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4439A -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439A
KR20010004439A KR1019990025093A KR19990025093A KR20010004439A KR 20010004439 A KR20010004439 A KR 20010004439A KR 1019990025093 A KR1019990025093 A KR 1019990025093A KR 19990025093 A KR19990025093 A KR 19990025093A KR 20010004439 A KR20010004439 A KR 20010004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pool
wire
length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861B1 (ko
Inventor
도창섭
Original Assignee
정생규
홍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생규, 홍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생규
Priority to KR101999002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8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4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 B65H63/08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responsive to completion of unwinding of a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2Automatic winding machines, i.e. machines with servicing unit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end-finding, interconnecting of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controlling and fault-detecting of the running material and replacing or removing of full or empty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lamentary Materials, Packages, And Safety Devic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선기나 연선기를 통하여 신선 또는 연선되어 나오는 와이어 제품의 권취를 위한 권취기의 자동 권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 권취 방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메모리상에 스풀 종류별 기준 권취시간을 저장시키는 단계와, 가이드 롤러의 양편에 장착된 감지센서의 구동에 의해 당해 스풀의 길이 구간을 실제 왕복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실제 권취시간을 검출해 내는 단계와, 상기 실제 권취시간과 기준 권취시간을 비교하여 스풀의 종류를 판별해 내는 단계와, 판별된 스풀의 종류에 따라 당해 스풀에 권취될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와, 카운터로부터 입력되는 와이어의 현재길이를 상기 설정된 와이어 권취길이와 비교하여 설정된 길이에 도달한 때에 권취기를 포함한 장치의 구동제어부로 구동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권취기에 장착되는 스풀의 종류가,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권취시간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저장된 스풀종류별 기준 권취시간의 비교에 의해서, 자동으로 판단되어지고, 또한 트래버스나 센서등의 이상에 의해 권취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기계의 가동의 정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자에게 권취불량 발생을 알려줌으로써 스풀에서의 와이어 권취 품질 향상과 작업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 방법 및 장치{Automatic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신선기나 연선기를 통하여 신선 또는 연선되어 나오는 와이어 제품의 권취를 위한 권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권취기에 장착되는 스풀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스풀에 정해진 길이의 와이어가 권취도록 함과 아울러 권취도중에 권취불량이 발생하는 때에는 권취기를 포함한 장치의 가동이 중지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재 와이어 로드를 단계적으로 신선하여 소정의 직경으로 연신시키는 신선기나, 여러 가닥의 신선선을 서로 꼬아서 일정한 피치로 연선되도록 하여 스틸코드등을 제작하는 연선기에서 최종적으로 신선 또는 연선되어 나오는 와이어는 권취기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스풀(또는 보빈)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진다.
도1은 종래의 신선기나 연선기에 구비되어 있는 와이어 권취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인 것으로 이에 의거하여 스풀에 와이어가 권취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같이, 권취장치는 신선기나 연선기의 인출 캡스턴(도면 미도시)으로부터 인출되어 나오는 신선선이나 스틸코드로서의 와이어(1)를 권취 스풀(2)로 안내하는 트래버스(3)와 스풀이 장착되어 회전하게 되는 권취기 본체(4)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트래버스(2)는 양단부가 지지대(5a)(5b)에 지지된 상태로 모터(6) 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볼스크류 드라이브(7)와, 볼스크류 드라이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볼스크류 드라이브(7)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을 하면서 와이어(1)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8)와, 가이드 롤러(8)의 양 외측에 설치되어 가이드 롤러(8)의 접근에 따라 상기 모터(6)의 회전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촉센서(9)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기 본체(4)는 권취기 구동모터(10)와, 권취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이에 장착되는 스풀(3)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축(11)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는 트래버스 구동용 모터(6) 및 권취기 구동모터(10)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가이드 롤러(8)가 양 접촉센서(9)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면서 와이어(1)를 스풀(3)로 안내함으로써 스풀의 외주면상에 일정한 피치로 와이어의 균일한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권취과정을 통해서 스풀에 권취된 와이어는 포장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타이어 제조업체나 와이어 가공공장으로 출하되는 데, 이들 와이어 제품에 대한 수요자들은 저마다 요구하는 와이어의 길이를 달리하고 있음에 따라 와이어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측에서는 그 크기를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스풀을 마련하여 수요자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같이, 스풀은 그 크기, 보다 정확하게는 스풀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게 됨으로써 신선기나 연선기의 권취장치에 스풀을 장착하여 이에 와이어의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매번 장착된 스풀의 종류에 맞춰서 트래버스의 좌우 이동폭을 결정짓는 접촉센서의 위치를 변화시켜야 하고 또한 그 스풀에 감겨질 길이를 장치의 콘트롤 장치에 셋팅시켜야 한다.
다시말하면, 종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는 권취기에 장착되는 스풀의 길이에 일치하는 간격이 유지되도록 작업자가 손수 접촉센서의 간격을 일차적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권취기를 구동시켜 권취상태를 확인하면서 균일한 권취가 이루어지기 까지 미세조정을 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기계식 접촉센서를 이동시키고 또한 초기 권취상태를 확인하는 데는 대략 10분 내지 2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스풀의 교체시 및 권취초기에 작업자는 당해 권취기에 매달려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 와이어 연선공장이나 신선공장에서 한 작업자는 수십대의 기계를 담당하여 관리하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이 한대의 권취기에서 많은 시간을 빼앗기게 되는 때에는 다른 기계에 대한 체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기계를 통해서 신,연선되어 나오는 와이어 제품의 불량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기계식 접촉센서를 이용한 트래버스의 왕복구동방식에서는 전기적인 고정이나 접점의 이상에 의해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 트래버스의 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이를 자동으로 체크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와 같은 기계고장등을 발견해 내지 못하는 이상 와이어의 권취불량을 피할 수 없게 되고, 이와같이 권취불량이 발생된 스풀에 감겨진 와이어는 리와인딩 머신(Rewinding Machine)을 이용하여 다시 권취를 행하여 정상적인 제품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드러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장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스풀의 종류 및 스풀 종류별 와이어 권취길이등의 정보를 설정해 둠과 아울러 트래버스의 가이드 롤러상에 비접촉식 포토센서를 장착하여 포토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당해 스풀의 길이정보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상에서 비교하여 스풀의 종류를 판단해 내어 당해 스풀에 맞는 길이의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스풀의 자동인식 및 권취길이의 자동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의 권취중에 권취불량이 발생되는 때에 이를 트래버스 이동시간 정보로부터 판별해 내어 권취기를 포함한 장치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권취불량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와이어 권취기에 대한 개략구조도.
도2 및 3은 본 발명의 권취장치에서 보빈의 자동인식 과정을 보인 권취기 에 대한 정면도로서,
도2는 다단 권취 스풀에서 권취초기 상태에 대한 것이고,
도3은 다단 권취 스풀에서 일측 스풀의 권취완료 후 다음 스풀로의 이행 과정에 대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자동권취 제어시스템의 블럭도.
도5는 본 발명의 권취장치에 대한 제어시스템의 플로우 챠트.
도6의 (가) 내지 (다)는 스풀에의 와이어 권취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가)는 정상 권취상태이고,
(나)는 중앙부 권취불량 상태이고,
(다)는 양측부 권취불량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와이어 21. 가이드 롤러
22a, 22b. 감지센서 23, 23'. 스풀
24. 중간면판 25. 사이드 면판
26. 마이크로 프로세서 27. 카운터
28. 권취장치 구동부 29. 콘트롤 패널
30. 경보장치
본 발명의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방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메모리상에 스풀 종류별 가이드 롤러의 이동거리를 저장시키는 단계와, 가이드 롤러의 양편에 장착된 감지센서의 구동에 의해 당해 스풀의 길이 구간을 실제 왕복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검출해 내는 단계와, 상기 가이드 롤러의 이동 소요시간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비교하여 스풀의 종류를 판별해 내는 단계와, 판별된 스풀의 종류에 따라 당해 스풀에 권취될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와, 카운터로부터 입력되는 와이어의 현재길이를 상기 설정된 와이어 권취길이와 비교하여 설정된 길이에 도달한 때에 권취기를 포함한 장치의 구동제어부로 구동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와이어의 권취중에 계속적으로 입력되는 가이드 롤러 이동시간을 체크하여 당해 스풀의 허용 이동시간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장치의 구동제어부로 구동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장치의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장치는, 트래버스의 볼스크류 드라이브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의 양편에 장착되는 비접촉식 감지센서와, 감지센서의 스풀 양측면 감지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가이드 롤러의 이동시간을 기 설정된 스풀 종류별 이동시간과 비교하여 스풀의 종류를 판별해 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 및 3은 본 발명의 권취장치에서 스풀의 자동인식 과정을 보인 권취기에 대한 정면도로서, 도2는 다단 권취 스풀에서 권취초기 상태에 대한 것이고, 도3은 다단 권취 스풀에서 일측 보빈의 권취완료 후 다음 스풀로의 이행 과정에 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신선기나 연선기의 인출캡스턴(도면 미도시)으로부터 인출되어 나오는 와이어(20)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21)의 양편 하부에 비접촉식 감지센서(22a)(22b)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21)에 안내되어 와이어의 권취가 이루어지는 스풀(23)은 권취기 본체의 회전축(보다 자세하게는 주축대와 심압대)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데,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크기(길이)를 달리하는 장스풀(23)과 단스풀(23')이 중간면판(24)에 의해 서로 일직선을 이루며 연결조립되고 이들 스풀(23)(23')의 양측면에는 주축대와 심압대가 압착상태로 결합되는 사이드면판(25)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장스풀(23)은 와이어 제조업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풀의 한 종류로서 B-80형 스풀이고, 단스풀(23')은 B-80에 비해 그 길이가 절반정도로 짧은 B-40형 스풀이다. 상기 도2 및 3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장스풀(23)과 단스풀(23')이 서로 연결조립되어 권취기상에 장착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나, 그 밖에 단일 스풀이 권취기에 장착되거나 동일한 형태의 여러개 스풀이 다단으로 조립되어 권취기에 장착되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권취장치에서 와이어(20)의 단부를 장스풀(23)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권취기 및 인출캡스턴을 구동시켜 장스풀(23)의 회전과 함께 가이드 롤러(21)로부터 와이어(20)의 안내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면 트래버스의 가이드 롤러(21)의 장스풀(23)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풀(23)의 심통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와이어의 권취가 시작된다.
이때, 도2에서와 같이 가이드 롤러(21)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여 점선상태와 같이 가이드 롤러(21)의 우측 감지센서(22b)로부터 장스풀(23)의 우측 플랜지(23b)가 감지되면 볼스크류 드라이브의 이동방향이 역전되어 가이드 롤러(21)는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21)의 상기와 같은 좌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선상태와 같이 가이드 롤러(21)의 좌측 감지센서(22a)로부터 장스풀(23)의 좌측 플랜지(23b)가 감지되면 볼스크류 드라이브의 이동방향이 다시 역전되어 가이드 롤러(21)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가이드 롤러(21)의 장스풀 길이 구간내에서의 반복적인 왕복이동의 결과로 도3에서와 같이 장스풀(23)에 와이어의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장스풀(23)에 소정 길이만큼의 와이어 권취가 완료되면 도3에서와 같이 가이드 롤러(21)가 중간면판(24)을 지나 단스풀(23') 쪽으로 넘어가 단스풀(23')상에 와이어의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간면판(24)에는 와이어(20)의 스풀간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24a)이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는 가이드 롤러(21)의 이동과 함께 상기 안내홈을 따라 단스풀(23') 쪽으로 넘어가서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단스풀(23')에 와이어가 권취되는 과정은 앞서 살펴본 바의 장스풀(23)에서의 권취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가이드 롤러(21)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된 좌,우측 감지센서(22a)(22b)가 가이드 롤러(21)의 이동에 의해 단스풀(23')의 좌,우측 플랜지(23'a)(23'b)를 감지할 때마다 가이드 롤러(21) 이동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단스풀(23')상에 와이어의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단스풀(23')상에 권취되는 와이어가 소정의 설정된 길이에 도달하는 때에는 권취기를 포함한 장치가 정지되어 만권상태의 스풀조립체를 새로운 공스풀 조립체로 교체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롤러(21)에 장착된 감지센서(22a)(22b)를 통해서 권취기에 장착되는 스풀의 길이에 대응하는 구간의 범위로 가이드 롤러(21)의 좌우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바, 현재 장착된 스풀의 종류에 맞는 길이의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소정 길이의 와이어 권취가 완료된 후에는 다음 스풀로 이행되도록 하거나 권취기의 정지가 이루어지록 하는 자동 스풀 인식시스템을 도4 및 도5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 권취 제어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권취장치에 대한 제어시스템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자동 권취 제어 시스템은 현재 권취기에 장착된 스풀의 길이구간 이동시마다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22a, 22b)와, 스풀의 종류에 따른 가이드 롤러의 1회 이동시간(바람직하기로는 1회 왕복시간)이 메모리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6)와, 스풀에 권취되는 와이어의 현재 길이를 검출하여 그 길이값 정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6)로 출력하는 카운터(27)와, 카운터(27)로부터 입력되는 현재의 와이어 권취길이가 현재 장착된 스풀에 정해진 길이에 도달한 것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26)에서 판단된 시점에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권취기를 포함한 장치가 정지되도록 하는 권취장치 구동부(28)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6)에 스풀 종류별 가이드 롤러의 이동시간 및 적정 권취길이값을 입력하는 키패드부가 구비된 콘트롤 패널(29) 및 권취불량시 이를 경보등이나 경고음으로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경보장치(30)로 이루어 진다.
상기 감지센서(22a, 22b)로부터 마이크로 프로세서(26)로 입력되는 가이드 롤러의 1회 왕복소요시간 정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현재 장착된 스풀의 종류를 판단하는 비교데이터로서 역할을 하게 되고, 그 결과로 현재 장착된 스풀의 종류가 판별되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26)에서는 미리 입력된 스풀 종류별 와이어 적정 권취길이를 설정하여 스풀에 그와같이 설정된 길이만큼의 와이어가 감겨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롤러의 1회 왕복소요시간 정보는 와이어의 권취불량을 검출해 내는 비교데이터로도 이용되는 바, 만일 상기 왕복소요시간이 특정 스풀에서의 허용 왕복소요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때에는 트래버스의 고장이나 감지센서의 고장등으로 스풀에 정상적인 권취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같은 때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6)로부터 권취장치 구동부(28)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장치의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와이어의 불량권취가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병행하여 경보장치(30)를 동작시켜 작업자에게 와이어 권취불량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게 된다.
도5의 플로우 챠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 제어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기계가동과 함께 현재 장착된 스풀의 길이만큼의 구간을 왕복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매회 실제 권취시간(t)으로 하여 측정하게 된다. 상기 매회 실제 권취시간(t)이란 가이드 롤러가 현재 장착된 스플의 한쪽끝 부위에서 다른 쪽 끝부위로 이동되기까지 또는 왕복하기까지 소요된 실제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앞서 살펴본 바의 감지센서의 센싱동작에 의해서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에는 스풀 종류별 기준 권취시간(T)이 입력되어 메모리되는 데, 그 구체적인 예로 B-40형 스풀은 약 30초(30±2)이고, B-80형 스풀은 약 60초(60±2)초인 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상기 실제 권취시간(t)을 통하여 현재 장착된 스풀이 B-40형 스풀인지 아니면 B-80형 스풀인지를 판별해 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판별과정을 통해 현재 장착된 스풀이 정해진 상태에서 권취작업을 계속중인 때에도 현재의 권취시간(t)이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데 그 값이 기준 권취시간(T=30±2 또는 60±2) 이내인 경우에는 정상 권취상태로 되어 계속적인 기계가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권취상태 이상이 일어난 경우이므로 기계를 정지시켜 더 이상의 불량권취가 일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현재 장착된 스풀에 권취되는 와이어의 권취길이가 당해 스풀에 정해진 길이만큼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권취가 완료된 것으로 하여 기계의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 데, 이러한 권취완료 시점 파악은 카운터로부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입력되는 현재 와이어의 길이를 기 설정된 스풀 종류별 적정 와이어 권취길이와 비교함에 의해서 가능해지게 된다.
도6은 스풀(23)에 권취되는 와이어(20)의 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는 정상 권취상태이고, (나)와 (다)는 감지센서(22a, 22b)나 트래버스의 이상으로 인하여 스풀의 중앙부나 양측부에서 권취불량이 발생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6의 (나) 및 (다)에서와 같이 권취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때에는 감지센서(22a, 22b)를 통해 감지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26)로 전해지는 현재 권취시간(t)이 기준 권취시간(T) 범위를 벗어나게 되므로 도5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기계의 가동이 정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권취기에 장착되는 스풀의 종류가,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되는 권취시간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저장된 스풀종류별 기준 권취시간의 비교에 의해서, 자동으로 판단되어지고, 또한 트래버스나 센서등의 이상에 의해 권취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기계의 가동이 정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자에게 권취불량 발생을 알려줌으로써 스풀에서의 와이어 권취 품질 향상과 작업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신선기와 연선기의 권취장치는 물론 각종 와이어 제품의 권취장치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경우 스풀에 균일한 피치로 와이어의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스풀 종류별로 적정한 길이만큼의 와이어가 권취된 후 다음 스풀로의 이행 또는 권취완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한 작업자로 하여금 여러대의 기계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아울러 지니고 있다.

Claims (4)

  1.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메모리상에 스풀 종류별 기준 권취시간과 권취길이를 저장시키는 단계와, 가이드 롤러의 양편에 장착된 감지센서의 구동에 의해 당해 스풀의 길이 구간을 실제 왕복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실제 권취시간을 검출해 내는 단계와, 상기 실제 권취시간과 기준 권취시간을 비교하여 스풀의 종류를 판별해 내는 단계와, 판별된 스풀의 종류에 따라 당해 스풀에 권취될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와, 카운터로부터 입력되는 와이어의 현재 길이를 상기 설정된 와이어 권취길이와 비교하여 설정된 길이에 도달한 때에 권취기를 포함한 장치의 구동제어부로 구동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와이어의 권취중에 계속적으로 입력되는 실제 권취시간을 체크하여 당해 스풀의 기준 권취시간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장치의 구동제어부로 구동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장치의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방법.
  3. 트래버스의 볼스크류 드라이브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롤러의 양편에 장착되는 비접촉식 감지센서와, 감지센서의 스풀 양측면 감지에 의해 왕복이동되는 가이드 롤러의 실제 권취시간을 기 설정된 스풀 종류별 기준 권취시간과 비교하여 스풀의 종류 및 권취이상 여부를 판별해 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권취불량 신호에 의해 권취불량 발생을 알려주는 경보장치가 부가적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장치.
KR1019990025093A 1999-06-29 1999-06-29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 방법 및 장치 KR100336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093A KR100336861B1 (ko) 1999-06-29 1999-06-29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093A KR100336861B1 (ko) 1999-06-29 1999-06-29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439A true KR20010004439A (ko) 2001-01-15
KR100336861B1 KR100336861B1 (ko) 2002-05-16

Family

ID=1959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093A KR100336861B1 (ko) 1999-06-29 1999-06-29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8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011A (ko) * 2001-12-13 2003-06-25 엘지전선 주식회사 코일러의 감속 카운터 제어장치
KR100657782B1 (ko) * 2006-01-25 2006-12-14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권사기의 권취량 측정장치
KR20190035492A (ko) * 2017-09-25 2019-04-03 니혼 프스네스 컴퍼니 리미티드 계선 로프 교환구 및 계선 윈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61Y1 (ko) * 2014-01-07 2018-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 드럼의 자동 풀림 장치
KR101870819B1 (ko) 2017-04-18 2018-06-27 주식회사 한국엔에스디 보빈 자동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권취장치
KR101890923B1 (ko) * 2018-02-02 2018-09-28 (주)강성산업 변압기용 시트 권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908B2 (ko) * 1972-12-08 1980-03-06
JPS5242278A (en) * 1975-10-01 1977-04-01 Sumitomo Electric Ind Ltd Cable winding monitoring method
JPS5254183A (en) * 1975-10-30 1977-05-02 Sumitomo Electric Ind Ltd Orderly cable winding method
JPS5489250A (en) * 1977-12-27 1979-07-16 Tamura Seisakusho Kk Apparatus for winding coil bobbin
JPS5493449A (en) * 1977-12-29 1979-07-2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Alignment winding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011A (ko) * 2001-12-13 2003-06-25 엘지전선 주식회사 코일러의 감속 카운터 제어장치
KR100657782B1 (ko) * 2006-01-25 2006-12-14 (재)한국섬유기계연구소 권사기의 권취량 측정장치
KR20190035492A (ko) * 2017-09-25 2019-04-03 니혼 프스네스 컴퍼니 리미티드 계선 로프 교환구 및 계선 윈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861B1 (ko)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6090B1 (en) Monitor of abnormality in a yarn winding apparatus
US93090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a thread to a textile machine with constant tension and constant velocity or quantity
JP6235607B2 (ja) 金属ワイヤを一定の張力及び量で作業機械に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JP6732560B2 (ja) 綾巻きオートワインダの作業ユニットにおいて製造された綾巻きパッケージの密度を最適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10511311A (ja) 自動ばね巻き装置においてコイルばねを最適化して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CN101348200B (zh) 纱线卷绕装置
JP3509756B2 (ja) 糸条加工装置
JP3172221B2 (ja) 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CN101268001B (zh) 操作生产染色筒子的纺纱机的工位的方法
US50744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yarn winding production process
KR100336861B1 (ko) 와이어 제품 권취기의 자동 권취 방법 및 장치
US4998003A (en) Electrical discharge wire-cutting machine
US5029619A (en) Wire monitoring system for a wire handling machine
EP2690047A2 (en) Yarn winding machine
JPS6141330A (ja) 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
JPH10115565A (ja) 走行する糸の糸引張り力を測定する装置
JP6267580B2 (ja) 糸巻取装置及びマーキング形成方法
JP4087150B2 (ja) 線材の巻取り方法
JPS6364376B2 (ko)
US38375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spooling
JP6695330B2 (ja) スプール上にワイヤを正しく巻き取るための方法およびマシン
US50225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feed properties of feed bobbins
KR100318183B1 (ko) 스틸코드 연선기의 단선 검출 장치
KR100299103B1 (ko) 극세물 경강선의 권취피치 제어장치
KR100332670B1 (ko) 스틸코드 연선기의 단선검출기 자기진단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