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853A -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63853A KR20090063853A KR1020070131365A KR20070131365A KR20090063853A KR 20090063853 A KR20090063853 A KR 20090063853A KR 1020070131365 A KR1020070131365 A KR 1020070131365A KR 20070131365 A KR20070131365 A KR 20070131365A KR 20090063853 A KR20090063853 A KR 200900638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verse
- repeater
- reception sensitivity
- gain
- reverse g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은 역방향 수신 감도 측정부, 및 역방향 이득 조절부를 포함한다. 역방향 수신 감도 측정부는 중계기의 역방향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역방향 이득 조절부는 측정된 역방향 수신 감도가 소정의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과 일치되도록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통신망 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중계기, 기지국, 역방향 이득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기지국에 연결된 중계기, 및 중계기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무선망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중계기에서 일정 레벨(Level)을 송신하였을 때 중계기 수신단에서의 수신 품질 상태를 계산상으로 유추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작업을 링크 분석(Link analysis)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의 설정은, 중계기 관리자가 현장에서 단말기의 육안 확인을 통한 진단 감시 방식(Diagnostic Monitor; DM)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2G (CDMA 방식)의 경우 순방향 역방향 이득 설정의 운용자 기준안이 없이 단순히 감시 단말기 상태 값(RSSI, Tx Adj(송신조정), Tx power(송신 출력))에 의존하여 설정하고 있으며, 문제 발생시 현장에서만 조치 가능하여 담당자가 현장 출동 조치 전까지 통화 품질 저하 및 망운용 능력(Capability)의 저하가 발생한다.
또한, 3G(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또는 와이브로(WiBro 방식)의 경우에도 광(유선) 중계기의 경우 역방향 감시 기능이 없어 문제 발생시 현장 민원 접수전까지 통화 품질 및 망운용 능력 저하 발생하고, 광/RF 중계기 역방향 문제시 현장 조치 인력이 감시 단말기 상태 및 현장 시험(Test) 단말기 상태를 기준으로 현장 조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중계기의 순방향 대비 역방향 기준이 명확하지 못하며,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 조절을 위해 단순 설치 인력이 출동할 경우 현장 조치 불가능으로 망운용 능력 저하와 비용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통신망 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 자동 설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은 역방향 수신 감도 측정부, 및 역방향 이득 조절부를 포함한다. 역방향 수신 감도 측정부는 중계기의 역방향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역방향 이득 조절부는 측정된 역방향 수신 감도가 소정의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과 일치되도록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통신망 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역방향 이득 조절부는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조절하기 전에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최소로 설정할 수 있다. 중계기가 역방향 이득을 조절할 때 역방향 이득을 최소로부터 시작함으로써 역방향 이득 조절 과정이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소정의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은 중계기의 출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기지국의 역방향 수신 감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계기 역방향 이득의 조절을 중계기의 출력이나 기지국의 역방향 수신 감도에 따라 설정함으로써 더 욱 효과적인 역방향 이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을 방법의 형태로 구현한 발명이 함께 개시된다.
본 발명은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통신망 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중계기가 역방향 이득을 조절할 때 역방향 이득을 최소로부터 시작함으로써 역방향 이득 조절 과정이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 주며, 중계기 역방향 이득의 조절을 중계기의 출력이나 기지국의 역방향 수신 감도에 따라 설정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역방향 이득을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역방향 조절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중계기 역방향 이득 설정 시스템(100)은 역방향 수신 감도 측정부(110), 및 역방향 이득 조절(120)부를 포함한다.
역방향 수신 감도 측정부(110)는 중계기의 역방향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역방향 이득 조절부(120)는 측정된 역방향 수신 감도가 소정의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과 일치되도록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통신망 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역방향 이득 조절부(110)는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조절하기 전에 중계기 의 역방향 이득을 최소로 설정할 수 있다. 중계기가 역방향 이득을 조절할 때 역방향 이득을 최소로부터 시작함으로써 역방향 이득 조절 과정이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의 설정에 따른 중계기 서비스 구역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Case-I은 순방향 서비스 구역(Forward Coverage)이 역방향 서비스 구역(Reverse Coverage)보다 큰 경우로서, 안쪽 영역은 모든 단말기가 통화 가능한 지역이고, 바깥쪽 영역은 파일럿(Pilot) 신호는 검출 가능하나 음질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Call Access가 잘 되지 않는 지역으로 서비스 불능 지역이다.
Case-III 는 역방향 서비스 구역이 순방향 서비스 구역보다 큰 경우로서, 안쪽 영역은 모든 단말기가 통화 가능한 지역이고, 바깥쪽 영역은 Pilot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는 지역으로 서비스 불능 지역이 발생한다. 이 경우 모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에 불필요한 용량을 차지하게 된다.
Case-I과 같이 역방향 이득을 너무 낮게 설정하여 역방향 서비스 구역이 좁아지는 경우나 Case-III 와 같이 역방향 이득을 너무 높게 설정하여 기지국 신호 검출이 불가능한 경우 등의 순방향 역방향 셀 안정성(Cell Balance) 대한 불균형을 잡아 주어 순방향 서비스 구역과 역방향 서비스 구역 안정성을 유효 적절히 맞춘 Case-II 와 같이 중계기 운용을 최적화하여야 한다.
중계기(Repeater) 이득 자동 설정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하향 연결(Down Link)의 경우, 중계기(Repeater) HPA(High Power Amplifier) 최대출력의 범위까지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최대한 순방향 서비스 구역(Coverage)을 확보하면서 트래픽 로딩(Traffic Loading에) 따른 HPA 포화가 발생치 않도록 하여야 한다.
개통 시점의 트래픽 로딩 조건과 무관하게 풀트래픽로딩(Full Traffic Loading) 조건에서는 중계기의 순방향 출력이 최대출력 값에 이르며 HPA의 선형성(Linearity) 활용도가 100%에 이르러야 한다.
현재 이동통신 중계기 HPA 최종출력은 적정한 운용 출력으로 HPA 최대 용량을 사용하지 않으며, 보통 35~40dBm으로 설정 운용한다. FA(Frequency Assignment)별 용량, 최대 트래픽 로딩 등을 고려하여 적정 운용을 설정한다. 설정 방법은 ALC(Automatic Level Control), AGC(Automatic Gain Control), ALC Off-Set 기능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으며, 하향 연결 설정 방법은 ALC Off-Set 기능이 효과적이다.
상향 연결(Up Link)의 경우, 중계기로부터의 잡음신호(Noise Signal)에 의한 기지국(BTS; Base Transmission System) 역방향 연결(Link)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시키면서 중계기 역방향 서비스 구역을 최대한 확보해야 한다.
중계기 역방향 신호에 의하여 기지국 수신단 잡음(Noise) 상승이 1dB 이내를 유지하여야 한다. 중계기 상향 연결 설정 방법은 기지국 역방향 링크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중계기 역방향 서비스 구역을 확보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기지국 수신단 잡음 상승이 1dB 이내로 규정하게 되면 중계기 역방향 수신 감도 값을 -111dBm(2G 기준) 설정할 수 있으나 다수의 중계기(대형급) 운용시 기지국 수신단 잡음 상승이 1dB이내 규정 조건 때문에 각 중계기마다 다시 역방향 수신 감도 값을 재설정해야 한다.
그러나 하향 연결 설정 값(적정 값 35 ~ 40dBm)을 설정하면 역방향 수신 감도 설정 값은 약 105~108dB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상/하향 연결을 설정하면 다수의 중계기(대형급) 10EA 이하는 자동으로 설정해도 기지국 수신 감도 1dB 이내 규약 조건에 만족될 수 있으며, 잡음 레벨(Noise Level)을 다수 중계기 로그(Log) 값으로 정확히 계산하면 정확한 중계기 운용 수 유추 가능하다.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은 중계기 또는 기지국에 의해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되는 값으로 중계기의 출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중계기 출력에 따른 중계기의 역방향 수신 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2G CDMA인 경우 중계기 출력에 따른 중계기 수신 감도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순방향 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순방향 신호 도달 영역이 증대하여 서비스 구역이 확장되며 이에 따른 중계기의 역방향 수신 감도의 적정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중계기 용량별(출력별) 적정 수신 감도 설정이 필요하며, 아래 그림과 같이 중계기 출력에 따른 최적의 중계기 수신 감도 측정 결과를 참조하여 운용에 필요한 용량으로 역방향 이득 설정을 결정함으로써 모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의 수신단 열화 방지로 기지국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중계기 출력에 따른 중계기 셀(Cell) 서비스구역 계산 도표는 도 4의 표를 참조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3G WCDMA(또는 WiBro) 및 기타 운용 주파수에 따른 관계를 측정 분석 후 측정값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중계기 서비스 구역과 중계기 수신 감도를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중계기 출력에 따른 중계기 수신 감도를 나타내며 이때 단말기의 RSSI과 Tx Adjust(송신 조정) 값을 나타낸다. 이 측정치는 2G CDMA를 기준으로 측정한 값이며 3G WCDMA(or WiBro)에서도 이와 같은 측정 방식에 의해 중계기 셀 서비스 구역을 알 수 있다.
도 4의 표에서 중계기의 최대(MAX) 서비스 구역(km) 값은 Lee's Model에 의해 산출한 예상 서비스 구역을 의미하며, 이때 Lee's Model 에 사용된 변수와 계산 기준은 다음과 같다. Lee's Model 이란 Willam Lee에 전파된 전파 예측 모델로, 기지국으로부터 근거에서 최초 조건을 예측하여 그것을 기지국과 단말기간에 경로(Path) 소신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이다.
A. 개방 지역 (Open Area)
B. 송신 안테나 높이 (Tx Antenna Height): 15m
C. 수신 안테나 높이(Rx Antenna Height): 2m
D. 송신 안테나 이득(Tx Antenna Gain): 18dBd
E. 수신 안테나 이득(Rx Antenna Gain): 0dBd
F. 사용주파수(Frequency): 1845MHz
또한,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은 기지국의 역방향 수신 감도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도 5는 중계기와 기지국 수신 감도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중계기 역방향 수신 감도가 -111dBm을 기준(순방향 +40dBm)으로 할 때 기지국 역방향 수신 감도가 -118dBm으로서 이 기준치를 최적의 값으로 한다면 이때의 중계기 역방향 이득이 최적의 상태로 설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의 적정 수신 감도 레벨은 운용사업자에 의해 결정되며 그 결정된 기지국 수신 감도를 유지하기 위한 중계기 역방향 이득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중계기를 기지국 운용 반경 내에서 운용시, 실질적으로 운용사업자 지침에 따른 기지국의 최적 수신 감도인 기지국 수신 감도의 열화를 최소화하는 중계기의 최대 수신 감도에서 중계기 역방향 이득 설정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중계기 수신 감도가 -111dBm(순방향 +40dBm)일 때 기지국 수신 감도가 -118dBm에서 최적 운용 조건이라면 중계기 역방향 이득을 최소로 설정한 상태에서 중계기 수신 감도가 -111dBm에 도달될 때까지 중계기 역방향 이득을 증가시킨다. 중계기 수신 감도가 -111dBm(순방향 +40dBm)이 될 때의 역방향 이득이 중계기의 최적 이득 설정 값이 된다.
도 6은 중계기 수신 감도에 따른 기지국 수신 감도 측정한 표이다.
도 6은 수신 감도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중계기 수신 감도 변화에 따른 기지국 수신 감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의 표의 회색 바탕으로 표시한 값에서와 같이 중계기 수신 감도가 약 -111dBm 일 때 기지국 수신 감도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중계기 수신 감도가 좋아질수록 기지국 수신 감도(A-Path)는 열화 됨을 알 수 있으며, 기지국 열화가 최소점일 때의 중계기 수신 감도와 역방향 이득 값이 최적이 됨을 유추할 수 있다.
기지국 수신 감도 레벨은 운용자에 의해 결정되며 결정된 기준치를 가지고 중계기 역방향 수신 감도와 이때의 중계기 역방향 이득 설정이 확정될 수 있다. 도 6의 표에서 이 측정치를 기준으로 보면 중계기 수신 감도가 -111dBm이 되는 시점에서의 중계기 역방향 이득이 최적의 값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의 실제 구현 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는 광 중계기 및 RF 중계기 회로 구성도(Block Diagram)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표에 기재된 중계기 서비스 구역과 수신 감도 값을 운용 규정 안으로 규정한 다음, 송신 출력 및 중계기 수신 감도 값을 도 7에서와 같이 광 중계기의 원격 장치(Remote Unit) 측과 RF 중계기의 출력단에서 결합 단자(Coupling Port)를 이용하여 CDMA(또는 WCDMA, WiBro)용 모뎀을 연결하고 중계기의 수신 감도를 측정한다.
이때 사용되는 모뎀은 중계기 내장 또는 별도의 소형 단말기형(Hand-held) 모뎀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중계기 내에 내장된 형태의 모뎀으로 자동 역방향 이득 설정의 경우와 소형 단말기형 모뎀을 이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 이득 설정을 하는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송신출력 산출법은 CPU 측정 방법과 모뎀의 RSSI 값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CPU(GUI(Graphic User Interface) 측정 방법은 HPA 전류 전압(Current Voltage) 값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방법이다.
모뎀의 RSSI 값으로 표시하는 방법은 RSSI 값 산출하여 실제 출력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Duplexer(송수전환기) 손실 여부 감지 가능하고, 전압 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 측정 방법 추가시 서비스 급전선 VSWR 추가 감지 가능하다.
도 8은 도 1의 구현 예 중 모뎀이 중계기에 내장되어 역방향 이득을 자동 설정하는 예의 블록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중계기 내부에 장착된 모뎀을 이용하여 역방향 이득을 설정하는 방법으로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득 설정을 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즉, 내장 모뎀을 GUI에 의해 수동 측정 명령으로 기지국을 접속하여 중계기 역방향 수신 감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그 측정된 값을 중계기 내부의 제어기(Controller)로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Data Cable)을 통해 전달한다.
제어기(Controller)는 내장 모뎀으로부터 측정된 수신 감도를 넘겨받아서 그 값이 설정된 수신 감도 값과 비교해서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판단하며 높을 경우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을 1dB씩 감소시켜 가며 모뎀에서 측정된 수신 감도가 설정된 수신 감도와 같게 되는 점을 찾아낸다. 또 측정된 수신 감도가 설정 값보다 낮으면 반대로 역방향 이득을 1dB씩 증가시켜가며 모뎀에서 측정된 수신 감도가 설정된 수신 감도와 같게 되는 점을 찾는다.
이때에 모뎀에서 측정된 중계기 수신 감도와 설정된 수신 감도가 같아지는 지점에서의 이득이 역방향 이득이 된다. 측정된 중계기의 수신 감도와 설정된 수신 감도 값이 일치하면 호출음(Beep Sound) 또는 GUI상이나 기타 표시 방법에 의해 설정이 완료됨을 표시하여 준다.
이 경우 측정 지정 시간이나 트래픽(Traffic)이 심하지 않은 야간 또는 중계기 설치 시 전원이 인가되고 초기화된 후에 기지국을 접속하여 현재 중계기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기도 하며 또는 설치자나 운용자의 수동 명령에 의해 임의의 시간에 측정이 가능하다.
도 9는 도 1의 구현 예 중 소형 단말기형 모뎀에 의한 중계기 역방향 이득 설정하는 예의 블록도이다.
도 9에서와 같이 소형 단말기형 모뎀을 이용하여 역방향 이득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득설정을 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즉 소형 단말기형 모뎀을 중계기의 적절한 결합 단자(Coupling Port)에 연결한 후 수동 측정 버튼(Button)에 의해 기지국을 접속하여 중계기 역방향 수신 감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그 측정된 값을 중계기 내부의 제어기(Controller)로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전달한다.
제어기(Controller)는 소형 단말기형 모뎀으로부터 측정된 수신 감도를 넘겨받아서 그 값이 설정된 수신 감도 값과 비교해서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판단하며 높을 경우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을 1dB씩 감소시켜 가며 모뎀에서 측정된 수신 감도가 설정된 수신 감도와 같게 되는 점을 찾아낸다.
또 측정된 수신 감도가 설정 값보다 낮으면 반대로 역방향 이득을 1dB씩 증 가시켜가며 모뎀에서 측정된 수신 감도가 설정된 수신 감도와 같게 되는 점을 찾는다. 이때에 모뎀에서 측정된 중계기 수신 감도와 설정된 수신 감도가 같아지는 지점에서의 이득이 역방향 이득이 된다. 측정된 중계기의 수신 감도와 설정된 수신 감도 값이 일치하면 호출음이나 기타 표시 방법에 의해 설정이 완료됨을 표시하여 준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먼저, 중계기 순방향의 이득을 설정하고(S110), 중계기 역방향 이득을 최소로 설정한다(S120). 이와 같이, 중계기가 역방향 이득을 조절할 때 역방향 이득을 최소로부터 시작함으로써 역방향 이득 조절 과정이 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중계기 역방향 수신 감도를 측정하여(S130), 측정된 역방향 수신 감도가 미리 설정된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과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S140). 측정된 역방향 수신 감도가 미리 설정된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방향 수신 감도가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과 일치하도록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조절한다(S150). 이와 같은 구성은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조절하여, 통신망 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소정의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은 중계기의 출력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기지국의 역방향 수신 감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중계기 역방향 이득의 조절을 중계기의 출력이나 기지국의 역방향 수신 감도에 따라 설정함으로써 더욱 효 과적인 역방향 이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실제 구현 예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8에서와 같은 내장 모뎀에 의한 중계기 역방향 이득 설정 순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도 9에서와 같은 소형 단말기형 모뎀에 의한 중계기 역방향 이득 설정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역방향 조절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의 설정에 따른 중계기 서비스 구역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중계기 출력에 따른 중계기의 역방향 수신 감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중계기 서비스 구역과 중계기 수신 감도를 나타낸 표.
도 5는 중계기와 기지국 수신 감도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중계기 수신 감도에 따른 기지국 수신 감도 측정한 표.
도 7은 도 1의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의 실제 구현 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구현 예 중 모뎀이 중계기에 내장되어 역방향 이득을 자동 설정하는 예의 블록도.
도 9는 도 1의 구현 예 중 소형 단말기형 모뎀에 의한 중계기 역방향 이득 설정하는 예의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도 10의 실제 구현 예의 개략적인 흐름도.
Claims (8)
- 중계기의 역방향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역방향 수신 감도 측정부; 및상기 측정된 역방향 수신 감도가 소정의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과 일치되도록 상기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조절하는 역방향 이득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역방향 이득 조절부는 상기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조절하기 전에 상기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최소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소정의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은 상기 중계기의 출력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소정의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은 상기 기지국의 역방향 수신 감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 중계기의 역방향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상기 측정된 역방향 수신 감도가 소정의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과 일치되도록 상기 중계기의 역방향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중계기 역방향 이득을 최소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소정의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은 상기 중계기의 출력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소정의 역방향 수신 감도 기준은 상기 기지국의 역방향 수신 감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1365A KR20090063853A (ko) | 2007-12-14 | 2007-12-14 |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1365A KR20090063853A (ko) | 2007-12-14 | 2007-12-14 |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63853A true KR20090063853A (ko) | 2009-06-18 |
Family
ID=4099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1365A KR20090063853A (ko) | 2007-12-14 | 2007-12-14 |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6385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81403A1 (ko) * | 2011-12-01 | 2013-06-06 | 주식회사 쏠리드 | 롱텀에볼루션 시스템에서 중계기 송신 전력을 조절하는 장치 |
KR101298590B1 (ko) * | 2009-12-21 | 2013-08-2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
-
2007
- 2007-12-14 KR KR1020070131365A patent/KR2009006385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8590B1 (ko) * | 2009-12-21 | 2013-08-2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장치 및 방법 |
US8521081B2 (en) | 2009-12-21 | 2013-08-27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Repeating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O2013081403A1 (ko) * | 2011-12-01 | 2013-06-06 | 주식회사 쏠리드 | 롱텀에볼루션 시스템에서 중계기 송신 전력을 조절하는 장치 |
US9231689B2 (en) | 2011-12-01 | 2016-01-05 | Solid Technologies Inc. | Apparatus for regulating transmission power of repeater in long term evolu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50739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中継器の逆方向利得をセッ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US7865159B2 (en) | Repeater rise-over-thermal (RoT) value calibration | |
CN101652935B (zh) | 控制接入点功率传输的方法及基站 | |
EP2037599B1 (en) |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 |
JP3974523B2 (ja) | セルラ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利得設定 | |
US20070042799A1 (en) | Auto adaptive technique to provide adequate coverage and mitigate RF interference | |
US8862051B2 (en) | Determining the repeater gain in dependence of interference | |
EP1876725A2 (en) | Transmit power control | |
CA2443997A1 (en) | Method of wcdma coverage based handover triggering | |
US20180041234A1 (en) |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oscillations in a signal booster device, a signal booster device and a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a signal booster device | |
GB2375691A (en) | Uplink power control for cellular network | |
WO2006135037A1 (ja) | 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システム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 | |
US20040057507A1 (en) | Link esti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 |
US921058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bas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090063853A (ko) |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및 방법 | |
KR20080102066A (ko) | 자동이득 설정 기능을 갖는 중계장치 | |
CN100407592C (zh) | 一种反向干扰克服方法与系统 | |
KR100561664B1 (ko) | Wcdma 시스템에서 통화품질 측정 방법 | |
JP4971332B2 (ja) | 無線中継装置 | |
GB2481331A (en) | Adapting a maximum total transmit power of a base station based on measurements made by user equipment of signals from other basestations | |
KR100449328B1 (ko) |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측정 단말기를 이용한 순/역방향이득 조정, 자동 주파수 설정 및 중계 기지국 지역의 통화품질 측정 방법과 이를 구현한 무선 중계장치 | |
GB2481544A (en) | Adapting a maximum total transmit power of one or more mobile devices based on interference with a macrolayer base station | |
KR100897896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이득을 제어하는 중계기 및방법 | |
US20230292253A1 (en) | Gain autotune | |
CN110784916A (zh) | 一种根据终端用户业务量的自适应控制方法及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