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813A - 전기 모터 - Google Patents

전기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813A
KR20010005813A KR1019997008887A KR19997008887A KR20010005813A KR 20010005813 A KR20010005813 A KR 20010005813A KR 1019997008887 A KR1019997008887 A KR 1019997008887A KR 19997008887 A KR19997008887 A KR 19997008887A KR 20010005813 A KR20010005813 A KR 20010005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electric motor
housing
shaf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휴버마틴
비처헤롤트
브라운빌헬름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0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8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18Pump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drive mechanisms
    • B60T8/4022Pump units driven by an individual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04B17/03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driven by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18Eccentric-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5Mounting arrangements for bearing-shields or end pl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42Pumps with cylinders or pis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11)를 수용하는 컵형상의 하우징(5)과 상기 하우징(5)을 폐쇄하는 후드(6)를 구비하는 전기 모터(3)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 모터의 후드(6)는 샤프트(11)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주변부(6a)와 샤프트(11)에 대해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부(6b)를 갖는다. 상기 내측부(6b)는 샤프트(11)를 배치하기 위한 베어링(13)을 포함한다. 전기 모터(3)는 유닛(4)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블록(35)에 고정되어 구동된다. 전기 모터의 후드(6)의 주변부(6a)와 연결 블록(35)은 지지대(55)상에서 서로 접촉된다. 하우징(5)과 연결 블록(35)은 고정 부품(58)에 의해 서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전기 모터의 후드(6)의 주변부(6a)는 전기 모터의 하우징(5)상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Description

전기 모터{Electrical motor}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전기 모터로부터 출발한다. 독일특허 제 DE 44 30 909 A1 호에는 래디얼 피스톤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가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이 전기 모터는 래디얼 피스톤 펌프와 전기 모터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 블록에 고정된다. 이 연결 블록은 동시에 래디얼 피스톤 펌프의 하우징을 구성한다. 래디얼 피스톤 펌프의 피스톤을 구동하기 위해서, 모터의 샤프트에는 편심기가 형성된다. 하우징의 내부에서, 샤프트는 아마츄어를 유지하며, 이 아마츄어는 공지된 방식으로 스테이터와 협동한다. 하우징은 컵형상으로 구성되며 연결 블록과 경계를 이루는 정면에서 후드에 의해 폐쇄된다. 후드는 샤프트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주변부와 샤프트에 대해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부를 갖는다. 내측부는 볼베어링의 외측 베어링 박스를 반경방향으로 둘러싸며 또한 볼베어링의 측면에서 축방향으로 둘러싼다. 이 볼베어링은 전체 3개의 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이 베어링을 통하여 하우징과, 후드와, 연결 블록내에서 샤프트를 지지한다. 모터는 후드와 연결 블록의 볼트 연접 방식으로 연결 블록에 고정된다.
공지된 전기 모터에 있어서, 이 전기 모터는 연결 블록과의 고정 결합에 근거하여 상당한 소음을 발생시킨다는, 이롭지 못한 경향을 갖는다. 또한, 공지된 전기 모터는 중간 위치의 베어링에 발생된 반경방향의 힘이 후드에 완전하게 흡수되지 못하여 상기와 같은 소음 발생에 기여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전기 모터, 특히 펌프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모터와 이 전기 모터에 결합된 래디얼 피스톤 펌프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모터와 연결 블록 사이의 결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부분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장치는 하우징과 후드가 고정 부품을 통하여 연결되는 장점을 갖는다. 후드를 통하여 제조상 한정된 소정의 축방향 허용오차를 매우 균등하게 조정할 수 있다. 후드의 주변부를 하우징에 구속하고 후드를 지지대에 구속하여 고정함으로써, 후드의 내측부에서 바깥쪽을 향하는 반경방향의 힘 성분이 작용하며, 이 힘 성분은 내측부로 둘러싸인 베어링을 더 양호하게 고정한다. 반경방향 힘, 특히 전기 모터와 래디얼 피스톤 펌프를 결합할 때 베어링상에 작용하는 이 힘은 소음 발생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른 장점은 전기 모터의 단순한 제조 능력에 있다. 후드의 축방향 고정에 기초한 후드와 연결 블록간의 결합에 있어서 축방향 허용오차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정되기 때문에, 제조상의 허용오차와 관련된 요구조건은 실질적으로 낮게 설정된다. 이것은 제조 비용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종속항에 기재된 특징을 통하여 독립항에 주어진 전기 모터의 다른 바람직한 구조와 개선이 가능하다.
후드의 내측부로 둘러싸인 베어링의 근처에 지지대를 배치함으로써, 특히 큰 지렛대가 구성되며, 이 지렛대를 통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전달된 인장력이 후드에 작용한다. 이 때문에 후드의 축방향 허용오차가 매우 균등하게 조정된다. 또한 지렛대의 바람직한 관계에 의해 비교적 큰 반경방향 힘성분이 얻어지며, 이 힘성분을 통하여 하우징 덮개의 내측부는 이 내측부에 의해 반경반향으로 둘러싸인 베어링에 작용한다.
고정 부품은 고정 볼트로 구성되며, 이 고정 볼트는 하우징을 통하여 샤프트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고정 볼트는 연결 블록에 대항하여 놓여 있는 하우징의 측면상에서 적절한 공구를 통하여 바깥쪽으로부터 인장될 수 있다. 특히, 고정 볼트는 샤프트 주위에서 넓고 균일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인장력은 주위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내측부가 베어링의 외측 베어링 박스상에서 특히 양호하게 설치됨으로써, 후드의 내측부에 의해 베어링이 컵형상으로 둘러싸인다.
후드를 구속하기 위해서, 하우징은 상응하는 스텝을 가지며, 이 스텝은 조별 생산방식에서, 예를 들어 코킹이나 압인을 통해서 특히 간단하면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연결 블록과 후드의 주변부의 외주 및/또는 하우징 사이에서 틈새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밀봉 수단을 통하여 습기와 오염 물질이 틈새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 수단은 하우징과 후드 사이의 외형 분지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또는 선택적인 밀봉 수단이 지지대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는 후드의 축방향 볼록부로서 형성되며 제 1 밀봉 수단은 후드의 축방향 볼록부의 반경방향 안쪽에, 그리고 제 2 밀봉 수단은 후드의 축방향 볼록부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제공될 수 있다. 밀봉 수단은, 특히 주변부로부터 후드의 내측부까지의 전환부에 형성된 외형 분지부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수단은 경화된 밀봉 매질,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 구성된다. 밀봉 매질은, 주로 후드, 하우징, 또는 연결 블록상에서 이들의 조립전에 미경화 상태로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구성 부품들간의 특별한 밀봉이 이루어지며, 또한 흔들림의 전달이 줄어듦으로써, 모터의 소음 발생이 감소된다. 이와 달리, 밀봉 수단으로서 또한 탄성 밀봉링, 예를 들어 O-링이 사용될 수 있다.
후드의 내측부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원추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드의 내측부를 수용하는 연결 블록의 보어의 상응하는 원추형 부분과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후드의 내측부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둘러싸인 베어링의 일부분이 연결 블록내에 직접 삽입되며, 베어링을 반경방향으로 매우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로써 소음 발생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간략하게 도시되며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모터(3)의 단면도이며, 이 전기 모터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래디얼 피스톤 펌프(4)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기 모터(3)는 실질적으로 컵형상의 하우징(5)과, 후드(6)와, 적어도 두 개의 영구 자석(7, 8)으로 구성된 스테이터와, 집전기(10)에 접속된 아마츄어(9)와, 아마츄어(9)와 집전기(10)를 지지하며 3개의 베어링(12, 13, 14)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샤프트(11)를 갖는다. 이때 베어링(12, 13)은 볼베어링으로 구성된다. 베어링(14)은 본 실시예에서 미끄럼 베어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 미끄럼 베어링(14)은 소결 금속-베어링이며, 이 베어링의 주변 공간은 노화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갖는 윤활 오일과 같은 윤활재로 채워진다. 또한, 컵형상의 하우징(5)의 전면벽(16)은 프레싱이나 딥드로잉을 통하여 형성되어 베어링(14)이 담겨지는 볼록부(17)를 포함한다. 베어링(14)을 볼록부(17)내에 유지고정하기 위해서 베어링(14)을 압축하는 탄성 텅(19: tongue)을 갖는 고정블록(18)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고정블록(18)은 전면벽(16)에 리벳으로 죄어진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전면벽(16)으로부터 형성된 소위 리벳 장부(20)가 고정블록(18)에 존재하는 구멍(21)을 통과하여 돌출된 후 리벳 머리(22)로 변형되는 것과 같은 공지된 방식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7, 8)을 컵형상의 하우징(5)에 유지고정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프링(23)이 제공된다. 이 고정 스프링(23)은 고정 리벳(24)에 의해 컵형상의 하우징(5)에 고정된다. 집전기에는 적어도 두 개의 카본 브러시(25)가 연결된다. 카본 브러시(25)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에 연결된다.
미끄럼 베어링(14)에서 샤프트(11)를 지지하기 위하여, 샤프트는 아마츄어(9)로부터 이격된 쪽에 샤프트 저널(26)을 포함한다. 볼베어링(13)의 안쪽에서 샤프트(11)는 원통 부분(27)을 포함한다. 이 원통 부분(27)상에서 편심기(28)가 볼베어링(13)쪽으로 형성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편심기(28)는 샤프트(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원통 부분(27)의 측면에 존재한다. 편심기(28)에는 샤프트(11)의 다른 샤프트 저널(29)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편심기(28)는 베어링 니들(30)에 의해 둘러싸이며 이 베어링 니들의 주위에 베어링 링(31)이 뻗어 있다. 편심기(28)의 도움으로, 베어링 니들(30)과 베어링 링(31)의 조정을 통하여 복수의 펌프 피스톤(33)이 밀쳐질 수 있다. 래디얼 피스톤 펌프(4)와 전기 모터(3)를 결합하기 위해서 연결 블록(35)이 제공된다. 연결 블록(35)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구멍(36)을 갖는다. 편심기(28)가 연결 블록(35)의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5)은 편심 공동(39)을 갖는다. 편심 공동(39)에는 보어(42)가 연결되며, 이 보어에 볼베어링(12)이 삽입된다. 이때, 볼베어링(12)은 보어(42)내에 견고하게 안착되며 샤프트 저널(29)이 볼베어링(12)에 대해 움직이거나 왕복 운동될 수 있다.
베어링 니들(30)과 베어링 링(31)은 편심기(28)상에 압착된 스토핑 링(43)과, 허브(45)내에서 전환된 다른 스토핑 링(44)에 의해 편심기(28)에 대해 축방향으로 안전하게 되며, 이들에 의해 샤프트의 원통 부분(27)에 고정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편심기(28), 베어링 니들(30), 베어링 링(31)이 불균형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허브(45)에는 평형추(46)가 부착된다. 이때, 평형추(46)는 펌프 피스톤(33)의 질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편심기(28)가 샤프트 저널(29)과 샤프트(11)의 원통 부분(27) 사이에서 이들과 일체로 형성되지 말아야 함을 주목해야 한다. 오히려, 편심기(28)는 편심 부시의 형태로 구성되며 샤프트(11)의 원통 부분에 조립되어 샤프트(11)에 대한 비틀림에 대항해서 안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샤프트(11)에 편심기(28)를 압착하므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기 구동 모터(3)의 작동시, 아마츄어(9)는 샤프트(11)를 회전시키며, 그 결과 편심기(28)와 베어링 링(31)이 편심 운동을 수행하여 펌프 피스톤(33)에 작용한다. 펌프 피스톤(33)을 밀칠 때, 샤프트(11)의 각 종축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펌프 실린더에는 압력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모터(3)는 래디얼 피스톤 펌프나 다른 펌프의 구동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장치의 구동에도 적합하다.
후드(6)는 실질적으로 샤프트(11)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주변부(6a)와 실질적으로 샤프트(11)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부(6b)를 갖는다. 내측부(6b)는 베어링(13)을 반경방향으로 둘러싼다. 볼베어링으로 제작된 베어링(13)은 외부 베어링 박스(50)와, 샤프트(11)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내부 베어링 박스(51)를 포함한다. 베어링 박스(50, 51) 사이에는 베어링 볼(52)이 배치된다. 후드(6)의 내측부(6b)는 외부 베어링 박스(50)를 반경방향으로 둘러싸며 안쪽으로 방향 설정된 돌출부(53)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후드(6)의 주변부(6a)는 틈새(54)를 통하여 연결 블록(35)으로부터 이격되며, 후드(6)의 주변부(6a)와 연결 블록(35)은 단지 지지대(55)상에서만 접촉한다. 지지대(55)는 도시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코킹이나 압인을 통하여 제조된 후드(6)의 주변부(6a)의 축방향 돌출부에 의해 구성된다. 축방향 돌출부는 특히 링형태로 둘러싸여 구성된다. 그렇지만 또한 상응하는 압인 공구를 통하여 축방향 돌출부를 포인트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적어도 3개의 압인 포인트가 넓고 균일하게 분포되어 후드(6)의 주변부(6a)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틈새(54)는 또한 연결 블록(35)과 후드(6)의 내측부(6a) 사이에 뻗어 있으며, 그 결과 후드(6)는 연결 블록(35)을 지지대(55)상에서만 접촉한다.
후드(6)의 주변부(6a)의 외주(56)는 도 1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하우징(5)의 교각(57)에 고정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그러나 대개는 복수의 고정 부품(58)이 제공된다. 고정 부품(58)은 하우징(5)을 통하여 샤프트(11)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복수의 고정 부품(58)의 바람직한 사용에 있어서, 이들은 하우징(5)내에서 넓게 분포되어 배치된다. 고정 부품(58)은 나사산(59)을 가지며, 연결 블록(35)의 상응하는 나사 구멍(60)에 죄어진다. 나사산(59)을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나사 머리(61)는 하우징(5)의 전면벽(16)의 경사면(62)상에 지지된다.
고정 부품(58) 혹은 복수의 고정 부품(58)을 잡아당김으로써, 하우징(5)과 연결 블록(35)이 축방향으로 상호 대항하여 고정된다. 이로써, 후드(6)의 주변부(6a)는 교각(57)에 의해 축방향 힘성분을 통하여 연결 블록(35)의 방향으로 작용된다. 후드(6)가 지지대(55)상에 지지되기 때문에, 후드(6)의 내측부(6b)를 반경방향 내부로 작용시키는 지레 작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베어링(13)은 반경방향 힘성분을 통하여 작용되며, 이로써 샤프트(11)상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베어링(13)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은 최소로 감소된다.
하우징(5)과 연결 블록(35)의 축방향 고정을 통하여, 소음 발생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는 축방향 압착이 이루어진다. 교각(57)과 지지대(55) 사이의 비교적 긴 지렛대와 틈새(54)를 통하여, 고정 부품(58)은 하우징(5)을 연결 블록(35)에 대해 충분히 강하게 고정한다. 이것은 마찰부분에 의한 하우징(5)과 연결 블록(35) 사이의 반경방향 힘의 전달에 유리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분을,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작용방식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시한다. 상술한 부품들은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품(58)은 샤프트(11)의 회전축(70)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고정축(71)을 따라서 하우징(5)을 통하여 연장된다. 이때 고정 부품(58)은 구멍(72)을 통하여 후드(6)의 주변부(6a)에, 그리고 다른 구멍(73)을 통하여 하우징(5)의 전면벽(16)에 뻗어 있다. 지지대(55)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대(55)와 교각(57) 사이의 가능한 긴 지렛대를 통하여 지레 작용을 상승시키도록 베어링(13)의 바로 근처에 배치된다.
도 3은 교각(57)의 영역에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Ⅲ 부분을 도시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각(57)은 코킹(79)을 통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각인 공구나 압인 공구가 하우징(5)의 외측면(76)상에 배치되어 하우징(5)의 벽을 안쪽으로 코킹하며, 그 결과 하우징(5)의 벽에는 후드(6)의 주변부(6a)의 외주와 접하는 스텝(74)이 구성된다. 하우징(5)의 단부(75)는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외형 분지부(77)를 구성한다. 외형 분지부(77)에는 밀봉 수단(78)으로서, 주로 경화된 반죽형태의 밀봉 매질,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밀봉 매질이 채워진다. 도면에서는 상기와 같은 형상의 밀봉 매질로 구성된 패킹을 볼 수 있다. 반죽형태의 밀봉 매질은 하우징(5)과 후드(6)의 조립전에 연결 블록(35)을 통하여 외형 분지부(77)에 삽입된다. 그렇지만 또한, 경화된 반죽 형태의 밀봉 매질 대신에, 예를 들어 탄성 물질로 구성된 밀봉 링, 특히 O-링이 밀봉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밀봉 수단을 통하여, 틈새(54)는 습기와 오염물질에 대해 밀봉된다.
도 2에서는 고정 부품(58)에 의해 적용된 축방향 힘성분(FA)을 볼 수 있으며, 이 힘성분은 하우징(5)을 연결 블록(35)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드(6)를 통하여 반경방향 힘성분(FB)이 베어링(13)상에 미치며, 그 결과 베어링(13)은 샤프트(11)에 안전하게 그리고 소음없이 고정된다.
또한, 도 2로부터 틈새(54)의 틈새폭(x)을 볼 수 있다. 하우징(5)은 틈새폭(x)을 통하여 제공된 통로의 내부에서 연결 블록(35)에 대하여 임의로 고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후드(5)에는 고정을 위한 스프링 특성이 제공된다. 따라서, 축방향 힘성분(FA)은 주어진 임의의 요구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또한, 도 4는 도 2의 Ⅲ부분의 영역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교각(57)은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외부로 방향 설정된 코킹(80)을 통하여 구성된다. 코킹(80)을 통하여, 하우징(5)의 벽에는 스텝(74)이 구성되며, 이 벽에서 후드(6)의 주변부(6a)의 외주(56)가 접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른 차이점은, 후드(6)의 주변부(6a)가 오목 환부(81)를 가지며, 이 오목 환부를 통하여 외형 분지부(77)가 확대된다. 따라서, 밀봉 수단(78)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확대되며 반죽형태의 밀봉 매질로 구성된 큰 패킹이 삽입될 수 있다.
밀봉 매질은 반죽 형태로 배치되며, 다시 말해서 미경화 상태로 삽입되며, 또한 하우징(5)과, 후드(6)와, 연결 블록(35)의 조립은 반죽형태의 밀봉 매질이 미경화 상태일 때 이루어진다.
도 5와 도 6은 도 2의 V영역에서, 다시 말해서 지지대(55)의 영역에서 각 부분을 도시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대는 축방향 돌출부(90)를 통하여 각각 구성되며, 이 지지대는, 예를 들어 압인이나 코킹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밀봉 수단(91)은 축방향 돌출부(9)의 반경방향 안쪽에, 그리고 제 2 밀봉 수단(92)은 축방향 돌출부(90)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각각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수단(91, 92)은 경화된 반죽형태의 밀봉 매질, 특히 실리콘이다. 돌출부(90)의 반경방향 안쪽과 반경방향 바깥쪽에는 각각 반죽형태의 밀봉 매질로 구성된 패킹이 삽입된다. 이 밀봉 매질은 후드(6)와 연결 블록(35)의 조립후에 경화된다.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수단(91, 92)은 탄성 밀봉링을 통하여, 특히 O-링을 통하여 구성된다. 물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임의로 상호 조합될 수 있다. 후드(6)의 주변부(6a)와 내측부(6b) 사이의 전환부에는 외형 분지부(9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제 1 밀봉 수단(91)이 삽입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대(55)는 축방향 돌출부(90)로 형성되며, 이 지지대는 또한 코킹이나 압인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특색은 후드(6)의 내측부(6b)가 부분 영역(93)에서 원추형으로 구성되며 후드(6)의 주변부(6a)의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후드(6)의 내측부(6a)의 원추형 부분(93)은 후드(6)의 내측부(6a)의 원추형 부분(94)을 수용하는 연결 블록(35)의 구멍(95)과 유기적으로 결합한다. 연결 블록(35)의 원추형 부분(94)은 후드의 주변부(6a)의 방향으로 확장되며, 그 결과 후드(6)의 내측부(6b)의 원추형 부분 영역(94)은 연결 블록(35)의 원추형 부분(94)에 강제로 접촉된다. 후드(6)에 축방향 힘성분(FA)이 적용되면, 내측부(6b)는 안쪽으로 압축되며, 그 결과 베어링(13)은 반경방향 힘성분(FB)이 적용된다. 이때 경사각(α)은 최적의 반경방향 힘성분을 갖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결합력을 통하여, 후드(6)는 구성 부품들 사이의 온도 차이에 있어서도, 그리고 상이한 팽창계수에 있어서도 연결 블록(35)에 빈틈없이 유지된다. 또한 베어링(13)의 반경방향 지지력의 일부는 연결 블록(35)에 직접 유도될 수 있다.

Claims (14)

  1. 샤프트(11)를 수용하는 컵형상의 하우징(5)과, 상기 하우징(5)을 폐쇄하는 후드(6)를 구비하며, 상기 후드는 샤프트(11)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주변부(6a)와, 샤프트(11)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반경방향으로 샤프트(11)를 지지하는 베어링(13)을 포함하는 내측부(6b)를 가지며, 피구동 장치(4)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 블록(35)상에 고정되는 전기 모터에 있어서,
    상기 후드(6)의 주변부(6a)와 연결 블록(35)은 하나 이상의 지지대(55)상에서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5)과 연결 블록(35)은 고정 부품(58)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후드(6)의 주변부(6a)는 하우징(5)에서 축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5)는 후드(6)의 내측부(6b)에 의해 둘러싸인 베어링(13)의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58)은 샤프트(11)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지지대(55)쪽에 배치되며 탄성 변형하에서 후드(6)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품은 하나 이상의 고정 볼트(58)로 구성되며, 이 고정 볼트는 하우징(5)을 통하여 샤프트(11)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연결 블록(35)의 나사 구멍(60)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3)은 볼베어링이며, 후드(6)의 내측부(6b)는 볼베어링의 베어링 박스(50)를 컵형상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6)의 주변부(6a)의 외주(56)는 하우징(5)의 스텝(74)에서 축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6)의 주변부(6a)는 틈새(54)에 의해 연결 블록(35)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연결 블록(35)과, 후드(6)의 주변부(6a)의 외주(56) 또는 하우징(5) 사이에는 틈새(54)를 밀봉하는 밀봉 수단(7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78)은 하우징(5)과 후드(6) 사이의 외형 분지부(77)나 후드(6)의 주변부(6a)의 외주(56)에 제공된 오목 환부(8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5)는 밀봉 수단(91, 92)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5)는 후드(6)의 주변부(6a)의 축방향 돌출부(90)로 구성되며, 제 1 밀봉 수단(91)은 축방향 돌출부(90)의 반경방향 안쪽에, 제 2 밀봉 수단(92)은 축방향 돌출부(90)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6)의 주변부(6a)로부터 내측부(6b)까지의 전환부에는 외형 분지부(96)가 형성되며, 이 외형 분지부에는 제 1 밀봉 수단(91)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78, 91, 92)은 부분적으로 밀봉 매질, 특히 실리콘으로 구성된 부품이며, 이 부품은 후드(6)와 연결 블록(35) 및 하우징(5)의 조립전에 미경화 상태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13.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78, 91, 92)은 부분적으로 탄성 밀봉링으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6)의 내측부(6b)는 부분 영역(93)에서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후드(6)의 내측부(6b)를 수용하는 연결 블록(35)의 보어(95)는 원추형 부분(94)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터.
KR1019997008887A 1998-02-07 1998-11-02 전기 모터 KR20010005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5003A DE19805003B4 (de) 1998-02-07 1998-02-07 Elektromotor
DE19805003.8 1998-02-07
PCT/DE1998/003191 WO1999040669A1 (de) 1998-02-07 1998-11-02 Elektromo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813A true KR20010005813A (ko) 2001-01-15

Family

ID=7857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887A KR20010005813A (ko) 1998-02-07 1998-11-02 전기 모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15215B1 (ko)
JP (1) JP2001520859A (ko)
KR (1) KR20010005813A (ko)
DE (1) DE19805003B4 (ko)
FR (1) FR2774823B1 (ko)
WO (1) WO199904066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875A (ko) * 2009-09-03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이비에스 모터
USD955033S1 (en) * 2019-03-29 2022-06-14 Technomate Manufactory Limited Lens apparatus for use with flashlights
USD957722S1 (en) * 2019-03-29 2022-07-12 Technomate Manufactory Limited Lens for flashlights
USD959729S1 (en) * 2019-03-29 2022-08-02 Technomate Manufactory Limited Lens for flashligh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4258A1 (de) * 1999-03-29 2000-10-0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Motorangetriebenes Aggregat
EP1307370B1 (de) 2000-07-29 2004-06-16 Robert Bosch Gmbh Pumpenaggregat für ein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DE10131805A1 (de) 2000-07-29 2002-02-07 Bosch Gmbh Robert Pumpenaggregat für ein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JP3730889B2 (ja) * 2001-08-20 2006-01-05 日信工業株式会社 ポンプ作動用モータ
US6707177B1 (en) * 2002-01-15 2004-03-16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Lubrication recirculation and wear protective member for electric motor
JP2003214491A (ja) * 2002-01-23 2003-07-30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ポンプ装置
US20040187677A1 (en) * 2003-03-26 2004-09-30 Delphi Technologies Inc. Compact eccentric-driven pump for a controlled braking system
DE102004036967A1 (de) * 2003-07-31 2005-02-24 Aisin Seiki K.K., Kariya Gleichstrommotor
US7332843B2 (en) * 2004-10-14 2008-02-19 Asmo Co., Ltd. Motor
DE102006027773A1 (de) * 2006-06-16 2007-12-20 Robert Bosch Gmbh Fahrzeugbremsanlagen-Kolbenpumpe
US20080197731A1 (en) * 2007-02-15 2008-08-21 Nidec Corporation Brushless motor and pump mounted with brushless motor
US8040005B2 (en) * 2008-02-08 2011-10-18 Robert Bosch Gmbh Plastic pole housing for an electric motor
EP2905877B1 (en) * 2012-10-04 2018-08-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tary electric machine having integrated drive control device
DE102014110602A1 (de) * 2014-02-28 2015-09-03 Johnson Electric Germany GmbH & Co. KG Gerät mit einem beweglichen Bauteil
US20200187728A1 (en) * 2015-06-04 2020-06-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enser for rolled sheet materials with motorized spindle
DE102016202276B3 (de) * 2016-02-15 2017-04-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xzenter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e Pumpe eines ABS-Systems sowie Pumpe für das ABS-System
DE102017106399B4 (de) * 2017-03-24 2023-10-05 Nidec Corporation Elektromotor
CN110481528B (zh) * 2018-10-24 2020-11-06 京西重工(上海)有限公司 液压控制单元
JP2020174501A (ja) * 2019-04-12 2020-10-22 ロベルト・ボッシュ・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1115517A1 (de) * 2019-12-11 2021-06-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bleitvorrichtung zur ableitung einer elektrischen ladung von einem rotor eines elektromotors
CN113964996B (zh) * 2021-11-03 2023-10-20 广东上水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冷却的绕线式无刷双馈电机
CN114261266B (zh) * 2021-12-17 2023-10-27 安徽皖南新维电机有限公司 一种适用于滑移式装载机安装的行走电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6472A (en) * 1971-08-06 1973-07-17 Rupp Co Warren Submersible electric pump having fluid pressure protective means
DE4105349A1 (de) * 1991-02-21 1992-08-27 Swf Auto Electric Gmbh Elektromotor mit angesetzter pumpe
DE4241827A1 (de) * 1992-12-11 1994-06-16 Teves Gmbh Alfred Geräuschreduziertes Pumpenaggregat, insbesondere für geregelte Bremsanlagen
WO1994027045A1 (de) * 1993-05-12 1994-11-24 Itt Automotive Europe Gmbh Elektromotor-pumpen-aggregat
US5412272A (en) * 1994-01-24 1995-05-02 Mensching; Herman E. Submersible explosion proof electric brake motor
DE59400077D1 (de) * 1994-05-13 1996-02-15 Siemens Ag Motor-Pumpen-Aggregat, insbesondere für einen ABS-Antrieb
DE4430909A1 (de) * 1994-08-31 1996-03-07 Bosch Gmbh Robert Einheit aus Antriebsmotor und Radialkolbenpumpe
DE4433972A1 (de) * 1994-09-23 1996-03-28 Teves Gmbh Alfred Elektromotor, Pumpe sowie ein Elektromotor/Pumpenaggregat
DE4445362A1 (de) * 1994-12-20 1996-06-27 Bosch Gmbh Robert Kolbenpumpe
DE19642133A1 (de) * 1996-10-12 1998-04-16 Bosch Gmbh Robert Motor-Pumpen-Einrichtu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875A (ko) * 2009-09-03 2011-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이비에스 모터
USD955033S1 (en) * 2019-03-29 2022-06-14 Technomate Manufactory Limited Lens apparatus for use with flashlights
USD957722S1 (en) * 2019-03-29 2022-07-12 Technomate Manufactory Limited Lens for flashlights
USD959729S1 (en) * 2019-03-29 2022-08-02 Technomate Manufactory Limited Lens for flashligh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74823A1 (fr) 1999-08-13
DE19805003B4 (de) 2006-09-28
DE19805003A1 (de) 1999-08-12
WO1999040669A1 (de) 1999-08-12
FR2774823B1 (fr) 2004-02-13
US6215215B1 (en) 2001-04-10
JP2001520859A (ja) 2001-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5813A (ko) 전기 모터
US6393929B1 (en) Reducing motor, particularly for operating vehicle fittings
US6182350B1 (en) Electric motor for driving a piston pump and method of assembly
US5564909A (en) Unit comprising a drive motor and a radial piston pump
KR100422275B1 (ko) 냉각팬과모터용비틀림잠금장치부착시스템
US5624193A (en) Ball or roller bearing assembly, in particular a back bearing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alternator
KR101133014B1 (ko) 보조 기계 구동용 벨트의 장력 조정 장치
EP2266190B1 (en) Improved bearing for an electric actuator motor
US5788576A (en) Coupling pulley
KR960702061A (ko) 전기 모터-펌프 조립체(electromotor-pump assembly)
KR940002502A (ko) 2실린더식 밀폐형 전동 압축기 및 그 조립 방법
US6158326A (en) Unit consisting of an electric motor and of a working machine driven thereby
KR20010020196A (ko) 펌프 유닛
US20040160138A1 (en) Dynamoelectric machine
KR102081566B1 (ko) 모터 샤프트 베어링을 구비한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어셈블리
JPH1056753A (ja) 電動モータのアーマチュアシャフト軸支構造
US11466597B2 (en) Electromechanical camshaft adjuster
JP4864341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US6200109B1 (en) Electromotor/pump assembly
KR101865948B1 (ko)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
KR100538941B1 (ko) 왕복동식 압축기
JP4699799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KR20220024155A (ko) 압입 연동 연결 및 이러한 연결을 갖는 벨트 텐셔너
KR100351145B1 (ko) 무윤활 리니어 액츄에이터의 슬리브 조립구조
US6416035B1 (en) Throttl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