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746U -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746U
KR20010001746U KR2019990012240U KR19990012240U KR20010001746U KR 20010001746 U KR20010001746 U KR 20010001746U KR 2019990012240 U KR2019990012240 U KR 2019990012240U KR 19990012240 U KR19990012240 U KR 19990012240U KR 20010001746 U KR20010001746 U KR 200100017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garnish
longitudinal direction
bracke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2983Y1 (ko
Inventor
정민현
Original Assignee
정극주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극주,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극주
Priority to KR2019990012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983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7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7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9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상부가 차체(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떨어져 있으며 하부는 볼트(6)를 이용하여 차체(4)에 고정결합 되도록 절곡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브라켓(5)과, 상기한 브라켓(5)과 차체(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로 삽입되어 브라켓(5)에 걸리도록 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후크(7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후크(71)가 브라켓(5)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7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니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클립을 이용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후크를 이용하여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밀착고정되도록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임의로 길이 절단가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량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GARNISH FOR THE LOWER PART FROM THE DOOR OF THE CAR}
이 고안은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클립을 이용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후크를 이용하여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밀착고정되도록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임의로 길이 절단가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량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의 외부에 각종의 가니쉬(garnish)를 취부함으로써 차체를 보호함과 동시에 자동차 고유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또한 외적 미관을 향상시킴으로써 외장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도어(D)의 하부에 취부되어 있는 가니쉬(G)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가니쉬(G)가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니쉬(G)와 차체의 사이에 틈이 보이지 않도록 가니쉬(G)가 차체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외관상 매우 중요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는,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홈(1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차체(1)와, 상기한 결합홈(11)과 동일한 간격으로 ??자형의 클립지지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절곡되어 있는 가니쉬(2)와, 상기한 클리지지부(3)에 장착되어 차체(1)의 결합홈(11)과 결합됨으로써 가니쉬(2)가 차체(1)에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클립(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는, 가니쉬(2)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클립지지부(21)에 각각 클립(3)을 결합시킨 후, 상기한 클립(3)을 순차적으로 차체(1)의 결합홈(11)에 결합시키게 되면 가니쉬(2)가 차체(1)에 결합됨으로써 외장효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는 클립을 이용하여 가니쉬를 차체와 고정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아무리 클립을 많이 설치하더라도 클립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가니쉬가 차체와 밀착이 되지 않고 약간 틈이 벌어지게 됨으로써 외관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는, 가니쉬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가니쉬의 전체길이 및 클립지지부의 간격에 있어서 오차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차체와 딱 맞아떨어지지 않게 되는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립을 이용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후크를 이용하여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밀착고정되도록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임의로 길이 절단가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량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 하부에 취부되어 있는 가니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가 겨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4 : 차체 2, 7 : 가니쉬
3 : 클립 5 : 브라켓
6 : 볼트 21 : 클립지지부
71 : 후크 72 : 탄성부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가 겨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는, 상부가 차체(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떨어져 있으며 하부는 볼트(6)를 이용하여 차체(4)에 고정결합 되도록 절곡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브라켓(5)과, 상기한 브라켓(5)과 차체(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로 삽입되어 브라켓(5)에 걸리도록 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후크(7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후크(71)가 브라켓(5)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7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니쉬(7)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가니쉬(7)의 후크(71) 및 탄성부(72)는 연질 PVC로 형성하고, 그 비??의 부분은 경질 PVC로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는, 가니쉬(7)의 후크(71)를 브라켓(5)과 차체(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로 삽입하여 브라켓(5)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가니쉬(7)가 차체(4)에 밀착결합된다. 이 경우에 가니쉬(7)의 탄성부(72)는 상기한 후크(71)가 브라켓(5)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가니쉬(7)의 길이방향으로 모든 부분이 차체(4)와 밀접되기 때문에 어느 한부분도 틈새가 발생됨이 없이 밀착됨으로써 깔끔한 외장효과가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니쉬(7)를 차체(4)의 길이보다 조금 길게 사출성형한 뒤에 차체(4)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가공하게 되면 길이오차의 발생없이 차체와 딱 맞아떨어지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클립을 이용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후크를 이용하여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밀착고정되도록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임의로 길이 절단가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량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와 같은 효과는 반도체 제조장비 분야에서 이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1)

  1. 상부가 차체(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떨어져 있으며 하부는 볼트(6)를 이용하여 차체(4)에 고정결합 되도록 절곡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브라켓(5)과, 상기한 브라켓(5)과 차체(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로 삽입되어 브라켓(5)에 걸리도록 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후크(7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후크(71)가 브라켓(5)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7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니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
KR2019990012240U 1999-06-30 1999-06-30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 KR200262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40U KR200262983Y1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40U KR200262983Y1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46U true KR20010001746U (ko) 2001-01-26
KR200262983Y1 KR200262983Y1 (ko) 2002-01-31

Family

ID=5476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240U KR200262983Y1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9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638B1 (ko) 2006-07-24 2007-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가니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150B1 (ko) * 2001-12-18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사이드 가니쉬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638B1 (ko) 2006-07-24 2007-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가니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983Y1 (ko) 200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2983Y1 (ko) 자동차 도어 하부의 가니쉬 취부구조
US5971330A (en) Structure for attaching a rubber-made component part
JPS60191851A (ja) プロテクタモ−ルの取付方法
JP3890536B2 (ja) 管体が接続可能なボックス
JPH09161580A (ja) グロメット
KR100314464B1 (ko) 자동차의 트림 설치용 클립
JPH0310579Y2 (ko)
KR100376551B1 (ko) 자동차의 웨이스트 몰딩 취부구조
KR0129367Y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라스 체결구조
KR0119176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용 도어 내측 커버패널 체결구조
KR200145577Y1 (ko) 자동차 범퍼의 취부구조
KR0130474Y1 (ko) 자동차용 와이어 고정클립
KR0129398Y1 (ko) 자동차 혼 체결구조
KR0121634Y1 (ko) 차량의 패널홀 셀링장치
KR100206225B1 (ko) 카펫 고정용 홀더
KR0132496Y1 (ko) 차량용 미터 클러스터 장치
KR0128363Y1 (ko) 고정클립을 이용한 자동차 외장재 부착구조
KR200148941Y1 (ko) 자동차의 발전기 취부용 브라켓
KR100387893B1 (ko) 자동차 가니쉬 체결구조
KR200162441Y1 (ko) 차량의 범퍼측면 결합구조
KR100187405B1 (ko) 차량의 걸이식 사이드바디몰딩
KR100384855B1 (ko) 자동차의 카울 그릴 취부구조
KR19990035658A (ko) 자동차 도어 트림 체결용 클립
KR200358875Y1 (ko) 자동차용 혼 플레이트의 유동방지 구조
KR19980062400A (ko) 자동차용 연결 화스너(fastener)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