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4006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4006A
KR20010064006A KR1019990062120A KR19990062120A KR20010064006A KR 20010064006 A KR20010064006 A KR 20010064006A KR 1019990062120 A KR1019990062120 A KR 1019990062120A KR 19990062120 A KR19990062120 A KR 19990062120A KR 20010064006 A KR20010064006 A KR 20010064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ower
high power
control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진
김희석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6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4006A/ko
Publication of KR2001006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Y02B60/50

Landscapes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출력이 설정된 최대치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가변 감쇄기를 동작시켜 출력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증폭기의 파손 및 호 서비스(Call Service)의 단절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기지국 운영 및 제어부에서 고전력 제어를 위한 기능을 동작시키고, 고전력 증폭기에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세팅하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 전력과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비교하여, 출력 전력이 고전력 제한 설정치 이상이 되면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증가시켜 출력 전력을 소정치 낮추고, 제어국으로 고전력 제한 알람을 송출한다. 또한, 출력 전력 감소후 설정 시간 후에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소정치 감소시켜 출력 전력을 다시 소정치 상승시키고, 출력 전력과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출력 전력이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 이하가 되면 현재의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유지하고, 발생시킨 고전력 제한 알람을 클리어시킨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BTS pow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지국 출력이 설정된 최대치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가변 감쇄기를 동작시켜출력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증폭기의 파손 및 호 서비스(Call Service)의 단절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방식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DCS) 및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PCS) 등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옥외에 전 방향성 안테나 또는 섹터 안테나를 설치하고, 옥내에 고전력 증폭기를 안테나 송신단에 연결하고, 상기 옥내에 저잡음 증폭기를 안테나 수신단에 각각 연결하여 구성되며, 고전력 증폭기에서는 송신 전력을 증폭하는 역할을 하며, 저잡음 증폭기는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일 섹터 기지국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에 설치되는 안테나(11)(12)(13)와, 옥내에 설치되는 송수신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20)와, 고출력 증폭기(30)와, 잡음 발생기(40)와, 트랜시버 셀프(50)와, GPS 수신기(60)와, 디지털 셀프(70)와, 기지국 제어기(80)와, 고장진단 감시장치(90)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단일 섹터 기지국 장치는, 순방향 링크시 트랜시버 셀프(50)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는 고출력 증폭기(30)에서 증폭된 후 송수신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20)내의 송신 필터를 거쳐 옥외에 설치된 송신 안테나(11)를 통해 송신된다.
아울러 역방향 링크는 옥외에 설치된 수신안테나(12)(13)를 통해 수신되고,그 수신된 신호는 옥내의 송, 수신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20)내의 수신 필터를 거친 후 저잡음 증폭기(20)에서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상기 트랜시버 셀프(50)에 전달된다.
여기서, 트랜시버 셀프(50)는 디지털 셀프(70)로부터 출력되는 IF신호를 UHF로 상향 변환하고, 역으로 수신된 UHF신호를 IF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0은 기지국 운영 및 제어부이고, 90은 경보신호 검출부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셀내에 다수의 기지국이 구비되며, 원거리 기지국에는 무인으로 구현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무인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기지국 전력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 출력 전력이 높다는 것은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 예를 들어, LPA 또는 HPA)에 과도한 전력이 입출력되고 있다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종래에는 전력 증폭기 자체에서 이를 검출하고 자가 보호 차원에서 스스로 자동 셧 다운(Auto Shut Down)이 되면서 제어국의 종합 상황실에 보고를 한다.
이때 전력 증폭기는 자동 셧다운 상태이므로 동작을 하지 않으며, 따라서 호 서비스가 중단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무인 기지국 장치에서 전력 제어 방법은, 기지국 출력 전력이 최대치가 되면 자가 보호 차원에서 전력 증폭기가 자동 셧 다운되고, 알람을 종합 상황실에 보고하게 되는데, 이때 전력 증폭기가 셧다운 상태이므로 현재 서비스하고 잇는 호가 단절되는 문제점을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 출력이 설정된 최대치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가변 감쇄기를 동작시켜 출력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증폭기의 파손 및 호 서비스(Call Service)의 단절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 검출기와 가변 감쇄기가 구비된 고전력 증폭기, 송수신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 기지국 운영 및 제어부로 이루어진 기지국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운영 제어부에서 고전력 제어를 위한 기능을 동작시키고,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세팅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출력 전력과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비교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출력 전력이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 이상이 되면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증가시켜 출력 전력을 소정값 낮추고, 제어국으로 고전력 제한 알람을송출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출력 전력 저감후 설정 시간후에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소정값 감소시켜 출력 전력을 다시 소정값 상승시키고, 상기 제 2 단계로 리턴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후 출력 전력과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출력 전력이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 이하가 되면 현재의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유지하고, 발생시킨 고전력 제한 알람을 클리어시키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송수신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
30 : 고출력 증폭기(전력 증폭기)
80 : 기지국 운영 및 제어부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지국 장치는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와 동일하며, 전력 증폭기인 고출력 증폭기(30)에는 전력 검출기와 가변 감쇄기가 구비되고,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지국 장치에 구현된다.
첨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력 제한 기능을 구동시키는 단계(S1)와,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세팅하는 단계(S2)와, 출력 전력과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비교하는단계(S3)와, 상기 출력 전력이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 보다 크거나 같으면 가변 감쇄기의 감쇠레벨을 증가시켜 출력 전력을 낮추는 단계(S4)와, 고전력 제한 알람을 송출하는 단계(S5)와, 상기 출력 전력을 낮춘 후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6)와,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했으면 가변 감쇄기의 감쇠레벨을 감소시켜 출력 전력을 상승시키고, 상기 단계(S3)로 리턴하는 단계(S7)와, 상기 출력 전력이 고전력 제한 설정치 이하가 되면 가변 감쇄기의 현재 감쇠레벨을 유지하는 단계(S8)와, 상기 단계(S8)후 고전력 제한 알람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9)와, 상기 확인 결과 고전력 제한 알람이 발생된 경우에는 그 발생된 고전력 제한 알람을 클리어시키는 단계(S1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은, 먼저 단계 S1에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지국 운영 및 제어부에서 고전력 제한 기능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단계 S2에서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세팅한다. 여기서 고전력 제한 설정치는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이 최대치일 경우 고전력 증폭기의 파손과 셧다운 방지를 위한 설정값이며, 고출력 증폭기내 전력 검출기에 비교값으로 세팅된다.
단계 S3에서는 상기 고출력 증폭기의 출력 전력과 상기 세팅된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상기 출력 전력이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 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에는 출력 전력을 제어해야 한다고 판단을 하고, 단계 S4로 이동하여 상기 고전력 증폭기내 구비된 가변 감쇄기의 감쇠레벨을 증가시켜 자동으로 출력 전력을 소정값(예를 들어, 3dB) 감소시킨다.
그리고 단계 S5에서 상기 기지국 운영 및 제어부에서 제어국으로 고전력 제한 알람을 송출하고, 단계 S6에서 상기와 같은 출력 전력 제어가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 ~ 2분 : 임의로 설정 가능함)을 경과했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출력 전력의 제어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현재의 감쇠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상기 출력 전력의 제어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하면 단계 S7에서 다시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쇠레벨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감소시키면, 상기 단계 S3으로 리턴하여 다시 출력 전력과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비교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일차 가변 감쇄기의 레벨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출력 전력이 고전력 제한 설정치 보다 낮아지면, 다시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출력 전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은 최초에 세팅된 감쇠레벨까지 점차 감쇠 시키는 방향으로 감쇠 레벨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최초에 세팅된 감쇠 레벨만큼 낮춘 상태에서, 상기 출력 전력과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비교하여, 출력 전력이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 보다 낮아지면 단계 S8로 이동하여 가변 감쇄기의 현재 감쇠 레벨 값을 유지하고, 단계 S9에서 고전력 제한 알람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고전력 제한 알람이 발생된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이동하여고전력 제한 알람을 클리어시키고, 이와는 달리 고전력 제한 알람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최초 단계로 리턴을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에서 과도한 출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가변 감쇄기를 통해 과도한 출력을 제어 및 안정화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증폭기의 자동 셧다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지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의 자동 셧다운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과도한 출력 발생시에도 전력 증폭기의 지속적인 동작이 가능하므로, 호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력 검출기와 가변 감쇄기가 구비된 고전력 증폭기, 송수신 필터 및 저잡음 증폭기, 기지국 운영 및 제어부로 이루어진 기지국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운영 및 제어부에서 고전력 제어를 위한 기능을 동작시키고,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세팅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 전력과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비교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출력 전력이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 이상이 되면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증가시켜 출력 전력을 소정치 낮추고, 제어국으로 고전력 제한 알람을 송출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출력 전력 감소후 설정 시간 후에 상기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소정치 감소시켜 출력 전력을 다시 소정치 상승시키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후 출력 전력과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출력 전력이 상기 고전력 제한 설정치 이하가 되면 현재의 가변 감쇄기의 감쇠 레벨을 유지하고, 발생시킨 고전력 제한 알람을 클리어시키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
KR1019990062120A 1999-12-24 1999-12-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 KR20010064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120A KR20010064006A (ko) 1999-12-24 1999-12-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120A KR20010064006A (ko) 1999-12-24 1999-12-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006A true KR20010064006A (ko) 2001-07-09

Family

ID=1962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120A KR20010064006A (ko) 1999-12-24 1999-12-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40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190B1 (ko) * 2002-09-30 2005-09-08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형 전력 증폭기의 과전력 리미트구현 방법
WO2011123100A1 (en) * 2010-03-30 2011-10-06 Skyworks Solutions, Inc. Gai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adjustable power lev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190B1 (ko) * 2002-09-30 2005-09-08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선형 전력 증폭기의 과전력 리미트구현 방법
WO2011123100A1 (en) * 2010-03-30 2011-10-06 Skyworks Solutions, Inc. Gai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adjustable power lev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9074A (en) Hand-held cellular telephone with power management features
EP10818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boosting and monitoring
US8515339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ctive combiner/splitters
KR100859557B1 (ko) 알에프 중계기
JP2006505146A (ja) 順方向リンク電力制御式リピータ
CN104869627A (zh) 一种信号放大增益调整方法、装置及相关设备
JP5171529B2 (ja) 中継送受信装置
KR2001006400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방법
JP2004260489A (ja) 干渉を回避するための受信品質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101520395B1 (ko) 신호중계장치 및 신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JPH0998130A (ja) 無線中継装置の異常発振検出回路
KR10123769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0609122B1 (ko)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847785B2 (ja) 無線中継増幅システム、無線中継方法
JP3283854B2 (ja) 発着呼規制装置および発着呼規制方法
US202200707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king up bda
KR20090110499A (ko) 무선통신 중계기와 그 설치 안내 방법
JPH0993174A (ja) 無線中継増幅装置
US668749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288798B1 (ko) 위성지구국에서의 송신출력 제어방법
EP1237298B1 (en) Control Method for a Repeater System Having Oscillation Preventing Function and Automatic Reverse Output Disabling Function for Non-Subscriber
KR1009083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KR100281627B1 (ko) 무선통신 중계기의 노이즈 감소 회로
JP2003198400A (ja) Rf受信器及び無線通信装置
CN117544193A (zh) 一种塔顶放大器、通讯系统及通讯系统运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