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617A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인쇄기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617A
KR20010002617A KR1019990022509A KR19990022509A KR20010002617A KR 20010002617 A KR20010002617 A KR 20010002617A KR 1019990022509 A KR1019990022509 A KR 1019990022509A KR 19990022509 A KR19990022509 A KR 19990022509A KR 20010002617 A KR20010002617 A KR 20010002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cleaning roller
cleaning
solven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1577B1 (ko
Inventor
박우용
데이브호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2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5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Landscapes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액상의 용매를 함유하고 있는 클리닝롤러를 감광벨트에 직접 접촉시켜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미전사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용해시키면서 제거하는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감광벨트(10) 주변의 제전유니트(20)와 대전유니트(30) 사이에 설치되며, 인쇄 동작과 동시에 감광벨트의 표면에 밀착되어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를 닦아내는 클리닝롤러조립체(200)와, 클리닝롤러조립체가 용매를 함유한 상태로 감광벨트의 토너를 닦아내도록 클리닝롤러조립체에 용매를 공급하는 수단(300)을 포함한다. 클리닝롤러조립체(200)는 외주에 감광벨트와 접촉하는 클리닝시트(214)가 감겨 있는 클리닝롤러(210)와, 클리닝롤러를 고정하는 홀더(220)와, 홀더를 지지하는 하우징(240)과, 클리닝롤러를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시킴으로써 클리닝롤러가 감광벨트의 표면에 밀착 및/또는 이격되게 하는 수단(250)과, 하우징을 지지하여 인쇄기 본체에 고정하는 프레임(260)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감광벨트의 미전사 토너를 포함하는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감광벨트의 오염으로 인한 화질 저하 및 인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인쇄기{Apparatus for cleaning organic photoconductor belt of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nd prin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 후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용매를 함유하는 클리닝부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인쇄기란 통상의 레이저 프린터 뿐만 아니라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모든 종류의 화상 인쇄장치, 예를 들면 복사기나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 인쇄장치를 총칭한다.
일반적으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을 가지는 고체상의 토너와 용매 역할을 하는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인쇄용지에 전사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크게, 엔진부와 컴퓨터 등과 같은 데이터 출력기로부터 보내온 데이터를 해석하여 인쇄할 화상 데이터를 낱개의 비트(bit)로써 한 장의 페이지로 구성하여 비디오 램(RAM)에 보관하고 엔진이 프린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엔진과 통신한 후에 램에 저장된 데이터를 엔진에 직렬 데이터 형태로 내보내는 콘트롤러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한 예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인쇄기 본체 내에 설치된 롤러(1)(2)(3)에 감겨 일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감광벨트(10)를 구비한다.
상기 감광벨트(10)의 주변에는 감광벨트(10)에 형성된 표면 전위를 소거하기 위한 제전유니트(20)와, 표면 전위가 소거된 감광벨트(1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유니트(30)와, 인쇄될 부분의 전기적인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빔을 대전된 감광벨트(10)에 주사하여 전기적인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노광유니트(40)와, 감광벨트(10)에 고체상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공급하여 감광벨트(10) 표면의 전기적인 잠상이 형성된 부분에 토너를 부착시켜 가시(可視)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50)와, 감광벨트(10)에 부착된 토너 이외의 현상액 중에 포함된 캐리어만을 흡수, 건조시켜 제거하는 건조유니트(60)와, 감광벨트(10)에 화상으로 형성된 토너를 인쇄용지에 옮기는 전사/정착유니트(70) 등이 설치된다.
상기 감광벨트(10)의 내측에는 수개의 백업 롤러(4)(5)(6)(7)가 감광벨트(10)에 밀착하여 종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노광유니트(40)는 각각의 색상, 예컨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에 대응하는 4개의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LSU)(41)(42)(4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상유니트(50)는 상기 감광벨트(10)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회전하는 4개의 현상롤러(51)(52)(53)(54)와 이 현상롤러(51)(52)(53)(54)들에 이웃하게 배치된 스퀴즈롤러(51')(52')(53')(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조유니트(60)는 매니폴더(61) 내의 브래키트(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라이롤러(62)와 이 드라이롤러(62)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히팅롤러(63)(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사/정착유니트(70)는 감광벨트(10)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는 전사롤러(71)와 이 전사롤러(71)와 선택적으로 밀착하는 정착롤러(72)를 구비한다. 인쇄용지(80)는 상기 전사롤러(71)와 정착롤러(72)의 사이를 통과하며, 이 때 상기 전사롤러(71)에 전사된 화상이 인쇄용지(80)에 전사된다. 정착롤러(72)는 인쇄용지에 옮겨진 토너 화상을 열과 압력을 가해서 융착시킨다.
한편,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인쇄기는 상기 현상유니트(50)에 소정농도의 현상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액 공급장치와, 인쇄용지를 공급하여 주는 급지유니트 및 배지유니트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컴퓨터 등과 같은 데이터 출력기로부터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먼저 제전유니트(20)가 작동하여 감광벨트(10)의 잔류 전하를 전기적으로 깨끗하게 소거하고, 이어서 대전유니트(30)에서 고전압을 걸어 감광벨트(10)의 표면을 소정 전위(통상 500∼700V)로 대전시킨다.
그런 다음, 노광유니트(40)에서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벨트(10)에 인쇄될 부분의 전기적인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비임을 주사하여 감광벨트(10)에 전기적인 잠상을 형성한다.
노광 후에는 현상유니트(50)에 의한 현상이 진행되는 바, 이는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을 토너 입자에 의해서 가시화상으로 바꾸는 단계이다. 상기 현상유니트(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액 중 토너를 감광벨트(10)의 전기적인 잠상이 형성된 부분에 부착시켜 감광벨트(10)에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이 때 현상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액상의 캐리어는 현상과 동시에 스퀴즈(squeeze)되면서 1차로 분리, 제거된다.
상기 현상유니트(50)에서 미처 제거되지 않은 캐리어는 건조유니트(60)를 통과하면서 드라이롤러(62)에 의해 흡수된 후 한 쌍의 히팅롤러(63)(63')에 의해 증발되어 제거되며, 이에 의해 감광벨트(10)에 형성된 토너에 의한 화상은 전사에 적합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감광벨트(10)에 현상된 토너에 의한 화상은 전사/정착유니트(70)를 통과하면서 전사롤러(71)에 전사되고, 전사롤러(71)에 전사된 화상은 전사롤러(71)와 정착롤러(72)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용지(80)에 전사됨과 아울러 정착롤러(72)에 의해 열과 압력이 가해지면서 인쇄용지(80)에 완전히 융착된다.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전사/정착단계, 즉 감광벨트(10)에 형성된 토너에 의한 화상이 전사롤러(71)로 전사되는 과정은 감광벨트(10)와 전사롤러(71)와의 표면 에너지 차이, 즉 점착력의 차이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컨대, 감광벨트(10)의 점착력보다 전사롤러(71)의 점착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감광벨트(10)의 토너에 의한 화상이 전사롤러(71)로 전사되는 것이다.
이 때, 고품질의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감광벨트(10)의 화상이 모두 전사롤러(71)에 전사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인쇄시에는 외부 조건 등에 의해 감광벨트(10)와 전사롤러(71)간의 점착력이 적절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감광벨트(10)의 화상이 전사롤러(71)에 모두 전사되지 않고 일부가 감광벨트(10)에 남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감광벨트(10)에 미전사된 일부의 토너가 남아 있게 되면, 이 토너가 다음 화상에 중첩되어 화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미전사된 토너가 벨트 상에서 그대로 굳어지게 되면, 이 부분의 감광벨트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토너는 다음 화상의 현상시에 작용하여 잉크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드라이롤러의 오염원으로도 작용하므로,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를 제거해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사롤러(71)에 인접하게 별도의 클리닝롤러(90)를 전사롤러(71)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감광벨트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인쇄 동작 후 정착롤러(72)를 전사롤러(71)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클리닝롤러(90)를 전사롤러(71)에 밀착시켜 작동시키면서 감광벨트(10)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를 전사롤러(71)에 전사시킨 후, 이 전사롤러(71)를 상기 클리닝롤러(90)를 이용하여 클리닝함으로써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클리닝장치는,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를 일단 전사롤러에 전사시킨 후 이 전사롤러에 전사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구조로써, 클리닝 동작시 감광벨트에서 전사롤러로 전사되지 않는 토너는 제거할 수 없는 등 감광벨트의 오염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클리닝장치는 전사롤러에 클리닝롤러를 단순하게 밀착시켜 전사롤러의 표면을 닦아주는 건식 클리닝구조로써, 전사롤러의 미전사 토너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전사롤러의 점착력이 낮아져 감광벨트의 미전사 토너가 전사롤러로 전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감광벨트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클리닝장치는 인쇄 동작이 완료된 후, 별도의 클리닝모드에서 작동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구조로써, 별도의 클리닝 타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연속 인쇄시에는 감광벨트의 오염을 제거할 수 없음에 따라 감광벨트의 오염에 의한 화질 저하 문제를 해소할 수 없으며, 인쇄 불량을 야기시키는 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감광벨트에 직접 접촉하여 클리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상의 용매를 함유하고 있는 클리닝롤러를 감광벨트에 직접 접촉시켜 감광벨트의 미전사 토너를 용해시키면서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클리닝 시간을 가지지 않고 인쇄기의 인쇄 동작과 동시에 감광벨트에 접촉하여 클리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연속 인쇄시에도 감광벨트의 미전사 토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감광벨트의 오염으로 인한 화질 저하를 방지하고 보다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광벨트 클리닝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측면도.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감광벨트 20;제전유니트
30;대전유니트 40;노광유니트
50;현상유니트 60;건조유니트
70;전사/정착유니트 71;전사롤러
72;정착롤러 80;인쇄용지
100;감광벨트 클리닝장치 200;클리닝롤러조립체
210;클리닝롤러 211;클리닝롤러 축
212;펠트 214;클리닝시트
220;클리닝롤러 홀더 221,221';홀더의 고정블록
221b;고정블록의 나사공 222;클리닝시트 권취축
230;홀더 브래키트 240;하우징
241;장공 242;원형공
243;안내레일 250;클리닝롤러 승강수단
251;이동축 252;작동돌기
253;캠홈 260;프레임
263;슬라이드 홈 270;스프링
280;스프링 탄성 조정용 나사 300;용매공급수단
310;용매저장탱크 320;용매전달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는, 인쇄 동작과 동시에 감광벨트의 표면에 밀착되어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오염제거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오염제거수단은 감광벨트 주변의 전사/정착유니트와 대전유니트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는, 오염제거수단이 용매를 함유하여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를 용해시키면서 제거하도록 오염제거수단으로 용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용매공급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오염제거수단은 감광벨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클리닝롤러조립체와,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시킴으로써 클리닝롤러조립체가 상기 감광벨트의 표면에 밀착 및/또는 이격되게 하는 수단과, 상기 하우징을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며 인쇄기 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는, 축상에 복수의 얇은 원판형 펠트가 끼워져 고정된 클리닝롤러와, 이 클리닝롤러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블록을 갖는 클리닝롤러홀더와, 홀더 브래키트를 포함한다.
상기 클리닝롤러의 외주면에는 클리닝시 실제 감광벨트와 접촉하는 클리닝시트가 감겨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에는 클리닝롤러의 축 양단이 끼워지는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에는 그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나사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고정블록에는 권취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권취축에는 클리닝롤러에 감겨 있는 클리닝시트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축을 돌리면 클리닝롤러에 감겨 있는 클리닝시트가 일정량만큼 풀리면서 권취축에 감기게 된다. 이에 의해 감광벨트의 표면에는 항상 오염되지 않은 청결한 상태의 클리닝시트가 접촉하면서 오염물질을 닦아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브래키트는 한 쌍의 고정블록에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 나사공에는 하우징에 대하여 클리닝롤러홀더를 하측으로 탄력 지지함으로써 클리닝롤러가 일정 압력으로 감광벨트에 밀착되게 하는 스프링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나사공에는 그 하부에서부터 상측으로 스프링을 지지함과 아울러 스프링의 탄성을 조정할 수 있는 스프링 탄성 조정용 나사가 체결된다.
상기 클리닝롤러 승강수단은, 상기 홀더의 고정블록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소 이상의 위치에 축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수개의 작동돌기와, 상기 작동돌기가 삽입되도록 홀더 브래키트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소정 경사를 갖는 캠홈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의 작동돌기와 홀더 브래키트의 캠홈의 작용에 의해 클리닝롤러조립체가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한다.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축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이 장공의 하측에는 홀더의 개구부를 통하여 설치된 이동축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의 후면에는 상기 홀더 브래키트의 캠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동축에 형성된 작동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장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후면에는 안내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하우징의 안내레일이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하우징을 프레임에 손쉽게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매공급수단은, 인쇄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용매를 저장하는 용매저장탱크와, 상기 용매저장탱크로부터 클리닝롤러조립체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용매저장탱크의 용매를 클리닝롤러조립체에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용매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클리닝롤러가 회전하고 있는 감광벨트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감광벨트를 클리닝하므로, 전사롤러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클리닝롤러가 용매를 함유한 상태로 감광벨트에 밀착하여 감광벨트를 클리닝하기 때문에,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 및 각종 오염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인쇄기 본체 내에 설치된 수개의 롤러에 감겨 일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감광벨트와, 상기 감광벨트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유니트와, 인쇄될 부분의 전기적인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빔을 대전된 감광벨트에 주사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전기적인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니트와, 상기 감광벨트에 고체상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공급하여 감광벨트의 전기적인 잠상이 형성된 부분에 토너를 부착시켜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감광벨트에 부착된 토너 이외의 현상액 중에 포함된 캐리어만을 흡수, 건조시켜 제거하는 건조유니트와, 상기 감광벨트에 화상으로 형성된 토너를 인쇄용지에 옮기는 전사/정착유니트와, 상기 전사/정착유니트와 대전유니트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감광벨트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면서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는, 인쇄 동작과 동시에 감광벨트의 표면에 밀착되어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 및 각종 오염물질을 닦아 내는 클리닝롤러조립체와,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가 용매를 함유하여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를 용해시키면서 닦아 내도록 클리닝롤러조립체에 용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클리닝롤러조립체는, 축상에 복수의 얇은 원판형 펠트가 끼워져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감광벨트와 접촉하는 클리닝시트가 감겨 있는 클리닝롤러와, 상기 클리닝롤러를 지지하는 것으로써 클리닝롤러의 축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나사공이 각각 형성된 고정블록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롤러에 감겨 있는 클리닝시트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클리닝시트를 권취할 수 있는 권취축을 갖는 클리닝롤러홀더와, 상기 홀더의 한 쌍의 고정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홀더 브래키트와, 상기 홀더 브래키트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양측면에는 홀더의 권취축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클리닝롤러홀더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시킴으로써 클리닝롤러가 상기 감광벨트의 표면에 밀착 및/또는 이격되게 하는 수단과, 상기 하우징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며 인쇄기 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는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 나사공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클리닝롤러홀더를 하측으로 탄력 지지함으로써 상기 클리닝롤러가 일정 압력으로 감광벨트에 밀착되게 하는 한 쌍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함과 아울러 스프링의 탄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공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체결된 한 쌍의 스프링 탄성 조정용 나사를 더 구비한다.
용매공급수단은, 인쇄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용매를 저장하는 용매저장탱크와, 상기 용매저장탱크로부터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용매저장탱크의 용매를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에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용매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인쇄동작과 동시에 용매를 함유하고 있는 클리닝롤러가 감광벨트에 밀착하여 지속적으로 감광벨트를 클리닝하기 때문에, 연속 인쇄시에도 감광벨트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감광벨트의 오염으로 인한 화질 저하 및 인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감광벨트 클리닝장치가 채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요부인 감광벨트 클리닝장치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첨부한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측면도,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저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따라서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감광벨트, 20은 제전유니트, 30은 대전유니트, 40은 노광유니트, 50은 현상유니트, 60은 건조유니트, 70은 전사/정착유니트, 80은 인쇄용지, 90은 전사롤러 클리닝롤러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100은 감광벨트 클리닝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벨트(10)는 인쇄기 본체 내에 설치된 롤러(1)(2)(3)에 감겨 일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전유니트(20), 대전유니트(30), 노광유니트(40), 현상유니트(50), 건조유니트(60) 및 전사/정착유니트(70)는 감광벨트(10)의 주변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 클리닝롤러(90)는 상기 전사/정착유니트(70)의 전사롤러(7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전사롤러(71)에서 인쇄용지(80)로 전사되지 않고 남아 있는 토너를 제거한다.
상기 감광벨트 클리닝장치(100)는 상기 제전유니트(20)와 대전유니트(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전사과정에서 전사롤러(71)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벨트(10)에 남아 있는 미전사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부호 101은 백-업 롤러이다.
감광벨트 클리닝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동작과 동시에 감광벨트(10)의 표면에 밀착되어 감광벨트(10)의 미전사된 토너 및 각종 오염물질을 닦아내는 클리닝롤러조립체(200)와,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200)가 용매를 함유하여 감광벨트(10)의 미전사된 토너를 용해시키면서 닦아내도록 클리닝롤러조립체(200)에 용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200)는 클리닝롤러(210)와, 상기 클리닝롤러(210)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블록(221)(221')을 가지는 클리닝롤러홀더(220)와, 상기 클린롤러홀더(220)의 고정블록(221)(221')에 일체로 결합되는 홀더 브래키트(230)와, 상기 홀더 브래키트(23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우징(240)과, 상기 클리닝롤러홀더(220)를 상기 하우징(240)에 대하여 승강시킴으로써 클리닝롤러홀더(220)에 지지된 클리닝롤러(210)가 상기 감광벨트(10)의 표면에 밀착 및/또는 이격되게 하는 수단(250)과, 상기 하우징(240)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며 인쇄기 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롤러(210)는 축(211)상에 복수의 얇은 원판형 펠트(212)가 수평하게 끼워져 이루어진다. 상기 축(211)의 양단에는 내부에 끼워진 펠트(212)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너트(213)(213')가 각각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클리닝롤러(210)의 외주면에는 클리닝시 실제 감광벨트(10)의 표면에 접촉하는 클리닝시트(214)가 감겨 있다.
상기 클리닝롤러홀더(2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고정블록(221)(221')에는 클리닝롤러(210)의 양측으로 돌출된 축(211)의 단부가 끼워지는 고정공(2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221)(221')에는 그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나사공(22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블록(221)(221')에는 클리닝롤러(210)에 감겨 있는 클리닝시트(214)의 타단부를 고정하여 권회할 수 있는 권취축(22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취축(222)의 일단부에는 손으로 잡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손잡이(223)가 설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상기 손잡이(223)를 잡고 권취축(222)을 회전시켜 클리닝시트(214)를 감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클리닝시트(214)는 항상 오염되지 않은 새로운 면(깨끗한 면)이 감광벨트(10)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브래키트(230)는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220)의 고정블록(221)(221')에 수개의 스크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블록(221)(221')과 홀더 브래키트(230)의 대응위치에는 수개의 나사체결공(224)(2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브래키트(230)는 고정블록(221)(221')의 나사공(221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관통공(236)과, 상기 제 1 관통공(236)과 이웃하게 형성된 제 2 관통공(237)을 가진다. 이 제 2 관통공(237)은 고정블록(221)(221')에 대하여 클리닝롤러(210)의 축을 고정하는 나사를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나사는 고정블록(221)(221')의 나사체결공(221c)에 체결되나,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240)은 하부가 개구된 박스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내부 공간에 상기한 클리닝롤러홀더(220)가 수용되어 지지된다. 하우징(240)의 양측면에는 홀더(220)의 고정블록(221)(2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축(22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장공(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241)의 하부에는 원형공(2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공(242)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그리고, 하우징(240)의 전후면에는 안내 레일(243)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홀더(220)에 클리닝롤러(210) 및 홀더 브래키트(230)를 조립하기 위한 나사(도시되지 않음)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2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40)의 후면에는 안내장공(246)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안내장공(246)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상기 클리닝롤러 승강수단(250)은 상기 클린롤러홀더(220)의 고정블록(221)(221')에 형성된 개구부(221d)를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축(251)과, 상기 이동축(251)의 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소 이상의 위치에 이 축(251)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수개의 작동돌기(252)와, 상기 작동돌기(252)가 삽입되도록 홀더 브래키트(230)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소정 경사를 갖는 캠홈(2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축(251)은 하우징(240)에 형성된 원형공(242)에 끼워져 설치되며, 이 축(251)의 일단에는 축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노브(254)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돌기(252)는 상기 캠홈(253)을 관통하여 하우징(240)의 안내장공(246)에 삽입되어 있다. 이 안내장공(246)은 작동돌기(25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브(254)를 손으로 잡고 밀거나 당기면, 이동축(251)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축(251)에 고정된 작동돌기(252)는 홀더 브래키트(230)의 캠홈(253)에 관통하여 하우징(240)의 안내장공(246)에 삽입되어 있고, 또 상기 이동축(251)은 하우징(240)의 원형공(24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이동축(251)이 이동함에 따라 캠홈(253)에서의 작동돌기(252)의 위치가 변하면서 캠홈(253)의 형상에 따라 홀더 브래키트(230)가 하우징(240)내에서 승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 브래키트(230)와 클리닝롤러홀더(220)는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클리닝롤러(210)가 승강하는 것이 되며, 이에 의해 클리닝롤러(210)가 감광벨트(10)의 표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게 된다.
상기 프레임(260)은 그 상부에 인쇄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6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양측부에는 상기 하우징(240)의 안내레일(243)이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홈(263)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260)에 하우징(240)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손쉽게 끼워 넣거나 빼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클리닝롤러조립체에서 감광벨트(10)의 표면에 밀착되는 클리닝롤러(210)는 소정의 압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는 오염물질의 효과적인 제거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요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리닝롤러홀더(220)의 고정블록(221)(221')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221b)에 클리닝롤러홀더(220)를 상기 하우징(240)에 대하여 하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270)을 개재하여 클리닝롤러(210)가 감광벨트(10)에 일정 압력으로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스프링(270)의 탄성이 약해져 클리닝롤러(210)가 일정 압력을 유지하지 못할 때, 상기 스프링(270)의 탄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단으로 상기 나사공(221b)에 그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한 쌍의 스프링 탄성 조정용 나사(280)를 체결하여 스프링(270)의 탄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스프링(270)은 그 상부가 하우징(240)에 형성된 돌기(245)에 삽입, 지지되어 있고, 그 하부는 나사공(221b)에 체결된 스프링 탄성 조정용 나사(280)의 플랜지부(281)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탄성 조정용 나사(280)을 정,역 회전시키게 되면, 스프링(270)이 현상태보다 압축되거나 이완되면서 스프링의 탄성을 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클리닝롤러(210)의 감광벨트(10)에 대한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클리닝장치를 구성하는 용매공급수단(300)은 인쇄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용매를 저장하는 용매저장탱크(310)와, 상기 용매저장탱크(310)로부터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200)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용매저장탱크(310)의 용매를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200)에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용매전달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매전달부재(320)는 펠트로 할 수 있으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용매로는 현상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액상의 캐리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감광벨트 클리닝장치가 채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 과정을 설명한다.
기본적인 인쇄 과정은 이미 설명한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인쇄과정과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즉,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의 데이터 출력기로부터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감광벨트(10)가 소정 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감광벨트(10)의 표면 전위를 소거하는 단계, 감광벨트를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단계, 대전된 감광벨트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단계, 현상된 토너에 의한 화상에 포함된 캐리어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감광벨트에 형성된 토너에 의한 화상을 전사롤러로 전사하여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이 때, 상기 전사/정착단계에서 종래와 같은 이유로, 감광벨트(10)의 토너에 의한 화상이 모두 전사롤로(71)로 전사되지 못하고 감광벨트(10)에 오염원으로써 남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감광벨트(10)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은 제전유니트(20)와 대전유니트(30)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닝장치(100)에 의해 제거된다.
즉, 상기 감광벨트 클리닝장치의 클리닝롤러조립체(200)가 인쇄 동작과 동시에 하강하여 감광벨트(10)에 소정의 압력으로 밀착하면서 감광벨트(10)의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닦아낸다. 따라서 감광벨트(10)의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200)의 클리닝롤러(210)에는 용매저장탱크(310)의 용매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클리닝롤러(210)는 용매를 함유한 상태에서 감광벨트(10)의 표면에 밀착하여 감광벨트(10)의 오염을 제거한다. 따라서 감광벨트에서 굳어진 토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리닝롤러(210)에 의한 클리닝 동작은 인쇄가 진행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된다. 이 때, 클리닝롤러(210)에 감겨 있는 클리닝시트(214)가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손잡이(223)를 이용하여 클리닝시트 권취축(222)을 회전시켜 클리닝시트(214)를 권취한다. 그러면 클리닝롤러(210)에 감겨 있는 클리닝시트(214)가 풀리면서 상기 권취축(222)에 감기고, 이에 따라 클리닝롤러(210)에는 클리닝시트(214)의 새로운 면이 노출되어 감광벨트(10)와 접촉하면서 계속적인 클리닝 동작이 수행된다. 즉 감광벨트에 항상 오염되지 않은 클리닝시트가 접촉하므로, 클리닝시트에 의한 감광벨트의 재오염 현상없이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사/정착단계에서 전사롤러로 전사되지 못하고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이 대전단계 전에서 감광벨트와 밀착하는 클리닝롤러에 의해 거의 대부분 제거되므로, 감광벨트의 오염으로 인한 화질 저하 및 인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동작과 동시에 클리닝롤러가 감광벨트에 밀착하여 지속적으로 감광벨트를 클리닝하므로, 별도의 클리닝 모드 및 이를 위한 시간을 할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인쇄에 소요되는 전체적인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또 연속 인쇄시에도 감광벨트가 오염되는 일이 없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또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됨은 자명하다.

Claims (11)

  1.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주변의 전사/정착유니트와 대전유니트 사이에 설치되며, 인쇄 동작과 동시에 감광벨트의 표면에 밀착되어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오염제거수단; 및
    상기 오염제거수단이 용매를 함유하여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를 용해시키면서 제거하도록 상기 오염제거수단에 용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제거수단은,
    상기 감광벨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하여 감광벨트의 오염물질을 닦아 내는 클리닝롤러조립체;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시킴으로써 클리닝롤러조립체가 상기 감광벨트의 표면에 밀착 및/또는 이격되게 하는 수단; 및
    상기 하우징을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며 인쇄기 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는,
    축상에 복수의 얇은 원판형 펠트가 끼워져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감광벨트와 접촉하는 클리닝시트가 감겨 있는 클리닝롤러;
    상기 클리닝롤러를 지지하는 것으로써, 클리닝롤러의 축 양단이 끼워지는 고정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나사공이 각각 형성된 고정블록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롤러에 감겨 있는 클리닝시트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클리닝시트를 권취할 수 있는 권취축을 구비하는 클리닝롤러홀더;
    상기 홀더의 한 쌍의 고정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홀더 브래키트;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 나사공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클리닝롤러홀더를 하측으로 탄력 지지함으로써 상기 클리닝롤러가 감광벨트에 일정 가압력을 가지고 밀착되게 하는 한 쌍의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함과 아울러 스프링의 탄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공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체결된 한 쌍의 스프링 탄성 조정용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롤러 승강수단은,
    상기 홀더의 고정블록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축;
    상기 이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소 이상의 위치에 이 축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수개의 작동돌기; 및
    상기 작동돌기가 삽입되도록 홀더 브래키트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소정 경사를 갖는 캠홈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의 작동돌기와 홀더 브래키트의 캠홈의 작용으로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가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공급수단은,
    인쇄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용매를 저장하는 용매저장탱크; 및
    상기 용매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오염제거수단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용매저장탱크의 용매를 상기 오염제거수단에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용매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6. 인쇄기 본체 내에 설치된 수개의 롤러에 감겨 일정 궤도를 회전 주행하는 감광벨트;
    상기 감광벨트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유니트;
    인쇄될 부분의 전기적인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빔을 대전된 감광벨트에 주사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전기적인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니트;
    상기 감광벨트에 고체상의 토너와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공급하여 감광벨트의 전기적인 잠상이 형성된 부분에 토너를 부착시켜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니트;
    상기 감광벨트에 부착된 토너 이외의 현상액 중에 포함된 캐리어만을 흡수, 건조시켜 제거하는 건조유니트;
    상기 감광벨트에 화상으로 형성된 토너를 인쇄용지에 옮기는 전사/정착유니트; 및
    상기 전사/정착유니트와 대전유니트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감광벨트에 선택적으로 밀착하면서 상기 감광벨트에 남아 있는 미전사된 토너를 포함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 클리닝장치는,
    인쇄 동작과 동시에 감광벨트의 표면에 밀착되어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 및 각종 오염물질을 닦아 내는 클리닝롤러조립체; 및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가 용매를 함유하여 감광벨트의 미전사된 토너를 용해시키면서 닦아 내도록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에 용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는,
    축상에 복수의 얇은 원판형 펠트가 끼워져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감광벨트와 접촉하는 클리닝시트가 감겨 있는 클리닝롤러;
    상기 클리닝롤러를 지지하는 것으로써, 클리닝롤러의 축 양단이 끼워지는 고정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나사공이 각각 형성된 고정블록과,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롤러에 감겨 있는 클리닝시트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클리닝시트를 권취할 수 있는 권취축을 갖는 클리닝롤러홀더;
    상기 클리닝롤러홀더의 한 쌍의 고정블록에 일체로 결합되는 홀더 브래키트;
    상기 홀더 브래키트를 수용하여 지지하며, 양측면에는 상기 클리닝롤러홀더의 권취축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클리닝롤러홀더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시킴으로써 클리닝롤러가 상기 감광벨트의 표면에 밀착 및/또는 이격되게 하는 수단; 및
    상기 하우징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며 인쇄기 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는,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 나사공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클리닝롤러홀더를 하측으로 탄력 지지함으로써 클리닝롤러가 감광벨트에 일정 가압력을 가지고 밀착되게 하는 한 쌍의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함과 아울러 스프링의 탄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공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체결된 한 쌍의 스프링 탄성 조정용 나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롤러 승강수단은,
    상기 홀더의 고정블록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축;
    상기 이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소 이상의 위치에 이 축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수개의 작동돌기; 및
    상기 작동돌기가 삽입되도록 홀더 브래키트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된 소정 경사를 갖는 캠홈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의 작동돌기와 홀더 브래키트의 캠홈의 작용으로 상기 클리닝롤러가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공급수단은,
    인쇄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용매를 저장하는 용매저장탱크; 및
    상기 용매저장탱크로부터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용매저장탱크의 용매를 상기 클리닝롤러조립체에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용매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1999-0022509A 1999-06-16 1999-06-1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인쇄기 KR100381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509A KR100381577B1 (ko) 1999-06-16 1999-06-1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인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509A KR100381577B1 (ko) 1999-06-16 1999-06-1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인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617A true KR20010002617A (ko) 2001-01-15
KR100381577B1 KR100381577B1 (ko) 2003-04-26

Family

ID=1959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509A KR100381577B1 (ko) 1999-06-16 1999-06-1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인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5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0965B2 (ja) * 1994-09-16 2003-08-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10104957A (ja) * 1996-09-27 1998-04-24 Ricoh Co Ltd 湿式画像形成装置の転写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
JPH10101957A (ja) * 1996-10-02 1998-04-21 Nisshin Steel Co Ltd 2色の色調を発現する顔料
KR100247989B1 (ko) * 1997-08-27 2000-03-15 윤종용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벨트크리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1577B1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3176B1 (en) Apparatus for cleaning transfer roller and optical photoreceptor of printing device
US20020172525A1 (en) Charg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247989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벨트크리닝장치
KR19990069625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 롤러 클리닝장치
US5999778A (en) Developing device of wet type printer
KR10038157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 가지는 인쇄기
KR10035406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및 이 클리닝장치를가지는 인쇄기
JP2869061B1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感光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
KR100462617B1 (ko) 폐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9990004967U (ko) 화상형성장치
US20030235441A1 (en)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subsidiary intermediate transfer unit for improving transfer efficiency
KR100304611B1 (ko) 화상형성장치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KR100412487B1 (ko) 중간 전사부재 크리닝장치를 갖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US6243553B1 (en) Method for cleaning the developer for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H03100676A (ja) 帯電装置
KR200166532Y1 (ko) 대전 롤러의 크리닝 장치
KR10038598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100243237B1 (ko) 전사사진방식프린터용현상기
KR10029775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건조 유니트 크리닝장치
KR100338066B1 (ko)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 유니트 장치
KR100465331B1 (ko) 인쇄기기의 현상기 전원 공급장치
KR10030461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대전장치
KR10033542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전사롤러크리닝장치
JPH11249390A (ja) 画像形成装置
JPH0925862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