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410A -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410A
KR20010002410A KR1019990022203A KR19990022203A KR20010002410A KR 20010002410 A KR20010002410 A KR 20010002410A KR 1019990022203 A KR1019990022203 A KR 1019990022203A KR 19990022203 A KR19990022203 A KR 19990022203A KR 20010002410 A KR20010002410 A KR 20010002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ttenuation
level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122B1 (ko
Inventor
홍성철
신성호
이두헌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1999002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12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9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movable installations on wheels or the like
    • A01G25/092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movable installations on wheels or the like movable around a pivot cent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접속(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쇠하는 감쇠기(10); 상기 감쇠기(10)에 의해 감쇠된 신호를 비례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11); 상기 전력 증폭기(11)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기(12); 상기 전력 검출기(12)로부터 검출되는 전력 레벨이 출력 상한값 이하로 설정된 기준 레벨로 되도록 상기 감쇠기(10)의 감쇠 값을 제어하는 제어기(13); 및 상기 제어기(13)에 의해 조절된 상기 감쇠값을 아라비아 숫자 또는 바 그래프 등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시간 검출된 중계기 또는 기지국의 송출 출력이 설정된 출력 상한값 이상인 조건에서 전력 증폭기의 자체 정지(Shutdown) 기능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상기 출력 상한값 안으로 오도록 자동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력 증폭기의 보호는 물론 전력 증폭기 고장 발생 시 나타날 수 있는 현재 통화중인 호의 절단 및 타 단말기의 통화 방해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CDMA system}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접속(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DMA 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중계장치의 출력 단에 설치되는 전력 증폭기의 입력 신호 레벨을 제어하여 그 전력 증폭기를 보호함은 물론 고 전력 신호의 송출로 인한 통화 불능 상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CDMA 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의 출력 단에 고 전력 증폭기( High Power Amplifier : HPA ) 또는 선형 증폭기( Linear Power Amplifier : LPA )와 같은 전력 증폭기를 구비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고 전력 레벨로 증폭한 후 송출하게 된다.
상기 전력 증폭기는 비례 증폭 특성을 갖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이 계속하여 증가하면 출력신호의 전력 레벨도 계속하여 증가되도록 비례 증폭하여 고 전력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데, CDMA 중계방식의 통신 시스템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다른 코드를 이용해 중복 사용하므로, 전력 레벨의 제어 없이 무조건 입력 신호의 레벨에 비례하여 전력 증폭한 후 출력하게 되면, 어느 한 통화로의 잡음이나 신호세기가 너무 크게 되어 다른 통화로의 통신을 불가능하게 만들게 되며 또한, 전력 증폭기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이 증가하여 그 전력 증폭기 출력 레벨이 최대 출력 레벨 이상이 되면 상기 전력 증폭기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파괴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지하공간 등 지상의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공간에 설치되는 중계장치의 안테나(또는 짧은 누설 동축케이블)와 아동 단말기간의 거리가 아주 가까운 경우에 상기와 같은 타 단말기의 통화불능상태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통화불능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지국에서는 각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세력이 기지국 및 중계기에 동일한 세기로 수신되도록 단말기의 출력을 상시 제어하게 되지만, 이와 같은 제어를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완벽하게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CDMA 중계장치에서는 일정한 한계출력레벨을 정해두고 그 한계출력레벨 이상의 출력( Over Power )이 방사되면 출력단의 전력증폭기의 기능을 정지( Shutdown )시키거나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타 단말기의 통화 방해 현상 및 전력 증폭기의 파괴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전 감쇠율을 -10dB로 하고, LPA( 또는 HPA )의 이득은 60dB이고 출력이 45dBm이면 자동 기능 정지되도록 하였을 경우, 증폭전 입력 신호가 -5dBm 이하이면 감쇠 및 증폭 후 출력은 +45dBm 이하가 되어 상기 LPA는 정상 상태를 유지하나, 증폭전 입력 신호가 -5dBm 이상이면 감쇠 및 증폭 후 출력은 +45dBm 이상이 되어 상기 LPA는 자동 기능정지되고 알람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력 증폭기의 기능을 정지하거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면 현재 통화 중인 호의 서비스 중단( Out of Service ) 상태가 발생됨은 물론, 운용자의 수동적인 복구 전에는 그 전력 증폭기의 기능이 복구되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며, 상기 오버 파워에 의한 상기 전력 증폭기의 기능 정지 시 운용자가 그 장애를 즉시 인식하지 못하거나 감시 장치로 장애 보고가 되지 않는 상황이 반복될 경우 그 전력 증폭기의 성능 악화로 양호한 통화 품질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일부의 전력 증폭기 중에 오버 파워에 의한 자동 기능 정지 시 그 기능을 자동으로 복구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으나 단순히 일정시간 대기 후 인에이블하기 때문에, 통화가 단절되었던 단말기들이 거의 동시에 호 요구를 반복하게되는 경우 전력이 순간 집중되어 다시 오버 파워 상태가 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스파크성 신호가 단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입력되거나 또는 증폭 용량을 초과하는 레벨이 계속 입력되는 경우 반복적인 기능 정지 상태가 유발되어 해당 전력 증폭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서비스 품질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CDMA 시스템의 기지국 및/또는 중계 장치의 출력 단에 설치된 전력 증폭기의 출력 전력 레벨을 실시간 자동 제어하며, 순간적인 과전력 입력 시 그 과전력의 입력횟수 및 입력 주기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신호 레벨 및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그 출력 레벨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전력 증폭기의 파괴 현상, 통화 중인 호의 단절, 및 타 단말기의 통화 방해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출 전력 제어모드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기능 복구를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의 감쇠 및 감쇠 복구에 대한 처리 절차를 계단식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기능 자동복구 처리 절차를 사건 발생 및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CDMA 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에 구비된 전력 증폭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쇠기 11 : 전력 증폭기
12 : 전력 검출기 13 : 제어기
14 : 표시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는,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쇠하는 감쇠수단; 상기 감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수단; 상기 증폭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전력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 미만이 되도록 상기 감쇠수단의 감쇠 값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방법은, 전력 증폭수단의 출력 전력의 레벨을 감시하는 제 1단계; 상기 출력 전력이 출력 상한 값인 한계 레벨 이상이면, 증폭전 입력 전력을 감쇠하여 상기 출력 전력을 상기 한계 레벨 미만의 제 1일정 레벨로 조절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조절된 출력이 일정 크기 이상 저하되면, 상기 입력 전력에 대한 감쇠를 복구하여 상기 한계 레벨 미만의 제 2일정 레벨로 조절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의 블록도로서,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쇠하는 감쇠기(10); 상기 감쇠기(10)에 의해 감쇠된 신호를 비례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11); 상기 전력 증폭기(11)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기(12); 상기 전력 검출기(12)로부터 검출되는 전력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로 되도록 상기 감쇠기(10)의 감쇠 값을 제어하는 제어기(13); 및 상기 제어기(13)에 의해 조절된 상기 감쇠값을 아라비아 숫자 또는 바 그래프 등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 증폭기(11)는 선형 전력 증폭기( Linear Power Amplifier : LPA ) 또는 고 전력 증폭기( High Power Amplifier : HPA )로 구성되고, 과전력( Over Power )이 입력될 시에는 알람( alarm )을 발생한 후 동작 기능이 정지( Shutdown )된다. 상기 제어기(13)는 상기 과전력 입력으로 인한 상기 전력 증폭기(11)의 기능 정지( Shutdown ) 상태 발생 시, 상기 감쇠기(10)의 감쇠 값을 추가하고 일정시간 대기한 후 상기 전력 증폭기(11)를 인에이블( enable )시키도록 하는 바, 그 추가 감쇠 값은 트래픽이 없을 때 통화 범위( coverage )를 결정하는 전력레벨을 기준으로 트래픽 풀( traffic full )인 경우에 증가된 전력 값에 대응하는 감쇠 값으로 설정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서, 동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출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과 도 1 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을 병행하도록 한다.
도 1에서, CDMA 시스템의 기지국(미도시) 또는 중계기(미도시)에 순방향으로 입력된 신호는 상기 감쇠기(10)에 입력되고, 상기 감쇠기(10)는 그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을 초기 설정된 감쇠값 만큼 감쇠한 후 출력한다. 상기 감쇠기(10)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전력 증폭기(11)로 입력되고, 그 전력 증폭기(11)는 상기 초기 감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고 전력으로 비례 증폭한 후 안테나(Ant.)를 통하여 무선 송출하면, 이동 단말기(미도시)는 상기 무선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송출 전력 제어모드 시의 흐름도(20)이고, 도 4는 도 2에 서 감쇠 및 감쇠 복구에 대한 처리 절차를 계단식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상기 설명과 같은 동작과 동시에 상기 제어기(13)는 상기 전력 검출기(12)를 통하여 검출된 상기 전력 증폭기(11)의 출력 신호의 전력 레벨이 한계 레벨( 또는 출력 상한 값이라 함 ) 이상인가를 연속적으로 감시하고( S21 ), 이상이면 상기 감쇠기(10)의 감쇠값을 상승 변경함과 아울러 그 상승 감쇠값을 상기 표시장치(1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S22 ). 이때, 상기 초기 감쇠값에 추가되는 상승 감쇠값(X)은 상기 검출기(12)를 통하여 검출된 검출값에서 기 설정된 제 1일정 레벨값을 뺀 값으로서, 상기 제 1일정 레벨값은 기 설정된 전력증폭기(11)의 출력 상한 값( 또는 한계 레벨(α)이라 함 )(dB)에서 1 dB를 뺀 값으로 설정한다. 즉, 상승 감쇠값 X(dB) = 검출값 - ( 출력상한값 - 1dB ) 이며, 상기 검출값은 약 10∼15회 검출된 전력레벨의 평균값으로 한다.
이어, 상기 상승 감쇠값(X)을 추가하여 상기 감쇠기(10)의 감쇠값을 변경한 다음, LPA 또는 HPA의 소자 특성을 고려하여 약 1.5초 후에 상기 전력 증폭기(11)의 출력 레벨을 검출하고 감시한다( S23 ), 이때의 검출값이, 상기 출력 상한값에서 3 dB를 뺀 값 이하일 경우(S24), 상기 단계 S22에서 추가된 상승 감쇠값을 1 dB 단위로 한 단계씩 하강 복구하여 상기 검출값이 제 2 일정 레벨로 될 때까지 복구하도록 하되, 복구 중 상기 감쇠기(10)의 감쇠값이 초기 감쇠값이 되면 그 복구를 중단하도록 한다. 상기 제 2 일정 레벨은 상기 출력 상한값에서 2 dB를 뺀 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감쇠에 대한 복구 완료 전에, 전원 또는 송출전력 제어모드( Power Limit : PL 모드 )가 턴-오프(turn-off)되면 현재의 출력 레벨을 기억하였다가, 턴-온(turn-on)된 경우 상기 제 3단계의 감쇠 복구 조건이면 미복구된 감쇠 값의 복구를 지속한다( S26 ). 또한, 상기 감쇠에 대한 복구 완료 전에, 운용자에 의한 상기 전력 증폭수단의 디스에이블( disable )상태나, 고온( High Temp. ), 역방향(Reverse) 장애, 또는 온도 상한에 의한 상기 전력 증폭수단의 기능 정지( Shutdown ) 상태가 발생될 경우, 상기 감쇠 복구를 중단하고 초기 감쇠 상태( 즉, 감쇠기의 초기 감쇠값 상태 )로 돌아가도록 한다( S27 ).
한편, 본 발명의 송출 전력 제어 모드(S20)의 수행 중에, 운용자에 의한 감쇠값의 변경 요구, 출력 제한 및 온도 상한에 의한 기능 정지(Shutdown) 모드의 오프 요구 또는 상기 한계 레벨의 변경 등의 요구 시, 이 요구를 정상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고, 상기 감쇠 값의 변경 요구 시에는 기 설정된 상기 초기 감쇠 값은 유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송출 전력 제어 모드 수행시 과 전력( Over Power )에 의한 상기 전력 증폭기(11)의 기능 정지( Shutdown )가 발생하면 그 전력 증폭기(11)의 기능을 자동으로 복구시키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3의 기능 자동복구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상기 제어기(13)는 도 2와 같은 송출 전력 제어 모드(S20) 수행시 순간적인 스파크(Spark)성 과 전력( Over Power )에 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11)의 기능 정지( Shutdown ) 상태가 발생하는 지를 감시하고( S31 ), 기능 정지 시 상기 전력 증폭기(11)는 알람(alarm)을 발생하므로 상기 제어기(13)는 그 알람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11)의 기능 정지 상태를 알게 된다. 상기 단계 S31에서, 상기 제어기(13)는 기능 정지 상태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감쇠기(10)의 현재 감쇠값에 트래픽이 없을 때 통화 범위( coverage )를 결정하는 전력레벨을 기준으로 트래픽 풀( traffic full )인 경우에 증가된 전력 값에 대응하는 감쇠값을 추가하여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쇠하고, 일정시간 대기한 다음 상기 전력 증폭기(11)에 인에이블( Enable )신호를 인가하여 그 기능을 자동 복구한 후( S32 ), 상기 송출 전력 제어 모드 단계(S20)를 계속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단계 S32에서, 상기 추가 감쇠값은 약 6dB 정도이며, 그 추가 감쇠 후 대기 시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정지( Over Power 1 ) 발생시 약 30초이고 2회 정지 발생시( Over Power 2 )는 약 2분으로 설정하며, 1회부터 3회 발생시 까지를 1 주기(Cycle)로 한다.
이어, 상기 기능 정지의 발생 횟수 및 상기 기능 정지의 1회 발생 시부터 기 설정된 일정 회수( 3회 ) 발생 시까지( 1 Cycle )의 경과시간을 감시하여( S33 ), 그 경과시간이 일정 시간( 10분 )을 초과된 경우 도 2의 송출전력 제어모드 단계(S20)에서의 감쇠 복구 조건이면 미복구된 감쇠 값의 복구를 지속하고( S34 ), 그 경과시간이 상기 일정시간( 10분 ) 이하일 경우 상기 감쇠 복구 조건이면 그 감쇠 복구를 중단하고 감쇠 초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한다( S35 ).
만일, 상기 단계 S32에서의 상기 인에이블을 위한 대기 시간 중, 운용자에 의한 상기 전력 증폭기(11)의 디스에이블 요구, 고온 및 역방향 장애에 의한 상기 전력 증폭기(11)의 디스에이블 상태가 될 경우 수행 중이던 해당 루틴( Routine )을 종료하고 추가된 감쇠값을 모두 복구하여 감쇠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
만일, 상기 단계 S32에서의 상기 인에이블을 위한 대기 시간 중, 운용자의 인에이블 명령에 의해 상기 전력 증폭기(11)의 기능이 복구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된 감쇠값은 유지하고 기능 복구 단계는 주기의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
만일, 상기 전력 증폭기(11)의 기능 복구 중, 전원이 오프 되었다가 다시 온된 경우 추가된 감쇠값은 그대로 유지하고 상기 기능 복구 단계는 주기의 처음 상태로 돌아간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DMA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실시간 검출된 중계기 또는 기지국의 송출 출력이 설정된 출력 상한값( 일반적으로 HPA/LPA 전력 증폭기의 최대 출력으로 설정 ) 이상인 조건에서 전력 증폭기의 자체 정지(Shutdown) 기능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상기 출력 상한값 안으로 오도록 자동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력 증폭기의 보호는 물론 현재 통화중인 호의 절단 및 타 단말기의 통화 방해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파크성 과전력 입력신호에 의해 불가피하게 상기 전력 증폭기가 정지될 경우에는 그 과전력의 입력횟수 및 입력 주기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신호 레벨을 조정하고 자동 복구시킴으로써 기능 정지 시간을 단축시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이동 통신망의 신호 송출 장치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쇠하는 감쇠수단;
    상기 감쇠된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수단;
    상기 증폭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전력 레벨이 상기 전력 증폭수단의 출력 상한 레벨 이하의 값에서 설정된 기준 레벨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감쇠수단의 감쇠 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과전력( Over Power ) 입력으로 인한 상기 전력 증폭수단의 정지( Shutdown ) 상태 발생 시, 상기 감쇠수단의 감쇠 율을 증가시키고 일정시간 대기한 후 상기 전력 증폭수단의 증폭동작을 인에이블( enable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된 감쇠율에 의한 감쇠 값은 트래픽이 없을 때 통화 범위( coverage )를 결정하는 전력레벨을 기준으로 트래픽 풀( traffic full )인 경우에 증가되는 전력 값에 상응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4. 이동 통신망의 신호 송출 방법에 있어서,
    신호 송출단으로부터 전력 증폭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감시하는 제 1단계;
    상기 출력 전력이 한계 레벨( 출력 상한 값 ) 이상이면, 전력 증폭전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쇠하여 상기 출력 전력을 상기 한계 레벨 미만으로 기 설정된 제 1일정 레벨로 조절하는 제 2단계;
    상기 조절된 출력이 일정 크기 이상 저하되면, 상기 전력 증폭전 신호에 대한 감쇠를 복구하여 상기 한계 레벨 미만으로 기 설정된 제 2일정 레벨로 조절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에 대한 복구 완료 전에, 전원 또는 송출전력 제어모드( Power Limit : PL 모드 )가 턴-오프(turn-off)되면 현재의 출력 레벨을 기억하였다가, 턴-온(turn-on)된 경우 상기 제 3단계의 감쇠 복구 조건이면 미복구된 감쇠 값의 복구를 지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 감쇠된 감쇠 값이 모두 복구되면 그 복구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3단계의 수행중, 과 전력( Over Power )에 의한 상기 전력 증폭의 기능 정지( Shutdown ) 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전력 증폭전 신호의 전력 레벨을 감쇠하고 일정 시간 대기한 다음 그 전력 증폭 기능을 자동 복구한 후 상기 기능 정지 전에 수행 중이던 단계를 계속하여 수행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기능 정지의 초기 발생 시부터 기 설정된 일정 회수의 기능정지 발생 시까지의 경과시간을 감시하여, 그 경과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된 경우 상기 제 3단계의 감쇠 복구 조건이면 미복구된 감쇠 값의 복구를 지속하고, 그 경과시간이 상기 일정시간 이하일 경우 상기 제 3단계의 감쇠 복구 조건이면 그 감쇠 복구를 중단하고 감쇠 초기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방법.
KR1019990022203A 1999-06-15 1999-06-15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203A KR100609122B1 (ko) 1999-06-15 1999-06-15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203A KR100609122B1 (ko) 1999-06-15 1999-06-15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410A true KR20010002410A (ko) 2001-01-15
KR100609122B1 KR100609122B1 (ko) 2006-08-04

Family

ID=1959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203A KR100609122B1 (ko) 1999-06-15 1999-06-15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191B1 (ko) * 2005-01-27 2007-09-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 중계기의 오버파워 자동복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135B1 (ko) * 1994-12-03 1998-04-08 양승택 송신 출력장치 및 방법
KR100212053B1 (ko) * 1995-12-30 1999-08-02 윤종용 기지국 송출전력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9980022540A (ko) * 1996-09-23 1998-07-06 구자홍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
KR100496528B1 (ko) * 1996-11-27 2005-09-30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이동통신시스템송신전력제어방법및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191B1 (ko) * 2005-01-27 2007-09-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 중계기의 오버파워 자동복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122B1 (ko) 200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2500C1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и волоконной линии, а также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US6583899B1 (en) Automatic protection system for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7586672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7664392B2 (en) Automatic power restoring method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CA226628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tical signal power in response to faults in an optical fiber path
US6807001B1 (en) Auto shutdown for distributed raman amplifiers o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US8036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ation of optical ring network operating conditions after a fault is repaired
KR100609122B1 (ko)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998130A (ja) 無線中継装置の異常発振検出回路
EP1017192B1 (en) Automatic protection system for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KR101520395B1 (ko) 신호중계장치 및 신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JPH09130328A (ja) 光送信方法および光送信装置
JP2008283426A (ja) 無線中継増幅装置
KR2001006400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
JPH1188226A (ja) デジタル携帯電話機の送信制御回路
KR100987366B1 (ko)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
JPH08335904A (ja) 移動局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S6155287B2 (ko)
CA2293512A1 (en) Automatic protection system for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KR20040041209A (ko) 감쇠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JPH10215016A (ja) 光増幅器
KR100288798B1 (ko) 위성지구국에서의 송신출력 제어방법
CN117118503A (zh) 光传输系统及眼保护方法
JPH0993174A (ja) 無線中継増幅装置
JP2007300482A (ja) 無線中継増幅装置、無線中継増幅システム、無線中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