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144B1 -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144B1
KR102308144B1 KR1020210043770A KR20210043770A KR102308144B1 KR 102308144 B1 KR102308144 B1 KR 102308144B1 KR 1020210043770 A KR1020210043770 A KR 1020210043770A KR 20210043770 A KR20210043770 A KR 20210043770A KR 102308144 B1 KR102308144 B1 KR 102308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sity liquid
container lid
ring
dispens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삼
김학문
Original Assignee
녹차원(주)
김학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녹차원(주), 김학문 filed Critical 녹차원(주)
Priority to KR102021004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01
    • B05B11/3043
    • B05B11/3047
    • B05B11/3053
    • B05B11/3077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꿀과 같은 고점도 액체를 용기에 담아 사용할 때 토출된 꿀이 용기 뚜껑 등에 묻어서 지저분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보관 내지 진열시 돌출된 노즐로 인해 부피가 커져 공간 활용에 제한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Dispenser for high viscosity liquids}
본 발명은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꿀과 같은 고점도 액체를 용기에 담아 사용할 때 토출된 꿀이 용기 뚜껑 등에 묻어서 지저분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보관 내지 진열시 돌출된 노즐로 인해 부피가 커져 공간 활용에 제한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액상 또는 겔 상의 제품들은 사용의 편의와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필요할 때마다 일정량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를 구비한 용기에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의 경우 액상 또는 겔 상태의 용액이 수용된 용액용기 내에 장착됨과 동시에 용기캡에 결속된 상태로 용기입구에 고정되어 노즐헤드 가압에 의한 인출관의 펌핑작용을 통해 흡입관 및 펌프, 인출관을 거쳐 노즐을 통해 정량의 용액이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를 구비한 용액용기는 용기 내에 수용된 용액을 필요한 양만큼 손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과다 배출로 인한 세제 등의 낭비를 줄이는데 큰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실수나 부주위로 인한 노즐헤드의 가압작용으로 용기 내에 수용된 용액이 외부로 배출될 경우 용기주위가 지저분해져 사용자가 별도로 청소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과 함께 상기 용기로부터 불필요한 용액의 배출로 인한 낭비가 커져 결국에는 잦은 구매로 이어져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게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71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9846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꿀과 같은 고점도 액체를 용기에 담아 사용할 때 토출된 꿀이 용기 뚜껑 등에 묻어서 지저분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보관 내지 진열시 돌출된 노즐로 인해 부피가 커져 공간 활용에 제한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관체에 미세흡입조정링을 배치하여 공기 흡입 압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며, 노즐 본체에 착탈식 노즐몸체를 설치함으로써, 꿀과 같이 식재료가 벌레나 먼지 등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는 고점도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며 끼움홀이 형성되는 용기 뚜껑과; 상단이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하부에는 지지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턱의 중앙에 흡입홀이 마련된 하부 관체와; 상기 용기 뚜껑과 걸림단턱 사이에 게재되는 용기 뚜껑 하단 샘방지용 실리콘링과; 상기 하부 관체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하부 관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단턱에 안착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상기 하부 관체로 흡입된 고점도 액체가 아래 쪽으로 역류하거나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와; 상기 하부 관체에 삽입되어 상기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 상에 배치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끼움홀에 삽입된 상기 하부 관체의 상단과 결합하여 상기 하부 관체를 상기 용기 뚜껑에 고정하며, 중공부가 마련된 커플러와; 하단은 상기 하부 관체에 삽입된 상기 스프링 상에 안착되고 상단은 상기 커플러의 중공부를 통해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 관체와; 상기 상부 관체의 상단에 안착되는 미세흡입조정링과; 상기 상부 관체와 결합하는 푸싱몸체부와, 상기 푸싱몸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토출부로 구성되는 노즐 본체와; 상기 토출부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노즐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끼움홀은 상기 용기 뚜껑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되어 사용할 때에는 상기 노즐 본체를 회전시켜 끝단이 상기 용기 뚜껑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노즐 본체를 회전시켜 끝단이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 내에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노즐 본체 회전시 상기 하부 관체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용기 뚜껑의 하면에는 상기 끼움홀의 일측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턱에는 상기 고정편에 끼움결합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결합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부 관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 테두리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관체를 밀폐하고 상기 스프링의 상단과 접촉하는 푸싱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 본체에 끼움결합하고 상단에는 상기 미세흡입조정링이 안착되는 결합부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관체에 삽입되어 고점도 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관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는,
상기 지지단턱에 안착되는 제1링부와, 상기 제1링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홀을 개폐하는 원형의 제1개폐부와, 상기 제1링부와 제1개폐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관체가 하강한 다음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승할 때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고점도 액체가 상기 흡입홀을 통해 상기 하부 관체 내로 유입될 때에는 상기 제1개폐부가 고점도 액체의 흡입 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흡입 압력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흡입홀을 폐쇄하며, 상기 제1링부의 상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끼움돌부가 끼워지도록 끼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세흡입조정링은 상부 관체의 결합부 상단에 안착되는 제2링부와, 상기 제2링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관체를 개폐하는 원형의 제2개폐부와, 상기 제2링부와 제2개폐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액체는 꿀이며, 상기 착탈식 노즐몸체는 상기 토출부 일단에 삽입되는 끼움관부와, 상기 끼움관부에서 연장되며 하단에 토출구가 마련된 노즐몸체부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마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꿀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 다음, 상기 토출구 주변에 묻어있는 꿀에 먼지가 붙거나 벌레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개부로 상기 토출구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의하면, 꿀과 같은 고점도 액체를 용기에 담아 사용할 때 토출된 꿀이 용기 뚜껑 등에 묻어서 지저분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보관 내지 진열시 돌출된 노즐로 인해 부피가 커져 공간 활용에 제한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의하면, 상부 관체에 미세흡입조정링을 배치하여 공기 흡입 압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며, 노즐 본체에 착탈식 노즐몸체를 설치함으로써, 꿀과 같이 식재료가 벌레나 먼지 등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노즐 본체가 회전하는 모습과, 펌핑되는 모습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뚜껑에 하부 관체가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 관체에 미세흡입조정링이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노즐 본체가 회전하는 모습과, 펌핑되는 모습을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뚜껑에 하부 관체가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 관체에 미세흡입조정링이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100)는 꿀과 같이 점도가 높은 액체(A)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110)와, 상기 용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며 끼움홀(121)이 형성되는 용기 뚜껑(120)과, 용기 본체(110)에 수용된 고점도 액체를 토출시키는 펌핑 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펌핑 수단은 상단(130a)이 상기 끼움홀(121)에 삽입되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걸림단턱(131)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하부에는 지지단턱(13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턱(133)의 중앙에 흡입홀(134)이 마련된 하부 관체(130)와, 상기 용기 뚜껑(120)과 걸림단턱(131) 사이에 게재되는 용기 뚜껑 하단의 샘방지용 실리콘링(122)과, 상기 하부 관체(130)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139)과, 상기 하부 관체(130)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단턱(133)에 안착되며 상기 흡입홀(134)을 통해 상기 하부 관체(130)로 흡입된 고점도 액체가 아래 쪽으로 역류하거나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140)와, 상기 하부 관체(130)에 삽입되어 상기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140) 상에 배치되는 고정몸체(150)와, 상기 끼움홀(121)에 삽입된 상기 하부 관체(130)의 상단과 결합하여 상기 하부 관체(130)를 상기 용기 뚜껑(120)에 고정하며, 중공부(156)가 마련된 커플러(155)와, 하단은 상기 하부 관체(130)에 삽입된 상기 스프링(139) 상에 안착되고 상단은 상기 커플러(155)의 중공부(156)를 통해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 관체(160)와, 상기 상부 관체(160)의 상단에 안착되는 미세흡입조정링(170)과, 상기 상부 관체(160)와 결합하는 푸싱몸체부(181)와, 상기 푸싱몸체부(181)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토출부(183)로 구성되는 노즐 본체(180)와, 상기 토출부(183)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노즐몸체(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관체의 하단에는 용기 본체(110)에 수용된 고점도 액체를 흡입하는 튜브(137)가 연결된다.
본 발명은 펌핑 수단의 경우 회전식 설계를 채택함으로써, 펌핑할 때에는 노즐 본체(180)가 용기 본체 밖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사용을 마치고 보관할 때에는 노즐 본체(180)를 회전시켜 용기 본체(110) 또는 용기 뚜껑(120) 위에 배치되고 용기 뚜껑(120)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크기를 표준화하고 제품의 보관 내지 진열시 공간 제약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식 설계를 위해 본 발명에서 끼움홀(121)은 상기 용기 뚜껑(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되어 사용할 때에는 상기 노즐 본체(180)를 회전시켜 끝단이 상기 용기 뚜껑(120)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고점도 액체가 용기 뚜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노즐 본체(180)를 회전시켜 끝단이 상기 용기 뚜껑(120)의 테두리 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본체(180) 회전시 상기 하부 관체(130)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용기 뚜껑(120)의 하면에는 상기 끼움홀(121)의 일측에 고정편(12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턱(131)에는 상기 고정편(123)에 끼움결합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결합홀부(1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같이 노즐 본체가 용기 뚜껑의 중심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노즐 본체를 누르는 압력 하중이 용기 뚜껑 내지 용기 본체에 골고루 퍼지지 않아 용기 뚜껑이 무너지거나, 용기 뚜껑과 결합되는 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고정편과 결합홀부의 자물쇠식 결합 설계와, 걸림단턱(131)과 하부 관체(130) 사이에 다수의 보강리브(132)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을 분산하고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 관체(160)는 본체부(161)와, 상기 본체부(161)의 하단 테두리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관체(130)를 밀폐하고 상기 스프링(139)의 상단과 접촉하는 푸싱부(163)와, 상기 본체부(161)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 본체(180)에 끼움결합하고 상단에는 상기 미세흡입조정링(170)이 안착되는 결합부(164)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61)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관체(130)에 삽입되어 고점도 액체(A)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관(162)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140)는 상기 지지단턱(133)에 안착되는 제1링부(141)와, 상기 제1링부(14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홀(134)을 개폐하는 원형의 제1개폐부(143)와, 상기 제1링부(141)와 제1개폐부(143)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부(141)의 상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끼움돌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150)의 하면에는 상기 끼움돌부가 끼워지도록 끼움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흡입조정링(170)은 상부 관체(160)의 결합부(164) 상단에 안착되는 제2링부(171)와, 상기 제2링부(17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관체(160)를 개폐하는 원형의 제2개폐부(172)와, 상기 제2링부(171)와 제2개폐부(172)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173)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미세흡입조정링(170)은 상부 관체(160)의 결합부(164)와, 노즐 본체(180)의 푸싱몸체부(181)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결합부(164)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돌기(165)가 형성되어 상기 푸싱몸체부(181)의 끼움홀부(182)에 억지끼움되도록 구성되고, 결합부(164)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단턱부(166)가 형성되어 상기 제2링부(171)가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턱부(166)의 내측에는 원형의 개구부(167)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67)의 직경이 제2개폐부(172)보다 작기 때문에 푸싱몸체부(181)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갈 때에는 제2개폐부(172)가 제2연결부(173)를 기점으로 위로 젖혀지면서 개구부(167)를 개방된다.
즉, 상기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140)가 흡입홀(134)을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즐 본체(180)를 눌러 상기 상부 관체(16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미세흡입조정링(170)의 제1개폐부(143)가 개방되면서 상부 관체(160) 내에 체류하는 고점도 액체(A)가 개구부(167)를 통해 노즐 본체(180)로 유입된다. 반대로 스프링(139)의 탄성에 의해 상부 관체(160)가 상승하게 되면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140)가 개방되고 디스펜서 상하 압력 차이에 의해 용기 본체(110)에 수용된 고점도 액체(A)가 튜브(137)와, 흡입홀(134)을 통해 하부 관체(130) 내지 상부 관체(160)로 흡입된다.
본 발명의 착탈식 노즐몸체(190)는 상기 토출부(183) 일단에 삽입되는 끼움관부(191)와, 상기 끼움관부(19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토출구(193)가 마련된 노즐몸체부(192)와, 상기 토출구(193)를 개폐하는 마개부(A)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점도 액체가 꿀인 경우 노즐 본체의 토출부에 꿀이 묻어있는 경우 벌레가 몰려들거나 먼지 등이 묻게 되는데, 착탈식 노즐몸체를 통해 노즐몸체부를 밀폐하면 꿀의 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디스펜서를 사용할 경우에만 마개부를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디스펜서 110 : 용기 본체
120 : 용기 뚜껑 121 : 끼움홀
122 : 샘방지용 실리콘링 123 : 고정편
130 : 하부 관체 131 : 걸림단턱
132 : 보강리브 133 : 지지단턱
134 : 흡입홀 135 : 결합홀부
137 : 튜브 139 : 스프링
140 :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 141 : 제1링부
143 : 제1개폐부 144 : 제1연결부
150 : 고정몸체 155 : 커플러
155a : 끼움공간 156 : 중공부
160 : 상부 관체 161 : 본체부
162 : 역류방지관 163 : 푸싱부
164 : 결합부 165 : 걸림돌기
166 : 단턱부 167 : 개구부
170 : 미세흡입조정링 171 : 제2링부
172 : 제2개폐부 173 : 제2연결부
180 : 노즐 본체 181 : 푸싱몸체부
182 : 끼움홀부 183 : 토출부
190 : 착탈식 노즐몸체 191 : 끼움관부
192 : 노즐몸체부 193 : 토출구
194 : 마개부 A : 점도가 높은 액체(꿀)

Claims (5)

  1. 고점도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끼움홀이 형성되는 용기 뚜껑과;
    상단이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되, 상부에 원주방향으로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하부에는 지지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턱의 중앙에 흡입홀이 마련된 하부 관체와;
    상기 용기 뚜껑과 걸림단턱 사이에 게재되는 용기 뚜껑 하단 샘방지용 실리콘링과;
    상기 하부 관체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하부 관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단턱에 안착되며 상기 흡입홀을 통해 상기 하부 관체로 흡입된 고점도 액체가 아래 쪽으로 역류하거나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와;
    상기 하부 관체에 삽입되어 상기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 상에 배치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끼움홀에 삽입된 상기 하부 관체의 상단과 결합하여 상기 하부 관체를 상기 용기 뚜껑에 고정하며, 중공부가 마련된 커플러와;
    하단은 상기 하부 관체에 삽입된 상기 스프링 상에 안착되고 상단은 상기 커플러의 중공부를 통해 상측으로 돌출된 상부 관체와;
    상기 상부 관체의 상단에 안착되는 미세흡입조정링과;
    상기 상부 관체와 결합하는 푸싱몸체부와, 상기 푸싱몸체부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토출부로 구성되는 노즐 본체와;
    상기 토출부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노즐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홀은 상기 용기 뚜껑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되어 사용할 때에는 상기 노즐 본체를 회전시켜 끝단이 상기 용기 뚜껑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노즐 본체를 회전시켜 끝단이 상기 용기 뚜껑의 테두리 내에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노즐 본체 회전시 상기 하부 관체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용기 뚜껑의 하면에는 상기 끼움홀의 일측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턱에는 상기 고정편에 끼움결합하도록 일측으로 돌출된 결합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턱과 하부 관체 사이에 다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 테두리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관체를 밀폐하고 상기 스프링의 상단과 접촉하는 푸싱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 본체에 끼움결합하고 상단에는 상기 미세흡입조정링이 안착되는 결합부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관체에 삽입되어 고점도 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관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및 샘방지 필터는,
    상기 지지단턱에 안착되는 제1링부와, 상기 제1링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홀을 개폐하는 원형의 제1개폐부와, 상기 제1링부와 제1개폐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관체가 하강한 다음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승할 때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고점도 액체가 상기 흡입홀을 통해 상기 하부 관체 내로 유입될 때에는 상기 제1개폐부가 고점도 액체의 흡입 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흡입 압력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흡입홀을 폐쇄하며,
    상기 제1링부의 상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끼움돌부가 끼워지도록 끼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세흡입조정링은 상부 관체의 결합부 상단에 안착되는 제2링부와, 상기 제2링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관체를 개폐하는 원형의 제2개폐부와, 상기 제2링부와 제2개폐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액체는 꿀이며,
    상기 착탈식 노즐몸체는,
    상기 토출부 일단에 삽입되는 끼움관부와, 상기 끼움관부에서 연장되며 하단에 토출구가 마련된 노즐몸체부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마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꿀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 다음, 상기 토출구 주변에 묻어있는 꿀에 먼지가 붙거나 벌레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개부로 상기 토출구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KR1020210043770A 2021-04-05 2021-04-05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KR102308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770A KR102308144B1 (ko) 2021-04-05 2021-04-05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770A KR102308144B1 (ko) 2021-04-05 2021-04-05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144B1 true KR102308144B1 (ko) 2021-10-01

Family

ID=7811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770A KR102308144B1 (ko) 2021-04-05 2021-04-05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1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217A (ja) * 1997-01-31 1998-08-18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噴出ポンプ
KR200311646Y1 (ko) * 2003-02-12 2003-05-09 박현동 펌프가 장착된 용기 캡
KR100977126B1 (ko) 2008-09-11 2010-08-23 김용규 용액용기의 디스펜서 락킹장치
KR101379846B1 (ko) 2012-07-24 2014-04-17 이현복 디스펜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217A (ja) * 1997-01-31 1998-08-18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噴出ポンプ
KR200311646Y1 (ko) * 2003-02-12 2003-05-09 박현동 펌프가 장착된 용기 캡
KR100977126B1 (ko) 2008-09-11 2010-08-23 김용규 용액용기의 디스펜서 락킹장치
KR101379846B1 (ko) 2012-07-24 2014-04-17 이현복 디스펜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9793B2 (ja) 折り畳み式石鹸ディスペンサー
KR20170136686A (ko) 생산성과 밀폐력이 향상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JP6164937B2 (ja) エアレス容器
JPH01153477A (ja) ペースト状物質用の補給器
KR101542590B1 (ko) 역립타입 용기
TW201345615A (zh) 一種可充式噴液瓶
KR101723225B1 (ko)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
KR101481959B1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308144B1 (ko) 고점도 액체용 디스펜서
JP4266824B2 (ja) 鼻灌注器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101817675B1 (ko) 누출방지밸브가 구비된 역립형 용기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101901759B1 (ko)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KR20160005393A (ko)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JP2500828Y2 (ja) 吸上げポンプ付き容器
JP2004298804A (ja) 液体噴出器
KR200495074Y1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JP2019099196A (ja) 吐出容器
JP2016141418A (ja) 泡噴出容器
KR20080001894A (ko) 디스펜서 용기
JP3816222B2 (ja) 液受皿を取り付けた注出容器
JP2001192051A (ja) 飲料容器
KR100313024B1 (ko) 유체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