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487B1 - 액체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저장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487B1
KR0138487B1 KR1019940013323A KR19940013323A KR0138487B1 KR 0138487 B1 KR0138487 B1 KR 0138487B1 KR 1019940013323 A KR1019940013323 A KR 1019940013323A KR 19940013323 A KR19940013323 A KR 19940013323A KR 0138487 B1 KR0138487 B1 KR 0138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opening
neck portion
outlet membe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527A (ko
Inventor
정창록
Original Assignee
정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록 filed Critical 정창록
Publication of KR95000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를 따를 때 액체가 쿨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성형이 용이한 액체 저장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액체 저장부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선단에 액체 주입구가 형성된 제 1 네크부와, 상기 저장부의 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선단에 상기 제 1 네크부의 액체 주입구 저면을 관통하는 액체 배출구가 형성된 제 2 네크부를 구비하여 된 액체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출구가 제 2 네크부와 분리형성되고, 분리형성된 액체 배출구가 상기 제 2 네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됨 점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액체 저장용기
제 1 도는 종래의 액체 저장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용기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본 발명 액체 저장용기의 부품 분리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에 도시된 본 발명 액체 저장용기의 사용상태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용기의 제 2 실시예의 부분 발췌 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에 도시된 본 발명 액체 저장용기의 부품 분리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용기의 제 3 실시예의 부분 발췌 단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용기의 부품 분리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용기의 제 4 실시예의 단면도, 그리고
제 10 도는 제 9 도에 도시된 본 발명 액체 저장용기의 뚜껑, 결합부재, 유출부재의 발췌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액체 저장용기12 : 저장부
13 : 제 1 네크부14 : 제 2 네크부
16, 16a, 16b, 16c : 액체 유출부재17, 17a : 플랜지
17b, 17c : 결합부재18 : 통공
19 : 뚜껑20 : 액체
161 : 고정단부171 : 스커트
172b : 중앙고정구멍173 : 주둥이
174 : 가압부재
본 발명은 물, 기름 액상세재 등의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용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으며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액체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체 저장용기는, 하나의 개방부를 경유하여 액체를 주입하고, 또한 배출함으로 인하여, 액체를 주입 또는 배출시킬 때 액체가 공기와 더불어 주입 또는 배출되므로 용기내의 압력과 대기압과의 차이가 생겨 액체가 쿨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액체의 주입 및 배출이 정숙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용기 외부로 넘치거나 주변을 더럽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액체를 따를 때 액체가 쿨렁거리지 않고 순조롭게 배출되도록 개량한 액체 저장용기를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2-19237 호로 출원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액체 저장용기(1)는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체(8)가 저장되는 저장부(2)의 상부 일측에 이로부터 제 1 네크부(3)가 상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원통형의 액체 주입구(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의 상부 타측에는 제 2 네크부(4)가 상방으로 소정 거리 연장형성되며 그 선단에는 상기 제 1 네크부(3)의 액체 주입구(5) 바닥을 관통하여 액체 주입구(5) 내의 중앙에 위치하는 액체 배출구(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네크부(3)의 액체 주입구(5)에는 이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뚜껑(7)이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액체 저장용기(1)는 액체 배출구(6)가 제 1 네크부(3)의 액체 주입구(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시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제작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액체 저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개구부와, 상기 저장부의 일측으로부터 개구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접속되는 제 1 네크부와, 상기 저장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타측으로 연장 접속되는 제 2 네크부와, 상기 통상 개구부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네크부와 밀착되게 접속 상호 연통되는 원통상 액체 유출부재와, 상기 액체 유출부재를 상기 통상 개구부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통상 개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개구부와 이의 내측에 마련된 액체 유출부재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키는 뚜껑을 구비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출부재는 바람직한 유형으로 하여 상기 고정수단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액체 유출부재와 고정수단이 일체형인 경우, 제 1 의 유형에 있어서는 액체 유출부재의 하단에 상기 제 2 네크부의 선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단부가 마련될 수 있고, 제 2 유형에 있어서는, 그 상단에 상기 통상 개구부와 나사 결합되는 통상 스커트를 가지고, 제 3 유형에 있어서는 그 상하단부에 상기 통상 스커트와 고정단부가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제 4 유형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 하단부에 상기 고정단부가 마련되고 그 상단에는 상기 통상 개구부의 폐쇄하는 단순한 형태의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유형에 있어서, 상기 통상 결합부와 플랜지에는 제 1 네크부로 통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커트가 마련되는 유형에 있어서는 그 상면에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소정 높이의 원통상 주둥이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액체 유출부재와 고정수단이 별개로 마련되는 경우는, 상기 고정수단은 그 몸체 중앙에 상기 액체 유출부재를 상기 제 2 네크부의 선단부에 밀착시키는 가압부가, 그리고 그 둘레에는 통상 개구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스커트부가 마련되어 있고, 그 몸체 상면에는 상기 뚜껑이 결합되는 주둥이가 마련되는 한편 주둥이에 에워싸인 내부에는 상기 제 1 네크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공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도와 제 3 도에 도시한 용기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용기(11)의 제 1 실시예로서, 고정단부(161)를 가진 액체 유출부재(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단부(161)는 유출부재(16)와 일체로 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관상 액체 유출부재(16)의 하단부는 제 2 네크부(14)의 상단부에 끼움 결합가능한 고정단부(161)이고, 상기 유출부재(16)의 상단부는 제 1 네크부(13)와 연통하는 통공(18)을 형성하는 동시에 통공(18)을 제외한 개구부(15)를 폐쇄하는 플랜지(17)이다.
전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액체(20)가 저장되는 저장부(12)의 상부는 제 1 네크부(13)와 제 2 네크부(14)로 되어 있고 이들 네크부(13)(14)는 그 상부에 마련된 원통형상의 개구부(15)와 상호 연통된다. 상기 유출부재(16)으로 인하여 제 1 네크부(13)는 개구부(15)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연장하여 저장부(12)와 연통하고, 제 2 네크부(14)는 저장부(12)와 직접 연결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네크부(13)는 제 2 네크부(14)와는 별도의 통로를 형성하여 제 1 네크부(13)는 개구부(15)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저장부(12)로 들어가는 유입통로가 되고 제 2 네크부(14)는 저장부(12)에 있는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통로가 된다.
상기한 유출부재(16)의 플랜지(17)에는 통공(18)이 마련되어 있어 외부의 공기가 개구부(15)를 경유하여 제 1 네크부(13)로 유입된다. 상기한 플랜지(17)는 개구부(15)와 끼움결합하여 개구부(15)를 폐쇄하는 동시에 개구부(1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유출부재(16)는 상기 플랜지(17)로 인하여 개구부(15)의 내벽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유출부재(16)의 상부는 개구부(15)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는 고정단부(161)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5)의 상단에는 통상의 뚜껑(19)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용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뚜껑(19)을 열고 제 1 네크부(13)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용기(11)를 기울이면 저장부(12)에 저장된 액체(20)가 액체 유출부재(16)를 경유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때 제 1 네크부(13)와 제 2 네크부(14)는 각기 개구부(15)와 액체 유출부재(16)를 경유하여 저장부(12)와 연통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액체는 제 2 네크부(14)를 지나 개구부(15) 내의 액체 유출부재(16)를 통하여 유출되고, 이때 저장부(12) 내에 기압이 낮아지게 되며, 이 낮아진 만큼의 압력은 플랜지(17)의 통공과, 액체 유출부재(16)와 통상 개구부(1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 1 네크부(13)를 경유하여 저장부(12)로 유입된 공기압(대기압)에 의해 보상되므로 액체 배출시 저장부(12) 내의 압력강하로 인한 쿨렁거리는 현상이 전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저장용기는 액체의 배출이 정숙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액체 저장용기는 개구부(15) 내에 착탈 가능한 부재로 된 액체 유출부재(16)를 가지는 구성이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성 또한 양호하다.
제 5 도와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체 유출부재(16a)를 지지하는 플랜지(17a)가 개구부(15)에 나사 결합되는 스커트(171)와, 뚜껑(19)과 나사 결합되는 주둥이(173)을 가지고 있다. 스커트(171) 내면과 주둥이(173) 외측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커트(171)는 개구부(15) 외면상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고, 주둥이(173)는 뚜껑(19) 내면상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여 개구부를 밀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액체 유출부재(16a)의 하부에 마련된 고정부(161a)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제 2 네크부(14)의 상단부(141)의 내주면에 압착(면접촉)되며 상기 스커트(171)가 개구부(15)와 나사 결합함에 따라 고정부(161a)의 단부가 제 2 네크부(14)의 상단부(141) 안쪽으로 밀려 들어간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부(161)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액체를 저장부에 담을 때에는 뚜껑(19)을 여는 대신에 스커트(171)를 돌려 나사 결합을 해제하면 개구부(15) 전체가 개방되므로 액체를 담기가 매우 용이하다.
제 7 도와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스커트(171)와 주둥이(173)가, 액체 유출부재(16b)와 서로 분리되고, 유출부재(16b)의 직경은 상, 중, 하 부분적으로 달리한 것이다. 상기 액체 유출부재(16b)는 그 하단부와 상단부가 몸통부 보다는 좁은 직경을 유지하되, 하단부는 제 2 네크부(14)의 상단부(141)에 끼워지고, 상단부는 후술하는 결합부재(17b)의 중앙에 마련된 고정구멍(172b)에 끼워진다. 하부의 고정단부(161b)는 직경이 더 커진 것을 제외하고는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제 2 네크부(14)의 상단부(14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17b)와 개구부(15) 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구멍(172b) 주위의 가압부(174)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17b)에는 상기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통공(18)이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재(17b)의 주둥이(173)는 뚜껑(19)과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7,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네크부(14)의 상단부(141)의 직경을 최대화하여 용기에 액체를 담을 때에는 확대된 상단부(141)를 통해 액체를 신속하게 주입하고, 액체를 배출시킬 때는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유출부재(16b)를 경유하여 배출하므로 액체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제 9 도는 액체 유출부재와 결합부재의 구조에 있어서 제 3 실시예를 변형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 10 도는 제 9 도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의 뚜껑(19)과 결합부재(17c) 및 액체 유출부재(16c)를 발췌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사익 제 4 실시예는 제 1 네크부(13)의 공기 유입구조를 변형한 것으로서, 공기 유출부재(16c)의 외측면에 마련된 유통홈(163)을 통하여 공기가 저장부(12)로 출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결합부재(17c)의 중앙부에는 상기 유출부재(16c)의 유출관(164)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통공(18c)을 가진 주둥이(173)가 설치되고, 상기 주둥이(173)의 외주연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뚜껑(19)과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스커트(171)의 내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개구부(15)와 나사 결합하고, 상기 스커트(17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유출부재(16c)가 끼워지는 원통형 결합부(174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결합부재(17c)의 몸통부 직경은 비교적 크고, 주둥이(173)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아서 물 등의 액체를 담을 때에는 결합부재를 분리하여 액체 수용을 용이하게 하고, 물 등을 따를 때에는 뚜껑(19)만 열어 배출하므로써 액체의 수용 및 배출이 용이하다. 여기에서 상기 유출부재(16c)의 측면벽에 상기 유통홈(163)을 반원형 리세스(163)로서 다수 마련하여 유출부재(16c)와 결합부(17c)의 사이로 공기가 유통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저장용기들은 액체 배출구가 제 2 네크부(14)와 별도로 형성되어 용기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선출원된 방식에서와 같이 액체 배출구가 제 2 네크부와 일체로 형성된 방식에 비하여 전체 부품의 성형이 용이하다. 또한 액체가 유출됨에 있어서 제 1 네크부와 연통되는 통상 개구부가 제한된 크기의 통공을 가지는 플랜지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액체 유출부재를 통해서 액체가 유출되고, 상기 통공으로는 공기가 유입되는 순환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네크부를 통한 액체의 누출의 우려가 없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실시예들의 개시된 구성을 개별적으로 조합함으로써 개시되지 않은 구조의 실시예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으로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크고 작은 물통이나 기타의 용액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적합하다.

Claims (5)

  1.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부(12)과, 상기 저장부(12)의 상방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개구부(15)와, 상기 저장부(12)의 일측으로부터 개구부(15)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접속되는 제 1 네크부(13)와, 상기 저장부(12)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부(15)의 타측으로 연장 접속되는 제 2 네크부(14)와, 상기 개구부(15)를 밀폐하는 뚜껑(19)을 포함하는 액체 저장용기에 있어서,
    하단부가 상기 제 2 네크부(14)의 상단부(141)와 끼워 맞춤 결합되어 착탈 가능한 고정단부(161)로 된 액체 유출부재(16, 16a, 16b, 16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액체 유출부재(16, 16a, 16b)는, 상기한 개구부(15)의 내주면과 간격을 유지하는 이격부재 역할을 하는 플랜지(17, 17a)를 가지는 상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출부재(16, 16a, 16b, 16c)의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액체 유출부재(16c)는 하부가 개방되고, 형상이 대체로 원통형인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중앙에는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유출관(164)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면상에는 반원형 리세스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액체 유출부재(16c)의 몸체를 덮어서 수용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직경이 액체 유출부재(16c)의 직경보다 큰 대체로 원통형 형상인 결합부(174c)와, 상부 중앙에는 상기 유출관(164)보다 직경이 더 크고 뚜껑(19)과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외면에 나사가 형성된 주둥이(173)와, 상기 결합부재(17c)와 반경방향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개구부(15)와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내면에 나사가 형성된 스커트(171)를 가지는 결합부재(17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저장용기.
KR1019940013323A 1993-06-21 1994-06-14 액체 저장용기 KR0138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3-10983 1993-06-21
KR930010983 1993-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27A KR950000527A (ko) 1995-01-03
KR0138487B1 true KR0138487B1 (ko) 1998-06-01

Family

ID=2662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323A KR0138487B1 (ko) 1993-06-21 1994-06-14 액체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4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60A (ko) * 2000-03-07 2000-06-05 최봉락 주방용품 살균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27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487B1 (ko) 액체 저장용기
JP4043682B2 (ja) チューブ容器
KR200405398Y1 (ko)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US3948422A (en) Closure with integral cover for lateral spout
KR100708415B1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JP3058143U (ja) 液体計量キャップキット及びそれが装着された液状媒体容器
KR890012868A (ko) 자가 배수 플라스틱 용기
JP2000079946A (ja) 液体容器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JP2008162633A (ja) 容器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JP3330943B2 (ja) 流体収納容器
KR20150044869A (ko) 화장용 튜브용기
KR200301585Y1 (ko) 병마개 조립체
JPH0213314Y2 (ko)
JP3307322B2 (ja) 計量キャップ
JP7249626B2 (ja) キャップ
KR200354366Y1 (ko) 공기 유입이 원활한 음료용 팩
JP6929597B2 (ja) 注出容器
JPS6226037Y2 (ko)
KR200196149Y1 (ko) 공기 유입관이 구비된 용기
JP6887731B2 (ja) 注出容器
JP2001199462A (ja) キャップ
JPS6110578Y2 (ko)
JPH03141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01028

Effective date: 2001022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3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supreme cour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10328

Effective date: 200111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