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366B1 -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 - Google Patents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366B1
KR100987366B1 KR1020080058557A KR20080058557A KR100987366B1 KR 100987366 B1 KR100987366 B1 KR 100987366B1 KR 1020080058557 A KR1020080058557 A KR 1020080058557A KR 20080058557 A KR20080058557 A KR 20080058557A KR 100987366 B1 KR100987366 B1 KR 100987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noise level
signal
transmission path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345A (ko
Inventor
이덕재
박민우
안선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플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플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플웍스
Priority to KR102008005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366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 H04B2210/07Monitoring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a supervisory signal
    • H04B2210/071Monitoring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a supervisory signal using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Path) 최종단에서의 전대역 노이즈레벨을 검출하여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에 활용토록 한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측을 향하는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최종단에서의 전대역 역방향 전송신호를 추출하는 역방향 전송신호 추출단계와; 상기 역방향 전송신호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전대역 역방향 전송신호의 노이즈레벨을 검출하는 노이즈레벨 검출단계와; 상기 노이즈레벨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노이즈레벨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역방향 이득이 정상상태인지 또는 불량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광중계기의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서도 현재 광중계기의 전대역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가입자의 민원이 없이도 현장 검증을 통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광중계기(Optical Repeater), 노이즈레벨(Noise Floor Level), RF 커플러(RF Coupler)

Description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Method For Observing Revers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Optical Repeater}
본 발명은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최종단에서의 전대역 노이즈레벨을 검출하여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에 활용토록 한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계기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장애물에 의하여 전파환경이 열화된 전파음영 지역에서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확장하거나 통신량이 많은 지역의 통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기지국과 가입자(또는 단말기) 사이의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계기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식에 따라 RF 중계기(Radio Frequency Repeater), 광중계기(Optical Repeater)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중 광중계기는 기지국에서 송신된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한 후 광케이블을 통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광신호를 다시 무선주파수 신호로 재변환하여 서비스 지역으로 송출하는 방식으로 통신하는 광전자 장치이다.
광중계시스템은 신호의 전송 방향에 따라 신호의 방향이 기지국에서 서비스 지역의 리모트(Remote)로 향하는 순방향 채널과 신호의 방향이 서비스 지역의 리모트에서 기지국으로 향하는 역방향 채널로 구분된다.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신호를 해당 서비스 지역의 리모트(Remote)에서 수신하게 된다. 신호를 수신한 리모트는 이를 적절한 이득으로 증폭하여 광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광신호는 광케이블을 통하여 기지국에 설치된 마스터(Master)로 전송된다. 마스터에 수신된 광신호는 광모듈을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이 되고, 변환된 전기 신호는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 RFM)을 통한 신호처리 과정이 수행된 후 기지국으로 출력된다.
종래의 광중계기의 경우 서비스 지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의 호가 걸리는 때에만 역방향 신호가 입력이 되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역방향 신호전송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역방향 신호전송시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는 일정한 역방향 이득(Gain)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광중계시스템의 환경에 따라 역방향 이득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수~수십 데시벨(dB)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만약 광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이 저하되어 광중계기가 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있지 못하게 되거나 외부의 중계기로부터 발생된 발진 신호가 광중계시스템으로 이입되는 경우, 이동국 셀 내의 가입자 단말기의 통화 품질이 낮아지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현재 운용중인 광중계기에 있어서는 광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이에 대한 감시방법이 없어 광중계기가 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상태인지 확인이 불가능하며,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상에서 발생되는 문제로 인해 서비스 지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 품질이 낮아지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가 되어도 전혀 알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종래의 경우 가입자들의 민원을 통해서만 통화 품질 불량이나 서비스 불능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입자의 민원이 없는 경우 광중계기가 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광중계기를 정상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운용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역방향 이득이 일정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에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알람(Alarm)을 발생하는 등의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으나, 종래의 광중계기의 경우 이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역방향 이득이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호가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도 전대역에서의 역방향 전송신호의 노이즈레벨을 검출하여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측을 향하는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최종단에서의 전대역 역방향 전송신호를 RF 커플러에 의해 커플링하는 신호 커플링단계와; 상기 신호 커플링단계에서 RF 커플러에 의해 커플링된 전대역 역방향 전송신호를 저잡음증폭기에 의해 증폭하는 커플링신호 증폭단계와; 상기 커플링 신호 증폭단계에서 저잡음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대역 역방향 전송신호의 노이즈레벨을 검출기로 측정하는 노이즈레벨 측정단계와; 상기 노이즈레벨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노이즈레벨을 컨트롤러로 보고하는 노이즈레벨 보고단계와; 상기 노이즈레벨 보고단계에서 노이즈레벨을 보고받은 컨트롤러에서 노이즈레벨을 하한 임계값과 비교하고, 노이즈레벨이 하한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노이즈레벨이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 하한 임계값에 미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역방향 이득이 열화된 불량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하한 비교단계와; 상기 노이즈레벨 보고단계에서 노이즈레벨을 보고받은 컨트롤러에서 노이즈레벨을 상한 임계값과 비교하고, 노이즈레벨이 상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노이즈레벨이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 발진신호가 광중계시스템 내부로 이입된 불량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한 비교단계와; 상기 하한 비교단계에서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역방향 이득이 열화된 불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알람발생부에서 역방향 이득이 열화된 불량상태임을 알리는 저이득 알람을 발생하고, 상기 상한 비교단계에서 외부 발진신호가 광중계시스템 내부로 이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알람발생부에서 외부 발진신호가 이입되었음을 알리는 발진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를 상시 감독하여 실시간으로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노이즈레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광중계기의 서비스를 중단하지 않고서도 현재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가입자의 민원이 없이도 현장 검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게 되어 이동국 가입자 단말기의 통화 품질 및 광중계기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특정대역이 아닌 전대역의 역방향 전송신호의 노이즈레벨을 검출하여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에 활용하는 것이므로, 호(Call)가 걸려 순간적으로 역방향 파워가 높아졌다가 사라지는 경우와 외부 발진신호가 이입되어 높은 파워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게 되어 외부 발진신호가 광중계시스템 내부로 이입되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감시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감시시스템을 설명한다.
우선,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신호는 해당 서비스 지역의 리모트(Remote, 106)에서 수신되며, 수신된 신호는 광신호로 변환된 후 광케이블(107)을 통해 기지국 측에 설치된 마스터(Master)로 전송된다. 전송된 광신호는 광모듈(109)을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신호는 RF 모듈(100)에서 신호처리된 후 기지국으로 출력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최종단, 즉 RF 모듈(100) 출력단에서의 출력신호 노이즈레벨을 검출하여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시스템은 RF 커플 러(Coupler, 101)와, 저잡음증폭기(102)와, 검출기(Detector, 103)와,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 ; MCU)(104) 및 알람발생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 커플러(101)는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최종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RF 모듈(100)에서 기지국(108)으로 전송되는 메인 신호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역방향 전송신호를 커플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잡음증폭기(102)는 상기 RF 커플러(101)에 의해 커플링된 역방향 전송신호를 입력받아 노이즈레벨(Noise Level) 측정이 가능한 수준까지 역방향 전송신호를 증폭시킨다.
검출기(103)는 저잡음증폭기(102)에 의해 증폭된 역방향 전송신호의 노이즈레벨을 측정하고 측정된 노이즈레벨을 컨트롤러(104)로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트롤러(104)는 상기 검출기(103)에 의해 측정되어 보고된 역방향 전송신호의 노이즈레벨을 상한 임계값 및 하한 임계값과 비교하여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에 문제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알람 발생부(105)는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컨트롤러(104)의 제어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시스템은 전송신호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방식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신호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Flow Chart)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은 역방향 전송신호 추출단계(S10)와; 노이즈레벨 검출단계(S20)와; 비교판단단계(S30,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역방향 전송신호 추출단계(S10)는 신호 커플링단계(S11)와 커플링신호 증폭단계(S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이즈레벨 검출단계(S20)는 노이즈레벨 측정단계(S21)와 노이즈레벨 보고단계(S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교판단단계(S30,S40)는 하한 비교단계(S30)와 상한 비교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은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최종단에 커플러(Coupler)와 파워(Power) 검출회로를 추가하여 전대역에 해당하는 역방향 전송신호를 추출하고(S10), 상기 추출된 역방향 전송신호의 노이즈레벨을 측정하고(S21) 측정된 노이즈레벨을 컨트롤러에 보고하여(S22) 초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 후 정상 상태인지 불량인지를 판단하여(S30) 운용자에게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은 우선 실시간으로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최종단에서의 역방향 전송신호를 추출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이 때, 일정 시간 주기마다 역방향 전송신호를 추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RF 모듈(100)에서 기지국(108)으로 전송되는 메인신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광중계시스템의 최종단에서의 전대역 역방향 전송신호를 RF 커플러(101)로 커플링하고(S11), 커플링된 역방향 전송신호를 노이즈레벨(Noise Level) 측정이 가능한 수준까지 저잡음증폭기(102)로 증폭한다(S12).
만약 RF 중계기, 광중계기, 초소형 중계기에서 발진이 일어나는 경우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위의 중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광중계시스템의 서비스 대역 내로 주위의 중계기에서 발생된 발진 신호가 이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대역의 노이즈레벨만 측정하게 되면 외부 발진신호를 검출하지 못할 수 있으나, 전대역(All Band)의 노이즈레벨을 검출하면 단말기의 호(Call)가 걸려 순간적으로 역방향 파워가 높아졌다가 사라지는 경우와 외부 발진신호가 이입되어 높은 파워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구분이 되므로 외부 발진을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광중계기의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은 특정대역의 역방향 전송신호를 추출하지 않고, 전대역의 역방향 전송신호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서 외부 발진신호가 광중계시스템 내부로 이입되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커플링된 역방향 전송신호가 증폭되면 증폭된 역방향 전송신호의 노이즈레벨을 검출기(103)로 측정하는 단계가 수행되며(S21), 노이즈레벨이 측정되면 측정된 노이즈레벨을 컨트롤러(104)로 보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2).
컨트롤러(104)에서는 측정되어 보고받은 노이즈레벨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역방향 이득이 정상상태인지 또는 불량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0, S40). 즉, 노이즈레벨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노이즈레벨을 기 설정된 하한 임계값과 비교하여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역방향 이득이 열화된 불량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하한 비교단계(S30)와, 노이즈레벨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노이즈레벨을 기 설정된 상한 임계값과 비교하여 외부 발진신호가 광중계시스템 내부로 이입된 불량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한 비교단계를 수행한다(S40).
만약 검출된 노이즈레벨을 하한 임계값과 비교(S31)하여 노이즈레벨이 하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한 비교단계(S40)를 수행한다.
만약 검출된 노이즈레벨을 하한 임계값과 비교(S31)하여 노이즈레벨이 하한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노이즈레벨이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 하한 임계값에 미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노이즈레벨이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 하한 임계값에 미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저이득 알람을 발생(S50)하여 역방향 이득이 열화되었음을 운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만약 노이즈레벨이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 하한 임계값에 미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한 비교단계(S40)를 수행한다.
상한 비교단계(S40)에서는 검출된 노이즈레벨을 상한 임계값과 비교(S41)하여 노이즈레벨이 상한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하지 않고 정상 상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운용자에게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에 이상이 없음을 알리게 된다(S70).
만약 검출된 노이즈레벨을 상한 임계값과 비교(S41)하여 노이즈레벨이 상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노이즈레벨이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노이즈레벨이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 상한 임계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발진 알람을 발생(S60)하여 운용자에게 외부 발진신호가 광중계시스템 내부로 이입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만약 노이즈레벨이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알람을 발생하지 않고 정상 상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에 이상이 없음을 운용자에게 알리게 된다(S70).
도 3의 (a)는 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역방향 출력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단말기의 호(Call)가 걸리는 경우, 해당 채널에 해당하는 역방향 출력신호의 세기는 B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만약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역방향 이득이 열화되게 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출력신호의 노이즈레벨(A)이 하한 임계값보다 작아지게 되어,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에 문제가 생겼음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운용자는 단순 이득 저하와 같은 간단한 문제에 대해서는 상위에서 역방향 이득 조절을 통해 문제 해결을 할 수 있고, 알람 CLEAR를 통해 발생된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의 민원 발생 전에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도 2에서는 상한 비교단계(S40)를 수행하기에 앞서 하한 비교단계(S30)를 수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한 비교단계(S40)가 하한 비교단계(S30)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도 무방하다.
삭제
또한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최종단에서의 전송신호의 노이즈레벨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상, 하한 비교를 동시에 수행하여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이상 여부를 감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Flow Chart).
도 3은 커플링되어 증폭된 전대역 역방향 출력신호를 예시로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RF 모듈 101 : RF 커플러 102 : 저잡음증폭기
103 : 검출기 104 : 컨트롤러 105 : 알람 발생기
106 : 리모트 107 : 광 케이블 108 : 기지국
109 : 광모듈

Claims (6)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측을 향하는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최종단에서의 전대역 역방향 전송신호를 RF 커플러에 의해 커플링하는 신호 커플링단계와;
    상기 신호 커플링단계에서 RF 커플러에 의해 커플링된 전대역 역방향 전송신호를 저잡음증폭기에 의해 증폭하는 커플링신호 증폭단계와;
    상기 커플링 신호 증폭단계에서 저잡음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대역 역방향 전송신호의 노이즈레벨을 검출기로 측정하는 노이즈레벨 측정단계와;
    상기 노이즈레벨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노이즈레벨을 컨트롤러로 보고하는 노이즈레벨 보고단계와;
    상기 노이즈레벨 보고단계에서 노이즈레벨을 보고받은 컨트롤러에서 노이즈레벨을 하한 임계값과 비교하고, 노이즈레벨이 하한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노이즈레벨이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 하한 임계값에 미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역방향 이득이 열화된 불량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하한 비교단계와;
    상기 노이즈레벨 보고단계에서 노이즈레벨을 보고받은 컨트롤러에서 노이즈레벨을 상한 임계값과 비교하고, 노이즈레벨이 상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노이즈레벨이 기 설정된 일정 횟수 이상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외부 발진신호가 광중계시스템 내부로 이입된 불량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한 비교단계와;
    상기 하한 비교단계에서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의 역방향 이득이 열화된 불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알람발생부에서 역방향 이득이 열화된 불량상태임을 알리는 저이득 알람을 발생하고, 상기 상한 비교단계에서 외부 발진신호가 광중계시스템 내부로 이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알람발생부에서 외부 발진신호가 이입되었음을 알리는 발진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58557A 2008-06-20 2008-06-20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 KR10098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557A KR100987366B1 (ko) 2008-06-20 2008-06-20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557A KR100987366B1 (ko) 2008-06-20 2008-06-20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345A KR20090132345A (ko) 2009-12-30
KR100987366B1 true KR100987366B1 (ko) 2010-10-12

Family

ID=4169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557A KR100987366B1 (ko) 2008-06-20 2008-06-20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033B1 (ko) * 2012-04-10 2013-09-11 주식회사 에이디알에프코리아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이상유무 판별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517A (ko) * 2005-04-20 2006-10-2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노이즈 검출 장치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517A (ko) * 2005-04-20 2006-10-2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노이즈 검출 장치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345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30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easuring uplink noise level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8909133B2 (en) Gain measurement and monitor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863019B (zh) 无线基站试验装置以及无线基站的试验方法
KR200432984Y1 (ko) 이동통신용 중계기의 전송선로 측정 및 진단 장치
KR100987366B1 (ko) 광중계기의 역방향 신호전송 경로 감시방법
KR100682714B1 (ko) 이동통신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노이즈 검출 장치 및 그방법
CN103369586A (zh) 一种处理基站上行外部干扰的方法及装置
JPH0998130A (ja) 無線中継装置の異常発振検出回路
KR100736757B1 (ko) 이동통신 중계장치에서의 송ㆍ수신 과입력 차단 장치 및 그방법
US8280371B2 (en) Base station and receiver failure diagnosing method
KR20130055068A (ko) Lte 중계기의 열화 감지 방법
KR100957641B1 (ko) 수동상호변조왜곡 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CN111769888B (zh) 一种移动通信射频装置智能自激检测方法
CN110120843B (zh) 一种检测天馈口信号质量的方法及装置
KR101307033B1 (ko) 분산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이상유무 판별 방법 및 장치
KR20130116469A (ko) 통합형 광 중계기의 2차 하모닉 측정 장치
KR100732172B1 (ko) 안테나 시스템
KR10089789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이득을 제어하는 중계기 및방법
KR101675231B1 (ko) 중계기
KR20090063853A (ko)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87970A (ko)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JPH08293843A (ja) 通信用中継装置に適用される故障判定装置
KR101048537B1 (ko) 광중계기 역방향 장애시 송신출력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시스템 및 방법
KR20010018467A (ko) 이동통신 안테나 출력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069347A (ko) 이동통신 기지국에 구비되는 무선 주파수 송신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