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1776A - 유체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유체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1776A
KR20010011776A KR1019990031307A KR19990031307A KR20010011776A KR 20010011776 A KR20010011776 A KR 20010011776A KR 1019990031307 A KR1019990031307 A KR 1019990031307A KR 19990031307 A KR19990031307 A KR 19990031307A KR 20010011776 A KR20010011776 A KR 20010011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using
air hole
fluid dispenser
valv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3024B1 (ko
Inventor
이제연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9003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02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세제, 액체 비누, 샴푸 등과 같은 내용물을 편리하게 따라서 쓸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펌핑수단인 유체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펜서에 있는 공기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수단을 구비하여 공기구멍을 통한 내용물의 유입 후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고, 디스펜서의 챠프렛 둘레 틈새에 패킹 링을 삽입 설치하여 공기의 출입은 가능하게 하면서 외부의 이물질이 그 내부로 침입하는 것은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유체 디스펜서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체 디스펜서{Fluid dispenser }
본 발명은 유체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 디스펜서에 있는 공기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수단을 구비하여 공기구멍을 통한 내용물의 유입 후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유체 디스펜서의 챠프렛 둘레에 있는 틈새에 패킹 링을 삽입 설치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그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유체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Dispenser)는 액체 세제, 액체 비누, 샴푸 등과 같은 내용물을 편리하게 따라서 쓸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펌핑수단이다.
이러한 디스펜서는 첨부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시 위아래로 눌려지는 노즐 헤드(10)와, 노즐 헤드(10)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면서 일정량의 내용물을 토출시켜주는 피스톤 샤프트(11) 및 피스톤(12)과, 피스톤 샤프트(11)의 하단에 조립되는 스템(13)과, 노즐 헤드(10)의 정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스프링(14)과, 내용물의 출입을 단속하는 볼(15)과, 이것들을 포함하는 하우징(16)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16)의 측벽 일측에는 소정의 공기구멍(17)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용물을 쓰는 만큼 공기를 공급해 줌으로써, 용기(100)가 찌그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8은 나사부를 이용하여 노즐 헤드(10)를 선택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챠프렛(Chaplet)이고, 19와 20은 컨테이너 캡과 튜브를 각각 나타낸다.
첨부한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b와 같은 상태로 노즐 헤드(10)를 누르게 되면, 피스톤 샤프트(11) 및 피스톤(12)의 가압작용에 의해 하우징(16)의 내부에 채워져 있던 내용물이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되고, 스프링(14)에 의해 노즐 헤드(10)가 원래대로 복귀되면 용기(100)에 있던 내용물이 일정량 하우징(16)에 다시 채워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전의 디스펜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첫째, 용기(100)가 옆으로 쓰러지거나 거꾸로 뒤집히게 되면 용기(100)내의 내용물이 공기구멍(17)을 통해 하우징(16)의 벽체 안쪽 공간부(21)에 채워지게 되고, 이렇게 채워져 있던 내용물은 노즐 헤드(10)의 펌핑작용시 도 1c에 굵은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부품 간의 틈새를 지나 챠프렛(18)의 윗쪽을 통해서 밖으로 누출되므로서, 챠프렛(18)이나 용기(100)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다.
둘째, 챠프렛(18)의 둘레 틈새를 통해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이 하우징(16)의 공간부(21)로 유입되고, 이것이 다시 용기(100) 안으로 들어가 내용물과 섞이게 되므로서, 내용물이 변질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여러 문제점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 까지 뚜렷한 해결책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형편이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디스펜서에 있는 공기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수단을 구비하여 공기구멍을 통한 내용물의 유입 후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고, 디스펜서의 챠프렛 둘레 틈새에 패킹 링을 삽입 설치하여 공기의 출입은 가능하게 하면서 외부의 이물질이 그 내부로 침입하는 것은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유체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a,1b는 일반적인 유체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c는 도 1b에서의 B 부위 확대 단면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여러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디스펜서의 패킹 링을 보여주는 도 2에서의 A-A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노즐 헤드 11 : 피스톤 샤프트
12 : 피스톤 13 : 스템
14 : 스프링 15 : 볼
16 : 하우징 17 : 공기구멍
18 : 챠프렛 19 : 컨테이너 캡
20 : 튜브 21 : 공간부
22 : 개폐막 23 : 패킹 링
24 : 걸림돌기 25 : 걸림홈
26a,26b,26c : 밸브 몸체 27 : 밸브 돌기
28 : 밸브 판 29 : 내용물 단속부
30 : 고무 띠 31 : 볼 안착면
32 : 밸브 플랜지 33 : 밸브 볼
34 : 밸브 튜브 35 : 힌지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기구멍(17)을 갖는 하우징(16)과, 노즐 헤드(10)의 저부를 받쳐주는 챠프렛(18)을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챠프렛(18)의 내측 둘레에는 안쪽으로 탄력형 개폐막(22)을 갖는 패킹 링(23)을 삽입 설치하여 챠프렛(18)의 내측 둘레 틈새를 통한 이물질의 침입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16)의 공기구멍(17)에는 선택적으로 탄력 개폐가 가능한 밸브수단을 설치하여 용기 안의 내용물이 상기 공기구멍(17)을 통해 하우징(16)의 벽체 안쪽 공간부(21)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패킹 링(23)은 저면 전체 둘레를 따라가면서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24)를 이용하여 챠프렛(18)상의 걸림홈(25)에 압입 고정되고, 일정각도 경사진 자세로 하우징(16)의 바깥 둘레에 밀착되어 있는 탄력형 개폐막(22)을 이용하여 공기의 출입을 유도하게 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 바깥 둘레의 적어도 2/3 이상을 둘러싸면서 공기압에 의해 밀려났다가 자체 탄력에 의해 복귀되는 띠형상의 밸브 몸체(26a)와, 상기 밸브 몸체(26a)의 길이 중간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공기구멍(17)을 막아주는 밸브 돌기(27)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 바깥 둘레의 적어도 2/3 이상을 둘러싸면서 고정되는 밸브 몸체(26b)와, 상기 밸브 몸체(26b)의 길이 중간에서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힌지부(35)를 이용하여 젖혀질 수 있는 동시에 자체 탄력으로 재차 복귀되면서 공기구멍(17)을 막아주는 밸브 돌기(27)를 포함하는 밸브 판(28)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 바깥 둘레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고무재질의 밸브 몸체(26c)와, 상기 밸브 몸체(26c)상에 형성되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공기구멍(17)을 개폐하는 절개된 형태의 내용물 단속부(29)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의 바깥 둘레 전체에 걸쳐 둘러싸고 있으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얇은 고무띠(30)의 탄성특성을 이용하여 늘어나거나 재차 밀착되면서 공기구멍(17)을 개폐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에 있는 공기구멍(17)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볼 안착면(31)과 그 주위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밸브 플랜지(32)를 형성하고, 안쪽의 볼 안착면(31)에 밸브 볼(33)을 삽입하여 공기구멍(17)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바깥쪽으로 밸브 플랜지(32)에 끼워지는 밸브 튜브(34)를 장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밸브수단을 갖춘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의 바깥 둘레를 따라가면서 적어도 2/3 이상을 둘러싸고 있는 밸브 몸체(26a)와, 상기 밸브 몸체(26a)의 길이 중간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반구형 밸브 돌기(2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밸브 몸체(26a)는 탄력특성을 갖추고 있어서, 노즐 헤드(10)의 펌핑작용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면, 이때의 공기압에 의해 도면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밸브 돌기(27)가 공기구멍(17)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서, 용기 안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공기 유입 후에는 밸브 몸체(26a)의 자체 탄력에 의해 밸브 돌기(27)가 재차 공기구멍(17)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이때, 밸브 몸체(26a)의 길이는 하우징(16) 전체 둘레의 1/2 이상이면 무난하지만 길이가 너무 짧으면 하우징(16)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고 너무 길면 밸브 몸체(26a)의 탄력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그 길이는 하우징(16) 전체 둘레의 약 2/3 정도가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 3과 도 4는 밸브수단을 갖춘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의 바깥 둘레를 따라가면서 둘러싸고 있는 구조로 고정되는 밸브 몸체(26b)와, 상기 밸브 몸체(26b)의 길이 중간에서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다소 얇은 두께로 되어 있는 힌지부(35)를 이용하여 젖혀질 수 있는 동시에 자체 탄력으로 재차 복귀될 수 있는 밸브 판(2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밸브 판(28)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판으로 되어 있고, 그 안쪽면에 일체 형성되는 밸브 돌기(27)를 이용하여 공기구멍(17)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밸브 판(28)은 노즐 헤드(10)의 펌핑작용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면, 이때의 공기압에 의해 도면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35)를 이용하여 바깥쪽으로 젖혀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밸브 돌기(27)가 공기구멍(17)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서, 용기 안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공기 유입 후에는 밸브 판(28)의 자체 탄력에 의해 밸브 돌기(27)가 재차 공기구멍(17)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5는 밸브수단을 갖춘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의 바깥 둘레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고무 밴드 형태의 밸브 몸체(26c)와, 상기 밸브 몸체(26c)상에 형성되어 벌어지면서 열려지거나 오므라들면서 닫혀지는 방식으로 공기구멍(17)을 개폐하는 절개된 형태의 내용물 단속부(2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용물 단속부(29)는 위의 구현예와는 달리 소정의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절개된 형태는 +자 형태, -자 형태, ×자 형태 등 어떠한 형태라도 그 개폐기능을 수행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노즐 헤드(10)의 펌핑작용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면, 이때의 공기압에 의해 도면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된 부위가 벌어지면서 바깥쪽으로 젖혀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공기구멍(17)을 통해 용기 안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6은 밸브수단을 갖춘 디스펜서의 또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의 바깥 둘레 전체에 걸쳐 둘러싸고 있으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얇은 고무띠(30)를 갖는 일종의 고무 밴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고무 밴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상단 플랜지 부위를 이용하여 지지되는 동시에 소정의 폭을 갖는 고무띠(30)를 이용하여 공기구멍(17)을 덮고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노즐 헤드(10)의 펌핑작용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면, 이때의 공기압에 의해 도면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띠(30)의 한쪽이 그 신축특성을 이용하여 늘어나는 동시에 들려지거나 재차 밀착되면서 공기구멍(17)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고무띠(30)는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신축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약 0.5∼1.5㎜ 내외의 두께가 적당하다.
첨부한 도 7은 밸브수단을 갖춘 디스펜서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에 있는 공기구멍(17)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볼 안착면(31)이 형성되고, 이 볼 안착면(31)의 주위로 일정길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밸브 플랜지(32)가 형성되며, 상기 볼 안착면(31)에 밸브 볼(33)이 삽입되는 동시에 바깥쪽에서 밸브 플랜지(32)에 밸브 튜브(34)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밸브 볼(33)은 공기구멍(17)의 안쪽 공간부(21)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 볼 안착면(31)에 안착되는 상태로 공기구멍(17)을 항상 막고 있게 되며, 노즐 헤드(10)의 펌핑작용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면, 이때의 공기압에 의해 밸브 볼(33)이 도면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안착면(31)을 벋어나 밑으로 야간 처지면서 틈새를 형성하게 되므로 공기구멍(17)을 통해 용기 안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공기 유입 후에는 재차 밸브 볼(33)이 딸려 올라가면서 볼 안착면(31)에 안착되므로서, 공기구멍(17)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8은 이물질 침입 방지수단을 갖춘 디스펜서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 2에서의 A-A 선 단면도이다.
상기 이물질 침입 방지수단은 챠프렛(18)의 안쪽 둘레에 조성되는 틈새를 막아주는 일종의 패킹 링(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패킹 링(23)은 얇은 원판형의 링으로 되어 있고, 링의 저면 전체 둘레를 따라가면서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24)를 갖고 있으며, 이 걸림돌기(24)를 이용하여 챠프렛(18)상의 걸림홈(25)에 압입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25)은 윗쪽으로 개방된 입구의 넓이가 걸림돌기(24)의 최대 직경보다 좁기 때문에 패킹 링(23) 설치시 걸림돌기(24)를 걸림호(25)내에 강제로 삽입 체결시키면 재차 탈거되는 일이 없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링의 안쪽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우징(16)의 바깥 둘레에 밀착되는 탄력형 개폐막(22)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 계폐막(22)을 이용하여 챠프렛(18)의 안쪽 둘레의 틈새를 마감하면서 공기의 출입은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침입은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노즐 헤드(10)가 펌핑작용을 하게 되면, 상기 개폐막(22)은 도면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아래로 탄력 유동되면서 공기의 출입을 허용하게 되고, 펌핌작용의 완료와 동시에 자체 탄력을 이용하여 하우징(16)의 둘레를 재차 밀착될 수 있게 되므로 이물질의 침입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에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통로역할을 하는 공기구멍에 위의 여러 구현예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밸브수단을 설치하여 공기구멍의 본래의 기능은 그대로 수행할 수 있게 하면서 용기에 있는 내용물의 출입은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를 옆으로 쓰러뜨리거나 거꾸로 뒤집는 경우에도 용기내의 내용물이 공기구멍을 통해 하우징의 벽체 안쪽 공간부로 유입되는 일이 전혀 없게 되므로 종전과 같이 내용물의 외부 누출로 인해 챠프렛이나 용기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챠프렛의 둘레 틈새를 막아줄 수 있는 있는 패킹수단을 채용함으로써, 그 둘레 틈새를 통해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이 하우징의 공간부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물이나 이물질의 용기내 유입으로 인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등의 문제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에 들어있는 내용물의 외부 누출을 막아줄 수 있는 밸브수단과,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이 용기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패킹수단을 갖춘 디스펜서를 제공함으로써, 종전 소비자들의 가장 큰 불만인 사용시 용기 및 그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와 이물질 혼입에 따른 내용물이 변질되는 문제 등을 말끔히 해소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공기구멍(17)을 갖는 하우징(16)과, 노즐 헤드(10)의 저부를 받쳐주는 챠프렛(18)을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챠프렛(18)의 내측 둘레에는 안쪽으로 탄력형 개폐막(22)을 갖는 패킹 링(23)을 삽입 설치하여 챠프렛(18)의 내측 둘레 틈새를 통한 이물질의 침입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16)의 공기구멍(17)에는 선택적으로 탄력 개폐가 가능한 밸브수단을 설치하여 용기 안의 내용물이 상기 공기구멍(17)을 통해 하우징(16)의 벽체 안쪽 공간부(21)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링(23)은 저면 전체 둘레를 따라가면서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24)를 이용하여 챠프렛(18)상의 걸림홈(25)에 압입 고정되고, 일정각도 경사진 자세로 하우징(16)의 바깥 둘레에 밀착되어 있는 탄력형 개폐막(22)을 이용하여 공기의 출입을 유도하게 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스펜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 바깥 둘레의 적어도 2/3 이상을 둘러싸면서 공기압에 의해 밀려났다가 자체 탄력에 의해 복귀되는 띠형상의 밸브 몸체(26a)와, 상기 밸브 몸체(26a)의 길이 중간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공기구멍(17)을 막아주는 밸브 돌기(27)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스펜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 바깥 둘레의 적어도 2/3 이상을 둘러싸면서 고정되는 밸브 몸체(26b)와, 상기 밸브 몸체(26b)의 길이 중간에서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힌지부(35)를 이용하여 젖혀질 수 있는 동시에 자체 탄력으로 재차 복귀되면서 공기구멍(17)을 막아주는 밸브 돌기(27)를 포함하는 밸브 판(28)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스펜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 바깥 둘레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고무재질의 밸브 몸체(26c)와, 상기 밸브 몸체(26c)상에 형성되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공기구멍(17)을 개폐하는 절개된 형태의 내용물 단속부(29)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스펜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의 바깥 둘레 전체에 걸쳐 둘러싸고 있으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얇은 고무띠(30)의 탄성특성을 이용하여 늘어나거나 재차 밀착되면서 공기구멍(17)을 개폐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스펜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하우징(16)에 있는 공기구멍(17)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볼 안착면(31)과 그 주위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밸브 플랜지(32)를 형성하고, 안쪽의 볼 안착면(31)에 밸브 볼(33)을 삽입하여 공기구멍(17)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바깥쪽으로 밸브 플랜지(32)에 끼워지는 밸브 튜브(34)를 장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스펜서.
KR1019990031307A 1999-07-30 1999-07-30 유체 디스펜서 KR10031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307A KR100313024B1 (ko) 1999-07-30 1999-07-30 유체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307A KR100313024B1 (ko) 1999-07-30 1999-07-30 유체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776A true KR20010011776A (ko) 2001-02-15
KR100313024B1 KR100313024B1 (ko) 2001-11-03

Family

ID=1960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307A KR100313024B1 (ko) 1999-07-30 1999-07-30 유체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165A (ko) 2015-03-16 2016-09-26 권충원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103B1 (ko) * 2011-08-31 2013-08-30 주식회사 다린 펌프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165A (ko) 2015-03-16 2016-09-26 권충원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3024B1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38233C2 (ru) Сильфонный насос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US4402431A (en) Dispenser container with compressible pump
RU2254274C2 (ru) Затвор из гибкого синтет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для емкостей, в частности бутылок
US7249694B2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JPH08318979A (ja) 流体又は半流体の物質を収容し小出しするための装置
JP2946312B2 (ja) 燃料タンクのベント装置
US20050184095A1 (en) Enhanced fluid dispenser container fitment
JP4760704B2 (ja) 注液キャップ
KR100313024B1 (ko) 유체 디스펜서
JP2016210440A (ja) 液吐出容器
KR101130234B1 (ko) 점안약 용기의 적하노즐
JP2005506150A (ja) 鼻灌注器
JPH09150855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のオーバーキャップ
KR100593781B1 (ko) 펌프디스펜서에 있어서 실액 유입 차단으로 인한 누액방지구조
JP2004323098A (ja) 注出栓付き容器
KR200413393Y1 (ko) 개폐 가능한 통기구멍이 구비된 용기
KR200197302Y1 (ko) 액상물질 저장용기용 마개
KR102308144B1 (ko)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JP2000142850A (ja) 吐出容器及びキャップ
KR100435734B1 (ko) 누유 방지용 오일필러 캡
JP2001192051A (ja) 飲料容器
KR200495074Y1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0138487B1 (ko) 액체 저장용기
KR200253711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