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398Y1 -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 Google Patents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398Y1
KR200405398Y1 KR2020050028876U KR20050028876U KR200405398Y1 KR 200405398 Y1 KR200405398 Y1 KR 200405398Y1 KR 2020050028876 U KR2020050028876 U KR 2020050028876U KR 20050028876 U KR20050028876 U KR 20050028876U KR 200405398 Y1 KR200405398 Y1 KR 200405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cap
liquid discharge
containe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to KR2020050028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개시된 분리형 흡입관을 구비한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은 밸브판이 용액 배출시 상승되게 내부에 구비된 이중용기의 입구에 누름시 용액이 배출되도록 결합 설치되는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에 있어서,
용기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어 밀폐와 용액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고정캡부재에 구비된 분리형 흡입관과; 상기 고정캡부재에 탄성부재로 탄지되게 조립되어 용액을 배출시키도록 피스톤밸브부와 러버밸브가 조립 설치된 누름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은 종래의 액상 배출캡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부드러운 펌핑 조작과 용액의 배출이 균일하도록 하면서 부품수를 줄여 조립의 신속성과 원가절감 도모는 물론 기술의 신뢰성과 상품성 향상을 제공한다.
용액, 용기, 배출, 밸브, 캡, 누름캡,

Description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Liquid Discharge Cap for Vesse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 배출캡이 구비된 용액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용액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용액 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액상 배출캡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밸브판 6:이중용기
7:탄성부재 20:고정캡부재
21:분리형 흡입관 22:결합부
23:흡입관 시이트 24:중심공
25:스프링시이트 26:누름안내측벽
40:누름캡부재 41:피스톤밸브부
41-1:유입통로 41-2:가압판
41-3배출포트 41-4:중공관
41-5:개폐관 41-6:중공연결관
42:배출공 43:러버밸브
44:가이드측벽 45:누름캡
45-1:구배면 S:시일링
본 고안은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액상 배출캡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부드러운 펌핑 조작과 용액의 배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부품수를 줄여 조립의 신속성과 원가절감 도모는 물론 기술의 신뢰성과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은 용기를 밀폐하면서 용기를 열지 않고서도 내부의 용액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펌프 기능을 갖추고 있어 화장품이나 약품용기 등, 이외에도 많은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상 배출캡은 누출없이 용액을 배출시키고, 장기간 반복적으로 작동하여야 함에 따라 구조적으로 내구성을 갖도록 제작된다.
액상 배출캡이 화장품 용기에 적용될 경우 화장품용기의 특성상 디자인과 기능면에서 상품성이 뛰어나야 한다. 그러나 이제까지 알려진 액상 배출캡은 PVC계 재질로 제작되고 있어 색상의 표현이 어려워 색상을 다양하게 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
또, 화장품 용기의 경우 내용물의 품질뿐만 아니라 용기의 디자인도 소비자 의 구매욕 증대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이제까지 화장품 용기에 펌핑 기능을 갖추고 적용된 액상 배출캡의 경우 디자인 변경이 제한적이고, 또한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하여 제작하더라도 제대로 자기색상이 나타나지 않아 제품의 고급화와 다양한 제품군 실현에 어려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용기에 결합된 액상 배출캡은 조립이 정밀하지 못할 경우 누름 작용시 발생한 유격에 의해 편심 작동을 유발시켜 내용물의 누출과 더불어 부드럽지 못한 작동감과, 용액의 균일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액상 배출캡은 용액의 배출을 담당하는 펌프 기능을 함에 따라 그 작동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용액 누출이 발생되고 용기의 사용에 따라 배출된 용액이 잔류하고 있어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시되고 있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상 배출캡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부드러운 펌핑 작동과 용액의 배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부품수를 줄여 조립의 신속성과 원가절감 도모는 물론 기술의 신뢰성과 상품성이 향상되게 한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을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밸브판이 용액 배출시 상승되게 내부에 구비된 이중용기의 입구에 누름시 용 액이 배출되도록 결합 설치되는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에 있어서,
상기 액상 배출캡은 용기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어 밀폐와 용액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고정캡부재에 구비되는 분리형 흡입관과; 상기 고정캡부재에 탄성부재로 탄지되게 조립되어 용액을 배출시키도록 피스톤밸브부와 러버밸브가 조립 설치된 누름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캡부재는 용기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흡입관 시이트와, 상기 시이트의 중심에 피스톤밸브부가 승강 작동되게 관통되어 형성된 중심공과, 상기 중심공의 상부 주변에 스프링시이트를 형성하면서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누름안내측벽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름캡부재는 분리형 흡입관에 삽입되어 용액의 배출을 제어하는 피스톤밸브부와, 상기 피스톤밸브부와 일치하는 배출공이 상부 중심에 형성되고 여기에 러버밸브가 조립되면서 가장자리에 일정 면적으로 가이드측벽이 형성된 누름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피스톤밸브부는 흡입관 시이트에 일정 흡입공간을 형성하여 조립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용액의 유출입이 발생하게 가장자리 둘레에 유입통로가 구성된 가압판을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면서 관통되는 배출포트가 형성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에 펌핑시 배출포트가 개구되도록 조립되는 개폐관과, 상기 중공관을 누름캡에 연결하여 조립하게 되는 중공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관은 하단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흡입공과, 상기 흡입공을 개폐하게 부착되는 개폐판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 배출캡이 구비된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액상 배출캡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은 밸브판(4)이 용액 배출시 상승되게 내부에 구비된 이중용기(6)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어 밀폐와 용액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고정캡부재(20)에 분리형 흡입관(21)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캡부재(20)에 탄성부재(7)로 탄지되게 조립되어 펌핑작동으로 용액을 배출시키는 누름캡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판(4)은 용액 배출시 이중용기(6)내부에서 상승하게 되어 내부의 용액을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중용기(6)는 내통(6-1)과 외통(6-2)로 구성되어 밸브판(4)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며, 바닥에는 통기공(6-3)이 뚫려 형성되고 있다.
상기 고정캡부재(20)는 용액용기(6)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도록 결합부(2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2)의 내주면에는 흡입관 시이트(23)가 형성되고, 상기 시이트(23)의 중심에는 중심공(24)이 형성되고 있어 피스톤밸브부(41)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중심공(24)의 상부 주변에는 스프링시이트(25)가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누름안내측벽(2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시이트(23)에는 흡입관(21)과 기밀한 결합이 유지되게 시일링(S)이 개재된다.
상기 결합부(22)는 용기의 입구에 왼나사나 오른나사 방식으로 결합됨이 가능하다. 특히 왼나사 결합은 어린이나 유아들에 의해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내용물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보관되게 된다.
상기 누름캡부재(40)는 분리형 흡입관(21)에 삽입되어 용액의 배출을 제어하는 피스톤밸브부(41)와, 상기 피스톤밸브부(41)와 일치하는 배출공(42)이 상부 중심에 형성되고 여기에 러버밸브(43)가 조립되면서 가장자리에 일정 면적으로 가이드측벽(44)이 형성된 누름캡(45)이 구성된다.
또, 누름캡(45)은 누름안내측벽(26)으로 안내되어 누름 작동과 복원 동작이 유지케 한다. 그리고 누름캡(45)은 상부에 일정 곡률로 형성되는 구배면(45-1)을 두고 있어 러버밸브(43)를 통해 배출된 용액을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깨끗하게 걷어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캡(45)을 PVC재나 ABC재로 형성하여 설계에 따라 색상을 다양화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장품 용기로 디자인, 색상, 등을 다양화 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한 피스톤밸브부(41)는 흡입관 시이트(23)에 조립되는 흡입관(21)과, 상기 흡입관(21)에 용액의 유출입이 발생하게 가장자리 둘레에 유입통로(41-1)가 형성된 가압판(41-2)의 상부에 배출포트(41-3)를 형성한 중공관(41-4)과, 상기 중공관(41-4)에 펌핑시 배출포트(41-3)가 개구되도록 조립되는 개폐관(41-5)과, 상기 중공관(41-3)을 누름캡(45)에 연결하여 조립하게 되는 중공연결관(4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관(21)은 하단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흡입공(21-1)과, 상기 흡입공(21-1)을 개폐하게 부착되는 개폐판(21-2)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이 화장품 용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누름캡(45)을 누르면 탄성부재(7)가 탄압되면서 누름안내측벽(26)으로 안내되고, 피스톤밸브부(41)가 흡입관(21)내를 하강하게 된다. 이때, 중공관(41-4)의 하강시 배출포트(41-3)을 차단하고 있던 개폐관(41-5)은 흡입관(21)의 내주면과 간섭되어 배출포트(41-3)를 개구한 상태에서 가압판(41-2)이 흡입관(21)의 하단에 걸릴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피스톤밸브부(41)가 흡입관(21) 내를 하강할 때 흡입관(21)에 흡입되어 채워진 용액은 가압판(41-2)으로 가압됨에 따라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유입통로(41-1)를 통해 개폐관(41-5)에 의해 개구된 배출포트(41-3)측으로 이동하여 중공관(41-4)내에 충진되게 된다.
중공관(41-4)내에 충진된 용액은 계속되는 용액의 압력을 받아 누름캡(45)의 중심 배출공(42)에 조립된 러버밸브(43)의 틈새를 통해 구배면(45-1)상에 일정량 배출 되게 된다. 또, 누름캡(45)의 상면에 일정 곡률로 형성된 구배면(45-1)에 배출된 용액은 사용자에 의해 수거됨이 편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와, 고정캡부재와, 피스톤밸브부와, 배출공과, 누름캡부재로 구성되는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누름캡에 조립된 피스톤밸브부가 분리형으로 조립된 흡입관내를 승강할 때 편심 없이 정밀하고 부드럽게 누름 작동된다.
둘째, 피스톤밸브부의 중공관에 삽입된 개폐관에 의해 배출공을 통한 용액의 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셋째, 누름캡의 작동이 누름 안내측벽에 의해 안내되어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넷째, 액상 배출캡의 구조 단순화에 따라 부품수 절감으로 제작시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진다.
다섯째, 중공관의 가압판에 형성된 유입통로를 저면에 가장자리에 형성하여 용이한 압력의 형성과 용액의 배출을 신속하게 한다.

Claims (4)

  1. 밸브판이 용액 배출시 상승되게 내부에 구비된 이중용기의 입구에 누름시 용액이 배출되도록 결합 설치되는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에 있어서,
    상기 액상 배출캡은 용기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어 밀폐와 용액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고정캡부재에 구비되는 분리형 흡입관과;
    상기 고정캡부재에 탄성부재로 탄지되게 조립되어 용액을 배출시키도록 피스톤밸브부와 러버밸브가 조립 설치된 누름캡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부재는 용기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내주면에 흡입관 시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시이트의 중심에 피스톤밸브부가 승강 작동하게 관통되는 중심공의 상부 주변에 스프링시이트를 형성하면서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누름안내측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캡부재는 분리형 흡입관에 삽입되어 용액의 배출을 제어하는 피스 톤밸브부와, 상기 피스톤밸브부와 수직선상에서 일치하는 배출공이 상부 중심에 형성되고 여기에 러버밸브가 조립되면서 가장자리에 일정 면적으로 가이드측벽이 형성된 누름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한 피스톤밸브부는 흡입관 시이트에 일정 흡입공간을 형성하여 조립되는 분리형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용액의 유출입이 발생되게 가장자리 둘레에 유입통로가 형성된 가압판을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면서 관통되는 배출포트를 형성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에 펌핑시 배출포트가 개구되도록 조립되는 개폐관과, 상기 중공관을 누름캡에 연결하여 조립되는 중공연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KR2020050028876U 2005-10-10 2005-10-10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KR200405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76U KR200405398Y1 (ko) 2005-10-10 2005-10-10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76U KR200405398Y1 (ko) 2005-10-10 2005-10-10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398Y1 true KR200405398Y1 (ko) 2006-01-10

Family

ID=41757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876U KR200405398Y1 (ko) 2005-10-10 2005-10-10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39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51B1 (ko) 2012-10-30 2014-10-22 강성일 내용물 배출펌프
WO2014204034A1 (ko) * 2013-06-18 2014-12-24 Kang Sungil 내용물 배출펌프
KR101524708B1 (ko) * 2012-11-02 2015-06-02 이수완 치약용기
KR20150060103A (ko) * 2013-11-25 2015-06-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51B1 (ko) 2012-10-30 2014-10-22 강성일 내용물 배출펌프
KR101524708B1 (ko) * 2012-11-02 2015-06-02 이수완 치약용기
WO2014204034A1 (ko) * 2013-06-18 2014-12-24 Kang Sungil 내용물 배출펌프
US9675986B2 (en) 2013-06-18 2017-06-13 Sungil Kang Contents dispensing pump
KR20150060103A (ko) * 2013-11-25 2015-06-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124572B1 (ko) * 2013-11-25 2020-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458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US20170348714A1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ability
KR101590865B1 (ko) 디스펜서 용기
US9198495B2 (en) Pump-type cosmetics container
US11833533B2 (en) Pump container
KR101366696B1 (ko) 샴푸용기의 펌프 장치
KR101900419B1 (ko) 이중 용기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05398Y1 (ko)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JP6084504B2 (ja) 注出容器
KR101422069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0405397Y1 (ko)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JP6100059B2 (ja) 注出容器
KR101816554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2318862B1 (ko) 에어리스 펌핑형 화장품 용기
KR102120010B1 (ko) 펌프 용기
KR200412918Y1 (ko) 버튼의 탄성리브를 이용한 디스펜서
KR200450863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KR101269409B1 (ko) 디스펜서 용기
CN110366527B (zh) 带狭缝阀的盖
KR101753843B1 (ko) 탄성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용기
KR200435175Y1 (ko) 푸시캡을 갖춘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