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452A - 마이크로회로 카드 접속용 접점 랜딩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회로 카드 접속용 접점 랜딩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452A
KR20010012452A KR1019997010406A KR19997010406A KR20010012452A KR 20010012452 A KR20010012452 A KR 20010012452A KR 1019997010406 A KR1019997010406 A KR 1019997010406A KR 19997010406 A KR19997010406 A KR 19997010406A KR 20010012452 A KR20010012452 A KR 2001001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ingle device
contact
connect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리코헤르베
발세파브리스
Original Assignee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1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45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chanical means, e.g. by pins operating electric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 블레이드(96)를 위한 지지부를 형성하는 기부(32)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접촉 블레이드(96)의 만곡된 접촉 단부가 기부 평면 표면(32)을 지나 돌출하여 카드 접속 블록과 협동한다. 커넥터는 접촉 블레이드(96) 단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바(114)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제어 바(114)의 운동과 탄성 복귀(148)를 제어하는 단일 장치(1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회로 카드 접속용 접점 랜딩형 커넥터{SLIDING CONTACT CONNECTOR FOR CONNECTING A CARD WITH MICROCIRCUITS}
본 발명은 탄성 변형 가능한 전기적 접촉 블레이드(blade)용 지지체를 형성하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기부를 갖는 유형의 커넥터에 관한 것인데, 이들 블레이드는 카드 삽입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블레이드의 만곡된 접촉 단부는 접촉 위치에서 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카드의 접속면과 맞물린다.
카드를 삽입할 때, 접촉 블레이드의 만곡된 단부는 이들 접촉 블레이드를 커넥터의 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수직 위치로부터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게 해주는 카드의 전면 가장자리와 견고하게 맞물린다. 카드 삽입 이동의 나머지 고정에는, 카드가 최종 삽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접촉 블레이드 단부의 돔형 볼록 영역과 카드의 플라스틱 본체의 대향면과의 마찰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카드가 삽입되고 추출되는 때마다 이와 같은 마찰 충격이 반복되므로 접촉 블레이드의 만곡된 단부는 매우 신속하게 마모되며, 특히 이들 단부에 통상 마련되는 금과 같은 귀금속 코팅이 매우 신속하게 소실되기 때문에, 카드와 판독/기록 장치 사이에 이루어지는 접속의 질은 신속한 영향을 받는다.
몇가지 용례에 있어서, 특히 카드에 정보 및/또는 광고 메시지가 보관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카드는 손상받지 않을 것이 요망된다.
또한, 카드의 전면 횡방향 가장자리가 먼저 맞물리는 커넥터의 접점들 중 제1 열의 접점들은 카드상의 2개 열의 패드에 속하는 접촉 패드에 의해 연속해서 마모되며, 그에 따라 제2 열의 접점들보다 2배 빨리 마모된다.
결국, 또한 커넥터가 활주 접촉 유형인 경우, 카드상의 접촉 영역 또는 패드에는 얇은 층의 금 또는 다른 귀금속이 마련될 뿐이며, 이러한 층은 특히 횡방향 가장자리에 인접한 카드의 제1 열의 패드의 경우에는 매우 빨리 마모된다.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EP-B1-0.468.828호 공보에는, 카드 삽입의 종방향에 수직한 피벗 축선을 중심으로 기부에 대해 피벗하도록 장착된 레버에 접속된 바(bar)에 의해 접촉 블레이드의 접촉 단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유형의 커넥터가 이미 제안되었는데, 상기 바는
- 접촉 단부가 고유 용수철 탄성(intrinsic springiness)에 대항하여 기부의 상면으로부터 이동되고 제어 바가 탄성 수단에 의해 복귀되는 수축된 위치와,
- 접촉 단부가 접촉 위치에 있으며, 삽입 운동이 종료할 때 카드가 제어 바와 관련된 캡 형성 수단과 맞물리면 제어 바가 그 쪽으로 이동하는 제2 접촉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이 공보에 기재되고 예시된 설계에 따라, 제어 바는 일군의 평행한 접촉 블레이드의 각각의 측면에서 연장하는 레버의 2개의 평행한 종방향 부재를 연결시키고, 접촉 블레이드의 양 접촉 단부인 종방향 부재의 자유 단부는 레버 및 제어 바의 피벗을 제어하는 캠을 구비하며, 탄성 복귀 수단은 종방향 부재의 기부 및 이들 단부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지된 설계에 따라, 접촉 블레이드의 자유 접촉 단부의 접촉이 카드의 삽입 이동이 만료할 때에만 발생하고 이러한 접촉이 전적으로 만족스럽지는 않은 전술한 결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것은, 독립적인 스프링 형태의 탄성 복귀 수단의 구성이 구성 요소의 수효를 증가시키고 조립을 복잡하게 하며, 또한 높이, 즉 커넥터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제어 바를 지지하는 레버의 종방향 부재의 자유 단부와 동일한 구역에 스프링 및 캠을 배치하는 것으로는, 특히 카드상의 삽입 및 추출력을 제어할 목적을 위해, 커넥터의 작동에 관련된 여러 가지 힘을 레버 아암(arm)상에서 제어하는 것이 별로 가능하지 않다.
더욱이, 매우 많은 조작 작업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카드의 가장자리가 맞물리는 캠 형성 표면을 플라스틱으로 제조해선 안된다. 공지된 해결 방법에 따라, 제어 바를 지지하는 레버의 종방향 부재 내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금속 롤러 형태로, 이들 제어 캠을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또한, 이 해결 방법은 커넥터의 구성 요소의 수효의 수를 더 증가시키고 조립을 복잡하게 하는 결점을 갖는다.
결국, 이 공보에 의해 공지된 설계에 따르면, 접점을 제어하기 위해 바를 지지하는 레버의 피벗 핀의 위치는, 레버 아암이 짧으며 접점의 수축된 위치에서 접점의 편차(deflection)가 2개 열의 접점에 대해 동일하지 않게 되도록 정해진다.
본 발명은 하면에 접촉 영역이 마련된 접촉형 스마트 카드(contact-type smart card)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칩 카드 또는 마이크로회로 카드로도 불리며 통상 판독/기록 장치 내의 카드 삽입 방향에 통상 평행하게 정렬되는 복수 개의 전기적 접속면을 갖는 카드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3은 커넥터의 주 요소가 분해 도시된 도 2와 유사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커넥터의 확대된 상부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5-5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6은 전기 접촉 블레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바를 지지하는 레버의 주표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접속 바를 지지하는 레버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저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우측 측면도이고,
도 10은 컨트롤 바의 이동 및 탄성 복귀를 제어하는 단일 요동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일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12는 단일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13은 단지 이동 종료(end-of-travel) 스위치만이 장착된 커넥터의 미장착 기부(bare base)의 사시도이고,
도 14 및 15는 컨트롤 바를 지지하는 레버가 기부에 장착되는 방식을 2단계로 나타내는, 도 13과 유사한 2개의 도면이며,
도 16 및 17은 삽입에 의해 전기 접촉 블레이드를 장착시키기 위한 2단계를 나타내는, 도 15와 유사한 2개의 도면이고,
도 17A는 도 17의 A-A 선을 따른 횡단면의 확대도이며,
도 18 및 19는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단일 장치를 구성하는 금속 요동 피이스의 장착을 2단계로 나타내는, 도 17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20은 커버가 커넥터의 기부에 장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 19와 유사한 도면이며,
도 21은 도 4의 21-21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22는 커넥터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그 전면 횡방향 가장자리가 작동 탭의 캠 표면과 접촉하는 때의 카드가 적소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도 21과 유사한 도면이며,
도 23은 카드가 삽입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도 22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24 내지 26은 도 4의 24-24 선을 따라 취한 도 21 내지 23과 유사한 횡단면도이며,
도 27은 레버 및 제어 로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27A는 도 27의 A 지점을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28은 도 27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0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28A는 도 28의 A 지점을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29는 레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0은 구체적으로는 카드 제동 수단을 포함하는 접촉 지지 기부의 일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며,
도 31은 접촉 블레이드(96)의 비크형 자유 단부(102)와 맞물리는 컨트롤 바(114)의 부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25의 중앙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결점을 개선하는 EP-B1-0.468.828호 공보에 기재되고 예시된 유형의 커넥터를 위한 신규한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제어 바의 이동과 탄성 복귀를 제어하는 단일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그러한 설계에 따라, 제어 바를 지지하는 레버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단일 제어 장치는 특히 제조가 간단한 금속으로 제조된 단일 피이스(piece)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기부에 2개의 추가의 피이스를 장착함으로써 접점 랜딩용 커넥터(contact landing connector)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상기 단일 장치는, 이 장치가 탄성적으로 복귀되며 그 복귀된 위치에서 제어 바를 수축된 위치로 탄성적으로 도로 복귀시키는 제1 각 위치와, 단일 장치에 배열된 캠 형성 수단과 맞물리는 카드에 의해 이동되며 이동된 위치에서 제어 바가 접촉 위치에 있는 제2 각 위치 사이에서, 레버의 피벗 축선에 평행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기부에 대해 요동하도록 장착되며,
- 단일 장치는 2개의 양단부가 각각 토션 바에 의해 기부에 접속되는 횡방향 부재를 구비하고, 이 2개의 토션 바는 제1 각 위치를 향해 회전하도록 이 단일 장치에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며,
- 단일 장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 아암을 구비하고, 이 제어 아암의 자유 단부는 단일 장치가 제1 각 위치에 있을 때 바에 힘을 가해 이 바를 수축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아암이 맞물리고 제어 바를 제어하는 표면 반대편으로 연장하며, 이 아암은 제어 바를 접촉 블레이드의 고유 스프링 탄성(springiness)의 작용에 의해 접촉 위치로 이동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단일 장치가 제2 각 위치에 있을 때 제어 바로부터 이동하며,
- 제어 아암은 단일 장치의 횡방향 부재로부터, 기부의 상면의 평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 제어 아암은 단일 장치의 최대 각 위치를 형성하기 위해 맞물리는 기부의 정지면 반대편으로 연장하며,
- 단일 장치는 2개의 평행한 제어 아암을 가지며,
- 단일 장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캠 프로파일을 갖는 작동 탭을 구비하는데, 카드는 단일 장치를 제1 각 위치로부터 제2 각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이 캠 프로파일과 맞물리며,
- 작동 탭의 자유 단부는 카드의 부재시 연장하여 기부의 상부면 위로 돌출하며,
- 작동 탭은 단일 장치의 횡방향 부재로부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며,
- 작동 탭은 제어 아암에 대해 대략 45°의 각을 이루며,
- 작동 탭의 자유 단부는 카드의 삽입된 위치에서 카드의 하나의 표면과 맞물리고, 특히 카드 브레이크를 구성하도록 이 표면에 대해 지지력을 가하는 러너(runner) 형태로 형상화되며,
- 단일 장치는 2개의 평행한 작동 탭을 구비하고, 카드는 2개의 캠 프로파일과 동시에 맞물리며,
- 레버의 피벗 축선, 제어 바, 단일 장치의 회전 축선 및 캡 형성 수단은 카드 삽입의 종방향을 따라,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연속으로 배열되며,
- 단일 장치 및 레버는 기부의 하면 아래에 장착되며,
- 정지면은 기부의 상기 하면에 형성되며,
- 단일 장치는 절단되고 접힌 판금(板金)으로 제조된 피이스이며,
- 단일 장치의 정지부는 카드로부터 소정의 정전하를 분리하기 위해 기부를 지지하는 기판의 인쇄 회로의 접지 평면에 접속되도록 의도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접속 탭을 구비하며,
- 제어 바는 접촉 블레이드의 종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고, 만곡된 접촉 단부를 연장시키는 각각의 접촉 블레이드의 비크형(beak-shaped) 자유 단부와 맞물리며,
레버는 제어 바에 의해 함께 접속되고 일군의 평행한 접촉 블레이드의 각각의 측면에서 연장하는 2개의 평행한 종방향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분명히 이해될 것이다.
청구범위 및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수평", "수직",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특히 도 21 내지 26을 참조하는 설명을 간략화시키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은 절연재로 제조된 접점 지지형 지지체 또는 기부(32)와, 상부 커버(34)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전기 커넥터(30)를 나타낸다.
커넥터(30)는 대체로 장방형의 평행 육면체 형태이고, 대체로 평탄한 장방형 형태이고 모양 또는 윤곽이 도 22, 23, 25 및 26에 부분적으로 도시되는 카드(C)의 종방향 삽입을 위한 슬롯(36)을 도 1 우측의 전면 단부에 구비한다(도 21 내지 26 참조). 카드(C)는 하면(38) 및 상면(40)으로 된 2개의 주평면의 표면과, 카드(C)의 삽입 방향(I)에 수직으로 커넥터(30)의 슬롯(36) 안으로 연장되는 전면의 횡방향 가장자리(42)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34)는 대체로 장방형 판 형태인 플라스틱 성형물이며, 그 전면 횡방향 가장자리(44)는 슬롯(36) 안으로 카드(C)가 용이하게 삽입되게 해주는 챔퍼부(46; chamfer)를 구비하며, 이 슬롯(36)은 I 방향으로 카드(C)를 안내하기 위해 카드(C)의 양쪽 종방향 가장자리와 맞물리는 커버(34) 측벽(50)의 대향된 내측 표면에 의해 횡방향으로 획정된다.
커버(34)는 후방 단부의 횡방향 가장자리(52) 부근에서 내면(54)에 2개의 횡방향으로 대향된 정지부(56)를 구비하며, 카드(C)의 전면 가장자리(42)는 상기 2개의 정지부(56)와 맞물려 커넥터(32) 내의 카드(C)의 삽입된 위치를 형성한다.
카드(C)는 커버(34)의 내면에 양각(陽刻)된 2개의 중앙 리브에 형성된지지 구역(58)과 맞물리는 상면(40)과, 정지부(56) 부근에 형성된 동일 평면상의(coplanar) 지지 평면(60)에 의해 커넥터(30) 안으로 도입될 때 수직 상방으로 안내된다.
카드(C)의 양면이 긁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지지 리브(58)는 종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2개의 형상화된 보스(boss)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해결책에 따라 재료가 절약된다.
커버(34)의 전면 횡방향 가장자리(44)는 중앙 오목부 또는 만입부(62)를 구비하며, 이 오목부 또는 만입부(62)는 납땜에 의해 접촉 블레이드의 접속 탭을 연결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며 쇼트 접점(short contact)이 사용될 수 있게 해준다.
측벽(50) 및 수직 후부 벽(64)의 하부 가장자리는 커버(44)를 기부(32)에 체결시키는 일련의 후크(66)를 구비한다.
기부(32)는 대체로 오목한 장방형 판 형태인 절연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성형물이다.
기부는 챔퍼부(46) 및 오목부(62)와 동일하게 기능하는 챔퍼부(70) 및 오목부(72)를 구비한 전면 횡방향 가장자리(68)에 의해 종방향이 획정된다.
기부(32)의 상면(74)은 커버(34)의 표면(58, 60)에 평행한 평탄면이고, 이들 표면(58, 60)과 함께 카드(C)의 삽입을 위한 슬롯(36)을 수직 상측 및 수직 하측으로 한정하며, 카드(C)의 하면(38)은 카드의 삽입 중에 기부(32)의 평탄한 상면(74)과 맞물린다.
도 21 내지 26에서, 커넥터는 접속면 또는 패드를 지지하는 카드(C)의 표면(38)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위치가 정해져 도시되지만, 다수의 용례에서 커넥터는 반대의 위치를 점유하는데, 이것은 기부가 상부에 있고 이 때 칩을 지지하는 카드의 표면(38)은 수직 상방을 향한 상부면이 된다는 것이다. 이 위치에서, 카드는 표면(40)이 커버(34)의 리브에 놓인 채로 자연스럽게 안착되기 쉽다.
카드의 칩상의 접속면 또는 패드가 카드의 하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경우, 이들을 카드의 삽입시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부의 상면(74)에 홈(75)을 대략 10분의 1밀리미터의 깊이로 제공할 수 있는데(도 30), 이것은 점접의 높이, 즉 리브(58) 사이에서 연장하는 커버의 상응하는 영역 반대편의 기부의 중앙 부분의 전체 길이 위에 놓인다.
측면(78) 및 기부(32) 후면의 횡방향 표면(76)의 하부 가장자리들은 커버(34) 후크(66)의 비크형 단부가 맞물리는 소정 구역(80)들을 가지며, 기부(32)에 대한 비크형 단부의 수직 위치는 커버(34)의 {후크(66)들 사이의} 하부 가장자리(67)들이 구속 구역(80; catching region) 사이에 위치된 상부 지지 패싯(81; facet)에 지지되는 지점에 의해 정해진다.
특히 도 1과 2에 나타날 수 있는 조립된 위치에서, 기부(32) 및 커버(34)는 장방형 박스 형태의 조립체를 구성한다.
예컨대, 기부(32)는 인쇄 회로 기판(도면에 도시 생략)에 체결되도록 설계되고, 기부(32) 하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하는 4개의 원통형 디딤부(84; foot)의 환상 하부 가장자리(82)를 경유해 이 기판에 수직으로 지지되며, 또한 기부(32)의 하면은 기부(32)가 인쇄 회로 기판에 수직으로 확실히 구속되도록 설계된 4쌍의 작살부(86; harpoon)를 디딤부(84) 부근에 구비한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기부는 동일한 작살부(96)를 경유해 동일한 지지 플레이트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접점의 접속 탭부는 가요성 회로를 경유해 장치의 전자기기에 접속되어 있다.
디딤부(84)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전술한 하면 및 상면 사이에 커넥터의 대략 전체 영역에 걸쳐 있는 공간을 획정하도록 기부(32)의 하면(88)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며, 인쇄 회로 기판에 체결된 전자 소자와 이 하면에 부착된 커넥터의 하면(88) 또는 소자에 뚜렷이 형성된 부분이 그 영역 안으로 연장할 수 있다.
2개의 횡방향 가장자리, 즉 전면의 횡방향 가장자리(92) 및 후면의 횡방향 가장자리(94)에 의해 획정된 더 짧은 중앙부(90)에서, 기부(32)는 각각 4개의 접점을 갖는 2열(列)의 전기 접점(96)용 지지부를 구성한다.
공지된 설계에 따르면, 각각의 전기 접점(96)은 종방향으로 배향된 중앙 섹션(98)을 갖는 탄성 변형 가능한 블레이드인데, 이 중앙 섹션(98)은 커넥터의 중앙 쪽으로 배향된 자유 단부 중 하나에서 만곡된 접촉부(100)로 종료하고, 이 접촉부(100)는 볼록부가 수직으로 위쪽을 향하며 그 자체는 비크형 단부(102)에 의해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중앙 섹션(98)은 구체적으로는 작살부(106)를 갖는 삽입 유형 체결 부분(104)에 의해 다른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접점(96)은 인쇄 회로 기판의 상면 위의 전도 트랙에 납땜 또는 경납땜에 의해 연결되도록 의도된 탭 형태의 접속 단부(108)에 의해 그 체결부(104) 너머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공지된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은 인쇄 회로 기판의 구멍 안으로 삽입되는 유형일 수 있다.
접촉 블레이드(96)는 탄성 변형 가능한데, 이는 블레이드(96)의 자유 단부 부분(100, 102)이 체결부(104)에 대해 수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는 것이다.
구부러지지 않은 휴지 상태에서, 접점(96)의 만곡된 단부(100)는 기부(32) 상면(74)의 평면 위에 수직으로 돌출하며, 카드(C)의 하면(38)은 기부(32)의 접점 지지 중앙부(90) 내에 이 목적으로 형성된 구멍(110)을 통해 이 표면에서 활주한다.
접점의 상세한 설계와, 특히 삽입에 의해 체결되는 방법에 관해서는, 특히 WO-A-FR 94/01532호 공보의 내용이 언급될 수 있다.
EP-B1-0.468,928호 공보에 공지된 사상에 따르면, 접점(96)이 랜딩되는 유형의 커넥터를 구성하기 위해, 커넥터(30)에는 블레이드(96)의 접촉 단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바(114)를 지지하는 피벗형 레버(112)가 마련되어 있다.
도 6 내지 9에서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듯이, 레버(112)는 대체로 U자형이고, 그 분기(分岐)는 횡방향 제어 바(114)에 의해 그 후면의 종방향 단부 부근에 연결되는 2개의 종방향 부재(116)로 구성된다.
각각의 종방향 부재(116) 후면의 종방향 단부(118)는 반원형 피벗 베어링(120) 형태로 형상화되며, 이 베어링(120)은 방사상 슬롯(122)을 경유해 레버(112)의 하면에 드러나는데, 이 방사상 슬롯(122)은 기부와 함께 성형되고 2개의 종방향으로 배향된 수직 측벽(126) 사이에 기부(32)의 표면(88) 아래로 연장되는 상응하는 피벗-핀 섹션(124)이 탄성 끼워 맞춤에 의해 베어링(120) 안으로 삽입되게 해준다.
따라서, 레버(112)는 섹션(124)의 기하학적 횡방향 축선(X-X)을 중심으로 기부(32)에 대해 피벗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어 바(114)는 중앙부에서 4개로 된 리셉터클(128)을 2열 구비하는데, 각각의 리셉터클(128)은 상부 파티션(130)에 의해 수직 상방으로 획정되고, 후면 또는 전면에 종방향으로 개방되어, 각각 접촉 블레이드(96)의 비크형 접촉 단부(102)를 수납한다.
또한, 각각의 리셉터클(128)은 수직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후면의 종방향 단부(132) 및 상면(134)에서, 각각의 종방향 부재(116)는 후방 단부 가장자리(138)에서 리브(140)를 획정하는 종방향 홈(136)을 구비한다.
바(114)의 양 단부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리브(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X-X 축선을 중심으로 레버(112)의 피벗 운동을 제어하는 2개의 표면을 접점(96)을 제어하는 중앙부의 각각의 측면에 구성한다.
도 21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레버(112)를 작동시키고 이 레버(112)를 수축된 위치로 탄성 복귀시키며, 후퇴된 위치에서 블레이드(96)의 만곡된 접촉 단부(100)가 그 고유 스프링 탄성에 대항하여 기부(32)의 상면(74)으로부터 수직으로 후퇴되는 단일 장치를 구성하는 단일 장치(142)를 이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로커(rocker)라고 부르게 될 단일 장치(142)는 절단되고 접혀서 형상화된 판금의 단일 피이스로 제조되어 있다.
로커(142)는 커넥터의 수직 중간 평면에 대해 대체로 대칭인 설계를 갖는데, 이것은 접점(96)용 지지체를 형성하는 레버(112) 및 기부(32) 중앙부(90)에서 동일하다.
로커(142)는 플레이트 형태인 중앙 횡방향 부재(144)를 구비하며, 제1 각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32) 내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되어 있다.
횡방향 부재(144)를 구성하는 중앙부는 기부(32)의 하면(88) 아래에 "매달려"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횡방향 부재(144)는 2개의 대향 횡방향 단부(146)가 스트립(148)에 의해 연장되며, 이 스트립(148)은 횡방향 부재(144)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외측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스트립(148)은 기부(32)의 하면(88) 아래의 로커(142)를 체결시키는 횡방향 부재(144) 및 2개의 측면 플레이트(150) 사이의 연결 스트립이므로, 이 스트립(14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횡방향 부재(144) 및 탄성 토션 바의 회전 또는 요동 축선을 형성한다.
횡방향 단부(152) 부근에서, 각각의 스트립(148)은 플레이트(150)의 전면 횡방향 가장자리(156)까지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접속 빔(154)에 의해 체결 플레이트(150)에 연결되어 있다.
체결 플레이트(150), 종방향 빔(154) 및 스트립(148)은 모두,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142)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을 때 횡방향 부재(14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한다. 이러한 설계에 따라 판금으로부터 로커를 절단해 내는 작업이 단순화되고 매우 정밀한 피이스 치수가 보장된다.
빔(154)은 스트립(148)과 함께 요동 운동의 폭을 증가시키므로 Y-Y 축선을 따른 로커(142)의 치수가 감소할 수 있다.
빔(154)은 토션 바를 형성하는 스트립과 강성의 정지 플레이트(150) 사이의 휨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므로 탄성 전이부(elastic transition)를 구성한다. 탄성 전이부는 바(148)의 단부에서의 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고 횡방향 부재(144)의 탄성 회전에 기여한다.
통상 로커(142)의 적절한 작동에 유해한, 빔(154)에 기인한 탄성 전이부로부터 초래되는 횡방향 부재(144)의 근소한 수직 병진 운동은 부차적인 것이므로 무시될 수 있으며, 횡방향 부재(144)는 Y-Y 축선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 플레이트(150)는 장방형의 윤곽을 가지며, 플레이트(150)를 지지 및 체결시키는 하부 평면 구역(162) 위에 형성된 4개의 상보형 하우징 또는 노치(160) 내에 베이요넷형(bayonet-type) 방식으로 장착될 4개의 동일 평면상의 횡방향 탭(158)을 구비한다.
베이요넷형 장착은 탭(158)을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노치(160) 안으로 종방향으로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플레이트(150)에 대한 지지는 플레이트(150)의 가장자리(156)로부터 전면을 향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동일 평면상의 블레이드(164)의 상호작용에 의해 완결되며, 각각의 이들 블레이드(164)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표면(162) 부근에서 기부(32)의 상보형 표면(165)에 대해 지지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7A에 도시된 상세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표면(162, 164)은 수평이 아니므로, 기부 상면(74)의 전체 평면에 평행하지 않다.
따라서, 장착된 위치에서, 로커(142)의 전체 평면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로커(142)가 평형 상태에 있도록, 기부의 하면(32) 아래로 대략 4°의 예각 "a"를 이루도록 경사지며, 로커(142)가 제1 각 위치에 있을 때 토션 바(tortion bar)가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받는다.
또한, 각각의 체결 플레이트(150)는 기부(32)에 형성된 상보형 이머징 구멍(168; emerging hole)에 대향되도록 설계된 구멍(166)을 구비하며, 이들 정렬된 구멍(166, 168)들은 커버(34)가 기부(32)에 체결되는 때에 커버(34)의 내면(54)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핑거(170)를 수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로커(142)는 기부(32) 아래에 장착된 위치에서, 도 2, 4 및 19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플레이트(150)에 의해 기부(32) 하면의 아래에 체결되며, 특히 횡방향 부재(144)에 의해 형성된 중앙의 주요부는 대체로 스트립(148)과 일치하는 기하학적 회전 축선(Y-Y)을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다.
요동 운동은 횡방향 부재(144)를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2개의 토션 바를 구성하는 스트립(148)에 의해 로커(142)에 가해지는 탄성 복귀력에 대항하여 수행된다.
레버(112)를 작동시키기 위해, 더 구체적으로는 종방향 부재(116) 후면의 종방향 단부(138)에 형성된 제어 표면(140)상에 작용시키기 위해, 로커(142)는 2개의 횡방향으로 대향된 평행한 제어 아암(174)을 구비하며, 각각의 아암(174)은 동일 평면상에서 횡방향 부재(144) 전면의 횡방향 가장자리(176)로부터 연장한다.
커넥터의 여러 가지 구성 요소가 조립된 위치에서, 구체적으로는 도 21 내지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아암(174)의 각각의 후면 종방향 단부(180)의 하면(178)은 표면(140)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된다.
제어 아암(174)은 횡방향 부재(144)와 함께 강성의 조립체를 형성하는데, 이는 이들 아암(174)이 횡방향 부재(144)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것이며, 이러한 강성은 횡방향 부재(144) 전면의 횡방향 가장자리 내의 아암(174) 사이에 형성된 리브(182)에 의해 증가된다.
또한, 횡방향 부재(144) 후면의 횡방향 가장자리는 카드(C)에 의해 로커(142)를 작동시키는 2개의 탭(186)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보강 리브(184)를 구비하며, 별체에 있어서 리브(184)는 탭(186) 사이의 횡방향 부재의 전체 횡방향 폭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작동 탭(186)은 횡방향 부재(144)로부터 종방향으로 후방으로, 이 부재(144) 및 제어 아암(174)의 전체 평면과 대략 45°의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하며, 그에 따라 작동 탭(186)은 카드(C)가 커넥터(30) 안으로 충분히 삽입될 때까지, 각각의 작동 탭(186)의 만곡된 자유 단부(190)가 연장하여 도 21, 22, 24 및 25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6) 내부의 기부(32)의 상면 위로 수직으로 돌출하도록, 각각 기부(32)에 형성된 이머징 구멍(188)을 통해 후방 및 수직 상방으로 연장한다.
커넥터의 성능 및 신뢰성을 더 개선시키기 위해, 각각의 작동 탭(186)과 종방향 보강 리브(도시 생략)를 횡방향 부재(144)에 각져 연결된 구역에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탭의 만곡된 단부(190)의 볼록한 상면(192)은 캠 프로파일을 형성하며, 카드(C)의 전면 횡방향 가장자리(42)가 카드(C)의 삽입 단계의 종료 시에 커넥터(30) 안으로 이 캠 프로파일과 맞물린다.
제어 아암(174)과 유사하게, 작동 탭(186)은 횡방향 부재(144)와 함께 카드(C)가 작동할 때 변형되지 않는 강성 조립체를 형성하며, 이러한 조립체는 토션 바(148) 및 빔(154)의 변형에 의해 Y-Y 축선을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다.
"스프링" 성질을 갖는 금속 피이스인 로커(142)는 체결 플레이트(150)를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회로(도시 생략)에 연결하기 위한 2개의 탭(196)을 구비하며, 접속 탭(196)은 접점(96)의 전기적 접속 탭(108)과 동시에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된다.
커넥터의 구성 요소의 조립된 위치에 있어서, 각각의 제어 아암(174)의 상면(179)은 기부(32)의 하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정지면(181)의 반대편으로 연장한다.
커넥터(30)를 제조할 목적으로 여러 구성 요소를 조립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는 도 13 내지 20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32)가 참조 요소로서 취해지는데, 본원에 더 상세히 기재되지는 않지만 자체 트리핑 레버(202; tripping lever)가 도 24 내지 26에 도시되며 삽입된 위치에 있는 카드(C)의 존재를 감지하는 스위치(200)를 이 기부(32)에 장착함으로써 조립이 시작되며, 이 트리핑 레버(202)는 카드(C)의 커넥터 안으로의 삽입이 종료할 때, 카드가 정지하기 전에 대략 0.8mm 만큼의 상태 변화를 보장하기 위해 그 횡방향 가장자리가 스위치에 작용하고 카드를 분리할 때 역이 되도록, 시퀀스에 따라 카드의 전면 횡방향 가장자리(42)와 맞물린다.
여러 가지 구성 요소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은 레버(112)의 장착 단계에 의해 계속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피벗 핀 섹션(124) 주위에는 베어링(118)이 탄성적으로 끼워지므로 레버(112)가 X-X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장착된다.
이어서, 레버(112)는 도 14에 도시된 장착 위치로부터 도 15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피벗하게 되며, 이 위치에서 2열의 4개짜리 리셉터클(128) 사이에 놓이는 제어 바(114) 표면(134)의 일부는 공동(110) 사이에 놓이는 기부(32)의 횡방향 부재(135)에 대해 지지된다(도 14 참조).
레버(112)를 도 15에 도시된 위치로 피벗시킨 후의, X-X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하는 레버(112)의 능력은 중앙 슬롯(113)이 2개의 유지 캐치부(115; retaining catch)를 양쪽 횡방향 단부에 구비하는 한 제한되며, 이들 캐치부(115)는 릴리프(121; relief)의 형태(form) 상에 대향되게 형성된 2개의 정지 립(119)과 대면하도록 연장되고(도 5 및 15 참조) 캐치부(115)를 지지하는 블레이드형 부분의 탄성 변형에 의해 장착 중에 탄성적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양쪽 방향으로 종방향으로 삽입시켜 2군의 4개의 접점(96)을 도입시키는데, 각각의 열의 4개의 블레이드는 4개의 접점의 동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면 피이스(97)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삽입 중에, 접점(96)의 비크형 자유 단부(102) 각각은 상응하는 리셉터클의 상부 파티션(130) 반대편으로 연장하도록 레버(112)의 제어 바(114) 내의 대면하는 리셉터클(128)에 진입한다.
접점(96)을 삽입한 후에, 블레이드(96)를 연결하는 측면 피이스(97)를 절단하여 도 17에 도시된 구성을 이룬다.
도 18 및 19의 2개의 연속 단계로 도시된 다음 단계는 로커(142)를 장착하는 것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바(114)를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압박한 후, 도 18에 대한 수직 하향 이동에서 로커(142)의 제어 바의 자유 단부(180)를 제어 표면(140) 아래에 삽입하고 플레이트(150)를 지지 표면(162)에 하향 압박하며, 이어서 탭(158)을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리셉터클(160) 안으로 종방향으로 삽입하여 로커(142)가 수직으로 체결된 도 19에 도시된 위치를 이루는데, 이는 탭(158)의 전면 횡방향 가장자리가 리셉터클(160)의 저부와 맞물리므로 플레이트(150)가 표면(162)에 지지되도록 체결되고 전면을 향해 종방향으로 접한다는 것이다.
이어서 레버(112)와 제어 바(114)에 가해진 힘이 해제된다. 이러한 운동 중에, 토션 바는 제어 아암(174)의 전면 종방향 단부(180)가 레버(112)의 종방향 부재의 종방향 단부에 형성된 제어 표면(140)에 의해 힘을 받으므로 고유 스프링 탄성에 대항하여 회전하도록 힘으로 받는다.
여러 가지 구성 요소의 치수 및 형태와, 구체적으로는 제어 아암(174)이 연장하는 평면은, 레버(112)가 도 21 및 24에 대해 피벗 축선(X-X)을 중심으로 접촉 블레이드(96)의 고유 스프링 탄성에 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받아 소위 수축된 위치를 점유하도록, 그 높이가 정해지며, 이 위치에서 제어 바(114)는 비크형 단부(102)에 수직 하향으로 힘을 가해, 만곡된 접촉 단부(100)가 접촉 지지 기부(32)의 상면(74)으로부터 이동 또는 수축하도록, 접촉 블레이드(96)를 탄성 변형시킨다(도 21 및 24 참조).
구체적으로는 도 21 및 24에 도시된 로커(142) 및 제어 바(114)의 이러한 제1 평형 각 위치에서, 그에 따라 접점은 상면(74)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므로 상면(74)을 카드(C)의 삽입이 일절 방해받지 않는 상태로 둔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0)의 구성 요소의 조립은 기부(32)에 물리는 후크(66)의 캐치부에 의해 커버(34)를 기부(32)에 체결시킴으로써 완결된다.
이러한 체결 작업 중에, 커버(34)를 기부(32)에 대해 수직 하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도 20 참조), 핑거 또는 스터드(170)는 기부(32)의 구멍(168)과 로커(142) 플레이트(150)의 정렬된 구멍(166)을 통해 연속으로 이동하여 플레이트(150)를 기부(32)에 대해 종방향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작업 중에, 특히 카드를 삽입할 때, 후속해서 외측으로 횡방향으로 "개방"되는 컨덕터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리드(34)의 측면 가장자리(50)의 전면 부분(35)이 기부(32)의 상보형 부분(33)에 상보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도 3 참조).
커버(34) 조립의 최종 작업은 플레이트(15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핑거(170)의 자유 단부를 크림핑(crimping)시키거나 고온 변형을 사용하여 수행하면 좋다.
이러한 크림핑 작업은 조립체를 매우 견고하게 해주고 로커(142)를 신뢰성 있게 고정시키며, 로커(142)의 플레이트(150)는 "죄어져서" 평면 표면(162)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되고, 이어서 이 평면 표면(162)은 더 양호한 조건으로, 즉 탁월한 기하학적 정밀도를 갖고 여러 가지 힘을 제어하며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는 모든 힘과 스트레스가 동일 구역, 즉 체결 플레이트(150)가 끼워지는 지점 주위의 구역으로 한정되도록 설계되는 것에 주목한다. 이러한 장치는 구체적으로는 프리스트레스를 받아 장착되는 로커(142)의 탄성 작용으로부터 초래되는 모든 내부 스트레스가 커넥터의 매우 견고한 구역으로 한정되므로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커넥터는 대략 260℃의 온도를 요하는 소위 리플로(reflow) 기법을 사용하여 커넥터를 체결시키고 그 리드(lead)를 연결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가열 작업 중에 원치 않는 변형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는다.
기부(32)에 커버(34)를 체결하는 것은 전체 유닛을 구성하는 완전한 커넥터(30)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물론, 이동 종료 스위치(200; end-of-travel switch)의 접점(96)의 전기적 접속에 필요한 납땜 또는 경납땜 작업을 수행하여 도 19에 도시된 소조립체를 인쇄 회로 기판에 미리 장착하고, 그후 후속하여 플라스틱 커버(34)를 부착시킬 수 있으며, 물론 이러한 장착 모드는 핑거(170)를 고온 크림핑시키는 상보형 작업을 방지한다.
이제, 카드(C)가 커넥터(30)에 삽입되고 분리되는 동안의 제어 바(114) 및 로커(142)의 작동을 도 21 내지 26을 참조하여 기재할 것이다.
도 21 및 24에 있어서, 제어 바(114)를 갖는 레버(112)는 로커(142)에 의해 탄성적으로 복귀된 수축 위치로 도시되며, 이 위치에서 접점(96)의 단부(100)가 수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동일 위치에서, 로커(142)를 작동시키기 위한 탭(186)의 자유 단부(190)는 로커(142) 후면의 단부 벽에 인접한 슬롯(36) 안으로 돌출한다.
도 22, 23, 25 및 26은 카드(C)의 종방향 전면 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데, 카드(C)의 평균 두께는 대향된 주 표면(38, 40)에 의해 획정되며, 또한 카드(C)는 표면부(39, 41)에 의해 획정되는 상부 두께를 부여하는 국부적으로 에칭되거나 엠보싱된 부분을 갖는다.
카드(C)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즉 도 21 내지 26에 관해서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종방향으로 삽입되고, 그 전면의 횡방향 가장자리(42)는 도 22 및 25에 도시된 중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슬롯(36) 안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며, 이 위치에서 로커(142)의 작동 탭(186)의 만곡된 단부(190)와 일렬이 되도록 연장한다.
카드(C)가 도 22 및 25에 도시된 중간 위치 너머로 좌측으로 종방향으로 삽입 운동을 계속할 때, 전면 횡방향 가장자리(42)는 작동 탭(186)의 만곡된 단부(190)의 볼록면(192)들과 동시에 맞물려서 이들을 기부(32)의 구멍(188)을 통해 이동시킨다.
작동 탭(186)에서 카드(C)의 가장자리(42)가 이와 같이 작용하면, 로커(142)의 전체 중앙부와 특히 횡방향 부재(144)는 도 21 내지 26에 따른 회전 축선(Y-Y)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카드(C)의 삽입 운동 중에, 카드(C)의 전면 가장자리(42)가 작동 탭(186)과 접촉하고 이어서 작동 탭(186)이 카드(C)의 대향면에 지지력을 가하게 되자마자, 플라스틱 카드(C)에 대한 소정의 정전하는 판독/기록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회로로 방전되고 이들 전하는 금속 로커(142)와 그 접속 탭(196)을 경유해 전달되는데, 이것은 접점(96-100)이 카드(C)의 접속면 또는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전에 달성된다.
카드(C)의 삽입 운동과 로커(142)의 요동 운동은 도 23 및 26에 도시된 최종 삽입 위치가 달성될 때까지 계속된다.
제2 각 위치를 향한 로커(142)의 회전 운동은 토션 바(148)의 스프링 탄성에 대항하여 수행되며, 토션 바에 의해 로커의 중앙부에 가해지는 회전 복귀 토크는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이어서, 로커(142)는 제어 아암(174)의 자유 단부가 레버(112)의 제어 표면(140)과 더 이상 맞물리지 않는 제2 각 위치에 있게된다.
이러한 제2 각 위치는 정지면(181)과 접하게 되는 제어 아암에 의해 한정치 내에서 정해진다.
그 결과, 레버(112)는 파티션(130)과 맞물리는 비크형 단부(102)를 경유하여 제어 바(114)에 가해지는 탄성 복귀력의 작용에 기인해, 도 21 내지 26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그 X-X 축선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피벗할 수 있다.
이어서, 만곡된 접촉 단부(100)는 수직 상방으로 랜딩하여 카드(C)의 하면(38)에 형성된 대면하는 전도 영역과 자유롭게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접점(96-100)의 랜딩은 카드가 스위치(200)에 작용하기 전에 카드(C)가 커넥터(32)에서 삽입 이동을 막 종료한 때에만 매우 점진적으로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계에 의해, 접점을 제어하는 바(114)를 지지하는 레버(112)의 피벗 축선(X-X)은, 커넥터의 전면으로 레버 아암이 매우 길고 접점의 수축된 위치에서 접점의 편차가 양쪽 열의 접점에 대해 거의 동일하도록 위치된다.
카드(C)가 커넥터(30)로부터 분리될 때, 가장자리(42)가 도 22 및 25에 도시된 그 종방향 위치에 다시 도달하면, 로커(142)는 토션 바(148)에 의해 횡방향 부재(144)에서 로커(142)에 가해지는 복귀 토크의 영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Y-Y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하므로, 제어 아암(174)이 제어 표면(140)에 다시 작용하여 레버(112)를 X-X 축선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시켜, 제어 바(114)가 접촉 블레이드(96)의 접촉 단부(100)를 이동시키며, 이러한 것은 카드가 스위치(200)에 작용하는 것을 멈춘 후에 완결된다.
도 3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비크형 단부(102)와 맞물리는 파티션(130)을 비대칭으로 형상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피벗 핀(124)에 대해 2개의 정렬된 파티션의 종방향 오프셋에도 불구하고 2개의 정렬된 블레이드(96)의 만곡된 단부(100)는 특히 도 31을 참조할 때 우측 블레이드의 만곡된 단부가 상면(75)의 평면 위로 약간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드의 부재시 동일 높이에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좌측 파티션은 얇아지고, 핀(124)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좌측 접촉 블레이드(96)의 비크형 단부(102)의 경사에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진 저부 패싯(131)으로 형상화되므로, 이러한 패싯이 좌측 블레이드의 비크형 단부(102)를 위한 지지면으로서 작용하며, 한편 우측 파티션(130)의 자유 횡방향 가장자리(133)는 핀(124)에 가장 인접한 좌측 접촉 블레이드(96)에 속하는 비크형 단부(102)와 맞물리게 된다.
분리 중에, 카드(C)의 횡방향 가장자리(42)에 작동 탭(186)의 만곡된 자유 단부(190)가 작용하면, 카드(C)는 이 가장자리가 만곡된 부분(190)의 볼록한 굴곡부를 지나자마자 커넥터로부터 부분적으로 방출된다.
또한, 로커(142)의 형상 및 커넥터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카드의 삽입하고 분리하는 중의 모든 경우에 촉감이 제공된다.
도 23 및 26은 제어 바(114)의 상면에 의해 카드(C)의 대향하는 하면에 대해 수직으로 압박되는 레버(112)를 나타낸다. 제어 바(114)는 접촉 블레이드(96)의 비크형 단부(102)에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중력을 받아 수직으로 "도로 하강"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상응하는 블레이드가 카드의 접속면으로부터 상승하는 것이 종료할 때까지 제어 바가 의사 진동(spurious vibration)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접점에 수직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명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여 제어 바가 비크형 접촉 단부(102)에 안착하지 않는 도 23 및 26에 도시된 상태를 점유하게 하기 위해, 도 27 내지 29에 도시된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어 아암(174) 후면의 종방향 단부(180)는 갈퀴 형태인데, 다시 말하면, 단부(18)는 제어 아암(174)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하지만, 수직 하향으로 오프셋된 평면에서는 종방향 부재(116)의 후면 자유 단부에 인접한 제어 바(114)의 하면(132)에 형성된 상보형 유지 표면(212) 아래로 연장하는 유지 탭(21)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 바와 제어 아암의 운동은 양 방향으로 커플링된다.
물론, 커넥터가 도 21 내지 26에 도시된 위치에 대해 다른 방법으로 장착되는 경우, 제어 바(114)의 표면(132)은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도 23 및 26에 도시된 위치를 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계는 이미 언급한 장점 이외에도, 저렴한 재료로 제조된 2개의 간단한 구성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기부의 하면 아래에 이들 2개 요소(112, 142)를 추가하여 접점 랜딩형 커넥터를 구성하며, 이 설계에 따라 커넥터는 활주 접촉 커넥터를 구성하기 위한 어떠한 변경 없이도 커버(34)와 결합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형태와 접점 랜딩 형태 사이의 비용차는 피이스 수효의 감소와 조립을 매우 쉽게 자동화시켜 주는 설계 때문에 감소된다.
기부에 요소(112, 142)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삽입된 위치의 카드를 위한 브레이크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카드의 하면과 맞물리고 이 카드를 커버(34)에서 위쪽으로 압박하기 위한 기부 상면에서의 성형에 의해 2개의 탄성 스트립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가 2개의 평행한 열의 접점을 갖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여 단일 열의 접점을 갖는 커넥터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하면(38)에 접속 영역이 있으며,
    전기적으로 변형 가능한 전기적 접촉 블레이드(96)들을 위한 지지부를 형성하는 절연재로 제조된 기부(32)를 구비하는데, 상기 블레이드(96)는 카드(C) 삽입의 종방향(I)과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기부(32)의 상면(74)으로부터는 접촉 위치에서 블레이드의 만곡된 접촉 단부(100)들이 돌출하여 카드의 접속면과 맞물리며,
    접촉 블레이드(96)의 접촉 단부(100, 102)의 위치를 제어하고 카드(C) 삽입의 종방향(I)에 수직한 피벗 축선(X-X)을 중심으로 기부(32)에 대해 피벗하도록 장착된 레버(112)에 연결된 바(114)가
    - 상기 접촉 단부(100)가 고유 용수철 탄성(intrinsic springiness)에 대항하여 기부(32)의 상면(74)으로부터 이동되고 제어 바가 탄성 수단에 의해 복귀되는 수축된 위치와,
    - 접촉 단부(100)가 접촉 위치에 있으며, 삽입 운동이 종료할 때 카드(C)가 제어 바와 관련된 캡 형성 수단(186, 190)과 맞물리면(42) 제어 바가 그 쪽으로 이동하는 제2 접촉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유형의 접촉형 스마트 카드(C; contact-type smart card)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30)로서,
    이동 및 상기 제어 바(114)의 탄성 복귀(148)를 제어하는 단일 장치(1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장치(142)는
    - 이 장치가 탄성적으로 복귀되며 그 복귀된 위치에서 제어 바(114)를 수축된 위치로 탄성적으로 도로 복귀시키는 제1 각 위치와,
    - 단일 장치에 배열된 캠 형성 수단(186, 190)과 맞물리는 카드(C)에 의해 이동되며 이동된 위치에서 제어 바(114)가 접촉 위치에 있는 제2 각 위치
    사이에서 레버의 피벗 축선에 평행한 회전 축선(Y-Y)을 중심으로 기부(32)에 대해 요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장치(142)는 2개의 양단부가 각각 토션 바에 의해 기부(32)에 접속되는 횡방향 부재(144)를 구비하고, 이 2개의 토션 바(148)는 제1 각 위치를 향해 회전하도록 이 단일 장치(142)에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장치(142)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 아암(174)을 구비하고, 이 제어 아암(174)의 자유 단부(180)는 이 단일 장치(142)가 제1 각 위치에 있을 때 바(114)에 힘을 가해 이 바를 수축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아암(174)이 맞물리고 제어 바(114)를 제어하는 표면 반대편으로 연장하며, 이 아암은 제어 바를 접촉 블레이드(96)의 고유 스프링 탄성(springiness)의 작용에 의해 접촉 위치로 이동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단일 장치가 제2 각 위치에 있을 때 제어 바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아암(174)은 상기 단일 장치(142)의 횡방향 부재(144)로부터, 상기 기부(32)의 상면(74)의 평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아암(174)은 상기 단일 장치(142)의 최대 각 위치를 형성하기 위해 맞물리는 기부의 정지면(181) 반대편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장치(142)는 2개의 평행한 제어 아암(17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장치(142)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캠 프로파일(190)을 갖는 작동 탭(186)을 구비하는데, 카드(C, 42)는 단일 장치(142)를 제1 각 위치로부터 제2 각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이 캠 프로파일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탭(186)의 자유 단부(190)는 카드의 부재시 연장하여 기부(32)의 상부면(74) 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3항과 제8항 또는 제3항과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탭(186)은 상기 단일 장치(142)의 횡방향 부재(144)로부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4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과 결합된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탭(186)은 상기 제어 아암(174)에 대해 대략 45°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탭(186)의 자유 단부는 카드의 삽입된 위치에서 카드(C)의 하나의 표면(38)과 맞물리고, 특히 카드 브레이크를 구성하도록 이 표면에 대해 지지력을 가하는 러너(runner) 형태로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장치(142)는 2개의 평행한 작동 탭(186)을 구비하고, 카드(C, 42)는 2개의 캠 프로파일(190)과 동시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2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피벗 축선(X-X), 제어 바(114), 상기 단일 장치(142)의 회전 축선(Y-Y) 및 상기 캡 형성 수단(190)은 카드 삽입의 종방향을 따라,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연속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2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장치(142) 및 레버(112)는 상기 기부(32)의 하면(88) 아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6항과 결합된 선행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면(181)은 상기 기부(32)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2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장치(142)는 절단되고 접힌 판금(板金)으로 제조된 피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장치(142)의 정지부는 상기 카드(C)로부터 소정의 정전하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기부를 지지하는 기판의 인쇄 회로의 접지 평면에 접속되도록 의도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접속 탭(19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바(114)는 상기 접촉 블레이드(96)의 종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고, 상기 만곡된 접촉 단부(100)를 연장시키는 각각의 상기 접촉 블레이드(96)의 비크형(beak-shaped) 자유 단부(102)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12)는 상기 제어 바(114)에 의해 함께 접속되고 일군의 평행한 상기 접촉 블레이드(96)의 각각의 측면에서 연장하는 2개의 평행한 종방향 부재(1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19997010406A 1997-05-13 1998-05-11 마이크로회로 카드 접속용 접점 랜딩형 커넥터 KR200100124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5810A FR2763414B1 (fr) 1997-05-13 1997-05-13 Connecteur d'un type a atterrissage des contacts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a microcircuits
FR97/05810 1997-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452A true KR20010012452A (ko) 2001-02-15

Family

ID=950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406A KR20010012452A (ko) 1997-05-13 1998-05-11 마이크로회로 카드 접속용 접점 랜딩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354881B1 (ko)
EP (1) EP0981798B1 (ko)
JP (1) JP4024873B2 (ko)
KR (1) KR20010012452A (ko)
CN (1) CN1255992A (ko)
AU (1) AU748192B2 (ko)
BR (1) BR9808780A (ko)
CA (1) CA2286989A1 (ko)
DE (2) DE69802678T2 (ko)
ES (1) ES2167081T3 (ko)
FR (1) FR2763414B1 (ko)
IN (1) IN190058B (ko)
TW (1) TW371377B (ko)
WO (1) WO19980521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616B1 (ko) * 2018-11-27 2019-05-13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양방향 랜딩 방식의 ic 카드 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5311A (en) * 1996-12-17 2000-01-18 The Whitaker Corporation Contact configuration for smart card reader
US20040023541A1 (en) * 2002-08-01 2004-02-05 Ming-Te Wang IC card connector
TWI236633B (en) * 2003-04-03 2005-07-21 Egbon Electronics Ltd Memory card socket
FR2875037B1 (fr) 2004-09-07 2006-10-20 Itt Mfg Enterprises Inc Ensemble de connexion pour carte a puce comportant des moyens de protection contre la fraude
JP4076228B2 (ja) * 2004-10-12 2008-04-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複数のカードと接続するコネクタ
JP4287359B2 (ja) 2004-11-29 2009-07-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アダプタ
US7611540B2 (en) * 2007-05-01 2009-11-03 Moximed, Inc. Extra-articular implantable mechanical energy absorbing systems and implantation method
WO2009130532A1 (en) * 2008-04-24 2009-10-29 Fci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on of a card to a card-reader
US7645166B1 (en) * 2009-06-17 2010-01-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DE202011110516U1 (de) * 2010-12-31 2014-06-2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mart Card Connector mit Kontaktwippe
CN103094793B (zh) * 2013-01-07 2015-11-25 华为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的智能卡连接电路以及电子设备
US10411812B1 (en) * 2013-03-15 2019-09-10 Forrest Rose Optical interconnect computing module tolerant to changes in position and orientation
TWI602491B (zh) * 2015-04-16 2017-10-11 宜鼎國際股份有限公司 介面卡之固定結構
DE102017118981B4 (de) * 2017-04-23 2018-12-20 Franka Emika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stecken einer Steckkarte in eine Steck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4310A (en) * 1984-07-02 1988-02-09 Tokyo Tatsuno Co., Ltd. Device for inserting and holding an IC card as an external memory during reading and writing operations
JPH0424625Y2 (ko) * 1987-11-11 1992-06-10
FR2633751B1 (fr) * 1988-07-01 1991-09-20 Cit Alcatel Lecteur de carte a puce
US5161992A (en) * 1992-01-17 1992-11-1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card contain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FR2712430B1 (fr) * 1993-11-08 1996-02-02 Nicomatic Connecteur électrique et lecteur de carte le comportant.
DE19513359C1 (de) * 1995-04-08 1996-07-04 Amphenol Tuchel Elect Chipkartenleser
JP3243709B2 (ja) * 1996-02-14 2002-01-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EP0833272A3 (de) * 1996-09-20 1999-01-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Kartenlesevorrichtung
US6015311A (en) * 1996-12-17 2000-01-18 The Whitaker Corporation Contact configuration for smart card reader
JP6047138B2 (ja) * 2014-11-26 2016-12-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用紙排出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616B1 (ko) * 2018-11-27 2019-05-13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양방향 랜딩 방식의 ic 카드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190058B (ko) 2003-06-07
JP4024873B2 (ja) 2007-12-19
FR2763414B1 (fr) 1999-07-02
DE29808589U1 (de) 1998-08-27
JP2001525977A (ja) 2001-12-11
CA2286989A1 (en) 1998-11-19
FR2763414A1 (fr) 1998-11-20
US6354881B1 (en) 2002-03-12
DE69802678D1 (de) 2002-01-10
CN1255992A (zh) 2000-06-07
EP0981798A1 (fr) 2000-03-01
DE69802678T2 (de) 2002-05-08
TW371377B (en) 1999-10-01
BR9808780A (pt) 2000-08-01
AU748192B2 (en) 2002-05-30
AU7661998A (en) 1998-12-08
ES2167081T3 (es) 2002-05-01
WO1998052139A1 (fr) 1998-11-19
EP0981798B1 (fr)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2452A (ko) 마이크로회로 카드 접속용 접점 랜딩형 커넥터
EP0926769B1 (en) Very thin electrical connector for the connection of a smart card
US6015311A (en) Contact configuration for smart card reader
US5807124A (en) Card connector with switch
JP3248392B2 (ja) レバースイッチ
US5667408A (en) Smart card connector with preloaded data contacts
EP0924634B1 (en) A chip or smart card reader
AU767189B2 (en) One-piece electrical connector for the connection of a smart card
JP2000506638A (ja) スマートカード及びスマート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40023538A1 (en) Switch in smart card connector
US6004141A (en) Socket for electronic part
KR20000022915A (ko) Pga 패키지용의 낮은 형상 전기 커넥터 및 단자
EP1349240B1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EP0930577B1 (en) Switch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mart card in a read-write device
EP0420008A2 (en) Pivotal electrical contact
US673665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ention mechanism
US6899557B2 (en) Detection switch mounted in a card socket
EP0964352B1 (en) A contact element, and a sim card contacting apparatus using said contact element
EP0715272A2 (en) Smart card connector with preloaded data contacts
JPH11250194A (ja) Icカードリーダ
EP0926618B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miniaturized electrical switch, integrated into a connect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mart card.
WO2002049164A1 (en) A self-supporting contact element, in particular for a smart card connector, an a smart card connector using the same
EP0880154B1 (en) Switch device
KR100298507B1 (ko) 스위치
EP1382233A2 (en) Detection switch mounted in a card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