(포토라크)를 예컨대 롤러로 얇게 입히거나 또는 원심분리법으로, 또는 칠한다.
이때 감광 수지의 두께는 그 다음의 갈바닉 공정으로 실현되는 금속층의 두께, 즉 와류 디스크(30)의 하부 바닥층(62)의 두께와 동일해야 한다. 수지층은 감광 양각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박막층 또는 액체수지(폴리이미드, 포토라크)로 구성된다. 선택 사양으로, 추후 생성되는 라크구조에 희생층을 갈바닉 처리할 경우, 감광 수지의 두께를 희생층의 두께만큼 키워야 한다. 원하는 금속 구조를 감광 리소그래피 마스크를 사용하여 역으로 감광수지에 입힐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방법으로, 감광수지를 UV-조사(전도판 조사기 또는 반도체 조사기)를 사용하여 마스크 위에 직접조사(UV-포토 리소그래피)한 다음 현상한다.
와류 디스크(30)의 바닥층(62)을 위해, 최종적으로 감광수지에 생성되는 음각구조는 갈바닉 방법으로 금속(예. Ni, NiCo, NiFe, NiW, Cu)으로 충전된다(금속 증착). 금속은 갈바닉 공정에 의해 음각구조에 밀착되며, 따라서 원하는 형상이 매우 정교하게 재생된다. 와류 디스크(30) 구조를 얻기 위해, 보조층을 입힐 때부터 원하는 층의 숫자만큼의 공정을 반복해야하며, 따라서 3층 강선판(30)의 경우, 세 번의 갈바닉 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와류 디스크(30)의 층에 대해서는, 각각 새로운 갈바닉 공정으로 서로 다른 금속을 사용한다.
와류 디스크(30)의 커버층(60)을 제조할 경우, 와류 통로(66)와 와류실(68) 영역의 전도성 소재부(61')뿐 아니라 비전도 감광수지에도 금속이 증착된다. 이를 위해 이 전의 중간층(61) 수지 위에 시작 금속층이 입혀진다. 상부 커버층(60)이 증착된 후에 금속구조로부터 잔류 감광수지를 습식 화학 스트립을 사용하여 용해시킨다. 매끈하고 부동태화된 받침판(물질)의 경우, 와류 디스크(30)는 물질로부터 떨어져나가며 하나씩 증착된다. 와류 디스크(30)가 잘 부착된 받침판의 경우, 희생층을 물질과 와류 디스크(30)에 대해 선택적으로 부식시켜 제거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와류 디스크(30)는 받침판으로부터 떨어지며, 하나씩 증착된다.
도 3 및 4에 본 발명에 따른 밸브종단의 두 가지 실시예를 나타냈으며, 상기 밸브종단은 그의 기본 구조에 있어서 도 1의 흐름방향밸브종단과 일치한다. 하지만, 가이드소자(35)와 밸브시트소자(26)사이에 매우 편평한 고정판(81)이 삽입되며, 이 고정판 외부영역에서 고정소자(35)와 밸브시트소자(26)가 예컨대 용접이음매(82)로 견고하게 연결된다는 점이 서로 다르다. 가이드소자(35)는 그의 외부 둘레에 홈 형상의 또는 완만한 경사의 연료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공간(83)을 가지며, 이 공간으로부터 연료가 밸브시트면(27)까지 도달한다. 고정판(81)은 적어도 흐름공간(83)의 하부 영역에 내부 개구(84)를 가지며, 이 개구의 크기는 연료가 방해받지 않고 흐름공간(83)으로부터 흘러들어 밸브 종축(8)방향으로 흐를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밸브시트소자(26)의 오목부(54)에 와류 디스크(30)와 분사구 디스크(31)가 설치되며, 이때 분사구 디스크(31)의 하부 전면은 예컨대 밸브시트소자(26)의 하부 전면과 함께 동일 평면에서 종료되며, 이로써 밸브시트홀더(21)와 함께 전체 연료분사밸브 흐름방향의 종단부를 구성한다. 분사구 디스크(31)와 밸브시트소자(26)는 예컨대 링 형상으로 주위를 빙 도는 레이저 용접이음매(73)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와류 디스크(30)는 분사구 디스크(31)의 상부 전면에 놓이며, 이때 와류 디스크(30)는 다시 분리판(72)을 통해 밀리지 않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링 형상의 분리판(72)은 두 개의 편평한 모서리가 있는 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그의 내경은 둥글게 가공된 종단(71)이 있는 소재부(61') 외경과 일치한다. 따라서 와류 디스크(30)는 정확하게 분리판(72)에 삽입되며, 분리판(72)의 하부 전면은, 바닥판 외경이 분리판(72)의 내경보다 크므로 바닥판(62) 위에 놓인다. 와류 디스크(30)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사구 디스크(31)가 와류 디스크(30)를 압박하며, 그로 인해 분리판(72)이 오목부(54)에서 밸브시트면(27) 방향으로 눌려지고, 따라서 분리판(72)이 상부 오목부 데크(85)에 접촉된다. 분리판(72)과 분사구 디스크(31)의 외경은 오목부(54)의 개구 직경과 일치한다.
도 3에 배출개구(56)가 밸브 종축(8)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분사구 디스크(31)를 나타냈다. 이때 배출개구(56)의 직경은 와류 디스크(30)의 배출개구(69) 직경보다 약간 크므로, 배출개구(56)는 와류 디스크(30)의 배출개구(69)로부터 나오는 와류하는 연료의 흐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분사구 디스크(31)의 배출개구(56) 직경크기를 사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분사 분무체의 분사각을 설정할 수 있다. 와류 디스크(30)의 배출 개구(69)에 의해 흐름량이 일정하게 정해진다.
휘발류가 직접 분사되는 경우, 예컨대 연소실에 직접 조립된다는 특정한 조건으로 인해, 밸브종축(8)에 대해 경사지도록 분무되는 분사밸브가 유용하다. 이 경우 가능한 한 중공원추둘레로 균일하게 분산되는, 예컨대 회전연료가 회전 대칭을 이루는, 중공 원추형의 분무체가 생성되어야 한다. 도 4에 이러한 조건을 실현할 수 있는 형태를 나타냈다. 분사구 디스크(31)의 상부 전면 중앙에서 시작되는 배출개구(56)는 밸브종축(8)에 비스듬하게 경사지며, 하부 전면 바깥쪽 중심부에서 종료되며, 이때 배출개구(56)의 경사가 밸브종축(8)에 대한 전체 분무의 경사각을 결정한다. 분사방향은 화살표와 γ로 나타냈으며, 이때 γ는 밸브종축(8) 내지는 와류 디스크(30)의 대칭축에 대한 분사각을 나타낸다. 배출 개구(56)는 이미 분사구 디스크(31)의 상부 전면 바깥 쪽 중심부에서 시작된다.
도 5는 와류 디스크(30)의 개별 층(60, 61, 62)의 특별한 (금속)재료 선택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다중층 갈바닉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금속(Ni, NiCo, NiFe, NiW, Cu)을 차례로 증착할 수 있으며, 이때 한 갈바닉 공정 안에서 한가지 금속만 증착된다. 선택된 (금속)재료의 가요성에 의해 연료분사밸브에 내장할 때 상기 와류 디스크(30)를 유용하게 밀폐할 수 있다. 커버층(60)과 바닥층(62)이 보다 단단한 갈바닉 재료(예를 들어 NiCo)로 이루어지는 반면, 중간의 와류 생성층(61)은 보다 부드러운 갈바닉 재료(예를 들어 Ni)로 증착된다. 제조 시에 갈바닉 층마다 Ni 위에는 NiCo의 기부(basin)만이 증착되고, 그 반대로 NiCo 위에는 Ni 의 기부만이 증착되는 공정이 반복된다. 상기 양 층(60, 62)은 NiCo의 큰 강도 때문에 상기 와류 디스크(30)에 높은 안정성을 부여하며, 이러한 안정성은 예컨대 고압의 하중이 작용하는 고압분사밸브에 필요하다. 와류 생성층(61)은 와류 통로(66)의 형성하기 위해 이미 언급한 소재부(61')와 더불어 외부의 링 형상 소재부(75)를 갖는다.
소재부(75)는 와류 디스크(30)의 둘레로 연속적으로 진행하며, 이때 밀폐소자의 역할을 한다. 상부 커버층(60)이 그 밑에 놓이는 층(61, 62)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외부 소재부(75)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 소재부(75)에 의해 와류 디스크(30)는 예컨대 밸브시트소자(26)의 오목부(54)에 기밀하게 접촉된다. 영역(75)의 약한 재료(Ni)는 기계적 하중이 비교적 작을 때, 소재부(75) 내부에서 큰 압착경로를 제공한다. 이 압착경로로 인해 소재부(75)의 상부 밀폐면이 단단한 밸브시트소자(26) 표면에 형상에 맞도록 접착되어 밀폐기능이 보장된다. 유용하게도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별도의 기밀소자를 생략할 수 있다. 와류 디스크(30)의 흐름방향으로 분사구 디스크(31)를 설치함으로써 밸브시트소자(26)의 소재부(75)에 작용하는 압착력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사구 디스크는 예컨대 용접 접합부(73)로 밸브시트소자(26)와 견고하게 연결되며 와류 디스크(30)를 받쳐준다. 분사구 디스크(31)는, 도 4의 구조와 유사한, 밸브종축(8)에 비스듬하게 경사진 배출구(56)를 가지며, 이로써 여러 번 언급했던 경사진 분사가 가능해진다.

Claims (14)

  1. 밸브종축(8), 액츄에이터(1, 2, 14, 18, 19), 밸브시트소자(26)의 견고한 밸브시트(27)와 연동하며 밸브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가동 밸브부품(20), 밸브시트(27) 흐름방향으로 배치된 와류 디스크(30)를 가지는 연료분사장치용, 특히 내연기관 연소실에 연료를 직접 분사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밸브로서,
    상기 와류 디스크는 다층 구조로써, 적어도 하나의 금속성재료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65) 뿐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69)를 가지며, 하나의 와류실(68) 및 배출구(69) 흐름 반대방향으로 와류 디스크에 유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강선 통로(66)를 가지는, 연료분사밸브에 있어서,
    - 와류 디스크(30)의 층이 갈바닉 금속증착(다중층 갈바닉)에 의해 직접적으로 견고하게 접착된 구조를 가지며,
    - 와류 디스크(30)는 배출구(56)가 있는 분사구 디스크(31) 바로 뒤에 설치되며, 이때 배출 개구(56)는 와류 디스크(30)의 배출개구(69)로부터 나오는 연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분사구 디스크(31)의 배출개구(56)가 밸브종축(8)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분사구 디스크(31)의 배출구(56) 직경이 와류 디스크(30)의 배출구(69) 직경보다 단지 근소하게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분사구 디스크(31)의 배출개구(56)가 밸브종축(8)과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사구 디스크(31)의 배출개구(56)가 와류 디스크(30)방향의 상부 전면 중앙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류 디스크(30)의 중앙 와류 생성층(61)이 둘레 방향으로 상호 거리를 둔 다수의 소재부(61')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소재부는 그의 기하학적인 위치로 인해 와류실(68)과 와류 통로(66)형상을 상호 경계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7. 제 6항에 있어서, 소재부(61')가 와류 디스크(30)의 외부 둘레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8. 제 7항에 있어서, 소재부(61')가 계단 형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류 디스크(30)의 층(60, 61, 62) 구조용으로 적어도 두 개의 재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10. 제 9항에 있어서, 와류 디스크(30)가 소재부(75)를 수단으로 밸브시트소자(26)에 대해 밀폐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소재부(7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류 디스크(30)와 분사구 디스크(31)가 밸브시트소자(26)의 오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12. 제 7항에 있어서, 와류 디스크(30)의 소재부(61')가 분리판(72)의 내경과 동일한 외부의 접합직경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13.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판(72)과 분사구 디스크(31)사이에 와류 디스크(30)가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사구 디스크(31)는 용접 또는 접합에 의해 밸브시트소자(2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KR1019997011521A 1998-04-08 1999-01-18 연료분사밸브 KR20010013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5800.9 1998-04-08
DE19815800A DE19815800A1 (de) 1998-04-08 1998-04-08 Brennstoffeinspritzvent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514A true KR20010013514A (ko) 2001-02-26

Family

ID=786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521A KR20010013514A (ko) 1998-04-08 1999-01-18 연료분사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68094B1 (ko)
JP (1) JP2002503312A (ko)
KR (1) KR20010013514A (ko)
CN (1) CN1102997C (ko)
DE (1) DE19815800A1 (ko)
WO (1) WO19990531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7780A1 (de) * 1999-10-02 2001-04-1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Einstellen der Strömungsmenge an einem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046306A1 (de) 2000-09-19 2002-04-04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052146A1 (de) 2000-10-20 2002-05-08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059009A1 (de) * 2000-11-28 2002-05-29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anlage
DE10118276A1 (de) * 2001-04-12 2002-10-17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ventil
US7407120B1 (en) * 2002-11-21 2008-08-05 Jack French Adjustable racing injector
DE10305427B4 (de) * 2003-02-03 2006-05-24 Siemens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Lochscheibe zum Ausstoßen eines Fluids
DE10319694A1 (de) * 2003-05-02 2004-12-02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entil
US7438241B2 (en) * 2004-11-05 2008-10-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ow pressure fuel injector nozzle
US7185831B2 (en) * 2004-11-05 2007-03-06 Ford Motor Company Low pressure fuel injector nozzle
US7104475B2 (en) * 2004-11-05 2006-09-1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ow pressure fuel injector nozzle
US7124963B2 (en) * 2004-11-05 2006-10-2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ow pressure fuel injector nozzle
US7051957B1 (en) * 2004-11-05 2006-05-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ow pressure fuel injector nozzle
US7168637B2 (en) * 2004-11-05 2007-01-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ow pressure fuel injector nozzle
US7198207B2 (en) * 2004-11-05 2007-04-0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ow pressure fuel injector nozzle
US7137577B2 (en) * 2004-11-05 2006-11-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ow pressure fuel injector nozzle
US8316825B1 (en) 2008-08-04 2012-11-27 French Iii Jack M Adjustable racing injector
JP5277264B2 (ja) * 2011-01-27 2013-08-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料噴射弁
EP2602476A1 (en) * 2011-12-07 2013-06-1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alve assembly means for an injection valve and injection valve
CN102748175A (zh) * 2012-07-31 2012-10-24 瑞安市仁博汽车配件厂 一种高雾化旋流式电控喷油器
JP5978154B2 (ja) * 2013-03-08 2016-08-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料噴射弁
CN106150817A (zh) * 2015-05-11 2016-11-23 朱海燕 一种混合动力汽车
CN107989731B (zh) 2017-11-24 2018-11-16 广西卡迪亚科技有限公司 一种单孔雾化喷油器及其前置雾化结构
BR102020021497A2 (pt) 2020-10-20 2022-05-03 Mrb Machining & Ferramentaria Ltda Válvula dosadora de combustível de alta vazão
US11939940B2 (en) 2021-10-04 2024-03-26 Billet Machine And Fabrication, Inc. Fuel inj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232617A3 (de) 1984-02-20 1986-02-05 Pumpen & Verdichter Veb K Sonde zur kapazitiven ventilhubmessung
DE3943005A1 (de) 1988-12-28 1990-07-05 Hitachi Ltd Elektromagnetische einspritzventilvorrichtung
US5484108A (en) * 1994-03-31 1996-01-16 Siemens Automotive L.P. Fuel injector having novel multiple orifice disk members
US5533482A (en) * 1994-05-23 1996-07-09 Nissan Motor Co., Ltd. Fuel injection nozzle
US5570841A (en) * 1994-10-07 1996-11-05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Multiple disk swirl atomizer for fuel injector
US5685491A (en) * 1995-01-11 1997-11-11 Amtx, Inc. Electroformed multilayer spray director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DE19607266A1 (de) 1995-03-29 1996-10-02 Bosch Gmbh Robert Lochscheibe, insbesondere für Einspritzventi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ochscheibe
BR9605943A (pt) * 1995-03-29 1997-08-19 Bosch Gmbh Robert Disco perfurado particularmente para válvulas de injeção
ES2179184T3 (es) * 1995-03-29 2003-01-16 Bosch Gmbh Robert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 disco perforado.
CN1144943C (zh) * 1995-03-29 2004-04-07 罗伯特·博施有限公司 尤其用于喷油嘴的孔板
DE19637103A1 (de) 1996-09-12 1998-03-19 Bosch Gmbh Robert Ventil, insbesondere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9639506A1 (de) * 1996-09-26 1998-04-02 Bosch Gmbh Robert Lochscheibe und Ventil mit einer Lochschei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2717A (zh) 2000-08-09
WO1999053194A1 (de) 1999-10-21
CN1102997C (zh) 2003-03-12
US6168094B1 (en) 2001-01-02
DE19815800A1 (de) 1999-10-14
JP2002503312A (ja) 200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3514A (ko) 연료분사밸브
US6796516B2 (en) Fuel injection valve
US6161782A (en) Atomizing disc and fuel injection valve having an atomizing disc
RU214922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иска с отверстиями
US6273349B1 (en) Fuel injection valve
KR100623891B1 (ko) 연료분사밸브
JP3579426B2 (ja) 孔付き円板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6695229B1 (en) Swirl disk and fuel injection valve with swirl disk
RU2158846C2 (ru) Диск с отверстиям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лапанных форсунок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иска с отверстиями
JPH10502130A (ja) 特に噴射弁に用いられる孔付板
US20030116650A1 (en) Fuel-injection valve comprising a swirl element
JPH10506695A (ja) 燃料噴射弁
US6764033B2 (en) Swirl plate and fuel injection valve comprising such a swirl plate
KR100681159B1 (ko) 연료 분사 밸브 및 연료 분사 밸브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US5921474A (en) Valve having a nozzle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dially running slots
US6869032B2 (en) Fuel injection valve
KR20010031449A (ko) 연료분사밸브
US6170764B1 (en) Fuel injection valve
JP2003511609A (ja) 燃料噴射弁における流量を調整する方法
KR100752060B1 (ko) 마이크로도금된부품
JP2004518909A (ja) 燃料噴射弁
JP2003120471A (ja) 渦流円板及び、渦流円板を備えた燃料噴射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