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759B1 -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759B1
KR101901759B1 KR1020180018835A KR20180018835A KR101901759B1 KR 101901759 B1 KR101901759 B1 KR 101901759B1 KR 1020180018835 A KR1020180018835 A KR 1020180018835A KR 20180018835 A KR20180018835 A KR 20180018835A KR 101901759 B1 KR101901759 B1 KR 101901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oule
portable mist
ampule
mounting portion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남수
Original Assignee
동현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현정공(주) filed Critical 동현정공(주)
Priority to KR102018001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앰플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미스트 장치에 앰플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에 있어서, 상기 앰플이 장착되는 앰플 장착부와, 상기 앰플 장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앰플에 수용된 내용물을 휴대용 미스트 장치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an elastic ample adapter for portable mist spray}
본 발명은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앰플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하기 특허 문헌 1의 "휴대용 살균된 생리식염수의 분무 장치(등록특허 제10-0651122호)"와 같이 다양한 액체 상 제제를 휴대하면서 분무할 수 있는 장치들이 다수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분무 장치들의 대부분이 액체 상 제제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를 구비하고 있기에, 분무를 위해서는 액체 상 제제를 용기로 옮겨 담아야만 하기에 그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액체 상 제제를 교체하여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지는 액체 상 제제끼리의 혼합에 의한 성분 변화 등을 피하기 위하여 기존의 용기에 남아 있던 액체 상 제제를 깨끗히 세척한 후 다른 성분을 가지는 액체 상 제제를 다시 채워 넣어야 하기에 그 사용이 더욱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686522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휴대용 미스트 장치(10)에 앰플(20)을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미스트 장치(10)에 설치되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100)에 있어서, 상기 앰플(20)의 앰플 입구(21)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100)의 상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앰플 장착 환형 단턱(110); 상기 휴대용 미스트 장치(10)로 상기 앰플(20)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 통공(120); 상기 앰플 장착 환형 단턱(110)과 상기 배출 통공(120)을 연결하며, 상기 앰플 장착 환형 단턱(110)으로부터 상기 배출 통공(120)을 향하여 깔대기 형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130); 상기 앰플 장착 환형 단턱(110)과 상기 경사부(130)를 통하여 띠 형상의 함입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기체 유입함입홈(1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체 유입 함입홈(140)의 단면적은, 상기 앰플(20)의 내용물의 질량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보다 상기 기체 유입 함입홈(140)과 상기 앰플 입구(21)에 위치하는 상기 내용물의 표면 장력이 더 클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686522호에 기재된 기술은 휴대용 미스트 장치에서 분무하고자 하는 액체상 제제를 앰플의 형태로 공급하도록 하여 간단한 장착 및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교체시 완전한 밀착이 되지 않을 경우 앰플이 체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기체 유입 함입홈(140)이 벌어지게 되어 앰플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8652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5112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미스트 장치에 설치되어 앰플이 착탈되는 탄성 장착구에서 앰플이 장착되는 앰플 장착부의 내측에 미스트 분사시 안정적인 분사를 위하여 앰플의 내측으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기체 유입 함입홈을 형성하되, 앰플 장착부의 상단 내주면 전체에는 앰플의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단턱부에 대응되도록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기체 유입 함입홈은 앰플 장착부의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도록 기체 유입공을 형성하여 앰플이 앰플 장착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앰플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미스트 장치에 앰플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에 있어서, 상기 앰플이 장착되는 앰플 장착부와, 상기 앰플 장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앰플에 수용된 내용물을 휴대용 미스트 장치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앰플 장착부는 내주면 상단에 상기 앰플의 입구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에 대응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앰플 장착부는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도록 기체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 유입공과 앰플의 입구가 연통되도록 기체 유입 함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앰플 장착부의 하부에는 설치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미스트 장치에는 상기 설치부가 삽입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설치부의 외주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고정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앰플 장착부의 하부에는 휴대용 미스트 장치의 설치공에 삽입되는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미스트 장치에 설치되어 앰플이 착탈되는 탄성 장착구에서 앰플이 장착되는 앰플 장착부의 내측에 미스트 분사시 안정적인 분사를 위하여 앰플의 내측으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기체 유입 함입홈을 형성하되, 앰플 장착부의 상단 내주면 전체에는 앰플의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단턱부에 대응되도록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기체 유입 함입홈은 앰플 장착부의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도록 기체 유입공을 형성하여 앰플이 앰플 장착부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앰플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가 휴대용 미스트 장치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가 설치된 상태의 휴대용 미스트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가 설치된 상태의 휴대용 미스트 장치의 보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가 휴대용 미스트 장치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가 설치된 상태의 휴대용 미스트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가 설치된 상태의 휴대용 미스트 장치의 보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미스트 장치(200)에 앰플(400)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300)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앰플(400)이 장착되는 앰플 장착부(310)와 상기 앰플 장착부(3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앰플(400)에 수용된 내용물(액체)을 휴대용 미스트 장치(200)로 공급하는 배출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앰플(400)은 내측에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시험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부에는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입구(4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앰플(400)의 입구(410)의 외주면에는 단턱부(4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300)는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앰플(400)이 착탈되는 앰플 장착부(310)는 앰플(40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앰플 장착부(310)는 내주면 상단에는 상기 앰플(400)의 입구(410)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420)에 대응되도록 걸림턱(312)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앰플 장착부(310)에 앰플 입구(410)가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앰플(400)을 장착하게 되면, 상기 걸림턱(312) 내측에 상기 단턱부(420)가 위치하여 앰플(400)의 입구(410) 외주면 전체와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밀폐력을 높여주어 앰플(40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앰플(400)의 입구(410)와 상기 입구(4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420)는 통일된 규격으로 제작되므로, 다양한 형태 또는 용량으로 형성되는 앰플(400)의 경우에도 입구(410) 및 단턱부(420)는 동일한 규격을 가지므로, 다양한 형태 및 용량의 앰플(400)을 상기 앰플 장착부(310)에 완전히 밀폐되게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앰플 장착부(310)의 내측 하면은 깔때기 형상으로 중심부가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배출구(33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구(330)는 상기 앰플 장착부(310)의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설치부(320)의 내측에 형성되어 휴대용 미스트 장치(200)로 앰플(40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앰플 장착부(310)의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설치부(320)는 상기 휴대용 미스트 장치(200)에 형성되는 설치공(210)에 삽입되어 휴대용 미스트 장치(200)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부(320)의 외주면에는 고정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210)에는 상기 고정홈(322)에 대응되도록 고정턱(21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홈(322)에 고정턱(215)이 삽입되어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300)가 휴대용 미스트 장치(200)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휴대용 미스트 장치(200)의 내측에는 상기 앰플(400)에 수용된 내용물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액체 토출관(220)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 토출관(220)의 하부에는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블로워관(2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블로워관(230)의 후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기 압축 펌프(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블로워관(230)으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블로워관(230)을 통하여 배출되는 압축 공기는 휴대용 미스트 장치(200)의 전단에 형성되는 분사 노즐(240)을 통하여 배출되는데, 상기 블로워관(230)의 단부와 상기 액체 토출관(220)의 단부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블로워관(230)을 통하여 배출된 압축 공기가 상기 분사 노즐(240)을 통하여 분사될 경우, 휴대용 미스트 장치(200)의 전단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상기 액체 토출관(220)을 통하여 앰플(400)에 수용된 액체가 배출되어, 압축 공기와 함께 상기 분사 노즐(240)을 통하여 미스트화되어 분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액체 토출관(220)의 후단에는 연결돌부(225)가 상부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3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배출구(330)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돌부(225)가 삽입되는 연결홈(332)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연결홈(332)에 연결돌부(225)가 삽입되어 앰플 장착부(310)에 장착된 앰플(40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구(330)와 액체 토출관(220)을 통하여 분사 노즐(240)로 분사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앰플(400)이 장착되는 앰플 장착부(310)는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312)의 하부에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도록 기체 유입공(314)이 형성되고, 앰플 장착부(310)의 내측면에는 상기 기체 유입공(314)과 앰플(400)의 입구(410)가 연통되도록 기체 유입 함입홈(316)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분사 노즐(240)을 통하여 미스트를 분사할 때, 상기 앰플(40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앰플(400)은 시험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입구(410)만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입구(410)와 연결된 배출구(330)를 통하여 내용물이 배출될 경우, 상기 기체 유입공(314)과 기체 유입 함입홈(316)을 통하여 외부의 기체가 유입되게 되어 안정적으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용 미스트 장치(20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토출관(220), 기체 유입공(314), 기체 유입 함입홈(316)에는 소정량의 내용물이 차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앰플(400)의 상측에는 기체로 차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빈 공간으로 외부의 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는 일종의 모세관에 속하는 상기 액체 토출관(220), 기체 유입공(314), 기체 유입 함입홈(316) 밖에 없다.
그러나, 액체 토출관(220), 기체 유입공(314), 기체 유입 함입홈(31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량의 내용물(액체)이 차 있으며, 상기 내용물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가 쉽게 상기 앰플(4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앰플(4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도록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앰플(400) 안의 내용물(액체)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미스트를 분사하지 않고 단지 휴대할 경우에는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체 유입 함입홈(316)과 기체 유입공(314)의 단면적이 극단적으로 큰 경우, 상기 기체 유입 함입홈(316)과 기체 유입공(314)이 모세관으로 작용해 내용물의 표면 장력에 의하여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에 앰플(40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체 유입 함입홈(316)과 기체 유입공(314)의 단면적은 상기 앰플(400)의 내용물의 질량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보다 상기 기체 유입 함입홈(316)과 입구(410)에 위치하는 상기 내용물의 표면 장력이 더 클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앰플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임의로 누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200 : 휴대용 미스트 장치 210 : 설치공
220 : 액체 토출관 230 : 블러워관
300 :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310 : 앰플 장착부
320 : 설치부 330 : 배출공
400 : 앰플 410 : 입구
420 : 단턱부

Claims (6)

  1. 앰플이 장착되는 앰플 장착부와, 상기 앰플 장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앰플에 수용된 내용물을 휴대용 미스트 장치로 공급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에 있어서,
    상기 앰플 장착부는 측방으로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도록 기체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기체 유입공과 앰플의 입구가 연통되도록 기체 유입 함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장착부는 내주면 상단에 상기 앰플의 입구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에 대응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 장착부의 하부에는 설치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미스트 장치에는 상기 설치부가 삽입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의 외주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고정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6. 삭제
KR1020180018835A 2018-02-14 2018-02-14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KR101901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35A KR101901759B1 (ko) 2018-02-14 2018-02-14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835A KR101901759B1 (ko) 2018-02-14 2018-02-14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759B1 true KR101901759B1 (ko) 2018-09-28

Family

ID=6372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835A KR101901759B1 (ko) 2018-02-14 2018-02-14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120A1 (ko) * 2019-08-30 2021-03-04 이주훈 뷰티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522B1 (ko) * 2015-03-31 2016-12-26 주식회사 디오사코스메틱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522B1 (ko) * 2015-03-31 2016-12-26 주식회사 디오사코스메틱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120A1 (ko) * 2019-08-30 2021-03-04 이주훈 뷰티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532B1 (ko) 휴대용 액상 화장품 전동 미스트 공급기
KR100366668B1 (ko) 재충전용기를갖춘액체디스펜서
RU2238233C2 (ru) Сильфонный насос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US4821923A (en) Monually operable dispenser for media with multiple components
CN113692382B (zh) 双重容器
KR101686522B1 (ko)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KR101081762B1 (ko) 액체 분사기용 강성 딥 튜브 퀵 커넥터로의 가요성 유체 전달 튜브
TW201345615A (zh) 一種可充式噴液瓶
EA005730B1 (ru) Узел клапана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напитков
US11498744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KR101901759B1 (ko)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CN114158780A (zh) 供液组件、主机和电子雾化装置
CN111372636A (zh) 喷雾器和药筒
KR101901756B1 (ko)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KR102273076B1 (ko) 휴대용 미스트 분사기
KR101809598B1 (ko)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KR101119551B1 (ko)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병에 장착되는 일체식 소형 분무기
US6712241B1 (en) Flexible-pouch support and dispenser containing said support
KR20100136279A (ko) 압력분사용기의 에어졸 밸브와 파우치를 연결하는 어댑터
KR1014547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JP4094159B2 (ja) 液体噴霧装置
KR102144890B1 (ko) 일회용 페인트 스프레이 믹싱컵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WO2023225860A1 (zh) 电子雾化装置、雾化器及其储液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