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708B1 - 치약용기 - Google Patents

치약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708B1
KR101524708B1 KR1020120123833A KR20120123833A KR101524708B1 KR 101524708 B1 KR101524708 B1 KR 101524708B1 KR 1020120123833 A KR1020120123833 A KR 1020120123833A KR 20120123833 A KR20120123833 A KR 20120123833A KR 101524708 B1 KR101524708 B1 KR 101524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case
cover
inle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113A (ko
Inventor
이수완
김용준
김환
Original Assignee
이수완
김용준
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완, 김용준, 김환 filed Critical 이수완
Priority to KR1020120123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7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30Pist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약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탑재되고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에 치약을 충진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중앙에는 하부 방향으로 유입구를 형성한 커버와, 상기 제1케이스 내주연과 제2케이스 외주연 사이 공간에 설치하되, 상기 커버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커버의 하강에 의해 유입구가 제2케이스 내부로 인입되어 치약을 유입구측으로 공급한 다음 탄성부재를 통해 커버를 상승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치약용기{Tooth paste bottle}
본 발명은 치약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번의 푸쉬 동작으로 항상 일정한 정량의 치약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약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종래 일반적인 형태의 치약용기는 튜브형태로 이루어져 뚜껑을 열고 필요한 양만큼 짜낸 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치약용기는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함으로 어린이들이 사용하기 불편하고, 뚜껑이 열린 상태로 나둘 경우 물이 들어가 치약 사용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치약이 조금 남아 있는 경우에는 마지막까지 짜내어 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들 치약용기는 한번 사용하면 폐기되어 버려지기 때문에 환경오염과 자원낭비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2001-0068080호에서 제시한 치약용기는 치약을 채워 넣을 수 있는 용기본체 10와,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형성한 뚜껑 20과, 상기 뚜껑과 일체로 결합되는 펌핑장치 30로 구성되어 용기내에 채워지는 치약을 펌핑하여 사용량 만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고, 펌핑장치와 일체로 결합된 펌핑장치를 용기본체로 부터 분리하여 리필용 치약으로 재충전 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약용기는 용기에 결합된 펌핑장치에 의해 캡에 손가락을 대고 가볍게 눌러줌으로서 필요한 량의 치약을 쉽고 간편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치약용기는 펌핑 동작을 통해 치약을 외부로 토출하나, 상기 펌핑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부품이 불필요하게 많아 치약용기의 제조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펌핑장치를 이루는 구성 요소 중 실린더 31, 도관 36 등에 치약이 잔존하게 됨에 따라 치약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약 용기는 한 번의 푸쉬 동작으로 항상 일정한 정량의 치약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약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탑재되고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에 치약을 충진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중앙에는 하부 방향으로 유입구를 형성한 커버와, 상기 제1케이스 내주연과 제2케이스 외주연 사이 공간에 설치하되, 상기 커버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커버의 하강에 의해 유입구가 제2케이스 내부로 인입되어 치약이 유입구측으로 공급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제2케이스가 상승시켜 치약을 공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는 커버의 중앙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내부에는 배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공 하부 단부에는 차단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차단부재는 복수개의 유입공을 형성하여 치약이 유입공을 통해 차단부재 상부로 인출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케이스는 상부를 밀폐시키는 덮개가 마련되되, 상기 덮개의 중앙에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 내주연 입구에 유연성을 갖는 박막의 가림부재를 복수개로 등간격으로 배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약 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탑재되고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에 치약을 충진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중앙에는 하부 방향으로 유입구를 형성한 커버와, 상기 제1케이스 내주연과 제2케이스 외주연 사이 공간에 설치하되, 상기 커버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커버의 하강에 의해 유입구가 제2케이스 내부로 인입되어 치약을 유입구측으로 공급한 다음 탄성부재를 통해 커버를 상승시키도록 하여 한 번의 푸쉬 동작으로 항상 일정한 정량의 치약을 공급함으로써, 치약의 과소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약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치약용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치약용기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약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치약용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치약용기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약 용기 100는 제1케이스 110, 제2케이스 120, 커버 130, 탄성부재 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케이스 110는 상부가 개구되고 측면과 하부가 밀폐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 120는 상기 제1케이스 110 내부에 탑재되고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 121에 치약 10이 충진된다.
이때, 제1케이스 110와 제2케이스 120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도록 지름 크기를 각기 다르도록 제작한다.
즉, 제1케이스 110의 내주연과 제2케이스 120의 외주연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켜 탄성부재 140를 틈새에 내입시킨다.
또한, 상기 커버 130는 상기 제2케이스 120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중앙에는 하부 방향으로 유입구 131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 130의 결합에 의해 탄성부재 140가 커버 130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커버 130를 가압시켜 치약 10을 커버 130의 유입구 131측으로 추출하면 상기 커버 130의 하강 동작 이후 탄성부재 140가 자동으로 커버 130를 원상태로 복귀시켜 다음 치약 10 추출 동작을 준비한다.
여기서, 커버 130는 치약 10의 추출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는 커버 130의 중앙에서 하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내부에는 배출공 132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공 132 하부 단부에는 차단부재 133를 설치하되, 상기 차단부재 133는 복수개의 유입공 134을 형성하여 치약 10이 유입공 134을 통해 차단부재 133 상부로 인출되도록 한다.
이와 연계하여 상기 제2케이스 120는 상부를 밀폐시키는 덮개 122가 마련되되, 상기 덮개 122의 중앙에는 관통공 123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 123 내주연 입구에 유연성을 갖는 박막의 가림부재 124를 복수개로 등간격으로 배치하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1케이스 110에 장착된 커버 130를 사용자가 가압하면 상기 커버 130는 탄성부재 140를 가압하면서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커버 130의 이동에 의해 유입구가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치약 10이 담겨져 있는 제2케이스 120 내부로 내입된다.
이때, 유입구에 의해 차단부재 133는 하강하면서 유연성을 갖는 가림부재 124를 거쳐 치약 10이 유입구 131 내부로 침투되고, 이때 차단부재 133의 유입공 134을 통해 치약 10이 상기 유입구의 배출공 132 내주연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치약은 점성을 갖고 있어 유입구 내부로 유입된 치약은 유입구 내주연과의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아 유입구에 내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유입구가 치약 내부로 침투되고 나면 제2케이스 내부에 충진된 치약과 유입구 내부의 치약이 유입구에 의해 구분된다.
이후, 사용자가 커버 130에 가해진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 140에 의해 자동으로 커버 130를 상승시켜 다음 치약 10 추출동작을 준비한다.
이때, 치약의 점성에 의해 유입구 내주연과 치약과의 표면 마찰계수가 높아 유입구 내부로 유입된 치약은 제2케이스에 충진된 치약과 분리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칫솔을 유입구 131 내부로 내입시키면 배출공 132 내주연에 담겨져 있는 치약 10을 칫솔에 묻힐 수 있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치약 10 용기를 통해 한 번의 푸쉬 동작으로 항상 동일한 정량의 치약 10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어 치약 10의 과소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치약
100 : 치약용기 110 : 제1케이스
120 : 제2케이스 121 : 내부공간
122 : 덮개 123 : 관통공
124 : 가림부재 130 : 커버
131 : 유입구 132 : 배출공
133 : 차단부재 134 : 유입공
140 : 탄성부재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탑재되고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에 치약을 충진하며 개구된 내부공간의 상부에는 덮개를 결합하여 밀폐시키되, 상기 덮개의 중앙에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 내주연 입구에 유연성을 갖는 박막의 가림부재를 복수개로 등간격으로 배치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중앙에는 하부 방향으로 유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유입구의 내부에는 배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공 하부 단부에 설치한 차단부재는 복수개의 유입공을 형성하여 치약이 유입공을 통해 차단부재 상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커버와,
    상기 제1케이스 내주연과 제2케이스 외주연 사이 공간에 설치하되, 상기 커버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커버의 하강에 의해 유입구가 제2케이스 내부로 인입되어 치약을 유입구측으로 공급한 다음 탄성부재를 통해 커버를 상승시키면 점성을 갖는 치약은 유입구 내주연과의 마찰계수가 높아 유입구에 내입된 상태가 유지되어 유입구와 연동하여 치약을 외부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기.


  2. 삭제
  3. 삭제
KR1020120123833A 2012-11-02 2012-11-02 치약용기 KR101524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833A KR101524708B1 (ko) 2012-11-02 2012-11-02 치약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833A KR101524708B1 (ko) 2012-11-02 2012-11-02 치약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113A KR20140057113A (ko) 2014-05-12
KR101524708B1 true KR101524708B1 (ko) 2015-06-02

Family

ID=5088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833A KR101524708B1 (ko) 2012-11-02 2012-11-02 치약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7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398Y1 (ko) * 2005-10-10 2006-01-10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KR20110004719U (ko) * 2009-11-05 2011-05-12 (주)삼화피앤티 가압에 의해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
KR20120032135A (ko) * 2010-09-28 2012-04-05 최희진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KR20120005545U (ko) * 2012-07-13 2012-08-01 조현철 공기압에 의한 자동 배출 방식 수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398Y1 (ko) * 2005-10-10 2006-01-10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용액 용기용 액상 배출캡
KR20110004719U (ko) * 2009-11-05 2011-05-12 (주)삼화피앤티 가압에 의해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
KR20120032135A (ko) * 2010-09-28 2012-04-05 최희진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KR20120005545U (ko) * 2012-07-13 2012-08-01 조현철 공기압에 의한 자동 배출 방식 수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113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JP6203633B2 (ja) 二重容器
US20130220967A1 (en) Safety Bottle Cap
EP2929802A1 (en)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ush button having resilient upright nozzle
JP5813580B2 (ja) 二重容器
PE20020249A1 (es) Aplicador
KR200473940Y1 (ko) 펌핑수단을 갖는 염모제 용기
KR101524708B1 (ko) 치약용기
CN212126199U (zh) 一种碘伏棉签自动弹出盒
JP5073225B2 (ja) デラミボトル用ポンプ
JP6576622B2 (ja) 注出容器
CN107235225B (zh) 一种乳液瓶
KR101219062B1 (ko) 절약형 유체 용기
KR101339855B1 (ko) 내용물 배출용기
KR20120000464U (ko)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EP3616796A1 (en) Eco-friendly pumping device using the vacuum principle
CN201268442Y (zh) 液体包装瓶
KR20090001986U (ko)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KR20130005050U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JP2015189506A (ja) 二重容器
KR200468191Y1 (ko) 절약형 용기
KR20150002182U (ko) 내용물 누출 방지 노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6320035B2 (ja) キャップ
JP5595884B2 (ja) 液体噴出容器
JP4953241B2 (ja) 液体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