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827U - 굴삭기용 조립식 붐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조립식 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827U
KR20010001827U KR2019990012333U KR19990012333U KR20010001827U KR 20010001827 U KR20010001827 U KR 20010001827U KR 2019990012333 U KR2019990012333 U KR 2019990012333U KR 19990012333 U KR19990012333 U KR 19990012333U KR 20010001827 U KR20010001827 U KR 200100018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excavator
extender
bas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90012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827U/ko
Publication of KR20010001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827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9Devices to connect parts of a boom or an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삭기용 조립식 붐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 전방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붐(1)이 설치되되, 상기 붐(1)의 대략 중간부를 베이스 붐(2)과 어퍼 붐(3)으로 분리성형하고, 상기 베이스 붐(2)과 어퍼 붐(3) 사이에 붐(1) 전체의 길이조정을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익스텐더(4,5)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되, 상기 베이스 붐(2)과 익스텐더(4,5)와 어퍼 붐(3)에는 상호 선택적으로 조립되거나 탈거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6)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1 익스텐더(4)와 어퍼 붐(3) 사이에 제2 익스텐더(5)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어퍼 붐(3)의 조립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또다른 위치에 결합구멍(6)을 추가로 형성한 구조로 되어, 붐이 다수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붐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붐의 각도를 조절해 줌으로써 다양한 작업범위에 적합하게 굴삭기를 이용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조립식 붐{An assembly type boom for an excavator}
본 고안은 굴삭기에 장착된 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의 붐이 다수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굴삭기용 조립식 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일명 포오크 레인이라고 불리어지는 중장비의 하나로서, 유압을 이용하여 배수로 묻기, 파이프 묻기, 건물기초 바닥파기, 토사적재 등 다양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의 굴삭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101)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상부 선회체(102)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선회체(102)의 전방부에 일정각도로 절곡된 붐(103)이 설치되며, 상기 붐(103)의 선단에는 실린더(10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작동되는 아암(105)이 설치되고, 상기 아암(105)의 선단에는 토사나 암석을 직접 채굴하게 되는 버킷(106)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굴삭기(107)의 아암(105)을 지지하는 붐(103)의 종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일품으로 일정각도를 가지면서 붐(103)이 절곡형성되되, 상기 붐(103)의 일측 선단에는 상기 상부 선회체(102)에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103a)이 형성되고, 상기 붐(103)의 타측 선단에는 상기 아암(105)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103a)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굴삭기(107)를 이루는 붐(103)이 단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붐(103) 길이가 한정됨에 따라 그 범위 내에서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범위의 작업을 위해서는 붐(103) 자체를 바꾸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상기의 이유로 인하여 장업장의 이동시 다수의 붐(103)을 특수차량을 이용하여 실어 나르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굴삭기의 붐 길이를 작업 범위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장업성 향상 및 운반의 편의를 줄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조립식 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 선회체의 전방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선단에는 실린더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작동되는 아암이 설치된 굴삭기의 붐에 있어서, 상기 붐의 대략 중간부를 베이스 붐과 어퍼 붐으로 분리성형하고, 상기 베이스 붐과 어퍼 붐 사이에 붐 전체의 길이조정을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익스텐더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되, 상기 베이스 붐과 익스텐더와 어퍼 붐에는 상호 선택적으로 조립되거나 탈거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을 형성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익스텐더와 어퍼 붐 사이에 제2 익스텐더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어퍼 붐의 조립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또다른 위치에 결합구멍을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붐이 여러 부품으로 조립되거나 해체됨으로써 작업범위에 따른 붐의 길이조절을 할 수 있고, 또한 붐 전체의 길이를 늘여주기 위해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제1 익스텐더 및 제2 익스텐더에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일치되는 어퍼 붐의 결합구멍 위치에 따라 어퍼 붐의 베이스 붐에 대한 각도를 작업용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굴삭기의 붐이 다수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작업시에는 조립된 상태를 이루고 운반시에는 해체되어 운반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작업용도나 그 범위에 따라 붐 전체의 길이를 늘여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폭 넓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어퍼 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시의 시간 및 노력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굴삭기의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굴삭기의 붐을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용 조립식 붐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조립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붐에 장착되는 제1 익스텐더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붐에 장착되는 제2 익스텐더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붐에 제1 익스텐더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붐에 제2 익스텐더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상태도,
도 8은 도 7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붐 2 : 베이스 붐
3 : 어퍼 붐 4 : 제1 익스텐더
5 : 제2 익스텐더 6 : 결합구멍
7 : 브라켓트 8 : 핀
9 : 보울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용 조립식 붐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붐에 장착되는 제1 익스텐더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붐에 장착되는 제2 익스텐더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붐에 제1 익스텐더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붐에 제2 익스텐더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의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 전방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붐(1)이 설치되되, 상기 붐(1)의 대략 중간부를 베이스 붐(2)과 어퍼 붐(3)으로 분리성형하고, 상기 베이스 붐(2)과 어퍼 붐(3) 사이에 붐(1) 전체의 길이조정을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익스텐더(4,5)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되, 상기 베이스 붐(2)과 익스텐더(4,5)와 어퍼 붐(3)에는 상호 선택적으로 조립되거나 탈거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6)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1 익스텐더(4)와 어퍼 붐(3) 사이에 제2 익스텐더(5)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어퍼 붐(3)의 조립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또다른 위치에 결합구멍(6)을 추가로 형성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굴삭기용 붐(1)의 가장 큰 특징은 단일부품이 아니라 조립체로 구성된 것에 있는 바, 기본 적으로 붐(1)이 굴삭기의 상부 선회체에 조립되는 베이스 붐(2)과 이 베이스 붐(2) 및 아암에 조립되는 어퍼 붐(3)으로 나뉘어지되, 상기 베이스 붐(2)과 어퍼 붐(3)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결합구멍(6)을 통해 핀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보울트로 고정시킴으로써 베이스 붐(2)과 어퍼 붐(3)이 조립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기본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또다른 작업을 하기위해 붐(1)의 길이를 늘여줄 경우에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각기 형상 및 길이가 다른 제1 익스텐더(4)나 제2 익스텐더(5)를 선택적으로 조립하게 되는 바, 즉 상기 베이스 붐(2)과 어퍼 붐(3)이 조립되는 사이 공간에 작업범위에 따라 상기 제1 익스텐더(4)나 제2 익스텐더(5)를 선택적으로 조립하되, 상기 제1 익스텐더(4)와 제2 익스텐더(5)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결합구멍(6)을 상기 베이스 붐(2)과 어퍼 붐(3)에 형성된 결합구멍(6)을 일치시킨 후, 결합용 핀을 삽입시킴과 더불어 보울트나 반달형 고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히 결합시킴으로써 붐(1) 전체의 길이를 늘어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익스텐더(4)나 제2 익스텐더(5)를 사용하여 붐(1)을 조립하는 경우에 굴삭기의 아암과 연결되는 어퍼 붐(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는 바, 이 경우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익스텐더(4,5)를 이루는 브라켓트(7)에 형성된 결합구멍(6)의 결합위치에 따라 어퍼 붐(3)의 각도를 베이스 붐(2)에 대해 일자형으로 결합시키거나 일정 각도를 가질 수 있게 굴곡된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익스텐더(4,5)의 내측에 설치된 브라켓트(7)를 통해 핀(8)을 삽입시킨 후 핀(8)의 외측에서 보울트(9)를 삽입시킴으로써 베이스 붐(2)이나 어퍼 붐(3)에 익스텐더(4,5)가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붐(1)이 다수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붐(1)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붐(1)의 각도를 조절해 줌으로써 다양한 작업범위에 적합하게 굴삭기를 이용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용 조립식 붐에 의하면, 굴삭기의 붐이 다수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작업시에는 조립된 상태를 이루고 운반시에는 해체되어 운반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작업용도나 그 범위에 따라 붐 전체의 길이를 늘여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폭 넓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어퍼 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시의 시간 및 노력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부 선회체의 전방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선단에는 실린더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작동되는 아암이 설치된 굴삭기의 붐(1)에 있어서,
    상기 붐(1)의 대략 중간부를 베이스 붐(2)과 어퍼 붐(3)으로 분리성형하고, 상기 베이스 붐(2)과 어퍼 붐(3) 사이에 붐(1) 전체의 길이조정을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익스텐더(4,5)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되, 상기 베이스 붐(2)과 익스텐더(4,5)와 어퍼 붐(3)에는 상호 선택적으로 조립되거나 탈거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조립식 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익스텐더(4)와 어퍼 붐(3) 사이에 제2 익스텐더(5)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어퍼 붐(3)의 조립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또다른 위치에 결합구멍(6)을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조립식 붐.
KR2019990012333U 1999-06-30 1999-06-30 굴삭기용 조립식 붐 KR200100018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333U KR20010001827U (ko) 1999-06-30 1999-06-30 굴삭기용 조립식 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333U KR20010001827U (ko) 1999-06-30 1999-06-30 굴삭기용 조립식 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827U true KR20010001827U (ko) 2001-01-26

Family

ID=5476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333U KR20010001827U (ko) 1999-06-30 1999-06-30 굴삭기용 조립식 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82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58B1 (ko) * 2006-03-27 2008-04-0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붐 어셈블리
KR101663528B1 (ko) * 2015-08-04 2016-10-07 김만식 굴삭기용 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58B1 (ko) * 2006-03-27 2008-04-0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붐 어셈블리
KR101663528B1 (ko) * 2015-08-04 2016-10-07 김만식 굴삭기용 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1053A (ko) 굴착 작업기의 붐
CA2293958A1 (en) Device and process for excavating and backfilling of soil
KR20010001827U (ko) 굴삭기용 조립식 붐
CN201891140U (zh) 一种挖掘机工作装置前端偏转机构
US5711096A (en) Working machine of a hydraulic backhoe having increased blade tip force
US20080075571A1 (en) Construction Equipment with Excavation and Loading Function
CN103266639A (zh) 一种液压挖掘机动臂结构
CN201280729Y (zh) 一种挖掘装置
JPH08165675A (ja) ブレーカ内蔵式アーム付油圧ショベル
JPH10195912A (ja) 油圧ショベル用の簡易型把持装置
KR20230088075A (ko)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
CN215165936U (zh) 一种多角度施工的挖掘机挖斗结构
CN218091017U (zh) 一种挖机臂与破碎锤的连接结构
JP2563568Y2 (ja) 側溝掘削用油圧ショベル
KR100488207B1 (ko) 중장비의 붐과 아암의 연결구조
JP2563563Y2 (ja) 側溝掘削用油圧ショベルのブーム構造
EP1452650A1 (en) Revolving blade for small excavators
KR970005726Y1 (ko) 굴삭기의 좌우측 회전이 가능한 버켓
KR200168767Y1 (ko) 굴삭기용 도자블레이드 구조
CN111827380A (zh) 适用于河道作业的长距离挖掘机动臂
JP2589416Y2 (ja) 拡径トンネル構築用油圧ショベル
JPH0449260Y2 (ko)
JPS6322927A (ja) クラムシエルバケツト使用の掘削機
JPS6126447Y2 (ko)
JP4002700B2 (ja) バックホー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