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540A -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540A
KR19980022540A KR1019960041718A KR19960041718A KR19980022540A KR 19980022540 A KR19980022540 A KR 19980022540A KR 1019960041718 A KR1019960041718 A KR 1019960041718A KR 19960041718 A KR19960041718 A KR 19960041718A KR 19980022540 A KR19980022540 A KR 19980022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power amplifier
transmitter
outp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4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540A/ko
Publication of KR1998002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540A/ko

Links

Landscapes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신기의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과전력이나 전력합성기, 안테나와 같은 외부회로에서 발생하는 반사전력에 의한 전력 증폭기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송신기의 전력 증폭기는 검출부로 부터 검출된 신호가 과전력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이 제어부에서 수행되므로 전력 증폭기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과전력이 발생해도 우선 제어부에서 검사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함에 기인하여 처리과정이 복잡해지고 전파지연에 의한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과전력에 의해 전력 증폭기가 파괴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송신기의 전력 증폭기에 허용한도 이상의 과전력이 발생하게 되면 신속하게 전력 증폭기의 동작을 정지 시킴으로써 과전력에 기인한 전력 증폭기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
본 발명은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기에서 발생하는 과전력이나 전력합성기, 안테나와 같은 외부회로에서 발생하는 반사전력에 의한 전력 증폭기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송신기의 전력 증폭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증폭부(10), 검출부(20), 제어부(30)를 구비한다. 전력 증폭부(10)는 입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송신 가능한 전력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검출부(20)는 전력 증폭부(10)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전력 합성기나 안테나와 같은 외부회로로 부터 인가되는 반사전력을 검출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전력 증폭부(10)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한다. 제어부(30)는 검출부(20)로 부터 인가되는 전력값을 내부에 기설정된 기준 전력값과 비교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전력 증폭부(10)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송신기의 전력 증폭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송신기에서 외부로 송출하기 위해 변조된 신호가 전력 증폭부(10)로 인가되면 전력 증폭부(10)는 이 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출력한다. 검출부(20)는 전력 증폭부(10)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전력합성기나 안테나와 같은 외부 회로에서 발생하는 반사 전력을 검출하여 제어부(30)로 출력한다. 제어부(30)는 검출부(20)로 부터 인가되는 전력값을 계산하여 전력 증폭부(10)의 이득을 자동제어하는 자동이득조절신호(AGC)와 전력 증폭부(10)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키신호를 전력 증폭부(10)에 출력한다. 전력 증폭부(10)는 제어부(30)로 부터 인가되는 키신호가 로우레벨의 신호로 인가될 때 동작하며 제어부(30)로 부터 인가되는 자동이득조절신호(AGC)에 따라 전력 증폭부(10)의 이득을 자동제어하며 외부로 송출하기 위해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 때, 제어부(30)는 검출부(20)로 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자체에 기설정된 기준 전력과 비교하여, 기준 전력이상 되면 경보음을 출력하고 자동이득조절신호(AGC)의 출력을 제어하거나 키신호를 오프시켜 전력 증폭부(10)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전력 증폭부(10)가 안정한 상태로 되도록 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송신기의 전력 증폭장치에서는 검출부로 부터 검출된 신호가 과전력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이 제어부에서 수행되므로, 전력 증폭기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과전력이 발생해도 우선 제어부에서 검사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함에 기인하여 제어 처리과정이 복잡하고, 전파지연에 의해 제어실행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과전력 발생시에 전력 증폭기의 손상 가능성이 높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력 증폭부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과전력이 검출부로 부터 검출되면 우선 전력 증폭기를 보호한 후에 제어부로 그 결과를 통보함으로써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과전력으로 부터 전력 증폭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송신 가능한 전력으로 전력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과 전력 합성기나 안테나와 같은 외부회로로 부터 인가되는 반사전력을 검출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전력 증폭부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 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내부에 기설정된 기준 전력과 비교하여 그에 대응하는 자동이득제어신호(AGC)를 상기 전력 증폭부측으로 출력하고, 인가되는 경보음 출력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로 부터 인가되는 전력과 기준 전력을 비교하여 인가되는 전력이 기준전력 보다 크면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클럭으로 인가 받아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이 반전되면 소정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플립플롭으로 부터 출력되는 소정 레벨의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로 부터 인가되는 키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오류 검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류 검사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력 증폭부 20 : 검출부
30 : 제어부 40 : 오류 검사부
41 : 비교기 42 : 플립플롭
43 : 트랜지스터 50 : 안테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전력 증폭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증폭부(10), 검출부(20), 제어부(30), 오류 검사부(40), 비교기(41), 플립플롭(42) 및 트랜지스터(43)를 구비한다. 전력 증폭부(10)는 입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송신 가능하도록 증폭하여 출력하고, 검출부(20)는 전력 증폭부(10)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과 전력 합성기나 안테나와 같은 외부회로로 부터 인가되는 반사전력을 검출하여 그에 대응하는 검출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전력 증폭부(10)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한다. 오류 검사부(40)는 검출부(20)로 부터 인가되는 검출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전력 증폭부(10)로 부터 출력되는 전력이 기설정된 전력이상 되면 전력 증폭부(10)측으로 로우레벨의 키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어부측으로 경보음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0)는 검출부(20)로 부터 인가되는 검출 신호를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AGC 신호를 전력 증폭부(10)측으로 출력하고, 오류 검사부(40)로 부터 인가되는 경보음 출력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고, 키신호를 오류 검사부(40)로 출력한다.
한편, 오류 검사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기(41), 플립플롭(42) 및 트랜지스터(43)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비교기(41)는 검출부(20)로 부터 인가되는 검출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인가되는 검출전력이 기준전력 보다 크면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플립플롭(42)은 비교기(41)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클럭으로 인가 받아 해당 신호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위상이 변화하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트랜지스터(43)는 플립플롭(42)으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어부(30)로 부터 인가되는 키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전력 증폭부(10)는 오류 검사부(40)로 부터 하이레벨의 키신호가 인가되면 동작하여 제어부(30)로 부터 인가되는 AGC 신호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이득을 조절하고 입력되는 송신신호를 외부로 송출이 가능하도록 증폭하여 출력한다. 검출부(20)는 전력 증폭부(10)로 부터 인가되는 송신신호의 전력과 외부 전력합성기나 안테나를 통하여 인가되는 반사전력을 검출하여 오류 검사부(40)와 제어부(30)로 출력하는데, 검출된 전력이 기설정 되어 있는 기준 전력 보다 낮으면 제어부(30)로 부터 출력되는 AGC 신호와 오류 검사부(40)로 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키신호가 전력 증폭부(10)로 인가되어, 전력 증폭부(10)는 AGC 신호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이득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 때, 검출부(20)에서 검출된 전력이 기설정 되어 있는 기준 전력보다 높은 과전력이 발생되면 오류 검사부(40)는 키신호를 로우레벨의 신호로 출력함과 동시에 경보음 출력신호를 제어부(30)로 출력한다. 따라서, 전력 증폭부(10)는 오류 검사부(40)로 부터 로우레벨의 키신호를 인가 받아 동작을 정지하고, 제어부(30)는 오류 검사부(40)로 부터 경보음 출력신호를 인가 받아 경보음을 발생한다.
상기 오류 검사부(40)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라 플립플롭(42)은 동작 초기에는 제어부(30)로 부터 인가되는 클리어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로우레벨의 신호출력을 유지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43)가 오프되어 제어부(30)로 부터 인가되는 하이레벨의 키 신호는 전력 증폭부(10)측으로 인가된다. 비교기(41)는 검출부(20)로 부터 인가되는 검출전압과 기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검출전압이 기설정된 기준전압 보다 낮으면 출력을 로우레벨로 유지하여 플립플롭(42)의 클럭단에 인가하는데, 플립플롭(42)은 클럭의 입력신호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하지 않으므로 출력은 계속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바, 이 로우레벨의 신호는 트랜지스터(43)의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43)를 오프한다. 그러므로 제어부(30)로 부터 인가되는 하이레벨의 키신호가 그대로 전력 증폭부(10)에 전달되어 전력 증폭부(10)를 구동 시킨다. 이 때, 오류가 발생하여 검출부(20)로 부터 인가되는 검출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높으면 비교기(41)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플립플롭(42)의 클럭단에 인가하는 바, 플립플롭(42)의 클럭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하였으로 플립플롭(42)은 입력단에 연결된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 하이레벨의 신호가 트랜지스터(43)의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43)를 온 시키게 되어 제어부(30)로 부터 인가되는 하이레벨의 키신호는 트랜지스터(43)를 통하여 접지단측으로 흐르게 되므로 전력 증폭부(10)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전력 증폭부(10)의 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전력 증폭부(10)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되어 과전력으로 부터 회로를 보호하게 된다. 그후에, 플립플롭(42)은 제어부(30)가 오류 발생 원인을 제거하여 과전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면 플립플롭(42)으로 리셋 신호를 인가할 때 까지 계속 하이레벨의 신호를 트랜지스터(43)의 베이스단에 인가하여 트랜지스터(43)를 동작시킴으로써 전력 증폭부(10)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되어 과전력으로 부터 보호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기의 전력 증폭기에 허용한도 이상의 과전력이 발생하게 되면 신속하게 전력 증폭기의 동작을 정지 시킴으로써 과전력에 기인한 전력 증폭기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1)

  1. 입력되는 신호를 외부로 송신 가능한 전력으로 전력증폭하여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10)와; 상기 전력 증폭부(10)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과 전력 합성기나 안테나와 같은 외부회로로 부터 인가되는 반사전력을 검출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전력 증폭부(10)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하는 검출부(20)와; 상기 검출부(20)로 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내부에 기설정된 기준 전력과 비교하여 그에 대응하는 자동이득제어신호(AGC)를 상기 전력증폭부(10)측으로 출력하고, 인가되는 경보음 출력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제어부(30)를 구비하는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20)로 부터 인가되는 전력과 기준 전력을 비교하여 인가되는 전력이 기준전력 보다 크면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41)와; 상기 비교기(41)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클럭으로 인가 받아 인가되는 신호의 위상이 반전되면 소정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42)과; 상기 플립플롭(42)으로 부터 출력되는 소정 레벨의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어부(30)로 부터 인가되는 키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트랜지스터(43)를 포함하는 오류 검사부(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
KR1019960041718A 1996-09-23 1996-09-23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 KR19980022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718A KR19980022540A (ko) 1996-09-23 1996-09-23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718A KR19980022540A (ko) 1996-09-23 1996-09-23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540A true KR19980022540A (ko) 1998-07-06

Family

ID=6652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718A KR19980022540A (ko) 1996-09-23 1996-09-23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5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491B1 (ko) * 2004-07-26 2006-08-03 주식회사 에이텔시스텍 휴대인터넷 시간분할이중방식 안테나단의 전력증폭기제어방법 및 그 안테나단
KR100609122B1 (ko) * 1999-06-15 2006-08-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122B1 (ko) * 1999-06-15 2006-08-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송출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8491B1 (ko) * 2004-07-26 2006-08-03 주식회사 에이텔시스텍 휴대인터넷 시간분할이중방식 안테나단의 전력증폭기제어방법 및 그 안테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4978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power amp module
KR19980022540A (ko) 송신기의 전력 증폭 장치
KR200393965Y1 (ko) 과입력 신호로부터 전력 증폭기를 보호하는 장치
JPH09199950A (ja) 増幅器の保護回路
KR200393815Y1 (ko) 저전압으로 인해 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발진을방지하는 장치
KR0151414B1 (ko)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KR101399188B1 (ko) 바운싱 방지용 스위칭 장치 및 그 스위칭 방법
KR100560731B1 (ko) 과입력 신호로부터 전력 증폭기를 보호하는 장치
US60917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t plugging protection for laser optoelectronic devices
JP3299590B2 (ja) 火災報知設備における端末機器
KR100494309B1 (ko) 레이저다이오드자동이상유무확인장치
KR100217085B1 (ko) 전자제어장치의 안정성 검사장치
JPH0666599B2 (ja) 電力増幅回路
KR200247993Y1 (ko) 전력 증폭기에서 내부 증폭 소자 보호회로
JPH10209967A (ja) 光増幅器警報回路
JPH11202983A (ja) 電源遮断回路
KR20000032956A (ko) 기준 주파수 신호 레벨 검출 회로를 이용한 주파수 합성기의오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530697U6 (ja) 外乱光対策回路
KR0123373Y1 (ko) 스피커 보호회로
JPS6199434A (ja) 送信監視制御装置
JPH05283942A (ja) 高出力増幅器用保護回路
KR0120769Y1 (ko) Gto 과전류보호장치
JP3742971B2 (ja) 無線機
KR950010949B1 (ko) 전송선로의 이상검출회로
JP2005135961A (ja) 光伝送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