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955A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955A
KR20010012955A KR1019997010925A KR19997010925A KR20010012955A KR 20010012955 A KR20010012955 A KR 20010012955A KR 1019997010925 A KR1019997010925 A KR 1019997010925A KR 19997010925 A KR19997010925 A KR 19997010925A KR 20010012955 A KR20010012955 A KR 20010012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bias
car
tim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9882B1 (ko
Inventor
히키타시로
요리타마사오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타오카 다카시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Publication of KR2001001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효율좋게 관리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층으로의 서비스의 균등화를 도모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군관리제어를 하는 것이며 승강장 보턴으로부터의 승강장 호출에 응답 하여야 할 엘리베이터를 할당하는 카 할당수단과, 가장 빨리 응답할 수있는 카의 서비스 가능시간을 산출하는 서비스 가능시간 연산수단과, 서비스 가능시간의 분포로 부터 그 치우침 지표를 연산하는 치우침 연산수단과, 치우침 지표가 일정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에 따라 회송의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송 판정수단과, 회송의 필요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회송에 의해 치우침 지표가 가장 개선되는 카와 회송층을 특정하는 회송 특정수단과, 특정된 카에 특정층으로의 회송지령을 송출하는 회송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ELEVATOR CONTROLLER}
종래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병설된 경우는 군관리 운전이 시행된다. 이 군관리 운전의 하나에 할당방식이 있으나 이것을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면 즉시 각 카마다에 활당평가치를 연산하고, 그 평가치가 최량의 카를 서비스 하여야 할 카로서 할당하며 상기 승강장 호출에는 할당카만을 응답 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운행효율의 향상 및 승강장 대기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식으로서 다음과 같은것이 있다.
(a) 일본국 특개평 7-24706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기준층에 엘리베이터가 대기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적게하기 위하여 기준층을 출발하는 엘리베이터의 출발시간 간격을 제어 하는 것.
(b) 일본국 특개평 5-13963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준층으로의 되돌림과 분산대기를 병용하고, 기준층으로 부터의 수송 및 층간 서비스가 향상 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제어 하는 것.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일본국 특개평 7-24706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기준층(특정층)으로의 대기동작을 하기 때문에 출근시나 퇴근시등 이용 빈도가 많은층을 특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유효하나 반드시 기지의 특정층만이 혼잡하다고는 할 수 없고 그 이외의 경우는 유효하지 않다.
다음에 일본국 특개평 5-139635호 공보에 게시되어 있는 것은 각층의 이용 빈도에 관계없이 기준층(특정층)으로의 대기동작과 기준층 이외의 특정층으로의 대기 동작만을 하므로 특정층 이외로의 서비스를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특정층으로의 대기모드에 들어가 버리면 특정층 이외로의 서비스가 더욱 저하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각층으로의 서비스의 균등화를 도모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시스템 전체의 서비스를 향상 시킬 수 있고, 보다 효율이 좋은 군관리 제어를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승강장 보턴으로 부터의 승강장 호출에 응답 하여야 할 엘리베이터를 복수의 엘리베이터중에서 할당하는 카 할당수단과, 각층의 승강호출에 대하여 가장 빨리 응답할 수 있는 카의 도착 예상시간인 서비스 가능시간을 산출하는 서비스 가능시간 연산수단과, 상기 서비스 가능시간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서비스 가능시간의 분포로 부터 그 치우침(bias)지표를 연산하는 치우침 연산수단과, 상기 치우침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치우침 지표가 일정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에 따라 회송의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송 판정 수단과, 상기 회송 판정수단에 의해 회송의 필요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회송에 의해 치우침 지표가 가장 개선되는 카와 회송층을 특정하는 회송 특정수단과, 상기 회송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카에 대하여 특정된 층으로의 회송지령을 송출하는 회송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상기 서비스 가능시간 연산수단은 승강장 호출의 평균발생 간격후의 각층의 서비스 가능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치우침 연산수단은 치우침지표로서 서비스 가능시간의 평균치, 표준편차 또는 최대치의 적어도 하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회송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카에 대한 특정층으로의 회송에 의해 치우침 시정레벨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 하는지 여부의 판정에 따라 회송 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치우침 시정 판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송수단은 상기 치우침 시정 판정수단에 의해 회송하여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회송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카에 대하여 특정된 층으로의 회송지령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치우침 시정판정수단은 상기 치우침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치우침 지표와 상기 회송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회송을 한 경우의 치우침 지표와의 비교에 따라 치우침이 일정치 이상 시정 되는지 여부의 판정에 의해 치우침 시정레벨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 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취역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효율좋게 관리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에 표시하는 실시의 형태 1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7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9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11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의 치우침 지표에 관한 설명도,
도 12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13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14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15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16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17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18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의 치우침 지표에 관한 설명도,
도 19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블록구성도,
도 20은 도 19에 표시하는 실시의 형태 2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21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22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23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24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25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26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27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의 치우침 지표에 관한 설명도,
도 28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29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30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31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32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33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에 관한 설명도,
도 34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비스 가능시간의 치우침 지표에 관한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이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1에서 1은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칭한다)로 구성된 카 제어장치이고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 칭한다)(1A), 군관리 제어장치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는 전송장치(1B),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1C), 입,출력의 신호 레벨을 변환하는 변환장치(1D)를 갖고 변환장치(1D)에는 카를 구동제어하는 구동제어기기(3)가 접속되어 있다.
또, 2는 동일하게 마이컴으로 구성된 군관리 제어장치이고, 마찬가지로 CPU(2A),전송장치(2B),기억장치(2C),변환장치(2D)를 갖고 변환장치(2D)에는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기 위한 승강장 보턴(4)이 접속되어 있다.
카 제어장치(1)와 군관리 제어장치(2)는 전송장치(1B) 및 (2B)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카 제어장치(1)는 1대의 카에 대응하는 구성이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에는 군관리하는 각대의 엘리베이터의 카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고, 이들의 카 제어장치(1)는 군관리 제어장치(2)에 도시하는바와 같이 전송장치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1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것으로 도 1에 표시하는 군관리 제어장치(2)의 기억장치(2C)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2A)에 동작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서 11은 승강장 보턴(4)로 부터의 승강장 호출에 응답 하여야 할 엘리베이터를 복수의 엘리베이터중에서 할당하고 해당하는 카 제어장치(11)에 할당신호를 송출하는 주지의 카 할당수단, 12는 각층의 승강장 호출에 대해 가장 빨리 응답할 수 있는 카의 도착예정 시간인 서비스 가능시간을 산출하는 서비스 가능시간 연산수단 13은 서비스 가능시간 연산수단(12)에 의해 연산된 서비스 가능시간의 분포로부터 그 치우침(Bias) 지표를 연산하는 치우침 연산수단, 14는 상기 치우침 연산수단(13)에 의해 연산된 치우침 지표가 일정치를 넘는지 여부를 판정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회송의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송 판정수단, 15는 상기 회송 판정수단(14)에 의해 회송의 필요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회송에 의해 치우침 지표가 가장 개선되는 카와 회송층을 특정하는 회송 특정수단, 16은 상기 회송특정수단(15)에 의해 특정된 카의 카 제어장치(1)에 대하여 특정된 층으로의 회송지령을 송출하는 회송수단이다.
다음에 이 실시의 형태 1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에 표시하는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도 주지의 카할당 수단(11)에 의해 승강장 보턴(4)으로 부터의 승강장 호출에 응답 하여야 할 엘리베이터를 복수의 엘리베이터중에서 할당하고, 해당하는 카 제어장치(1)에 할당신호를 송출하는 것은 기지의 기술과 같으므로 생략하고, 그 이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31에서 서비스 가능시간 연산수단(12)에 의해 일정시간 후 예컨대 각층에서의 승강장 호출의 평균 발생간격후의 서비스 가능시간의 계산을 한다.
이 순서에 대하여 도 4 ~ 도 10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금,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를 예로하여 설명한다.
도 4중의 카 #1과 #2는 각각 12층과 1층에 도시하지 않은 카내의 카 조작반의 행선보턴을 누름으로써 만들어지는 둥근표로 표시하는 카 호출을 가진 상태에서 각각 UP(상승), DN(하강) 방향으로 주행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 카 #3는 1층에서 도어폐쇄 대기중이다.이 상태에서 일정시간(L초)후의 각 카의 위치 상태를 예측한다.
이 일정시간 L초는 그 시간대에서의 승강장 호출의 평균발생 간격등으로 부터 구하면 된다. 또, L초 후의 각 카의 위치 상태는 도착 예측시간의 산출결과로 부터 구할 수 있다.
도착 예측시간은 어느 카가 특정층에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을 계산하는 것으로 주행시간과 정지 시간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주행시간은 카의 속도, 가속도,가가속도, 층간거리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또, 정지시간은 도어의 개폐시간과 승객의 승강시간으로 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 도착 예측시간의 산출방법은 주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것에 대하여 생략한다.
실제의 군관리 제어에서는 상기 데이터를 사용하여 정밀한 계산이 시행되나 여기에서는 설명을 간략화 하기 위하여 일률적으로 주행시간을 2초/층 정지시간을 10초/1 정지로 하여 이하의 설명을 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도 4의 카 #1이 현시점에서의 각층의 UP,DN 방향에 대응하는 도착 예측시간을 표시하고 있다.
도 6에서 좌측은 각층 UP 방향의 도착 예측시간, 우측은 DN 방향이다.
카 #1은 12층까지 UP 방향으로 주행하고 일단 반전하여 DN 방향으로 주행한다.
따라서, 예컨대 10층의 DN 방향으로 도착하는데는 현시점에서 12층을 경유하여 10층에 도착한다. 또, 12층에서의 반전 이후 카는 호출을 가지지 않으므로 8층 보다 아래의 층에 대하여는 도착 예측시간은 UP,DN 방향 모두 같은 치를 취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상태로 부터 10초(L=10)후의 각 카의 위치상태를 표시한다. 또, 이 시점에서의 각 카의 도착 예정시간을 각각 도 7 ~ 도 9에 표시한다. 이들의 치로부터 10초(L=10)후의 서비스 가능시간이 구해진다.
이 계산은 도 7 ~ 도 9의 각각 최소치 N를 취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서비스 가능 시간은 10초(L=10)후에 만약 어느층에서 승강장 호출이 발생할 경우 그 승강장 호출에 대해 가장 빨리 응답할 수 있는 카의 도착 예상시간을 의미한다. 이 계산결과를 도 10에 표시한다.
이상이 도 3의 스텝 S31의 순서 설명이다.
다음에 도 3에 표시하는 플로차트로 되돌아와서 스텝 S31로 서비스 가능시간을 산출한 후 스텝 S32로 진행하고, 치우침 연산수단(13)에 의해 서비스 가능시간의 분포로 부터 치우침 지표를 계산한다.
이 치우침 지표로서는 서비스 가능시간의 평균치,표준편차,최대치의 적어도 하나가 고려된다. 도 10에 표시하는 서비스 가능시간에서 계산한 치우침 지표를 도 11에 표시한다.
도 11에서 Ave는 평균치,SD는 표준편차이다. 이들의 치가 큰 경우 가까운 장래(L초후 이후)에 특정층에서 호출이 발생한 경우에 서비스가 나쁘게 되는 것이 예상된다. 역으로 작은 경우는 어느 층에서 호출이 발생하여도 어느 카가 호출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도 3에 표시하는 플로차트로 되돌아와서 스텝 S33으로 진행하고 회송 판정수단(14)에 의해 계산한 치우침 지표가 일정치인지 어떤지를 바탕으로 회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치우침이 크고 회송을 하지않고 있던 경우 장래의 서비스 악화가 예상 되는지 여부의 판정을 한다.
이 판정에는 예컨대 서비스 가능시간의 평균치가 그 시간대에서의 평균 대기 시간 보다 큰치 여부 또는 어느 임계치 α를 설정하고 표준편차가 평균 대기시간의 α배 이내인지 여부의 판정을 하는등이 고려된다.
상기 스텝 S33에서 치우침이 작고 회송 불요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3에서 NO의 경우)는 그대로 스텝 S36으로 진행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종료한다.
역으로 치우침이 크고 회송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33에서 Yes의 경우)는 스텝 S34로 진행하고 회송 특정수단(15)에 의해 회송 하여야 할 카와 층을 특정한다. 이 순서에 대하여 도 12 ~ 도 18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도 4와 같은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도어 폐쇄 대기중의 카는 #3 뿐이므로 카 #3이 회송지령의 대상으로 된다.
도 12의 상태로 부터 카 #3을 6층으로 회송한 경우에 10초후(L=10)의 상태는 도 13과 같이 되는 것이 예측된다.
도 14 ~ 도 16은 도 13의 시점에서의 각 카의 도착 예측시간이고, 도 17은 도 14 ~ 도 16에서 계산된 서비스 가능 시간이다. 또, 이로부터 계산한 치우침 지표를 도 18에 표시한다.
이들의 계산순서는 스텝 S31,S32와 같다. 이와같이하여 카 #3를 6층으로 회송항 경우의 치우침 지표가 계산될 수 있었으나 마찬가지로 하여 카 #3를 각층으로 회송한 경우의 치우침 지표가 계산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카 #3만이 회송지령의 대상이었으나 이외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하여 계산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8에서는 평균치가 5.5초에서 2.7초로 최대치가 10초에서 8초 표준편차가 3.2초에서 1.8초로 개선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치우침 지표를 계산하고 가장 개선도가 큰 카와 회송층을 선택한다.
이상이 스텝 S34의 설명이다.
다음에 도 3에 표시하는 플로차트로 되돌아와서 이상과 같이 하여 회송 하여야할 층이 특정되면 스텝 S35에서 회송수단(16)에 의해 특정된 카의 카 제어장치 (1)에 대하여 회송지령이 시행되고, 지령을 받은 카 제어장치(1)는 카를 특정된 층으로 회송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형태를 채택함으로써 각층으로의 서비스 가능시간의 차(최대 도착 예상시간과 최소 도착 예상시간의 차)가 감소되고 가까운 장래(L초후 이후)에 어느 층에서 호출이 발생 하여도 어느 카가 호출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향상된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에 도 19는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것으로 도 1에 표시하는 군관리 제어장치(2)의 기억장치(2C)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2A)에 동작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9에서 도 2에 표시하는 실시의 형태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새로운 부호로서 17은 회송 특정수단(15)에 의해 특정된 카에 대한 특정층으로의 회송에 의해 치우침 시정레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 하는지 여부의 판정에 따라 회송 하여야 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치우침 시정판정수단이고, 회송수단(16)은 치우침 시정판정수단(17)에 의해 회송하여야 할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회송 특정수단(15)에 의해 특정된 카에 대하여 특정된 층으로의 회송지령은 송출 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의 형태 2의동작에 대하여 도 20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우선 스텝 S81에서 서비스 가능시간 연산수단(12)에 의해 일정시간 후 즉, 각층에서의 승강장 호출의 평균 발생 간격후의 서비스 가능시간의 계산을 하고 스텝 S82에서 치우침 연산수단(13)에 의해 스텝 S81 에서의 계산 결과를 사용하여 치우침 지표의 계산을 한다.
그리고, 스텝 S83에서 회송 판정수단(14)에 의해 그 치우침 지표가 일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83에서 NO의 경우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하고 Yes 경우는 스텝 S84에서 회송카층의 특정을 한다.
이들 스텝 S81에서 S84까지의 순서는 도 3에서의 스텝 S31에서 S34 까지의 순서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스텝 S85에서는 치우침 시정판정수단(17)에 의해 스텝 S81,S82에서 계산한 치우침 지표, 즉 회송을 하지않은 경우의 일정시간(L초)후의 치우침 지표와 스텝 S84에서 특정된 회송을 한 경우의 치우침 지표를 비교한다.
그리고, 치우침이 일정이상 시정되는 경우(스텝 S84에서 Yes의 경우)는 스텝 S86에서 회송수단(16)에 의해 회송지령을 송출한다.
이 스텝 S86의 순서는 도 3에서의 스텝 S36과 같다. 역으로 치우침이 일정 이상 시정되지 않는 경우(스텝 S84에서 NO의 경우)는 회송을 하지않고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의 순서에 대하여 도 21 ~ 도 34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금, 도 2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도 21중의 카 #1은 12층에 도시하지않은 카내의 카 조작반의 행선 보턴을 누름으로써 만들어지는 둥근표로 표시하는 카 호출을 가진 상태에서 UP(상승)방향으로 주행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 카 #2와 #3은 각각 7층과 1층에서 도어 폐쇄 대기중이다.
이 상태에서 회송을 하게되면 10초후(L=10)에는 도 22의 상태로 되는것이 예측된다 도 22의 상태에서의 각 카의 도착 예측시간은 도 23 ~ 도 25로 되고 이들로 부터 계산되는 서비스 가능시간은 도 26으로 된다.
또, 치우침 지표는 도 27로 된다. 또, 치우침 지표가 가장 개선되는 것은 도 21의 시점에서 카 #3을 2층으로 회송하는 것이다.
이 사실은 스텝 S84(S34와 같음)에서 특정된다. 카 #3을 2층으로 회송한 경우 10초후(L=10)에는 도 29의 상태 즉, 카 #1 ~ #3은 각각 12층, 7층, 1층에서 도어폐쇄 대기중으로 되는것이 예측된다. 또한, 도 28에는 도21과 같은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카 #3을 2층으로 회송한 경우의 도착 예측시간 즉, 서비스 가능시간은 도 30 ~ 도 32로 되고 치우침 지표는 도 34로 된다.
도 27과 도 34를 비교하면 평균치가 2.72.2초, 표준편차가 1.81.5초, 최대치가 64초로 개선되어 있다.
여기서, 개선도가 큰지 여부의 판정 기준으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기준이 고려된다.
즉, 각 지표(평균,표준편차,최대)의 개선율이 모두 X %이상 또는 치가 Y 초이상인 것이다. X,Y의 치는 교통의 혼잡도등에 따라서 설정하여도 되나 일반적인 치로서 X : 20%, Y : 3초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상기 조건을 적용하면 도 11도 18의 경우는 회송에 의한 개선도는 크다고 보고, 도 27도 34의 경우는 크지 않다고 판정된다.
이상과 같은 형태를 채택함으로써 치우침 지표의 개선도가 큰 경우에만 회송을 하도록 하였으므로 쓸데없는 회송을 생략하고 항상 적절한 경우에만 회송을 하도록 되며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도 3의 스텝 S31을 호출하고 도 20의 스텝 S81에서의 일정시간을 10초로 하여 왔으나 이 치는 고정치를 사용하여도 되나 그 시점에서의 혼잡도에 따라서 시간을 증감 하여도 된다.
또, 그 시점에서의 승강장 호출의 평균 발생시간이 연산될때 그 치를 이용 하여도 되고 어느 경우에도 보다 정밀도가 좋은 회송제어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각층으로의 서비스 가능시간의 차(최대 도착 예상시간과 최소도착 예상시간의 차)가 감소하고 가까운 장래(L초후 이후)에 어느층에서 호출이 발생 하여도 어느 카가 호출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향상된다.
또, 치우침 지표의 개선도가 큰 경우에만 회송을 하도록 하였으므로 쓸데없는 회송은 없애고 항상 적절한 경우에만 회송을 하도록 되며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향상된다.

Claims (5)

  1. 승강장 보턴으로 부터의 승강장 호출에 응답하여야 할 엘리베이터를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에서 할당하는 카 할당수단과, 각층의 승강장 호출에 대해 가장 빨리 응답할 수 있는 카의 도착 예상시간인 서비스 가능시간을 산출하는 서비스 가능시간 연산수단과, 상기 서비스 가능시간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서비스 가능시간의 분포로 부터 그 치우침 지표를 연산하는 치우침 연산수단과, 상기 치우침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치우침 지표가 일정치를 넘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에 따라 회송의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회송 판정수단과, 상기 회송 판정수단에 의해 회송의 필요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회송에 의해 치우침 지표가 가장 개선되는 카와 회송층을 특정하는 회송 특정수단과, 상기 회송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카에 대하여 특정된 층으로의 회송지령을 송출하는 회송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 청구항 제 1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능시간 연산수단은 승강장 호출의 평균발생 간격후의 각층의 서비스 가능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3. 청구항 제1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우침 연산수단은 치우침 지표로서 서비스 가능시간의 평균치 표준편차, 또는 최대치의 적어도 하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4. 청구항 제1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송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카에 대한 특정층으로의 회송에 의해 치우침 시정레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의 판정에 따라 회송 하여야 할지여부를 판정하는 치우침 시정 판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송수단은 상기 치우침 시정 판정수단에 의해 회송 하여야 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회송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카에 대하여 특정된층으로의 회송지령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5. 청구항 제4항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우침 시정판정수단은 상기 치우침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치우침 지표와 상기 회송 특정수단에 의해 특정된 회송을 한 경우의 치우침 지표와의 비교에 따라 치우침이 일정치 이상 시정 되는지 여부의 판정에 의해 치우침 시정 레벨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1999-7010925A 1998-03-30 1998-03-30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0399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1445 WO1999050164A1 (fr) 1998-03-30 1998-03-30 Organe de commande d'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955A true KR20010012955A (ko) 2001-02-26
KR100399882B1 KR100399882B1 (ko) 2003-11-13

Family

ID=1420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925A KR100399882B1 (ko) 1998-03-30 1998-03-30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41050B1 (ko)
EP (1) EP0997423B1 (ko)
KR (1) KR100399882B1 (ko)
CN (1) CN1124224C (ko)
WO (1) WO1999050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2397B2 (ja) * 2000-03-30 2011-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002020044A (ja) * 2000-07-05 2002-01-23 Toshiba Corp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JP4417329B2 (ja) * 2003-06-23 2010-02-1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乗客の感覚的待ち時間を調整したエレベーターの配送
US7475757B2 (en) * 2003-06-23 2009-01-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ing with balanced passenger perception of waiting
US8220591B2 (en) * 2005-04-15 2012-07-17 Otis Elevator Company Group elevator scheduling with advance traffic information
ATE550282T1 (de) * 2007-08-28 2012-04-15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ringerung der wartezeiten für zielbasierte versandsysteme
JP5347492B2 (ja) * 2008-12-25 2013-11-2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及び装置
BRPI1012598A2 (pt) * 2009-03-13 2018-06-19 Mcclure Travis Prendedor cego com característica de anti- rotação integrada, sistemas e métodos
WO2012006171A2 (en) * 2010-06-29 2012-01-12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all provenance from call audi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8375A (en) * 1979-09-28 1981-05-01 Hitachi Ltd Controller for elevator
JPS5948366A (ja) * 1982-09-07 1984-03-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S59138580A (ja) * 1983-01-28 1984-08-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S59149280A (ja) * 1983-02-15 1984-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管理装置
JPS59212370A (ja) * 1983-05-16 1984-1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ES2014264B3 (es) * 1986-04-11 1990-07-01 Inventio Ag Grupos de mando para ascensores
JP2607597B2 (ja) * 1988-03-02 1997-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H0712891B2 (ja) * 1988-02-17 1995-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H0772059B2 (ja) * 1988-10-19 1995-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H0768013B2 (ja) * 1988-10-25 1995-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725491B2 (ja) * 1989-04-06 1995-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DE59004802D1 (de) * 1990-02-22 1994-04-07 Inventio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sofortigen Zielrufzuteilung bei Aufzugsgrupppen, aufgrund von Bedienungskosten und von variablen Bonus-/Malus-Faktoren.
KR940009984B1 (ko) * 1990-05-29 1994-10-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US5146053A (en) * 1991-02-28 1992-09-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ing based on remaining response time
JPH05139635A (ja) 1991-11-18 1993-06-0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US5427206A (en) * 1991-12-10 1995-06-27 Otis Elevator Company Assigning a hall call to an elevator car based on remaining response time of other registered calls
US5612519A (en) * 1992-04-14 1997-03-18 Inventio Ag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calls entered at floors to cars of a group of elevators
FI108716B (fi) * 1993-11-11 2002-03-15 Kone Corp Menetelmä hissiryhmän ohjaamiseksi
JPH07247066A (ja) 1994-03-09 1995-09-2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7309540A (ja) * 1994-05-19 1995-11-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US5563386A (en) * 1994-06-23 1996-10-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ing employing reevaluation of hall call assignments, including fuzzy response time logic
JP2959425B2 (ja) * 1995-02-16 1999-10-0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EP0870717B1 (en) * 1996-10-29 2003-03-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elev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97423A4 (en) 2002-08-28
EP0997423A1 (en) 2000-05-03
EP0997423B1 (en) 2003-06-25
US6241050B1 (en) 2001-06-05
CN1124224C (zh) 2003-10-15
CN1250422A (zh) 2000-04-12
KR100399882B1 (ko) 2003-11-13
WO1999050164A1 (fr) 199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065B1 (e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vator system with two elevator cars in single shaft
US7568556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KR100428726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장치
JP4326618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CN100386250C (zh) 乘客指南系统和显示器
US82057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viding destination calls in elevator system
EP1873106A1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KR920011080B1 (ko)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JP478450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00230234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399882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4732343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CN101356106B (zh) 电梯控制方法及其装置
EP2221266B1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system
CN116323452A (zh) 电梯以及电梯的控制方法
US6905003B2 (en) 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device
JP2000191247A (ja) エレベ―タ
KR101024799B1 (ko) 승강기 통행 제어
JPH08217342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JP3962476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4569197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FI94120C (fi)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ryhmän ohjaukseen
KR100548764B1 (ko) 엘리베이터의군관리제어장치
JP2023090222A (ja) マルチデッキ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KR20060033916A (ko)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