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8600A -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8600A
KR20010008600A KR1019990026517A KR19990026517A KR20010008600A KR 20010008600 A KR20010008600 A KR 20010008600A KR 1019990026517 A KR1019990026517 A KR 1019990026517A KR 19990026517 A KR19990026517 A KR 19990026517A KR 20010008600 A KR20010008600 A KR 20010008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
memory
capacitor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식
문원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26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8600A/ko
Publication of KR20010008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6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055Deposition of semiconductive layers, e.g. poly -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75Electrode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met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 H01L28/91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made by depositing layers, e.g. by depositing alternating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 커패시터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리영역의 커패시터공정을 로직영역에 폴리3층과 폴리4층을 사용하여 아날로그커패시터(Analogue Capacitor)를 형성하고, ONO박막을 유전체로 사용하므로 로직영역에 차지하는 아날로그커패시터의 면적을 줄여서 단위 면적 당 커패시턴스 (Capacitance)를 증대하여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 형성방법 {Method For Forming The Analogue Capacitor Of MML Semiconductor Device }
본 발명은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직영역에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데 있어, 메모리영역의 커패시터공정을 로직영역에 폴리3층과 폴리4층을 사용하여 아날로그커패시터를 형성하고, ONO박막을 유전체로 사용하므로 로직영역에 차지하는 커패시터의 면적을 줄이도록 하는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Memory)와 로직(Logic)이 단일칩에 형성되는 복합반도체 (MML: Merged Memory Logic)가 최근에 들어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점차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 MML반도체장치는 로직과 메모리를 한 칩에서 단일한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특별한 설계의 변경 없이도 기존 칩들에 비하여 고속으로 동작하고, 저전력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그 반면에, 메모리제품의 제조공정과 로직제품의 제조공정이 한 칩에서 동시에 제조되므로 단위칩의 크기가 커지며, 이에 따라 제조공정을 진행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요하는 단점도 지니고 있을 뿐만아니라 메모리에서의 트랜지스터는 높은 전류 구동력을 요하는 것보다 오히려 누설전류를 방지하는 것에 비중을 두고 있으나 로직제품은 높은 전류구동능력을 요구하는 등 양자의 특성을 모두 갖추어서 한 칩으로 제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반도체기판에서 메모리영역과 로직영역에 필드산화막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을 동시에 형성하여 게이트전극의 측면부분에 스페이서막을 적층하고, 다시 활성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한 후 그 공정 후에 메모리영역의 필드산화막 상에 커패시터(Capacitor)를 800℃에 이르는 고온 공정으로 형성하였으며, 연속하여 로직영역의 트랜지스터와 메모리영역의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 상에 산화막으로 된 절연층 및 금속배선층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이후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로직 공정의 경우에, 아날로그 커패시터(Analogue Capacitor)를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1과 폴리2를 이용하게 되는 데, 이 경우에 폴리층이 추가되어 공정의 단계(Process Step)가 증가하는 문제를 지닌다.
그리고, 커패시터에서 유전체로 산화막(Oxide)가 사용되고 있으며, 차지하는 면적에 비하여 커패시터의 용량이 작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MML반도체소자의 경우에, 새로은 층의 추가 없이 기존의 층을 이용하여 로직 영역의 커패시터를 형성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새로운 유전물질을 사용하여 커패시터가 칩(Chip) 상에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한 싯점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직영역에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데 있어, 메모리영역의 커패시터공정을 로직영역에 폴리3층과 폴리4층을 사용하여 아날로그커패시터를 형성하고, ONO박막을 유전체로 사용하므로 로직영역에 차지하는 커패시터의 면적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 형성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도체기판 15 : 층간절연막
20 : 제1폴리3층 25 : 콘택홀
30 : 코어산화막 35 : 제1감광막
40 : 제2감광막 45 : 제2폴리3층
50,50a : 폴리스페이서 60 : 메모리하부전극
65 : 로직하부전극 70 ; ONO박막
75 : 폴리4층 80 : 제3감광막
90 : 메모리커패시터 95 : 아날로그커패시터
이러한 목적은 메모리영역과 로직영역으로 이루어진 MML반도체소자에서, 반도체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적층한 후, 콘택홀을 형성하고, 제1폴리3층 및 코어산화막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셀영역에서 커패시터가 형성될 부위에 제1감광막을 적층한 후 코어산화막을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로직영역에 아날로그 커패시터가 형성될 부위에 제1폴리3층 상에 제3감광막을 적층한 후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상에 제2폴리3층을 적층한 후, 블랭킷식각으로 메모리영역의 코어산화막과 로직영역의 제1폴리3층의 측면부에 폴리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영역의 코어산화막을 식각으로 제거하여 메모리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하부전극과 로직하부전극에 유전체인 ONO박막과 폴리4층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하부전극과 로직하부전극이 형성된 부위에 제3감광막을 적층한 후 마스킹식각으로 메모리커패시터와 로직 아날로그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 커패시터 형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메모리하부전극의 폴리스페이서(Poly Spacer)에 잔류된 코어산화막은 습식식각(Wet Etch)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 형성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순차적으로 살펴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10) 상에 층간절연막(15)을 적층한 후, 콘택홀(25)을 형성하고, 제1폴리3층(20) 및 코어산화막(Core Oxide)(30)을 적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후에 셀영역(Cell Region)에서 실린더 형상의 커패시터(Capacitor)가 형성될 부위에 제1감광막(35)을 적층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감광막(35)을 마스크로 하여 코어산화막(30)을 식각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후에 로직영역(Logic Region)에 아날로그 커패시터(Analogue Capacitor)가 형성될 부위에 제1폴리3층(20) 상에 제3감광막(40)을 적층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감광막(40)을 마스크로 하여 제1폴리3층 (20)을 식각한 후, 이 결과물 상에 제2폴리3층(45)을 적층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폴리3층(45)을 블랭킷식각(Blanket Etch)으로 메모리영역의 코어산화막(30)과 로직영역의 제1폴리3층(20)의 측면부에 폴리스페이서(50)(50a)를 각각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영역의 코어산화막(30)을 식각(특히, 습식식각이 바람직함)으로 제거하여 실린더 형상으로 된 메모리영역의 커패시터용 하부전극(60)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하부전극(60)과 로직하부전극(65)에 유전체인 ONO박막(70)과 폴리4층(75)을 적층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하부전극(60)과 로직하부전극(65) 형성된 부위에 제3감광막(80)을 적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3감광막(80)을 마스킹식각을 하여서 메모리커패시터(90)와 로직 아날로그커패시터(95)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메모리하부전극(60)과 로직하부전극(65) 상에 적층된 ONO박막 (Oxide/Nitride/Oxide)(70)을 유전체막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폴리4층(75)은 상부전극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 커패시터 형성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메모리영역의 커패시터공정을 로직영역에 폴리3층과 폴리4층을 사용하여 아날로그커패시터를 형성하고, ONO박막을 유전체로 사용하므로 로직영역에 차지하는 아날로그커패시터의 면적을 줄여서 단위 면적 당 커패시턴스를 증대하여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2)

  1. 메모리영역과 로직영역으로 이루어진 MML반도체소자에 있어서,
    반도체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적층한 후, 콘택홀을 형성하고, 제1폴리3층 및 코어산화막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셀영역에서 커패시터가 형성될 부위에 제1감광막을 적층한 후 코어산화막을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로직영역에 아날로그 커패시터가 형성될 부위에 제1폴리3층 상에 제3감광막을 적층한 후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상에 제2폴리3층을 적층한 후, 블랭킷식각으로 메모리영역의 코어산화막과 로직영역의 제1폴리3층의 측면부에 폴리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영역의 코어산화막을 식각으로 제거하여 메모리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하부전극과 로직하부전극에 유전체인 ONO박막과 폴리4층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하부전극과 로직하부전극이 형성된 상기 ONO박막과 폴리4층 상부면에 제3감광막을 적층한 후, 마스킹식각으로 메모리커패시터와 로직 아날로그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 커패시터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하부전극의 폴리스페이서에 잔류된 코어산화막은 습식식각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 커패시터 형성방법.
KR1019990026517A 1999-07-02 1999-07-02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 형성방법 KR20010008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517A KR20010008600A (ko) 1999-07-02 1999-07-02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517A KR20010008600A (ko) 1999-07-02 1999-07-02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600A true KR20010008600A (ko) 2001-02-05

Family

ID=1959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517A KR20010008600A (ko) 1999-07-02 1999-07-02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86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537B1 (ko) * 2001-11-03 2004-0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537B1 (ko) * 2001-11-03 2004-0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455B1 (ko) 복합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20010008600A (ko)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커패시터 형성방법
JP4224149B2 (ja) 非揮発性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0475715B1 (ko) Mml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100481985B1 (ko) 고집적 mml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100240249B1 (ko) 서로 다른 게이트 산화막 및 게이트 전극을 갖는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10029062A (ko) 적층형 캐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100316059B1 (ko) Mml반도체소자제조방법
KR20030051074A (ko) 플래너 커패시터 제조방법
KR20010017237A (ko) Mml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 커패시터형성방법
KR100252864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40112B1 (ko) 반도체소자의 아날로그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0460267B1 (ko) 복합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106428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40056958A (ko) 반도체 소자의 mim 커패시터 형성 방법
KR960013644B1 (ko)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40008048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9990012265A (ko)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의복합소자 제조방법
JP2006054369A (ja) 半導体装置
KR20040007151A (ko)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9990012665A (ko) 운전 영역별 학습치 보정을 위한 노크 제어 방법
KR20000022815A (ko) 반도체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38601A (ko) 반도체장치 형성방법
KR20040002277A (ko) 반도체소자의 저장전극 형성방법
KR19990048904A (ko)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